KR20160114786A - 탄산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786A
KR20160114786A KR1020150040867A KR20150040867A KR20160114786A KR 20160114786 A KR20160114786 A KR 20160114786A KR 1020150040867 A KR1020150040867 A KR 1020150040867A KR 20150040867 A KR20150040867 A KR 20150040867A KR 20160114786 A KR20160114786 A KR 2016011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arbonated water
mixer
col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최인두
박정철
노용연
박시준
송민섭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4786A/ko
Publication of KR2016011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3/04787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내부에서 탄산수가 생성되는 혼합기;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혼합기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모터; 및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 과정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추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수기는 단순히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유용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한 예로서, 정수기에 탄산이 공급되도록 하여 물의 음용시 탄산 음용수를 수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초기 탄산가스를 저장하는 탄산가스 압력용기와,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로 구성되어 용기내에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를 물에 녹여 탄산수를 제조한다.
또한, 기체 분리막을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 가스의 농도를 선택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부드러운 탄산수를 원하거나 거친 탄산수를 원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리 탄산수를 생산하여 별도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탄산수가 제공되므로, 생성된 탄산수에서 농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바로 탄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내부에서 탄산수가 생성되는 혼합기;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혼합기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모터; 및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 과정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추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냉수 공급로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각각 상기 혼합기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모터는 상기 펌프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기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는 상기 혼합기의 내부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압력 유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추출유로에는 상기 추출유로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저항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기에는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과정에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배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추출유로에는 상기 추출유로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추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유로에는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바로 탄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혼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저항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저장 탱크(10), 이산화탄소 실린더(20), 혼합기(30), 펌프(40), 모터(80), 저항체(60) 및 탄산수 추출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10)에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필터 시스템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냉각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 탱크(10)에는 냉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10)는 냉수 공급로(L1)에 의하여 상기 혼합기(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 공급로(L1)에는 상기 펌프(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40)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저장 탱크(10)의 냉수가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내부에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는 이산화탄소 공급로(L2)에 의하여 상기 혼합기(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80)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개방 또는 밀폐되게 된다.
상기 모터(80)가 구동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 내의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L2)를 통해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 공급로(L1)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L2)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펌프(40)와 상기 모터(8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각각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40)와 상기 모터(80)는 각각 제어부(9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상기 펌프(40)와 상기 모터(8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30)는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되는 곳이며, 상기 혼합기(30)에는 제1 유입구(31), 제2 유입구(32) 및 배출구(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31)를 통해 상기 냉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2 유입구(32)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상기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상기 탄산수는 상기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입구(31)와 상기 제2 유입구(32)는 서로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입구(32)는 2개가 제공되어 상기 제1 유입구(31)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입구(31)는 상기 혼합기(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상기 제2 유입구(32)는 상기 혼합기(30)의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수와 상기 제2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서로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혼합기(30)의 제1 유입구(31) 측에는 체크밸브(31a)가 제공되어 상기 혼합기(30)로부터 상기 냉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3)에는 추출밸브(V1)가 구비되고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추출유로(L3) 및 배수밸브(V2)가 구비되고 상기 탄산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유로(L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밸브(V1)는 상기 추출유로(L3)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수밸브(V2)는 상기 배수유로(L4)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유로(L3)를 통해 추출되는 상기 탄산수는 상기 탄산수 추출관(7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밸브(V1)와 상기 탄산수 추출관(70) 사이에는 상기 저항체(60)가 구비되어 상기 추출유로(L3)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 과정에서 상기 추출밸브(V1)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배수밸브(V2)는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탄산수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추출밸브(V1)가 밀폐되고 상기 배수밸브(V2)가 개방되어, 상기 냉수 공급로(L1),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L2) 및 상기 혼합기(30)의 내부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추출밸브(V1)는 상기 펌프(40) 또는 상기 모터(80)와 연동되어 상기 펌프(40) 또는 상기 모터(80)가 작동할 때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는 상기 냉수 공급로(L1),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L2), 상기 혼합기(30) 및 상기 추출유로(L3)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추출밸브(V1)가 개방되면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 내의 전체 유로(단, 배수유로(L4)는 제외)가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는 상기 혼합기(30)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연속적으로 흐르면서 혼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상기 탄산수는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 내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생성되는 즉시 상기 탄산수 추출관(7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생성된 상기 탄산수가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직수식 탄산수 제조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상기 탄산수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탄산수를 미리 생성하여 장치 내의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탄산수가 저장된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므로, 탄산수의 농도 변화가 초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탄산수를 추출할 때마다 다른 농도의 탄산수가 공급되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탄산수를 생성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농도 변화없이 일정한 농도의 탄산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80)는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로부터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는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핀(미도시)이 배치되며, 상기 핀(미도시)은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에 탄성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미도시)에 외부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핀(미도시)이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개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L2)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된다.
상기 핀(미도시)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면 상기 핀(미도시)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상기 핀(미도시)에 외부 힘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미도시)가 밀폐되며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중지되게 된다.
상기 핀(미도시)은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모터(80)의 작동에 의해 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혼합기(30)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힘의 크기 또는 상기 핀(미도시)를 누르는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상대적으로 세게 가압하면 상기 핀(미도시)이 상대적으로 많이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혼합기(30)에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혼합기(30)에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힘의 크기 또는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수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의 용해도(즉, 상기 냉수에 용해된 상기 이산화탄소가 어느 정도인지)는 상기 냉수의 온도 및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상기 냉수의 온도 또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탄산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힘의 크기 또는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시간에 비례하므로, 결국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80)가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힘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핀(미도시)을 누르는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면 상기 펌프(40)에 의해 상기 혼합기(30)로 공급되는 상기 냉수의 압력이 변화하므로, 결국 상기 이산환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냉수의 압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경우에는 상기 냉수의 압력을 높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늘림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높일 수 있으며, 저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경우에는 상기 냉수의 압력을 낮춰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낮출 수 있다. 중농도의 탄산수도 상기 냉수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예를 들어, 고농도, 중농도 저농도)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혼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혼합기(30) 내에서 상기 탄산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유입구(31)와 상기 제2 유입구(32)를 통해 각각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되게 된다.
상기 혼합기(30) 내에서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냉수에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과정에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 내의 전체 유로(단, 배수유로(L4)는 제외)는 외기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는 압력 유지 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는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상기 탄산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기능을 하여 상기 혼합기(30)의 내부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는 직경이 상기 혼합기(30)의 내경와 대응되도록 원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원판 형태의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34a)이 형성되거나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34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산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34a) 또는 홀(34b)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결국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에 의해 그 흐름이 방해받게 되어 상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소정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압력 유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압력 유지 부재(34)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원판에는 외주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34a)이 형성되거나 각 원판을 관통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3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원판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34a) 또는 홀(34b)은 상기 탄산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상기 혼합기(30)의 내부 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저항체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저항체(60)에 의하여 상기 추출유로(L3)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생성된 상기 탄산수는 상기 추출유로(L3)를 거쳐 상기 탄산수 추출관(7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상기 추출유로(L3) 내에서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산수의 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유로(L3)의 내부에서도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는 상기 추출유로(L3)에 상기 저항체(6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항체(60)는 속이 빈 원뿔 형상의 콘(61), 상기 콘(61)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유로(L3)와 연결된 탄산수 입수구(62) 및 상기 콘(61)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 추출관(70)과 연결된 탄산수 출수구(63)를 포함하며, 상기 콘(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산수가 흐르는 유로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부싱부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61)은 상기 탄산수 입수구(62)에서 상기 탄산수 출수구(63)를 향하여 외경 및 내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64)도 직경이 상기 탄산수 입수구(62)에서 상기 탄산수 출수구(63)를 향하여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콘(61)의 내주면과 상기 부싱부재(64)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61)의 내주면과 상기 부싱부재(64)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탄산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부재(64)는 상기 콘(61)과 나사 결합되므로, 상기 부싱부재(64)를 조이는 양에 따라 상기 콘(61)의 내주면과 상기 부싱부재(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탄산수가 흐르는 유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61)의 내주면과 상기 부싱부재(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탄산수 입수구(62)와 상기 탄산수 출수구(6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산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추출유로(L3)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바로 탄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저장 탱크
20: 이산화탄소 실린더
30: 혼합기
40: 펌프
60: 저항체
70: 탄산수 추출관
80: 모터

