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600B1 -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600B1
KR100455600B1 KR10-2004-0003453A KR20040003453A KR100455600B1 KR 100455600 B1 KR100455600 B1 KR 100455600B1 KR 20040003453 A KR20040003453 A KR 20040003453A KR 100455600 B1 KR100455600 B1 KR 10045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hot water
line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섭
Original Assignee
심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섭 filed Critical 심종섭
Priority to KR10-2004-000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600B1/ko
Priority to US10/559,117 priority patent/US7230255B2/en
Priority to PCT/KR2004/001339 priority patent/WO2004108605A1/en
Priority to JP2006508538A priority patent/JP483151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치, 생수분배기 등의 먹는 물 공급장치의 배출꼭지를 살균할 수 있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있는 먹는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먹는물 공급장치의 정화된 물이 배출꼭지로 배출되기 전에 광촉매와 자외선, 자외선, 오존, 전기분해 살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완벽하게 살균 처리된 물이라 할지라도, 배출꼭지가 공기 중의 부유세균에 노출되거나, 또는 사람의 이용 중에 접촉에 의한 세균 등으로 배출꼭지가 오염되면, 배출꼭지를 통과하는 물이 세균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먹는 물 공급장치의 열수 저수조의 열수를 이용하여 배출꼭지를 살균 처리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Cold and Hot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with sterilizing system of outlet cock}
본 발명은 냉온 생수분배기(7) 또는 필터시스템(9)을 부착된 정수장치에 있어서 정수한 물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광촉매 살균기(20), 자외선 살균기(21), 오존 살균기, 전기분해 살균장치 등 여러 종류로 살균처리한 물이 냉수 배출꼭지(12a)의 세균오염으로 배출수가 다시 세균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을 먹는 물 공급장치에 부착된 열수 가열기(13)의 열수에 의해 살균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부착된 먹는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에 따른 수질오염의 심화로 좀더 깨끗하고 맑은 물을 마시기 위해 각종 필터 시스템(9)으로 정화시킨 물이나, 깊은 산의 지하 깊은 곳의 맑은 물을 채취한 생수를 찾고 있다. 또한, 정수장치로 정화된 깨끗한 물이나 생수를 개개인의 기호에 따라 차게 혹은 뜨겁게 하여 편리하게 마시기 위해 저수조에 저장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기능이 있는 냉온정수장치(5, 6)와, 냉온생수분배기(7)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정수된 물을 보관하여 저수조는 구조적으로 외부 공기 유입이 있어야만 물이 배출 될 수 있는 중력식 배출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세균에 오염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과 배출꼭지(12a, 13a)는 사용 중에 사람의 손이나, 각종 기구 등의 접촉에 의해서 세균에 감염되거나, 공기 중의 부유세균과 접촉으로 세균으로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배출꼭지로 인한 배출수의 세균감염 가능성이 있다.
통상적으로 냉온 정수장치에는 열수가 배출되는 열수 배출꼭지(13a)와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꼭지(12a)가 있는데, 열수 배출꼭지(13a)는 배출되는 열수에 의해 자체적으로 살균처리가 되어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냉수 배출꼭지(12a) 별다른 현실적인 살균방법이 없어서 먹는 물 공급장치에서 배출된 물을 세균으로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먹는 물 공급장치의 배출수 세균오염 문제는 저수조의 공기유입에 따른 세균오염과 배출꼭지(12a)의 세균오염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저수조(12) 배출수에 대한 살균과 배출꼭지(12a)의 살균을 동시에 해결하지 않으면 먹는 물 공급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의 세균오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필터시스템(9)으로 정화시키는 정수장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9a)외에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9b, 9d)와 미세 필터 또는 역삼투 막(9c) 방식으로 물을 정수시킨 물을 바로 배출 시켜사용하는 직결식 정수장치(8), 정수된 물을 저수조(12)로 보내어 냉각 또는 가열하여 저장하는 냉온 정수장치(5, 6) 등이 있다. 역삼투 방식의 정수장치의 경우 순간 정수능력이 작아 보통 압력탱크에 물을 저장하는 형태이나 외부 공기와 접촉 없는 상태로 저장하여 배출되는 형태는 직결식 정수장치(8)에 포함시켰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저수조 살균장치(20, 21)가 설치되어 있는 냉온 정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었다.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5)에서 상부에 위치한 저수조(11) 없고 하부 저수조(12)에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한 정수장치도 있으나 표시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필터 시스템(9)으로 정수된 물을 바로 마시는 경우, 오염된 필터를 사용한 경우나 사용기한을 넘기는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 정상적인 필터 시스템(9)으로 정화된 물은 안심하고 마실 수 있으며, 생수 또한 지하 깊은 곳에서 생산된 깨끗한 물이므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으나, 물을 차게 또는 뜨겁게 먹기 위해 사용하는 냉온 생수분배기 또는 냉온 정수장치의 관리 미비와, 저수조(12) 내부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세균 및 먼지에 의해 대단히 오염되어있다.
