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93B1 -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93B1
KR101706993B1 KR1020150043521A KR20150043521A KR101706993B1 KR 101706993 B1 KR101706993 B1 KR 101706993B1 KR 1020150043521 A KR1020150043521 A KR 1020150043521A KR 20150043521 A KR20150043521 A KR 20150043521A KR 101706993 B1 KR101706993 B1 KR 10170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inge
connector
asv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577A (ko
Inventor
허주송
신현섭
공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5004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storage tank)가 구비되는 정수기에서, 저수탱크에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ASV(auto shut off valve)를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에 수용하여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힌지;
상기 힌지가 장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정수필터 중 첫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입수측 사이드힌지;
상기 정수필터 중 마지막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출수측 사이드힌지; 및
상기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수용되고, 상기 저수탱크의 압력에 의해 동작시 상기 정수필터 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부터 유체가 유입 및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 배출되는 입수측유로와 출수측유로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ASV;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a water purifier of hinge assembling ASV}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storage tank)가 구비되는 정수기에서, 저수탱크에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ASV(auto shut-off valve)를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에 수용하여 조립하기 위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사용되는 용어 중 "원수"는 외부로부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을 의미하고, "정수"는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물을 의미하며, "농축수"는 RO필터에 의해 걸러진 폐수를 의미하며, "힌지"는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가능하게 이음연결하고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 중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RO 필터(RO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RO필터를 사용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RO필터의 특성상 정수처리되는 정수 량은 여과되는 농축수 량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해 저수탱크를 정수필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저수탱크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상기 정수필터들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저장되는 정수가 상기 저수탱크에 만수위 되는 경우, 상기 정수기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폐수가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SV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정수기를 싱크대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싱크대에 프레임을 장착하되,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가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상기 ASV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ASV와, 상기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별개의 부품으로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ASV 및 힌지를 별개의 부품으로 성형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원가비용이 상승되고,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수가 증가되므로 인건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ASV는 프레임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프레임 바깥쪽에 조립되어 이들의 조립부위가 다르게 되므로, 상기 ASV 및 힌지 각각의 조립부위의 틈새를 통해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01558호에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기의 저수탱크에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ASV를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에 수용하여 조립함에 따라 부품 형상을 단순화하고,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V와 힌지의 조립부위가 줄어들어 조립부위 틈새를 통해 누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등을 사출성형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정수기용 부품들을 원터치방식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스크류 등의 부품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정수기용 힌지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힌지;
상기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로부터의 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사이의 관로에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정수필터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ASV;를 구비하는 정수기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상기 ASV의 바디를 수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정수기용 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힌지;
상기 힌지가 장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정수필터 중 첫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입수측 사이드힌지;
상기 정수필터 중 마지막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출수측 사이드힌지; 및
상기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수용되고, 상기 저수탱크의 압력에 의해 동작시 상기 정수필터 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부터 유체가 유입 및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 배출되는 입수측유로와 출수측유로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ASV;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ASV는
상기 정수필터 중 첫번째 정수필터와 두번째 정수필터 사이의 관로, 상기 정수필터 중 두번째 정수필터와 세번째 정수필터 사이의 관로, 또는 상기 정수필터 중 첫번째 정수필터의 상류측 관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정수필터를 결합시 유체이동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를 분리시 상기 유체이동통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체결부에 관통형성되는 로킹공과, 상기 로킹공에 대응되게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로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커의 단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킹공으로부터 상기 로커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 및 상기 힌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1각도제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초기위치로 내릴 경우, 상기 체결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2각도제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에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 발생시 상기 체결부의 벌어짐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대향되는 플레이트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형상의 리브와,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의 상판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플레이트 바깥쪽에 위치하는 서포터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의 플레이트 내,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기 리브와 서포터에 의해 상기 체결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커넥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는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V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형 플런저;
상기 밸브형 플런저의 일단에 안착되고, 상기 저수탱크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형 플런저를 가압하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가압부재;
