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645A -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 Google Patents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645A
KR20100080645A KR1020090000025A KR20090000025A KR20100080645A KR 20100080645 A KR20100080645 A KR 20100080645A KR 1020090000025 A KR1020090000025 A KR 1020090000025A KR 20090000025 A KR20090000025 A KR 20090000025A KR 20100080645 A KR20100080645 A KR 2010008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electrolytic cell
unit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정인조
Original Assignee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09000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645A/ko
Publication of KR2010008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63B1/005Safety devices for securing the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사용되는 세척수에 은이온가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함과 동시에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을 지켜주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가 행해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어느 한 극판의 은(Ag) 성분이 먼저 소멸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요인(변기 청소, 전해조나 물탱크 청소 등)에 의해 단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과잉의 은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 비데용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는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 중 특정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장착되는 은(Ag)의 성분을 갖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전해조에 설치되어 유입된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해조의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해조에 연결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조에의 세척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세척수유입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은이온이 함유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세척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전기분해, 극판, 은(Ag), 이온, 전해조, 필터, 펌프, 세척수유입감지부재

Description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BIDET EQUIPPED WITH INIIZER}
본 발명은 세척수에 은이온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함과 동시에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을 지켜주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가 행해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어느 한 극판의 은(Ag) 성분이 먼저 소멸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요인(변기 청소, 전해조나 물탱크 청소 등)에 의해 단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과잉의 은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 비데용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항문 또는 국부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초기의 비데는 세척수로 단순히 수돗물을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살균 및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물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에 별도의 약품을 첨가하여 세 척수로 사용하고 있다.
별도의 약품을 첨가한 세척수는 수시로 약품을 첨가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약품 첨가에 따른 관리 및 유지보수의 버거로움이 있어, 최근에는 비데에 전해조를 장착하여 세척수에 이온수가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를 살균하는 비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해조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5-52075호, 등록실용신안 제406593호, 등록실용신안 제254665호 등 다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로서 비데는 전해조가 비데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고 있어, 기존에 일반 비데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가 세척수에 이온이 함유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존 비데를 처분하고 전해조를 구비한 비데를 다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자원낭비와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해조를 갖는 비데는 전해조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배치하고, 두 극판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여 세척수에 이온을 공급하고 있는데,
양극판과 음극판에 동일한 극성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고 있어, 양극판의 은은 점차 소멸되나 음극판의 은은 거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두 극판을 가지고 이온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기간이 짧고, 음극판은 계속 사용할 있음에도 두 극판을 함께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리고 종래의 전해조를 갖는 비데는 전해조에 유량감지센서를 구비시켜 전해조에 세척수(수돗물)가 일정 이상 채워지면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외부의 단수상황 시(예를 들어, 비데의 유지보수를 위해 수돗물공급을 차단하거나, 수자원 공사에서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한 경우나, 수도관 교체 등을 위해 수돗물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등)에도 전해조에 세척수가 채워져 있으면 전기분해가 행해지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유발하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조에 채워진 세척수의 양뿐만 아니라 전해조에 세척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함께 체크하여 전기분해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전해조를 갖는 비데에는 이러한 기능(즉, 단수차단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수에 은이온을 함유시켜 세정효과 및 살균효과를 증진시키고, 비데에 연결되는 관로상에 설치되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비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음극판 및 양극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보다 오랜 시간 은 이온을 공급하고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줄이고, 관로를 통해 전해조에 세척수(수돗물)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체크하 여 세척수의 유입이 있는 경우에만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일정시간 이상 세척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는 전해조에 세척수가 가득 채워져 있어도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데용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는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 중 특정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장착되는 은(Ag)의 성분을 갖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전해조에 설치되어 유입된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해조의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해조에 연결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조에의 세척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세척수유입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은이온이 함유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탱크; 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세척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극판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 표시부 및 극성변환부에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와,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화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음극판 및 양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키는 극성변환부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극성변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는
상기 관로가 연결되어 세척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전후진하는 누름부재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전진 접촉에 의해 작동되어 세척수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세척수에 은이온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치질, 변비, 각종 몸에 나쁜 세균을 멸균시켜 건강을 지켜주고, 기존 비데를 교체함이 없이 관로에 설치하여 사용가능하고,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기분해가 이루어지고, 전극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은이온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하면서도 극판의 사용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갖고,
세척수유입감지부재를 통해 세척수(수돗물)가 전해조에 유입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세척수가 일정기간 이상 유입되지 않는 경우 즉, 외부요인에 의해 단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하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세척수유입감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는 전해조(10), 양극판(31) 및 음극판(32), 펌프(50), 유량센서(70), 필터(90), 세척수유입감지부재(80) 그리고 전원공급부(110)와 컨트롤러(120)를 포함하는 회로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케이스(1)에 내장되어 보호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세척수 공급장치는 비데에 수돗물(세척수)을 공급하는 관로(2) 상에 설치되어, 비데(3)의 저수탱크(5)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참고로, 필터(90)와 전해조(10)는 관로(2) 상에서 배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90)는 관로(2)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미세먼지, 부유물 등)뿐 아니라 유해한 특정 성분을 여과시킨다.