냉온 생수분배기(7)의 경우 저수조(12)의 오염된 상태가 유관으로 관찰이 가능하여 한 달 또는 두 달에 한번 주기로 청소하거나 살균제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냉온 정수장치의 경우 대부분 저수조(12)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주로 필터만 교환하는 형태로 폐기 시까지 청소조차 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사용기간이 오래된 정수기일수록 세균오염의 문제가 심각하다.
정수장치 판매 회사에서 필터 시스템(9)으로 정화된 물은 모두 깨끗하다는 광고는 정수장치의 구조적인 문제로 오히려 정수하기 전보다 세균이 더 증가된 물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정수장치의 물이 모두 깨끗하고, 안전하다는 잘못된 풍조를 조장하여, 여름철 수인성 전염병을 대대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세균에 감염될 수 있는 먹는 물 공급장치의 저수조(12)와 배출꼭지(12a)를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살균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세균 오염문제 중 저수조(12)에 대한 세균감염 문제를 해소하고자 저수조(11, 12) 내에 자외선 살균기(21를 설치한 정수장치(5)나, 냉수저수조 배출구(12d)에 광촉매 살균기(20)을 설치한 정수장치(6), 유수식 자외선 또는 광촉매 살균기(24)를 배출 직전에 설치한 직결식 정수장치(8), 오존이나 전기분해방식으로 물을 살균 처리하는 먹는 물 공급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균 감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 저수조(11)에 자외선 살균기(21)를 설치한 냉온 정수장치(5)의 경우, 살균력이 있는 자외선(254nm)은 수중에서 침투력이 수 ㎜ 정도에 불과하여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고 있는 석영관 외벽 주위만 살균되어, 저수조(11) 전체를 살균할 수 없다. 또한, 자외선 살균기(21)로 살균 처리된 물과 살균되지 않는 물이 혼합되어 배출되어 살균처리가 불확실하여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다.
저수조(12)의 물을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여 한국 실용신안 제 264111호의 유수형 광촉매 또는 자외선 살균기(24)을 순환을 시키는 방법은, 저수조(12)에 살균되지 않는 물과 혼합되어 완벽한 살균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과 냉수 층의 물을 계속하여 순환시키므로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냉각시스템을 가동시키는 시간이 길어져 에너지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저수조(11, 12)의 세균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서,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326897호(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는 광촉매 살균기(20)를 이용하여 저수조(11, 12) 내의 물을 수위와 상관없이 살균 처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기술로서, 저수조(12)의 물을 살균 처리하여 배출꼭지(12a) 전단까지 살균 처리된 물을 공급 가능하지만, 광촉매 살균기(20)의 살균력이 잔류성이 없기 때문에 배출꼭지(12a)가 세균으로 오염되어 있다면 배출수는 세균으로 오염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배출꼭지(12a)를 살균 처리하는 선행기술로는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9-0030950호, 실용신안 등록 제 330424호는 배출꼭지(12a) 내부를 자외선에 의한 살균방식이나,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이 외부 유출과, 배출꼭지(12a)에 맞는 자외선 램프를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자외선이 미치지 못하는 외부를 살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자외선에 의한 배출꼭지(12a) 살균방법으로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99795호, 제 329977호는 배출꼭지(12a) 측면과 밑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이 노출과 배출꼭지 외부만을 살균시키는 단점이 있다.