상기 밸브형 플런저의 타단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형 플런저에 의해 가압될경우 상기 입수측유로와 출수측유로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씰링부재;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압부재 및 씰링부재로 이루어지는 ASV의 바디를 상기 힌지에 지지하는 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저수탱크에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ASV를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에 수용하여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ASV를 힌지에 수용하여 단일화시킴에 따라 이들 부품의 조립부위가 줄어들어 조립부위 틈새를 통해 누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신뢰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 커넥터를 지지하는 프레임 등을 사출성형하여 대량생산함에 따라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정수기용 부품들을 원터치방식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측면도,
도 6(a,b,c,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서, 힌지와 단일체로 성형되는 ASV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힌지를 단일화시킨 ASV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정수기용 힌지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정수필터(1,2,3,4);
상기 정수필터(1,2,3,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5,6,7,8);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5,6,7,8)를 지지하며,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1,2,3,4)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1,2,3,4)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중앙측 힌지(9,10,11);
상기 정수필터(1,2,3,4)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19);
상기 저수탱크(19)에 저장되는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상기 정수필터(1,2,3,4)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ASV(22);를 구비하는 정수기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일 예로서 입수측 사이드힌지(16), 중앙측 힌지(9,10)를 말함)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상기 ASV(22)의 바디를 수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V(22)는
상기 힌지(9)의 일측에 수용되는 합성수지재의 하우징(22b);
상기 하우징(22b)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밸브형 플런저(22c);
상기 밸브형 플런저(22c)의 일단에 안착되고, 상기 저수탱크(19)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형 플런저(22c)를 가압하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가압부재(22d);
상기 밸브형 플런저(22c)의 타단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형 플런저(22c)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입수측유로(20)와 출수측유로(21)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씰링부재(22a);
상기 하우징(22b), 플런저(22c), 다이어프램형 가압부재(22d) 및 씰링부재(22a)로 이루어지는 ASV(22)의 바디를 상기 힌지(9)에 지지하는 캡(22e);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 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정수필터(일 예로서, 세디먼트필터(1), 프리카본필터(2), RO멤프레인필터(3), 포스트카본필터(4)를 말함)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5,6,7,8);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5,6,7,8)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1,2,3,4)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1,2,3,4)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힌지(9,10,11);
상기 힌지(9,10,11)가 장착되는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와, 상기 정수필터(1,2,3,4)를 상기 커넥터(5,6,7,8)에 착탈시 상기 커넥터(5,6,7,8)를 회동시킬 수 있는 수용부(13)가 형성되는 프레임(14);
상기 정수필터(1,2,3,4) 중 첫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5)에 결합되어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15)가 연결되는 입수측 사이드힌지(16);
상기 정수필터(1,2,3,4) 중 마지막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8)에 결합되어 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17)가 연결되는 출수측 사이드힌지(18);
상기 정수필터(1,2,3,4)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19);
상기 힌지(9,10,11) 중 어느 하나의 힌지(일 예로서, 첫번째 커넥터(5)와 두번째 커넥터(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9)를 말함)에 조립되어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19)의 압력에 의해 동작시 상기 정수필터(1,2,3,4) 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일 예로서, 첫번째 정수필터(1)를 말함)로부터 유체가 유입 및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일 예로서, 두번째 정수필터(2)를 말함)로 배출되는 입수측유로(20)와 출수측유로(21)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ASV(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ASV(22)는
상기 정수필터(1,2,3,4) 중 첫번째 정수필터(1)와 두번째 정수필터(2) 사이의 관로, 상기 정수필터(1,2,3,4) 중 두번째 정수필터(2)와 세번째 정수필터(3) 사이의 관로, 또는 상기 정수필터(1,2,3,4) 중 첫번째 정수필터(1)의 상류측 관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6,7,8)에 상기 정수필터(1,2,3,4)를 결합시킬 경우 유체이동통로(23)를 개방하고, 상기 커넥터(5,6,7,8)로부터 상기 정수필터(1,2,3,4)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유체이동통로(23)를 차단하는 체크밸브(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에 상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4)의 체결부(12) 바닥에 관통형성되는 로킹공(25)과, 상기 로킹공(25)에 대응되게 상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로커(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커(26)의 단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킹공(25)으로부터 상기 로커(26)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2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6,7,8)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5,6,7,8)에 상기 정수필터(1,2,3,4)를 착탈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터(5,6,7,8)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힌지(9,10,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5,6,7,8)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1각도제한턱(28)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6,7,8)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5,6,7,8)를 초기위치로 내릴 경우, 상기 체결부(12)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넥터(5,6,7,8)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2각도제한턱(29)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1,2,3,4)에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 발생시 상기 체결부(12)의 벌어짐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12)로부터 상기 커넥터(5,6,7,8)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5,6,7,8)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의 대향되는 플레이트(12a)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형상의 리브(30)와,
상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의 상판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 바깥쪽에 위치하는 서포터(31)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 내,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를 지지하는 상기 리브(30)와 서포터(31)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 커넥터(5,6,7,8),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는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부호 B는 정수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ASV( 22)로 이동시키기 위한 호스(37)가 이음연결되는 호스연결구이고, C는 상기 ASV(22)에 이동된 정수를 상기 저수탱크(19)에 이동시키기 위한 호스(36)가 이음연결되는 호스연결구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주방의 벽면 또는 싱크대의 내부에 상기 프레임(14)을 밀착시킨 후, 싱크대 등에 고정되는 스크류(미 도시됨)에 상기 프레임(14)의 체결공(32)을 걸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4)의 체결부(12)에 장착되는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힌지(9,10,11)에 의해 상기 커넥터(5,6,7,8)를 상기 프레임(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다.
