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27Y1 -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727Y1
KR200314727Y1 KR20-2003-0006995U KR20030006995U KR200314727Y1 KR 200314727 Y1 KR200314727 Y1 KR 200314727Y1 KR 20030006995 U KR20030006995 U KR 20030006995U KR 200314727 Y1 KR200314727 Y1 KR 200314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water
carrier
photocatalyst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섭
Original Assignee
심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섭 filed Critical 심종섭
Priority to KR20-2003-000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살균정화 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높은 출력의 자외선 램프를 채택한 살균 장치에 있어서 유입수 수량과 관계없이 설계된 고출력으로 운전됨으로 전력 소모가 크다.
본 고안은 자외선 살균장치 또는 광촉매 살균정화장치(殺菌淨化裝置) 등으로 구성된 유수(流水) 살균정화장치의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유량에 따라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에너지 절약형 유수 살균정화장치로서 살균정화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유수 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량에 따라 변환되는 전기신호를 자외선 램프를 가동시키는 가변(可變)출력 안정기(Dimming Balast) 시스템에 연결하여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유수 살균정화장치이다.
본 고안은 유수 살균정화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이 태양광발전(太陽光發電)시스템일 경우에는 소비전력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용량과 직접관련이 있기 때문에 유수 살균정화장치의 소비전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소형화로 비용절감을 할 수있는 가변출력 유수 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수 살균정화장치에 충진되는 담체(supporter)는 산(酸)에 의한 표면 거침처리로 표면적(表面績)을 증가 시켜, 광촉매(光觸媒) 코팅시 부착력과 표면적을 향상시켰다. 물 흐름에 대한 압력손실이 적고 자외선과 충분한 반응 공간을 제공하고, 광촉매 분해기에 쉽게 충진할 수 있는 스프링 형태의 담체를 채택하여 광분해반응(光分解反應)의 효율(效率)을 극대화하였다.

Description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 살균정화장치{The energy saving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ratus with the variable UV output according to flow rate}
본 고안은 물 중의 세균 및 오염물질(汚染物質)을 살균정화 처리할 수 있는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紫外線)이 조사된 자외선 살균기와 광촉매 살균정화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의 출력을 처리 유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살균 및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용수 정수장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외에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 통과 후 미세 필터를 거친 후 역삼투(逆渗透) 방식으로 정수하여 저장 조로 보내어 저장하거나 그대로 마시는 형태이다. 역삼투압을 이용한 정수방법은 비교적 고순도의 물로 정화하여 세균은 물론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까지 제거되어 먹는 물 관점에서는 불리하고, 또한 정수하기 위해 버리는 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고, 전처리 필터의 사용기한에 따라 냄새 발생 및 세균의 살균이 불확실하여 지는 등 단점이 있다.
지하수, 상수, 음용수 등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많은 정수장치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정화장치들은 물 중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물질을 여과 처리하거나, 흡착제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고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필터를 지속적으로 교환해 주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오염물질 제거에 또 다른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으로 근본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살균정화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세균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자외선 램프가 부착된 정수장치(50a)가 보급되고는 있으나,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각종 유해화학물질(有害化學物質)을 분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자외선 살균장치(50a)는 특성상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 자외선 램프(54)의 발열에 의해서 살균장치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살균목적을 이미 달성한 이후는 계속적으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전원을 끄지만, 잠시잠깐 중단되는 경우는 램프의 수명과 장치의 효율을 위해서 램프의 출력을 최소로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를 코팅한 담체(52a)를 충진한 살균정화장치(50b)는 광촉매에 밴드갭(band gap) 에너지 이상의 빛을 쪼여주면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고, 이들에 의해 물이나 산소가 분해하여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하이드록시라디칼(Hydroxy Radical)이 생성되어 수중의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세균을 살균을 한다. 이러한 광촉매 기능을 하는 물질로는 산화티탄 (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 (SnO2)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내산, 내 알칼리성이 강하고 인체에 무해한 산화티탄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은 수중에 함유된 세균과 유해화학물질이 자외선이 조사된 광촉매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살균 및 분해되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살균정화장치(50b)에 관한 것으로, 흐름 또는 압력감지 센서(25)의 전기적 신호을 받아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을 디밍안정기(Dimming Balast)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막고 살균정화장치(50)의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살균정화장치의 용량 증대를 가능하게 하는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오지 지역의 살균정화장치(50)는 소비전력에 따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규모가 결정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수적임으로 사용량에 따라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을 조절하여 태양전지판 및 배터리 시스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살균정화장치(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살균정화장치(50)의 분해반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크게 한 장치에서는 항시 가동되는 살균정화장치의 특성상 오염물질의 농도나 세균의 수와 무관하게 출력을 높게 한 만큼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정화장치(50b)에 사용하는 담체 의 형태는 장치의 효율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비드 형태는 비드 사이에 있는 공극으로만 물가 통과되어 압력손실이 매우 커서 양정이 큰 펌프의 사용으로 소비전력 크고, 비드 자진이 자외선을 차단하여 램프(54)에서 멀어진 곳은 자외선의 조사가 원활하지 않아 살균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관이나 판을 배치하여 램프와 평행하게 흐르도록 설계된 장치는 압력손실은 작은 반면 반응 표면적이 적어 분해반응 활성이 낮다.