배출꼭지(12a)을 열에 의해 살균시키는 한국 특허 공개번호 2003-0016789호는 배출꼭지(12a) 내부에 삽입된 가열장치로 배출꼭지를 직접 가열하는 방법으로 살균하는 기술로서, 배출꼭지(12a)에 먼지 등이 고착되어 더러워지거나, 고열에 의해 꼭지의 손상이 예상되고, 기존의 배출꼭지(12a)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6) 또는 냉온 생수분배기(7)는 물을 시원하게 또는 뜨겁게 하여 마시기 위한 냉각 저수조(12)와 열수저수조(13)가 부착되어 있는데, 냉수 저수조(12)와 냉수 배출꼭지(12a)에서 대부분의 세균이 증식하여 문제가 되고, 열수 저수조(13)의 열수가 통과되는 열수 배출꼭지(13a)는 열수에 의해 세균이 살균처리 되어, 냉수 배출꼭지(12a)의 세균오염을 열수 저수조(13)의 열수를 이용하여 살균처리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먹는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세균오염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살균기에 의해 살균 처리된 물이 냉수 배출꼭지(12a)에 의해서 세균에 오염되는 문제점을 먹는 물 공급장치에 설치된 열수저수조(13)로부터 배출된 열수를 이용하여 배출꼭지(12a)를 필요시마다 살균처리 할 수 있는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외선 살균 정수장치(5)와 광촉매 살균 정수장치(6)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생수 분배기(7)와 직결식 정수장치(8)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의 개략적인 구조와 "냉수 배출꼭지 살균" 시 열수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30b)과 "냉수/온수 사용" 시 냉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30a).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냉온 생수분배기(5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냉온 정수장치(6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직결식 정수장치(7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다중이용시설의 대형 냉온정수장치(8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광촉매 살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냉각기가 달린 냉수 저수조 12a ; 냉수 배출꼭지
13; 가열기가 달린 열수 저수조 13a ; 열수 배출꼭지
15 ; 냉수라인 밸브 16 ; 열수라인 밸브
16a ; 연결라인 17 ; 냉수라인 티(T)형 연결부
17a ; 냉수 배출라인 18 ; 열수라인 티(T)형 연결부
18a ; 열수 배출라인 19 ; 살균스위치
20 ; 광촉매 살균기 21 ; 자외선 살균기
22 ; 별도설치 열수 가열기 22a ; 직결식 열수 배출라인
30 ; 냉수배출 꼭지 살균시스템
도 3에는 본 발명의 먹는 물 공급장치에 대한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상기 냉수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은 정화된 물을 냉각하는 냉수저수조(12)와, 냉수저수조 중간 부에 위치한 열수유입구(12c)로 부터 열수저수조 유입라인(12f)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85℃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수저수조(13)와,열수배출라인(18a)은 열수저수조(13)와 열수배출꼭지(13a)를 연결하고, 상기 열수배출라인(18a)에는 열수라인티형연결부(18)가 설치되어 연결라인을 통해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로 연결되고;상기 냉수저수조(12) 냉수배출구(12d)는 냉수배출라인(15a)으로 냉수라인밸브(15)로 연결되고, 냉수꼭지(12)를 살균시 냉수를 차단하는 냉수라인 밸브(15)는 냉수라인티형연결부(17)로 연결되고;상기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와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는 연결라인(16a)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라인(16a) 중간에는 열수라인 밸브(16)가 설치되어 냉수배출꼭지(12a)를 살균하는 경우에 열수를 냉수라인으로 흐르게 하고, 보통 사용 시에는 열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의 밸브(15, 16)가 전자석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e Valve)이거나, 모터의 회전력으로 개폐시키는 밸브의 형태도 가능하다.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의 밸브(15, 16)가 솔레노이드(Solenoide) 밸브인 경우, 밸브의 작동은 "냉수/온수 사용" 시에는 냉수라인 밸브(15)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조건에서 열린 상태로 냉수가 냉수 배출꼭지(12a)로 배출되고,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로 연결된 열수라인 밸브(16)는 닫혀 열수를 차단하며,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에는 살균스위치(19)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면, 냉수라인 밸브(15)는 닫혀 냉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열수라인 밸브(16)가 열려 열수가 냉수 배출꼭지(12a)로 배출된다.