상기 필터(90)에는 전처리 필터와 같은 필터로서 녹이나 흙, 먼지를 비롯한 각종 찌꺼기와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침전필터와,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냄새를 흡착, 제거하는 선 카본필터와,
중공사막필터와 같은 섬유 형태의 여과막으로서 표면 기공이 초정밀 성능으로 유해 성문은 거르고 미네랄 성분은 살아 있는 물(세척수)로 만들어 줄 수 있는 UF필터와,
필터부의 마지막 단계로 물속에 잔류한 불쾌한 맛, 냄새 등을 제거하여 물맛을 제대로 유지시키며 색소성분 등을 제거하여 무취의 깨끗한 물을 만들 수 있는 후 카본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해조(10)는 상기 필터(90)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상기 전해조(10)에는 상기 관로(2)와 연결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관(미도시)과, 세척수를 비데(3)로 배출하는 배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있고, 전해조(10)에 채워진 세척수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70)가 장착되어 있고, 전기분해를 위한 두 극판(31,32)이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수를 데우기 위한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은 은(Ag)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판 형태로서 순수 은(Ag)판 또는 전도성물질 표면에 은이 도금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양극판과 음극판은 두 극판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양극판에는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고 음판판에는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은 아니다.
두 극판(31,32)의 전기분해에 의해 세척수에 은 이온이 공급된다. 살균기능을 갖는 이온수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은(Ag) 나노 이온은 살균 능력이 뛰어나고, 박테리아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번식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항균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이 도금되어 있는 극판(31,32)의 경우(순수 은판을 포함함)에는, (+)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는 극판(31,32)에서는 도금되어 있는 은(Ag)이 전기분해되어 은(Ag) 이온과 전자가 생성되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는 극판(31,32)에서는 세척수에 녹아 있는 수소 이온이 (+)극성의 극판(31,32)에서 생성된 전자와 결합되어 수소 가스가 생성되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미세한 양이지만 (+)극성에서 생성된 은(Ag) 이온의 일부는 (-)극성의 극판(31,32)에 흡착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느 한 극판(31,32)의 극성이 동일한 극성으로 장기간 유지되어 전기분해가 진해되면, (+)극성의 극판(31,32)은 도금되어 있는 은이 점차 소멸되어 얇아지고, (-)극성의 극판(31,32))은 도금되어 있는 은이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 두꺼워지게 된다.
그리하여 (-)극성의 극판(31,32)은 충분한 양의 은이 도금되어 있음에도, (+)극성의 극판(31,32)은 은이 없어 은 이온을 방출하지 못하게 되므로 극판(31,32)의 교체시기가 앞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극판(31,32)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두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은이 비슷한 속도로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120)가 이와 같이 극판(31,32)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환되도록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80)는 전해조(10)에 연결되는 관로(2) 상에 설치되 어 전해조에 세척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세척수의 유입이 일정시간 이상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가 이를 외부 단수상황으로 인식하여 전해조에 세척수가 채워져 있어도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80)는 결합사시(도2a)도 및 분해사시도(도2b)를 도시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디(81), 커버(83), 다이아프램(85), 누름부재(87), 감지센서(89), 캡(8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81)에는 상기 관로(2)가 연결되어 세척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81a)와 배출구(81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디(81)의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81a) 및 배출구(81b)와 연통되고 유입된 세척수가 일시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81c)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81c)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즉, 내부 공간부는 개구부(81d)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부(81c) 중앙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부딪히고, 부딪힌 세척수가 외벽을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원기둥(8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기둥(82)의 중앙 내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 공간부(82c)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내부 공간부(81c) 중앙에 배출 공간부(82c)를 갖는 원기둥(82)을 형성시킴으로서, 유입구(81a)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는 개구부(81d)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85)을 보다 강하게 밀게(팽창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83)는 상기 개구부(81d)를 덮으면서 상기 바디(81)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누름부재(87)가 수용되는 수용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85)은 상기 커버(83)와 상기 바디(81)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 공간부의 개구부(81d)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85)은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부(81c)에 유입된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커버(83)쪽으로 팽창된다.