담체의 충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통과하는 물의 압력손실이 커지고, 자외선이 충진된 담체 깊숙한 곳까지 조사되지 않아 오히려 분해반응 효율을 감소시킬 수있어서, 충진하는 담체의 형상(形象)이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이다.
본 고안은 사용되는 광촉매 코팅 담체는 산에 의해 표면 일부를 용출시키는 방법으로 담체(52)를 거칠게 하여 담체 표면과 광촉매간의 접착력(接着力)을 증대시키고, 표면적(52b)을 증가시켜 광촉매 코팅시 광촉매 코팅막(52c)의 면적을 크게하여 광촉매 분해반응 효율을 증가시켰다.
금속재질의 담체(52)는 산 등으로 외표면을 인위적으로 녹여서 거칠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많은 양의 담체라 할지라도 처리하는 산의 농도와 처리시간을 조정함으로서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산처리 전(52)보다도 큰 표면적을 가지는 담체(52b)를 얻을 수 있다.
유수 살균정화장치(40)의 압력손실은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류는 제거입자의 크기에 따라 압력손실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살균정화장치(50)의 압력손실을 줄여야 전체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광촉매 살균정화장치(50b)에 충진되는 담체 는 세라믹, 유리등의 비드 형태가 가장 많이 고려되지만, 충진시 공극율이 낮아 압력손실이 크다. 이에 반해 금속재질의 스프링 형태(55) 또는 중공(中空) 원통형(56) 형태는 그 크기, 모양, 굵기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여 광촉매 코팅 담체(52a)로 사용할 경우 압력손실를 줄이고, 빛의 조사량을 늘릴 수 있으며, 충진하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을 산 등을 이용하여 부식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담체(52)를 세라믹의 경우처럼 요철(52b)을 부여하여 광촉매 표면적 증가로 광분해반응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자외선 살균정화장치(50a)는 물의 흐름을 층류로 단순하게 흐르기 때문에 자외선(254㎚)이 물 속에서 투과력이 낮아 석영관(53) 가까운 주변만이 살균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출력의 자외선 램프(54)를 사용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자외선 살균장치 내부에 담체 를 충진하여 사용하면 물의 흐름이 내부를 골고루 섞이면서 흐르기 때문에 살균선(254nm)과 세균과의 접촉빈도가 증가하여 살균을 향상시킬 수 있어, 물 속에서 자외선의 침투력을 높이고자 고출력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살균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고안은 자외선 유수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254nm)의 수중 침투력이 낮고, 물의 흐름이 층류형태로 램프와 평행하게 흐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석영관(53)과 고정용기(51) 내부에 상기의 담체를 삽입하여 물을 흐름 방향을 교란시켜 석영관 표면을 접촉하면서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을 높혀서, 고출력 램프가 아니더라도 저출력 램프를 가지고도 살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램프(54)를 감싸고 있는 석영관(53) 주위에 충진되는 담체에 분해활성이 높은 물질을 생성하는 광촉매를 코팅하면 세균은 물론 유해물질까지 분해하는 기존 자외선 살균장치(50a) 보다 살균력이 우수한 살균정화장치(50b)를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광촉매 살균정화장치(50b)는 광촉매 코팅 담체(52a) 사이로 오염물질이 통과되면서 광촉매 표면에 생성된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에의해 유해물질을 산화시켜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시키거나, 물 중에 부유하는 부유세균을 살균시키는 것으로 담체(52)에 코팅되는 광촉매의 표면적이 크면, 그 만큼 하이드록시라디칼의 생성량도 많아 유해물질의 분해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광촉매 코팅 표면적이 중요하고, 또한 수중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코팅된 광촉매의 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중 탈락되지 않아야 한다.