살균스위치(19)를 작동시키고("냉수 배출꼭지 살균")에서 냉수 배출꼭지(12a)를 열면, 열수는 열수저수조(13), 열수배출라인(18a),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 열수라인 밸브(16),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냉수 배출라인(17a)을 경유하여 냉수 배출꼭지(12a)로 배출된다.
상기 냉수배출꼭지(12a)로 열수가 배출되는 동안 냉수 배출꼭지(12a) 내부가 열수에 의해 살균처리 되고, 배출된 열수를 컵 등으로 받아 냉수 배출꼭지(12a)를 컵 속의 열수에 잠기도록 받고, 버리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컵의 열수를 넘치게 하여 배출꼭지의 외부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작동시간은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만큼 작동한 다음 자동으로 원상 회복되도록 하거나, 배출구 살균이 끝나면 수동으로 회복하는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살균스위치(19)의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는 램프나 살균과정을 나타내는 구조도를 표시 램프와 설치하여 살균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 4 ~ 7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살균 냉온 생수분배기(50)
도 4는 생수통(10)으로 정화된 물을 공급하고,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과 저수조(12)에 광촉매 살균기(20)가 설치된 냉온 생수분배기(50)의 개략적인 구조로서, 냉수저수조(12) 하부의 냉수배출구(12d)에 설치된 광촉매살균기(20)를 통과하면서 살균 처리되어 냉수 배출꼭지(12a)를 통해 배출되고, 열수는 저수조(12) 중간 유입구(12c)로부터 유입된 물이 열수저수조(13)로 공급되어 열수 배출꼭지(13a)로 배출된다.
냉수 배출꼭지(12a)의 살균처리는 살균스위치(19)가 작동되어 전원이 밸브(15, 16)에 공급되고 냉수 배출꼭지(12a)를 열면, 열수저수조(13)의 열수가 열수 배출라인(18a),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 연결라인(16a), 열수라인 밸브(16),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냉수 배출라인(17a)을 경유하여 냉수 배출꼭지(12a)로 배출되면서 살균된다.
냉수저수조(12)와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사이에 설치된 냉수라인 밸브(15)는 살균스위치(19) 작동되는 동안 닫히게 되어 냉수는 배출되지 않는다.
배출된 열수를 컵 등으로 받아 냉수 배출꼭지(12a)를 컵 속의 열수에 잠기도록 받고, 버리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꼭지가 잠긴 상태로 열수가 넘치도록 하여 냉수 배출꼭지(12a)의 외부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실시예 2 : 살균 냉온 정수장치(60)
도 5는 필터시스템(9)에 의해 정화된 물이 공급되고,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과 광촉매 살균기(20)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60)의 개략적인 구조로서, 냉수 저수조(12) 하부의 냉수 배출구(12d)에 설치된 광촉매 살균기(20)를 통과하면서 살균되어 냉수 배출꼭지(12a)로 배출된다.열수는 저수조 중간 유입구(12c)로부터 유입되어 열수 가열기(13)로 공급되어 열수 배출꼭지(13a)를 통해 배출된다.
냉수 배출꼭지(12a)의 살균처리는 살균스위치(19)가 작동되어 전원이 밸브(15, 16)에 공급되고, 냉수 배출꼭지(12a)를 열면, 열수저수조(13)의 열수가 열수 배출라인(18a),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 연결라인(16a), 열수라인 밸브(16),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냉수 배출라인(17a)을 경유하여 배출꼭지(12a)로 배출되면서 냉수 배출꼭지(12a) 내부를 살균 처리한다.
