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666B1 -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666B1
KR100650666B1 KR1020050130960A KR20050130960A KR100650666B1 KR 100650666 B1 KR100650666 B1 KR 100650666B1 KR 1020050130960 A KR1020050130960 A KR 1020050130960A KR 20050130960 A KR20050130960 A KR 20050130960A KR 100650666 B1 KR100650666 B1 KR 10065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
water purifier
coke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근
김철호
박용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코크가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코크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본체와, 사용자의 신호를 전달받는 신호수신부와,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코크 및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코크가 물 공급 동작 시에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코크의 오염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코크커버를 이용하여 물 공급 시에만 취수통로를 개방시키므로 취수통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수기, 코크, 인입, 인출, 커버, 오염방지

Description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cock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도 1은 종래의 정수기 코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정수기 코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코크 일부가 인출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포함되는 코크와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포함되는 코크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취수부
200 : 센서 300 : 조작버튼
400 : 코크 410 : 제1 코크
412 : 제1 취수통로 414 : 개방홈
416 : 결합돌기 420 : 제2 코크
422 : 제2 취수통로 424 : 나사산라인
430 : 코크커버 432 : 힌지
434 : 체결나사 500 : 구동부
510 : 모터 512 : 회전축
520 : 기어
본 발명은 내부의 물을 외부로 공급할 때 물의 출구 역할을 하는 코크가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코크가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코크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환경이 급속하게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수질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하천수나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과 아울러 관공서나 학교 및 직장, 가정, 음식점 등에서는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정수기를 보급,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각종 불순물을 여과시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로 각각 이동되어 냉수와 온수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의 내부에 사용자의 선택 시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환시켜 각각 저장하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내장한 함체상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에 상기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 저장된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코크에 마련된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코크로부터 물을 받아 음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 코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 코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정수기 코크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 코크는 정수 유입구(12)가 연결된 코크 몸체(10), 상기 코크 몸체(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취수 통로(14)를 개폐하는 샤프트(20), 상기 코크 몸체(10) 및 샤프트(20)에 결합되어 취수 여부를 결정하는 출수 레버(30) 및 출수 레버(3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코크 잠금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코크 몸체(10)는 후단에 정수 유입구(12)가 연결되고, 선단 하부로는 정수된 물이 취수되도록 내부에 취수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코크 몸체(10)의 선단에 결합된 동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0)의 하단에는 패킹(22)이 결합됨으로써, 이 패킹(22)이 취수 통로(14)를 막거나 또는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0)가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취수 통로(14)가 개방되어 취수가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출수 레버(30)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과 핀(24)으로 결합된 동시에, 코크 몸체(10)의 외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수 레버(30)는 상단에 회전 중심축이 되는 힌지턱(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턱(32)의 후방에는 일정 깊이 파여진 요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코크 잠금부(40)는 상기 출수 레버(30)의 힌지턱(32)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단으로 돌출된 지지턱(42)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으로는 상기 출수 레버(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44)은 힌지턱(32)의 후방에 형성된 요홈(34)에 결합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크 몸체(10)와 코크 잠금부(40) 사이에는 상기 코크 잠금부(40)가 전,후로 이동시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에 가이드(52)가 설치된 코크 캡(50)이 더 결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정수기 코크는, 코크 잠금부(40)가 해제된 상태는 코크 잠금부(40)의 선단과 코크 몸체(10)의 선단이 수평이 되도록 코크 잠금부(4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코크 잠금부(40)의 지지턱(42)과 출수 레 버(30)의 힌지턱(32)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 레버(30)의 하단을 후방으로 일정 각도 밀게 되면, 상기 힌지턱(32)의 선단이 지지턱(42)에 의해 수평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힌지턱(32)의 후방이 상기 지지턱(42)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즉, 힌지턱(32)에 결합된 핀(24)이 현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가 따라서, 상기 힌지턱(32)에 핀(24)으로 결합된 샤프트(2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기 샤프트(2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패킹(22)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취수 통로(14)가 개방되어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정수기 코크는 취수 통로(14)의 외측 끝단이 언제나 외부에 직접 노출되므로,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벌레들의 출입으로 인해 병원균 번식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 코크는 정수기의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이 출수 레버(30)를 손으로 만지는 경우 특히, 온수 코크의 출수 레버를 만지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정수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코크가 물 공급 동작 시에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코크의 오염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본체;
사용자의 신호를 전달받는 신호수신부;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코크; 및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크는,
내부에 제1 취수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코크와, 내부에 상기 제1 취수통로와 연결되는 제2 취수통로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코크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코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코크의 일단이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코크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코크는, 슬라이딩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나사산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코크는, 상기 나사산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홈이 상기 나사산라인의 이송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방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산라인에 나사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방홈은, 상기 제2 코크가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제1 코크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코크는,
상기 제2 코크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제1 코크 일단을 개폐하는 코크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크커버는,
상기 제1 코크 일단을 덮도록 힌지 결합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코크는 상기 제2 코크가 인출되는 측의 외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코크커버는 일단이 상기 결합돌기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 코크의 일단을 덮는 방향으로 상기 코크덮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수신부는,
코크 하측에 물체가 위치함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수신부는,