Claims (8)

  1.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내부에서 탄산수가 생성되는 혼합기;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혼합기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모터; 및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 과정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추출유로;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공급로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수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각각 상기 혼합기로 공급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펌프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상기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는 상기 혼합기의 내부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압력 유지 부재가 구비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유로에는 상기 추출유로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저항체가 구비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에는 상기 탄산수의 생성 및 공급과정에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배수유로가 연결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유로에는 상기 추출유로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추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유로에는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비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0150040867A 2015-03-24 2015-03-24 탄산수 제조 장치 KR20160114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67A KR20160114786A (ko) 2015-03-24 2015-03-24 탄산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67A KR20160114786A (ko) 2015-03-24 2015-03-24 탄산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86A true KR20160114786A (ko) 2016-10-06

Family

ID=5716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67A KR20160114786A (ko) 2015-03-24 2015-03-24 탄산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47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39A (ko) * 2016-12-20 2018-06-28 코웨이 주식회사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JP2019119510A (ja) * 2018-01-10 2019-07-22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炭酸水供給機構及び炭酸水供給システム
KR20230067941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탄산수 제조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39A (ko) * 2016-12-20 2018-06-28 코웨이 주식회사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JP2019119510A (ja) * 2018-01-10 2019-07-22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炭酸水供給機構及び炭酸水供給システム
KR20230067941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탄산수 제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8045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rtionsweisen Anreicherung und Ausgabe von Trinkwasser mit einem Gas
US9227161B2 (en) Device for the enrichment of a liquid stream with a gas
KR20160114786A (ko) 탄산수 제조 장치
AU20182064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by reverse osmosis or nanofiltration
JP6220451B2 (ja) 炭酸水混合装置
EP2650045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20170029297A1 (en) Electrolyt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KR102473893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385172B1 (ko) 탄산수 제조 시스템
KR102394049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8064019A (ja) 定流量エゼクタおよびイオン交換装置
KR102451971B1 (ko) 탄산수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51972B1 (ko) 탄산수 제조 시스템
KR200449110Y1 (ko) 미세기포 기체-액체 혼합 장치
KR20070008103A (ko) 산소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426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20160040923A (ko) 탄산수 생성장치
JP2003071260A (ja) 炭酸水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KR1023855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462651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20190010520A (ko) 음료 추출 시스템
KR20160002072A (ko) 활성수소수 생성장치
WO2022158247A1 (ja) 炭酸ガス注入装置及び注入方法
KR20160148126A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5228011B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