냉수저수조(12)와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사이에 설치된 냉수라인 밸브(15)는 살균스위치(19) 작동되는 동안 닫히게 되어 냉수 배출이 되지 않는다.
배출꼭지(12a)로 배출되는 열수를 컵 등으로 받아 배출꼭지(12a) 배출구가 열수에 잠기도록 받고, 버리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꼭지가 잠긴 상태로 열수가 넘치도록 하여 냉수 배출꼭지(12a)의 외부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실시예 3 : 살균 직결형 정수장치(70)
도 6은 필터시스템(9)에 의해 정화되는 물이 저수조가 없이 바로 배출되는 직결형 정수장치에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과, 유수형 광촉매 살균기 또는 자외선 살균기(24)가 설치된 직결형 정수기(70)의 개략적인 구조이다.필터시스템(9)으로 정화된 물은 유수형 광촉매 또는 자외선 살균기(24)를 통하여 살균처리된 물은 배출라인(14a), 냉수라인 밸브(15), 배출라인 2차 티형연결부(23), 배출라인(23a) 끝에 연결된 배출꼭지(12a)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꼭지(12a)의 살균처리는 살균스위치(19)가 작동되어 전원이 밸브(15, 16)에 공급되고, 배출꼭지(12a)를 열면, 유수형 광촉매 또는 자외선 살균기(24)에서 살균 처리된 물이 배출라인 1차 티형연결부(14)에 연결된 가열기 물 공급 밸브(22a)를 통해 별도로 설치한 열수 가열장치(22)로 유입되어 가열된 열수가 열수 배출라인(22a), 배출라인 2차 티형연결부(23)를 통과하여 배출라인(23a)을 경우하여 배출꼭지(12a)로 배출된다.배출라인 1차 티형연결부(14) 및 2차 티형연결부(23) 중간에 설치된 냉수 라인밸브(15)는 살균스위치(19) 작동 시간 동안 닫히게 되어 물이 배출을 되지 않는다.
배출된 열수를 컵 등으로 받아 배출꼭지(12a)를 컵속의 열수에 잠기도록 받고, 버리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꼭지가 잠긴 상태로 열수가 넘치도록 하여 배출꼭지(12a)의 외부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실시예 4 : 다중시설 살균 냉온 정수기(80)
도 7은 필터시스템(9)으로 정화시킨 물을 냉각하여 저잘하는 냉수저수조(12)에 광촉매 살균기(20)를 설치하고, 냉수 및 열수 배출꼭지(12a, 13a)가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냉온정수장치에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과 광촉매 살균기(20)가 설치된 급식시설 또는 다중 이용시설 냉온 정수정치(80)의 개략적인 구조로서,냉수는 냉수 저수조(12) 배출구(12d)에 연결된 광촉매 살균기(20)를 통하여 살균처리되어 냉수배출라인(12e)에 병렬로 연결된 한 개 이상의 배출꼭지(12a)를 통해 배출되고, 열수는 저수조(12)의 열수유입라인(12f)을 통해 유입된 물이 열수저수조(13)에서 가열되어 열수 배출라인(13b)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열수 배출꼭지(13a)로 배출된다.
배출꼭지(12a)의 살균처리는 살균스위치(19)가 작동되어 전원이 밸브(15, 16)에 공급되고, 냉수 배출꼭지(12a)를 열면, 열수라인밸브(16)는 열리고, 냉수라인밸브(15)는 닫히게 되어, 열수저수조(13)의 열수는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 연결라인(16a), 열수라인 밸브(16),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냉수 배출라인(12e)에 병렬로 연결된 열려진 냉수 배출꼭지(12a)를 통해 배출된다.
냉수 저수조(12)와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 사이에 설치된 냉수라인 밸브(15)는 살균스위치(19) 작동되는 동안 닫히게 되어 냉수가 배출되지 않는다.