즉,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힌지(9,10,11)의 바닥에 형성된 로커(26)를 이와 대응되게 상기 체결부(12)의 바닥에 관통형성된 로킹공(25)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로커(26)의 하단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이탈방지턱(27)에 의해 상기 로킹공(25)으로부터 상기 로커(2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4)의 체결부(12)에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힌지(9,10,11)를 장착시킴에 따라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힌지(9,10,11)에 의해 이웃한 커넥터(5,6,7,8)를 프레임(14)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5,6,7,8)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커넥터(5,6,7,8)에 형성된 제1각도제한턱(28)이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상기 힌지(9,10,11)의 상면에 안착된다(이때 상기 커넥터(5,6,7,8)에 결합되는 정수필터(1,2,3,4)는 수평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5,6,7,8)에 무리한 외력을 가하여 불필요한 각도 이상으로 상방향으로 회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초기위치를 말함)에서 수평방향(커넥터(5,6,7,8)를 회동시킬 수 있는 최대각도를 말함)사이의 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상기 커넥터(5,6,7,8)에 정수필터(1,2,3,4)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일 예로서 상기 커넥터(5,6,7,8)에 상기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를 결합시켜 임의각도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턱(33)이 이와 대응되게 상기 커넥터(5,6,7,8)에 형성된 체결홈(34)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5,6,7,8)에 정수필터(1,2,3,4)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 상단에 의해 상기 커넥터(5,6,7,8)내에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체크밸브(24)를 도면상, 상방향으로 밀게 되므로(이때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은 압축력을 받게 됨) 상기 유체이동통로(23)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원수가 상기 입수측 사이드힌지(16)에 연결되는 호스(15)를 통해 상기 커넥터(5)의 유체이동통로(23)를 통과하여 상기 정수필터(1)에 유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커넥터(5,6,7,8)로부터 정수필터(1,2,3,4)를 분리시킬 경우에, 상기 커넥터(5)에 유입된 원수의 수압 및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4)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상기 유체이동통로(23)를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5,6,7,8)로부터 정수필터(1,2,3,4)를 분리시킬 경우에 커넥터(5,6,7,8)로부터 원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필터(1,2,3,4)가 결합된 커넥터(5,6,7,8)를 초기위치의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커넥터(5,6,7,8)에 형성된 제2각도제한턱(28)이 상기 체결부(12)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5,6,7,8)에 결합된 정수필터(1,2,3,4)는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5,6,7,8)에 상기 정수필터(1,2,3,4)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과, 상기 입수측 사이드힌지(16)에 결합되는 호스(15)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직렬형으로 연결되는 상기 정수필터(1,2,3,4)에 의해 정수처리하고, 정수처리된 정수를 출수측 사이드힌지(18)에 결합되는 호스(17)를 통해 파우셋 등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정수필터(3)가 RO필터일 경우, 정수필터(3)에 의해 걸러지는 농축수는 상기 정수필터(3)의 호스연결구(3a)에 연결되는 호스(35)를 통해 싱크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셋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정수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는 호스(36)를 통해 상기 저수탱크(19)에 보내져 저장되고, 상기 정수필터(3)에 의해 걸러진 농축수는 상기 호스연결구(3a)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싱크대로 배출시키는 구성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수필터(3)(RO필터를 말함)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양이 폐수처리되는 농축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된다. 이로 인해 파우셋(A) 등에 의해 정수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상기 정수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수탱크(19)에 저장한 후, 필요할 때 저수탱크(28)로부터 정수를 배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19)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정수필터(4)를 통과시킨 후 파우셋(A) 등으로 공급시켜 사용함에 따라 수중의 냄새를 제거하고 물맛을 개선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19)에 저장되는 정수가 만수위 되는 경우 상기 ASV(22)에 의해 상기 정수필터(2,3,4)측으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저수탱크(19)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상기 ASV(22)가 정수필터(3)와 저수탱크(19)사이의 정수이동용 호스(36,37)에 설치됨에 따라 저수탱크(19)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수탱크(19) 에 정수가 만수위일 경우 저수탱크(19)의 압력에 의해 상기 ASV(22)의 피스톤형 플런저(22c)를 온(on) 상태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플런저(22c)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정수필터(1)와 연결되는 입수측유로(20)와, 정수필터(2)와 연결되는 출수측유로(21)사이의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19)에 저장되는 정수가 만수위 되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SV(22)의 플런저(22a)의 온 동작에 의해 상기 정수필터(1)로부터 정수필터(2)에 이동되는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저수탱크(19)에 정수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원수를 정수필터(1,2,3,4)에 의해 계속하여 정수처리할 경우 정수처리된 정수가 농축수와 함께 싱크대로 버려지게 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탱크(19)에 저장되는 정수가 만수위되는 경우 상기 정수필터(1,2,3,4)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상기 ASV(22)를 상기 힌지(9)(일 예로서, 첫번째 커넥터(5)와 두번째 커넥터(6)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는 힌지를 말함)와 단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ASV(22)를 힌지(9)와 단일화시켜 형상을 단순화시킴에 따라 이를 제작하는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립하는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ASV(22)와 힌지(9)를 단일화시킴에 따라 이들 부품의 조립부위가 줄어들게 되므로 조립부위 틈새를 통해 누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필터(1,2,3,4) 내부에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 발생시 상기 상기 체결부(12)의 벌어짐으로 인해 체결부(12)로부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 및 커넥터(5,6,7,8)가 이탈될 경우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5,6,7,8)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형상의 리브(30)가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의 상판 바닥면에 형성된 서포터(31)가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리브(30) 및 서포터(31)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a)의 내,외측을 감싸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12)의 플레이트(12a)로부터 상기 힌지(9,10,11)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16,18)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3; 정수필터