상기 누름부재(87)는 상기 커버(83)의 내측 수용부(83a)에 전후진 가능하게 수용되고,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85a)와 결합되어 다이아프램(85)의 팽창에 연동되어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85)과 접촉되는 반대면에는 상기 감지센서(89)를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돌출부(8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88)은 상기 커버(83)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감지센서(89)가 내장된다.
그리고 내장되어 있는 상기 감지센서(89)는 상기 누름부재(87)의 가압돌출부(87a)의 전진에 의해 작동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2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센서에는 상기 가압돌출부에 접촉 가압되는 접촉부(89a)가 구비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의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4의 a,b,c는 보다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로부(100)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제어부, 펌프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두 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고, 펌프를 구동시키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등 회로부를 전체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두 극판(31,32)과 펌프(50)를 포함하여 전원이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의 공급은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11)와,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T)와, 상기 절연변압기(T)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113)와, 상기 평활 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주의 두 극판(31,32)(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압부(111)는 제어부(121), 펌프(50), 표시부(123)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전압부가 24V와 5V의 두 정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상기 절연변압기(T)는 입력측(1차측)과 출력측(2차측)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사용자의 감전을 예방한다.
상기 평활부(113)는 브릿지다이오드(BD)와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하여 정전류부로 공급한다.
상기 정전류부(115)는 전해조(10)의 두 극판(31,32)에 항시 일정한 크기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평활부(113)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 한다.
상기 정전류부(115)는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양단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션트 레귤레이터(SR)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에 병렬 연결되어 부하측(전해조의 두 극판)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저항(R1)과,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에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션트 레귤레이터를 보호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션트 레이귤레이터로(SR)는 'TL431'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의 양단이 유지하는 정격전압이 2.4V이고,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에 공급하고자하는 전류가 40mA일 때,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 양단에 60옴의 저항(R1)을 연결하면 두 극판에는 지속적으로 40mA가 공급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다수의 버튼(122), 표시부(123), 메모리(124), 음성출력부(125), 극성변환부(127), 제어부(121), 펌프구동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122)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버튼을 조작하여 전기분해시간, 두 극판(31,32)에 공급하는 정전류의 세기 등을 설정하고, 펌프(50)를 구동시켜 전해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출수시키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2)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각종 조작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버튼으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또는 임피던스를 변화하여 사용자의 누름을 감지하는 터치스위치(TS1~TS6)를 사용하였고, 버튼으로 터치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터치스위치 감지IC(U1)가 버튼(터치스위치)(122)과 제어부(12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위치 감지IC(U1)는 정전압부(111)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상기 표시부(123)는 작동상태 또는 버튼의 조작상태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는 숫자로 상태를 표시하는 세그먼트(Seg1,Seg2)와, 램프 점멸로 상태를 표시하는 LED(발광다이오드)(L1~L14)를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는 LCD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Seg1,Seg2)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어, 설정된 두 극판의 전기분해 시간, 전기분해 중에는 남은 전기분해 시간을 표시하고, 기타 현재시각 등과 같이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사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LED(L1~L14)는 점등 또는 점멸하여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LED(L1~L14)로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세척수가 전해조(10)에 공급되고 있는지, 전해조(10)의 세척수가 비데(3)의 저수탱크(5)로 배출되고 있는지 등을 표시하는 급수램프 및 배수램프,
필터(90)의 수명이 다했는지를 표시하는 필터램프,
전기분해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기분해표시램프,
음성출력부(125)를 통해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음성표시부,
전기분해 진행 중에 설정된 전기분해 시간 중에 남은 전기분해 시간을 대, 중, 소로 표시하여 알려주는 잔존시간알림램프 등이 있다.