냉수 배출꼭지(12a)를 열어 배출된 열수를 컵 등으로 받아 배출꼭지(12a)를 컵속의 열수에 잠기도록 받고, 버리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넘치도록 하여 살균 처리하는 것을 각각의 냉수배출꼭지 마다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다수개의 배출꼭지를 살균 처리한다.
냉수전용으로 설치된 다중시설 정수장치의 경우 도 6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살균을 위한 열수 가열기(22)를 설치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살균 처리한다.
광촉매 살균기(20, 24)의 경우 통상적으로 광촉매에 밴드갭(band gap) 에너지 이상의 빛(자외선)을 쪼여주면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고, 이들에 의해 물이나 산소가 분해하여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수산기 라디칼(Hydroxy Radical)이 생성되어 수중의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세균을 살균한다. 이러한 광촉매 기능을 하는 물질로는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내산, 내 알칼리성이고, 인체에 무해한 산화티탄을 무기 또는 금속재료에 코팅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반응기에 충진하여 오염된 물을 통과시켜 살균정화 처리한다
산화티탄을 담체에 코팅 시에, 산화티탄에 백금(Pt), 은(Ag), 팔라듐(Pd), 니켈(Ni), 주석(Sn), 크롬(Cr), 철(Fe), 마그네슘(Mg) 등의 금속 및 산화물을 산화티탄의 0.01~5% 정도까지 단독 또는 2개 이상 혼합 첨가하여 700℃ 이하의 온도로 열처리한 후 사용하면, 광촉매 분해반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광촉매의 살균작용은 균의 세포내의 효소와 호흡계에 작용하는 효소 등을 파괴시켜 살균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막고, 이들이 내놓는 독소도 분해할 수 있다.
기존의 항균제는 약효성분을 방출하여 균의 발육을 저지하거나, 사멸시키는 것에 반해 광촉매의 살균 작용은 균이나 곰팡이의 원인이 되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또 내성균을 만들지 않는다. 또한 산화티탄 광촉매는 촉매로서 작용할 뿐 스스로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빛이 있으면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된다.
냉수 저수조의 배출구(12d)에 설치된 광촉매 살균기(20)는 냉수 저수조(12) 밑면의 물을 광촉매가 코팅된 외측관(20b)과 내측관(20c) 사이로 유입되고, 뚜껑에 고정시킨 광촉매 살균기(20)는 살균기헤드(20a)에 고정된 내측관(20c) 에 뚫린 구멍(20d)을 통해 유입되어, 석영관(20g)과 내측관(20c)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광촉매 코팅 담체(20e)를 거쳐 내려가, 저수조(12) 밑면의 내측관 배출구(20b)를 통해 저수조 배출구(12d)로 살균 처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외측관 외부에 코팅된 광촉매는 저수조(12) 물을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도있다.
광촉매 살균기(20)의 자외선 조사장치는 자외선 램프(20f)와 이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석영관(g)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 램프(20f)는 1 ~ 70와트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변경 가능한 출력가변형 안정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를 점등할 경우, 냉수 배출꼭지(12a)가 열리는 경우를 감지하거나, 사용치 않는 심야시간에 저출력 운전하거나, 광촉매 살균기(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연계하여 사용하면, 광촉매 살균기(20)로 물이 흐르는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가 100%의 출력을 나타내고, 흐르지 않을 경우에는 낮은 출력으로 조정하여, 사용치 않을 경우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저수조(12) 내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2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생수분배기(50)와 냉온 정수장치(60)는 저수조(12) 내부에 광촉매 살균기(20)가 설치되고,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이 설치된 점이 종래의 냉온 생수분배기(7) 또는 냉온정수장치(5, 6)와 상이하다.