최근에 개발된 침상 결정 형태의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담체에 코팅 성장시키는 방법은 박막 형태의 광촉매를 코팅한 것 보다 광촉매 표면적이 넓어 우수한 분해효율을 갖는 특허도 소개된바 있다.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이 처리유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은 실내의 형광등의 조도를 주변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을 응용하는 것으로, 통상의 경우 자외선 램프를 점등 및 소등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안정기를 사용하여 가동 중에는 정해진 출력으로 운전되어지나, 본 고안에 사용하는 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키는 안정기는 램프의 출력을 임으로 조절가능한 디밍(dimming)기능이 있는 안정기(41)로 하고, 자외선램프(54)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밥은 살균정화장치(50)의 압력 또는 유량감지 센서(25)로 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램프의 출력이 제어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유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유수 살균정화장치(40)이다.
처리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자외선램프(54)의 출력을 100%에서 유량에 상응하는 출력까지 하향 설정하고, 짧은 시간 흐르지 않을 경우는 램프의 출력을 100%에서 5% 까지 최소로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필요이상의 전력의 소비를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수 살균정화장치(40)의 처리 용량을 어느 정도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설계시에 향후 증가될 처리용량을 반영하여 크게 건설하고, 운전은 유입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전 가능함으로, 향후 증설시 자외선 램프(54)의 출력만 증가함으로서 살균정화 용량의 증가가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시스템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살균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에너지 절감장치는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야간이나 흐린 날에는 전기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축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유수 살균정화장치(40)의 소비전력은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축전기의 용량에 직접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4시간 일정한 출력으로 가동되는 형태보다 사용량과 연계해서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형태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살균정화장치(50)는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고출력의 자외선 램프 시스템을 채택하여도 사용량에 따라 램프의 출력이 감소되어 운전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낮게도 운전가능하며, 부하량 증가 시에 최대 출력으로 운전하여 제거효율을 높게 할 수 있는 살균정화장치(50)이다.
그러므로 유수 살균정화장치(40)는 설계시에 최대 처리량으로 설계하고 운전은 처리량에 따라 가동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물을 살균 정화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여 유연성이 있는 살균정화장치의 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출력조절 디밍안정기 제어 시스템이 살균정화장치에 설치된 유수 살균정화장치의 계통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담체가 충진되지 않은 자외선 살균장치와 광촉매 코팅 담체를 충진한 살균정화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자외선 램프가 하나 또는 다수 설치된 살균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담체를 부식시킨 외표면 형상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스프링형 및 원통형 튜브 담체 형상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입구 15 : 유출구
20 : 이송펌프 25 : 유량 또는 압력 감지센서
30 : 고형물 제거필터
40 : 자외선 출력가변형 유수 살균정화장치
41 : 가변출력 안정기(Dimming Balast)
42 : 안정기 출력조절 제어기 43 : 안정기 출력조절 신호입력부
50 : 살균정화장치 50a : 자외선 살균장치
50b :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51 : 고정용기
51a : 살균정화장치 단면 52 : 담체
52a : 광촉매 코팅한 담체 52b :산처리한 담체 표면
52c : 광촉매 코팅막 53 : 석영관
54 : 자외선 램프 55 : 스프링형 담체
56 : 원통형 담체
57a : 피치 57b : 두께
57b : 지름 57c : 길이 또는 높이
58 : 튜브 형 망 담체
본 고안은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의 세균과 오염물질을 분해 제거시키는 살균정화장치(50)에 부착된 자외선 램프의 출력 조절이 가능한 자외선 살균장치(50a) 또는 광촉매 살균정화장치(50b)를 이용한 유수 살균정화장치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밍안정기 (Dimming Balast) 시스템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의 조절은 배관라인에 설치된 유량 또는 압력 감지센서(31)의 전기적 신호를 디밍안정기 제어기(42)에 입력되면 자외선 램프의 출력이 5 ~100% 까지 변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운전모드에 따라 출력을 임으로 조절하거나 유량과 연계하여 운전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54)와 광촉매가 코팅된 담체(52a)가 충진되는 살균정화장치(50b)의 내부는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갖는 원통형태나 사각형태의 고정용기 몸체(51)에 유입구(10)와 유출구(15)가 있고, 유입구(10)와 유출구(15)에는 담체 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여과스크린이 설치된다.