5,7; 커넥터
9,11; 힌지
13; 수용부
15,17; 호스
19; 저수탱크
21; 출수측 유로
23; 유체이동통로
25; 로킹공
27; 이탈방지턱
29; 제2각도제한턱
31; 서포터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이웃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통되게 이음연결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며,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힌지;
    상기 힌지가 장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정수필터 중 첫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입수측 사이드힌지;
    상기 정수필터 중 마지막번째 정수필터용 커넥터에 결합되어 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출수측 사이드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수용되고, 저수탱크의 압력에 의해 동작시 상기 정수필터 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부터 유체가 유입 및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로 배출되는 입수측유로와 출수측유로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ASV;
    상기 프레임에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체결부 바닥에 관통형성되는 로킹공과, 상기 로킹공에 대응되게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로커;
    상기 정수필터에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압력 발생시 상기 체결부의 벌어짐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대향되는 플레이트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형상의 리브와, 상기 힌지 및 입출수측 사이드힌지의 상판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플레이트 바깥쪽에 위치하는 서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단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킹공으로부터 상기 로커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힌지 및 상기 힌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1각도제한턱;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초기위치로 내릴 경우, 상기 체결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각도를 설정각도 이내로 제한하는 제2각도제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SV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형 플런저;
    상기 밸브형 플런저의 일단에 안착되고, 저수탱크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형 플런저를 가압하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가압부재;
    상기 밸브형 플런저의 타단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형 플런저에 의해 가압될경우 상기 입수측유로와 출수측유로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고무재의 다이어프램형 씰링부재;
    상기 하우징, 밸브형 플런저, 다이어프램형 가압부재 및 다이어프램형 씰링부재로 이루어지는 ASV의 바디를 상기 힌지에 지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0150043521A 2015-03-27 2015-03-27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70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21A KR101706993B1 (ko) 2015-03-27 2015-03-27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21A KR101706993B1 (ko) 2015-03-27 2015-03-27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77A KR20160115577A (ko) 2016-10-06
KR101706993B1 true KR101706993B1 (ko) 2017-02-17

Family

ID=5716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21A KR101706993B1 (ko) 2015-03-27 2015-03-27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0379B (zh) * 2017-08-21 2021-03-19 蔡志豪 净水过滤器
KR102620165B1 (ko) * 2017-10-24 2024-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5B1 (ko) * 2012-11-30 2013-11-11 안광호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72B1 (ko) * 2007-02-28 2008-11-27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0442330Y1 (ko) * 2007-03-27 2008-10-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자동 차단밸브
KR101191419B1 (ko) * 2009-12-09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여과필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5B1 (ko) * 2012-11-30 2013-11-11 안광호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77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993B1 (ko)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16086864A1 (zh) 净水器
CA2630975C (en) Detachable rotational filter supporter
KR20080063756A (ko) 역삼투 여과시스템
KR101668804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JP6100052B2 (ja) 流体フィルタ
KR101075475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KR101671944B1 (ko) 조립형 정수시스템
KR20160000194A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CN114405135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KR200372943Y1 (ko) 냉온수기
CN114405132A (zh) 滤芯组件及净水装置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US20040238428A1 (en) Wet sump filter adapter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20100100049A (ko) 역류 방지 이중 밸브를 장착시킨 수도미터기
KR101719239B1 (ko) 배관 막힘 제거장치
US201803452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by a Reverse Osmosis Filtration System Having a Leak
CN217015609U (zh) 滤芯及净水设备
CN217015610U (zh) 滤芯和净水设备
KR200285193Y1 (ko) 정수기용 필터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CN214913712U (zh) 一种旁通流体过滤器
CN218048445U (zh) 一种残留水快排花洒
CN114405136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