냉온 생수분배기와 냉온 정수장치에서 물을 가열하여 보관하는 열수저수조(13) 및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저수조(12), 저수조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11b),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시스템(9) 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종래의 냉온 생수분배기 또는 냉온정수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냉온 정수장치 또는 냉온 생수분배기 등의 먹는 물 공급장치의 배출꼭지(12a)를 살균 처리함에 있어서, 먹는 물 공급장치의 열수 저수조(13)의 열수를 이용하여 꼭지 내부 및 외부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7)

  1. 수도관에 연결된 필터시스템(9)으로 정화된 물이나, 생수통(10)의 물을 냉각 저장하는 냉수저수조(12)와, 가열 저장하는 열수저수조(20)와,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배출꼭지(12a)와, 열수을 배출하는 열수배출꼭지(13a)와;
    상기의 냉수저수조(12)의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기와, 열수 저수조(13)의 열수로 냉수 배출꼭지(12a)를 살균 처리하는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를 구비한 먹는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은, 냉수저수조(12) 중간 부의 열수저수조 유입구(12c)와 열수저수조(13)를 연결하는 열수저수조 유입라인(12f)과;
    상기 열수저수조(13)와 열수 배출꼭지(13a)를 연결하는 열수 배출라인(18a)과;
    상기 열수 배출라인(18a) 중간에 설치된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와;
    상기 열수라인 티형연결부(18)는 열수라인 밸브(16)가 설치된 연결라인(16a)으로 냉수라인티형연결부(17)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저수조(12)의 하부에 위치한 냉수 배출구(12d)는 냉수라인밸브(15)가 중간에 설치된 냉수라인(15a)으로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로 연결되고,
    상기 냉수라인 티형연결부(17)와 냉수 배출꼭지(12a)를 연결하는 냉수 배출라인(17a)과;
    상기 냉수라인 밸브(15)와 열수라인 밸브(16)의 열림 및 닫힘을 제어하는 살균스위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수저수조의 열수로 배출꼭지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냉수 저수조(12)와 열수저수조(13)을 구비한 먹는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냉수라인티형연결부(17)에 연결된 냉수배출라인(12e)에 한 개 이상의 냉수 배출꼭지(12a)가 있고, 열수라인티형연결부(18)에 연결된 열수배출라인(13b)에 한 개 이상의 열수배출꼭지(13a)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수저수조의 열수로 배출꼭지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먹는 물 공급장치가 냉수 저수조(12)만 있는 냉수 전용정수장치 또는 저수조가 없는 직결형 정수장치(70)에 있어서;
    필터시스템(9)과 배출라인 1차 티형연결부(14)를 연결하는 배출라인(14a)과; 상기 배출라인(14a)은 가열기 물공급밸브(22b)를 거쳐 열수 가열기(22)로 연결되고, 열수가열기(22)는 열수배출라인(22a)를 통해 배출라인 2차 티형연결부(23)로 연결되고, 배출라인 2차 티형연결부(23)는 배출라인(23a)을 통해 배출꼭지(12a)로 연결되고, 배출라인 1차 티형연결부(14)와 배출라인 2차 티형연결부(23)를 연결하는 배출라인 중간에 설치된 냉수라인밸브(15)와, 상기 가열기 물공급밸브(22b)와 냉수라인밸브(15)의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살균스위치(19)로 구성되고, 별도로 설치한 열수가열기(22)의 열수로 배출꼭지(12a)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냉수 배출꼭지 살균시스템(30)의 열수라인 밸브(16)와 냉수라인 밸브(15)는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전자석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거나, 모터에 의해 방향전환 되는 밸브이고, 밸브의 작동 시간은 인위적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원 위치로 회복되거나, 수동으로 원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수저수조의 열수로 배출꼭지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먹는 물 공급장치의 살균장치가 자외선 살균기(21), 광촉매 살균기(20), 유수형 광촉매 살균기(24), 오존 살균기, 전기분해 살균기 중의 어느 것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수저수조의 열수로 배출꼭지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먹는 물 공급장치의 살균기가 광촉매 살균기(20)기인 경우는, 상기 광촉매 살균기(20)는 냉수 저수조(12)의 뚜껑에 고정되는 광촉매 살균기(20)의 헤드(20a) 하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직경이 다른 외측 관(20b)과 내측 관(20c)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내측관(20c) 상부에는 한개 이상의 유입구(20d)가 있으며, 하부에는 냉수저수조 배출구(12d)로 연결되는 내측관 배출구(20h)와;
    상기 헤드(20a) 중심부에는 한 쪽 끝이 막힌 석영관(20g)이 기밀을 유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관(20c)과 석영관(20g) 사이 또는 내측관(20c)과 외측관(20b)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광촉매 코팅 담체(20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수저수조의 열수로 배출꼭지를 살균하는 배출꼭지 살균시스템이 설치된 먹는 물 공급장치.