도 2 처럼 살균정화장치는 고정용기와 자외선이 삽입된 석영관 사이를 빈 공간(50a)으로 두거나, 살균기의 효율을 높게 하기 위해 광촉매가 코팅되지 않는 금속 망, 스프링, 비드 등 다양한 담체를 충진하여 자외선 살균정화장치(50a)로도 사용 가능하고, 담체에 광촉매가 코팅하여 광촉매 살균정화장치(50b)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3에는 살균정화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용기(51)에 자외선 램프(54)가 한개 또는 그 이상 설치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여 처리 용량에 따라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살균정화장치(50)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면 살균장치의 처리용량과 처리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54)의 출력조절은 디밍안정기 제어기(42)의 연결방법에 따라 살균장치(50)의 전체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병렬, 직렬로 연결된 유수 살균정화장치(40)의 특정 자외선 램프(54) 출력만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외선 램프(54)의 출력조절이 가능한 유수 살균정화장치(40)는, 오염된 물을 이송하는 이송펌프(20)와 오염된 물에 포함된 부유 고형물을 제거하는 고형물 제거필터(30)와, 고정용기(51)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펌프로 부터 공급된 물을 살균정화장치(50)로 유입되는 유입구(10)와, 오염된 물을 살균 정화시키는 살균정화장치(50)와,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유출구(15)로 구성되고, 살균정화장치의 자외선램프(54)를 점등하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디밍안정기(41) 및 제어부(42)로 구성된다.
살균정화장치(50)는 살균을 위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50a)와, 오염물질의 분해와 살균작용을 할 수 있는 광촉매 살균정화치(50b)로 기능상 분류하며, 그 형태는 동일하고 광촉매 코팅 담체(52a)의 사용 유무만 다르다.
살균정화장치(50)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와 정수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5)를 갖는 고정용기 몸체(51)와, 몸체 상부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오링(O-Ring)으로 한쪽 끝이 막힌 석영관(53)을 고정하고, 석영관(53)에 삽입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54)와, 자외선 램프와 디밍안정기를 연결하는 전력선과, 유입구(10) 또는 유출구(15)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된 유량 측정센서(31)와, 유량측정 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디밍 안정기(41)의 디밍율(Dimming ratio)을 제어하는 디밍제어부(42)와, 고정용기(51)와 석영관(53) 사이에 충진되는 담체 로 구성된다.
고정용기(51)는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이 도금된 철, 알루미늄 등을 사용한다. 또한 내표면에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도록 은 또는 알루미늄으로 코팅처리 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고정용기의 경우에는 내표면을 광택 처리하여 반대 방향의 담체(52)에 자외선 조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광촉매 코팅 담체(52a)는 스테인레스 스틸, 철, 은을 가공한 스프링 형태의 담체(55) 또는 원통형 담체(56)를 산으로 표면을 0.1 mm이하로 용출시키는 방법으로 광촉매가 코팅시 담체(52b)와 광촉매의 접착력을 크게 하고, 광촉매 코팅 외표면적을 크게 하여 광분해 반응활성을 높게 하였다.
또한 도 2처럼 스테인레스 스틸, 철, 은을 가공한 구멍크기가 0.1∼10 mm인 튜부형 망형태의 담체(58)에 광촉매을 코팅하여 길이방향으로 압착하여 몸체와 석영관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주름이 잡히도록 끼워 표면적을 넓게 하고, 자외선의 조사가 원활하여 분해반응의 효율이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산화티탄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산화티탄에 백금(Pt), 은(Ag), 납(Pd), 니켈(Ni), 주석(Sn), 크롬(Cr), 철(Fe), 마그네슘(Mg)의 금속 및 산화물을0.01∼30 % 단독 또는 2개 이상 혼합 첨가하여 50∼500 ℃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사용한다.