상기 메모리(124)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122)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대한 안내멘트와, 펌프(50)의 작동에 따른 급,배수 상태에 대한 안내멘트, 전기분해 상태를 알리는 안내멘트, 필터(90)의 교체여부를 알리는 안내멘트 등이 저장되고, 기타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25)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멘트가 작동상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출력부(125)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와,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를 통해 상기 메모리(12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볼륨을 조절하여 스피커(1SP)로 전성하는 AMP회로(1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MP회로(125a)는 통상의 AMP회로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극성변환부(127)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전류부(115)가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31,32)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극성변환부(127)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해조(1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 정전류부(115)의 음극선 또는 양극선에 연결되는 두 릴레이스위치(RS4,RS5)와, 상기 제어부로(121)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두 릴레이스위치(RS4,RS5)를 각각 스위칭하여 릴레이스위치(RS4,RS5)를 상기 정전류부(115)의 양극선 또는 음극선에 연결시키는 두 구동코일(RC4,RC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상기 버튼(12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50)를 구동시킨다.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펌프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전압부(111)에 연결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스위치(RS1,RS2,RS3)와, 상기 제어부(121)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릴레이스위치(RS1,RS2,RS3)를 스위칭하여 릴레이스위치(RS1,RS2,RS3)가 상기 정전압부(111)에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구동코일(RC1,RC2,RC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상기 전해조(10)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구동시키는 급수펌프구동부(126a), 상기 전해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외부의 비데(3)로 출수시키는 출수펌프를 구동시키는 출수펌프구동부(126b)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전해조(10)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70)로부터 전해조(10)에 세척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졌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부가 두 극판(31,3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세척수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해조에 세척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져 있어도 상기 전원공급부의 두 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기분해를 중단시키고,
전해조의 세척수를 비데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10)는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해 전해조(10)의 극판(31,32)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전류의 전원을 공급하고, 컨트롤러(120)의 극성변환부(127)는 극판(31,32)으로 공급되는 정전류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전기분해에 의해 특정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금속이 다른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금속 보다 빨리 방출되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공급부(60)의 정전류 제어방식은 정전압 제어방식에 비해 회로가 복잡하지만, 외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고, 과열이 방지되고, 용수의 온도에 영향(일반적으로 화학반응(전기분해)는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을 거의 받지 않고 일정한 농도의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전원공급부(60)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해조(10)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세기가 조절되어 극판(31,32)이 생성하는 은 이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유입감지부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의 a,b,c 는 도4의 구체적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해조 31,31 : 극판
50 : 펌프 70 : 유량센서
80 : 원수유입감지부재 81 : 바디
83 : 커버 85 : 다이아프램
87 : 누름부재 89 : 감지센서
90 : 필터 100 : 회로부
110 : 전원공급부 111 : 정전압부
115 : 정전류부 120 : 컨트롤러
121 : 제어부 122 : 버튼
123 : 표시부 124 : 메모리
125 : 음성출력부 127 : 극성변환부

Claims (4)

  1.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 중 특정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장착되는 은(Ag)의 성분을 갖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전해조에 설치되어 유입된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해조의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해조에 연결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조에의 세척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세척수유입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은이온이 함유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세척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극판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 표시부 및 극성변환부에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와,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화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음극판 및 양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키는 극성변환부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극성변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입감지부재는
    상기 관로가 연결되어 세척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전후진하는 누름부재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전진 접촉에 의해 작동되어 세척수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KR1020090000025A 2009-01-02 2009-01-02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100080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025A KR20100080645A (ko) 2009-01-02 2009-01-02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025A KR20100080645A (ko) 2009-01-02 2009-01-02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645A true KR20100080645A (ko) 2010-07-12

Family

ID=4264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025A KR20100080645A (ko) 2009-01-02 2009-01-02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6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50B1 (ko) * 2012-06-01 2013-02-25 양희권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1273505B1 (ko) * 2011-09-19 2013-06-1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살균작동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온수세정기
CN114314759A (zh) * 2021-12-15 2022-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臭氧水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KR20220107438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변기 소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05B1 (ko) * 2011-09-19 2013-06-1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살균작동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온수세정기
KR101237050B1 (ko) * 2012-06-01 2013-02-25 양희권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220107438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변기 소독 장치
CN114314759A (zh) * 2021-12-15 2022-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臭氧水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CN114314759B (zh) * 2021-12-15 2023-1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臭氧水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8237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20100080645A (ko)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090096326A (ko) 전해조를 구비한 정수기
JP4106788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200618771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JP4462157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KR20100052124A (ko)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KR20090096325A (ko) 전기분해 샤워장치
KR20100116852A (ko) 착탈식 전해조를 갖는 이온수기
KR20100034344A (ko) 은 이온 살균수 공급장치
KR20100051984A (ko)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전기분해 샤워장치
KR20100034419A (ko) 농업용 은 이온 살균수 공급장치
KR20100034418A (ko) 식당용 은 이온 살균수 공급장치
KR20100080646A (ko) 직결식 전해조
JP2007090179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KR20110017040A (ko) 필터교체식 정수기
JP4572901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3906518B2 (ja) ビルトインアルカリ整水器
JP3760676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20100112863A (ko) 조립식 은 이온 전해조
KR100476645B1 (ko) 이온수용 정수기의 온수탱크 세척장치
JP4379132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2024066580A (ja) 金属イオン水生成器
JPH08309353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CN104180528A (zh) 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