  7. 삭제
KR10-2004-0003453A 2003-06-04 2004-01-16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10045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53A KR100455600B1 (ko) 2004-01-16 2004-01-16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US10/559,117 US7230255B2 (en) 2003-06-04 2004-06-04 Photocatalyst sterilizer
PCT/KR2004/001339 WO2004108605A1 (en) 2003-06-04 2004-06-04 Photocatalyst sterilizer
JP2006508538A JP4831513B2 (ja) 2003-06-04 2004-06-04 光触媒滅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53A KR100455600B1 (ko) 2004-01-16 2004-01-16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600B1 true KR100455600B1 (ko) 2004-11-06

Family

ID=4951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453A KR100455600B1 (ko) 2003-06-04 2004-01-16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6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0893294B1 (ko) 2008-03-22 2009-04-17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100918630B1 (ko) * 2008-10-30 2009-09-28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101100967B1 (ko) 2009-12-0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539U (ko) * 1996-12-28 1998-09-25 배순훈 정수기의 취수부 살균장치
KR200302309Y1 (ko) * 2002-08-29 2003-01-30 이성연 위생 냉온수콕
KR20030016789A (ko) * 2001-08-22 2003-03-03 김시훈 음용 급수구 가열 살균 장치
KR200326897Y1 (ko) * 2003-06-04 2003-09-19 심종섭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KR100401218B1 (ko) * 1996-07-23 2003-12-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18B1 (ko) * 1996-07-23 2003-12-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살균장치
KR19980047539U (ko) * 1996-12-28 1998-09-25 배순훈 정수기의 취수부 살균장치
KR20030016789A (ko) * 2001-08-22 2003-03-03 김시훈 음용 급수구 가열 살균 장치
KR200302309Y1 (ko) * 2002-08-29 2003-01-30 이성연 위생 냉온수콕
KR200326897Y1 (ko) * 2003-06-04 2003-09-19 심종섭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0893294B1 (ko) 2008-03-22 2009-04-17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100918630B1 (ko) * 2008-10-30 2009-09-28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101100967B1 (ko) 2009-12-0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1285B2 (en) Internal UV treatment of potable water systems
EP1946781B1 (en) A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US6146524A (en) Multi-stage ozone injection water treatment system
KR100531667B1 (ko)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WO2005100251A1 (en) Fluid treatment system
CA2858444A1 (en) Self-contained, self-cleaning aqueous liquid sterilizer
KR200326897Y1 (ko)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JP2013508138A (ja) 紫外線照射死角領域を除去した紫外線を利用した殺菌浄化装置
CN207632653U (zh) 水消毒净化装置和水处理系统
KR100455600B1 (ko)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101404402B1 (ko) 공기살균정화기능을 갖는 대용량 음용수공급장치
CN112443915A (zh) 一种加湿器及其控制方法
JPH03186A (ja) 浄水器
KR200353265Y1 (ko)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090027908A (ko) 수돗물에 포함된 병원성 미생물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부를내장하는 수돗물 배출기구
KR100439538B1 (ko)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정수장치
CN210367061U (zh) 一种脉冲紫外流体消毒器及具有其的即开即用流体系统
KR200314727Y1 (ko)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KR200307789Y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CN208617599U (zh) 一种具有循环供水消毒的内镜无菌纯化水一体化装置
KR200330424Y1 (ko)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 꼭지
WO2007078294A1 (en) Drinking water pitcher incorporating ultraviolet (uv) disinfection feature
KR200387558Y1 (ko) 최적 배열구조를 갖는 광촉매 살균 구조체
KR20100008213A (ko) 정수기 및 그 작동방법
JPH11128913A (ja) 浄水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