광촉매는 담체(52)에 코팅된 상태로 광촉매 분해기 내부에 충진되며, 광촉매 반응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표면에서 만 진행되므로 얇은 광촉매 막(52c)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자외선램프(54)의 출력 조절이 가능한 광촉매 유수 살균정화장치(40)로 에너지 효율과 오염물질과 세균 제거 능력이 우수한 살균정화장치이다. 살균정화장치(50)에 충진하는 담체가 크기와 형상 조절이 쉬운 금속재질의 스프링 형태(55)나 중공(中空) 원통형를 사용하여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하는 담체 의 표면을 산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부식시켜 광촉매의 표면적과 부착력을 향상시켜 광촉매 분해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고안은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공급되는 전원이 태양광 발전시스템일 경우에는 유수 살균정화장치의 소비전력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용량과 직접관련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비전력을 유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없게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게하여 비용절감을 할 수있는 가변출력 유수 살균정화장치이다.

Claims (10)

  1. 유수 살균정화장치(40)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54)가 삽입되는 한쪽 끝이 막힌 석영관(53)이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고정용기(51) 상부에 기밀이 유지되고 탈착이 가능토록 오링(O-Ring)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정화하고자 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와, 석영관(53) 외표면과 고정용기(51) 내부 사이에 충진된 담체(52)와, 담체 사이를 흘러 배출되는 유출구(15)로 이루어진 살균정화장치(50)에 자외선 램프(54)를 점등시키는 안정기가 물의 유량 또는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자외선 램프의 출력을 5~100 % 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출력 안정기(Dimming Balast) 시스템(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54)는 살균정화장치(50) 내부에 석영관(53)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용기(51) 상부에 한개 또는 한개 이상으로 설치하여 유슈 살균정화장치의 살균정화 용량의 변경이 가능하고, 살균정화장치(5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처리용량과 분해효율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용기(51)의 안쪽 면과 석영관(53) 외벽사이를 충진물없이 비워두거나, 광촉매를 코팅하지 않은 담체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용기(51)의 안쪽 면과 석영관(53) 외벽사이를 이산화티탄(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촉매를 코팅한 담체(52a)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광촉매 살균정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살균정화장치(50)에 충진되는 담체(52)는 철, 니켈, 스텐레스스틸, 구리, 은, 알루미늄 중 어느 것 한가지 금속재질로 굵기(57b)가 0.1 ~ 3mm이고, 직경(57c)이 1 ~ 15mm, 높이(57d)는 5 ~ 25mm, 피치(57a)가 0.1 ~10mm 인 스프링형 담체(55)를 산(酸)으로 표면을 용출시켜 표면을 거칠게 한 후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촉매를 코팅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살균정화장치(50)에 충진되는 담체 는 유리 또는 스텐레스스틸로 만든 직경(57c)이 3 ~ 15 mm이고, 두께(57b)가 1~5mm 관을 3 ~10 mm길이(57d)로 자른 원통형 담체(57)를 산으로 표면을 용출시켜 거칠게 한 후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촉매를 코팅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살균정화장치(50)에 충진되는 담체 는 니켈, 스텐레스스틸, 구리, 알루미늄 중 어느 것 하나의 재질로 만든 구멍수가 인치당 20 ~200 개인 메탈 폼(form)을 한 변의 길이가 3~15mm 인 육면체 형태로 절단하여 산으로 표면을 용출시켜 표면을 거칠게 허거나, 고온에서 산화시켜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촉매를 코팅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용기(51)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스틸이거나, 은 또는 크롬 중 어느 것 하나로 도금된 철 용기 중 어느 것 하나에 내표면을 광택 처리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살균정화장치에 충진하는 담체(52)는, 3mm 이하의 굵기의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니켈, 은,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가공한 구멍이 1~10 mm인 튜브형 망(58)으로 석영관보다 직경이 크고, 석영관 길이보다 긴 것을석영관과 고정용기(51) 사이에 삽입 후 길이방향으로 밀어 넣어 지그재그로 주름 잡히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광촉매 코팅 담체 에 코팅되는 광촉매는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백금(Pt), 은(Ag), 팔라듐(Pd), 니켈(Ni), 주석(Sn), 크롬(Cr), 철(Fe) 또는 이들의 산화물 중 산화티탄의 0.01∼5% 까지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수 살균정화장치.
KR20-2003-0006995U 2003-03-10 2003-03-10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KR200314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95U KR200314727Y1 (ko) 2003-03-10 2003-03-10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95U KR200314727Y1 (ko) 2003-03-10 2003-03-10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727Y1 true KR200314727Y1 (ko) 2003-05-27

Family

ID=4940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995U KR200314727Y1 (ko) 2003-03-10 2003-03-10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72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112B1 (ko) 2007-08-17 2008-02-05 안혁 치어 및 어족 관리용 메탈 폼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860745B1 (ko) * 2007-03-14 2008-09-29 (주)선일 엔바이로 자외선 소독설비
KR100895201B1 (ko) 2008-07-21 2009-04-24 홍순준 순차 점등 제어 자외선살균램프용 안정기
CN107337255A (zh) * 2017-08-04 2017-11-10 江阴市欧姆朗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紫外线杀菌的使用寿命长的净水器
CN109516524A (zh) * 2018-12-07 2019-03-26 四川麦克优威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医疗机构的无极紫外杀菌装置
KR102036332B1 (ko) * 2019-03-06 2019-10-24 디엠엔텍 주식회사 관 내부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킨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45B1 (ko) * 2007-03-14 2008-09-29 (주)선일 엔바이로 자외선 소독설비
KR100801112B1 (ko) 2007-08-17 2008-02-05 안혁 치어 및 어족 관리용 메탈 폼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895201B1 (ko) 2008-07-21 2009-04-24 홍순준 순차 점등 제어 자외선살균램프용 안정기
CN107337255A (zh) * 2017-08-04 2017-11-10 江阴市欧姆朗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紫外线杀菌的使用寿命长的净水器
CN109516524A (zh) * 2018-12-07 2019-03-26 四川麦克优威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医疗机构的无极紫外杀菌装置
KR102036332B1 (ko) * 2019-03-06 2019-10-24 디엠엔텍 주식회사 관 내부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킨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9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hanced treatment of fluids via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reactions
US7713496B2 (en) Water purifier with UV and adsorbent
KR100906823B1 (ko) 상수도관 연결형 정수장치
KR200326897Y1 (ko)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KR200314727Y1 (ko) 자외선 램프 출력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유수살균정화장치
KR200314844Y1 (ko) 오존과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복합 공기 살균정화장치
KR100383035B1 (ko)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수족관 정화장치
KR200346263Y1 (ko) 광촉매 살균정수 장치를 이용한 직결형 광촉매 살균 정수기
KR20120105703A (ko)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정수장치
JP2702378B2 (ja) 浄水装置
JPH0975929A (ja) 液体の循環浄化装置、液体の浄化方法及び液体の循環浄化システム
CN202576122U (zh) 一种水体综合处理装置
KR100439538B1 (ko)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정수장치
CN1502562A (zh) 连续式智能控制光催化水质深度净化装置
KR20010008265A (ko) 태양광/자외선/광촉매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광촉매 반응수처리시스템
CN109368735A (zh) 一脉冲紫外流体消毒器
KR20030034742A (ko) 자외선 조사 광촉매필터 및 이 광촉매필터를 이용한살균정수기
CN210367061U (zh) 一种脉冲紫外流体消毒器及具有其的即开即用流体系统
KR200289070Y1 (ko) 세라믹 필터 지지체에 코팅된 광촉매와 자외선을 이용한 목욕탕 용수 정화기
JP2003200178A (ja) 光触媒を利用した水処理装置
JP3337023B2 (ja) 二酸化チタン光触媒による水質浄化ポット
CN102616915A (zh) 一种水体综合处理装置和方法
KR100455600B1 (ko)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CN2727157Y (zh) 纳米光触媒杀菌净水装置
JP4066041B2 (ja) 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