사용자가 직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코크 일부가 인출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물을 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취수부(110)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취수부(110) 내에 물체가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200)와, 적어도 일단이 본체(100)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코크(400)와, 상기 센서(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400)를 본체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200)는, 사용자가 코크(400)로부터 물을 받기 위하여 취수부(110) 내로 즉, 코크(400) 하측에 컵을 위치시켰을 때, 코크(400) 하측에 컵(C)이 위치되었음을 감지하여 구동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센서(200)는, 광센서, 마그 네트센서, 열감지센서 등 코크(400) 하측에 물체가 위치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장착 위치에 있어서도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미사용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400)가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물을 받기 위해 컵(C)을 취수부에 위치시켰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400)가 본체(100)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포함되는 코크(400)는,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각종 세균에 의해 오염될 우려 없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포함되는 코크와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포함되는 코크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400)는, 내부에 제1 취수통로(41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코크(410)와, 내부에 상기 제1 취수통로(412)와 연결되는 제2 취수통로(422)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코크(410)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코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 내부에서 정수된 물은 제2 취수통로(422)의 상측으로 인입된 후 제1 취수통로(412)의 하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코크(400)는, 제1 코크(410)의 내측면과 제2 코크(420) 외측면 사이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 람직하다.
상기 제2 코크(42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딩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나사산라인(4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코크(410)는 상기 나사산라인(424)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홈(414)이 상기 나사산라인(424)의 이송선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코크(410)와 제2 코크(420)가 결합되면 제2 코크(420)에 형성된 나사산라인(424) 중 일부는 개방홈(414)을 통해 제1 코크(4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구동부(500)는, 상기 개방홈(4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산라인(424)에 나사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520)와, 상기 기어(520)를 회전시키는 모터(5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510)의 동작을 통해 기어(52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2 코크(420)는 제1 코크(410)의 제1 취수통로(412)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기어(520)들은 모터(510)의 회전축(512)의 회전속도를 변속하여 제2 코크(42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가지며, 그 구성은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나사산라인(424)과 기어(520)의 결합구조는 래크와 피니언의 결합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취수통로(412) 및 제2 취수통로(42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크(400)는 상기 제2 코크(420)가 제1 코크(410) 내부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제1 코크(410) 일단을 개폐하는 코크커버(4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 즉, 제2 코크(420)가 제1 코크(410)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제1 취수통로(412)와 제2 취수통로(422)는 코크커버(430)에 의해 폐쇄되 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되지 아니하게 된다.
상기 제1 코크(410)는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측의 외측면 즉, 하단 외측면에 결합돌기(416)가 형성되고, 상기 코크커버(430)는 일측에 힌지(432)가 형성되어 체결나사(43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또한, 코크커버(430)의 일측과 제1 코크(410)의 외측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코크(410)의 일단을 덮는 방향으로 상기 코크(400)덮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핀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각종 탄성을 갖는 물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코크(420)가 제1 코크(410)의 하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코크커버(4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크(420)에 의해 밀려 힌지(4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코크(420)의 하단부는 제1 코크(410) 외부로 인출되어 취수부(110) 상에 돌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32)가 제1 코크(4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즉, 결합돌기(416)에 결합되면, 제2 코크(420)의 인출에 의해 힌지(432)가 개방되는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510)가 반대로 회전하여 제2 코크(420)가 제1 코크(41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코크커버(430)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제1 코크(410)의 저면을 밀폐시키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제2 코크(420)가 슬라이딩될 때 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 형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스프링 은 힌지(432)측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크(420)의 하단 일부가 상기 제1 코크(410)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제2 취수통로(422)가 개방홈(414)과 연통되면 체2 취수통로로 유입되는 물이 개방홈(414)을 통해 인출된 후 제1 코크(410)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홈(414)은 제2 코크(420)가 최대한 인출되더라도 제2 취수통로(422)와 연통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측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만 코크(400)가 본체(100)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동부(500)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로 센서(200)가 적용되고 있으나, 상기 신호수신부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코크(400) 인출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작버튼(300)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코크가 물 공급 동작 시에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코크의 오염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코크커버를 이용하여 물 공급 시에만 취수통로를 개방시키므로 취수통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본체(100);
    사용자의 신호를 전달받는 신호수신부;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100)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코크(400); 및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코크(400)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본체(100)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400)는,
    내부에 제1 취수통로(41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코크(410)와, 내부에 상기 제1 취수통로(412)와 연결되는 제2 취수통로(422)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코크(410)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코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2 코크(420)의 일단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코크(42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크(420)는, 슬라이딩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나사산라인(4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코크(410)는, 상기 나사산라인(424)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홈(414)이 상기 나사산라인(424)의 이송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개방홈(4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산라인(424)에 나사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520)와, 상기 기어(520)를 회전시키는 모터(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414)은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제1 코크(4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400)는,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제1 코크(410) 일단을 개폐하는 코크커버(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커버(430)는 상기 제1 코크(410) 일단을 덮도록 힌지결합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크(410)는 상기 제2 코크(420)가 인출되는 측의 외측면에 결합돌기(416)가 형성되고,
    상기 코크커버(430)는 일단이 상기 결합돌기(416)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크(410)의 일단을 덮는 방향으로 상기 코크(400)덮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코크(400) 하측에 물체가 위치함을 감지하는 센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사용자가 직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50130960A 2005-12-27 2005-12-27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65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60A KR100650666B1 (ko) 2005-12-27 2005-12-27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60A KR100650666B1 (ko) 2005-12-27 2005-12-27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666B1 true KR100650666B1 (ko) 2006-11-30

Family

ID=3771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60A KR100650666B1 (ko) 2005-12-27 2005-12-27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66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1B1 (ko) * 2007-02-16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구동 기구가 장착된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장치
KR101215470B1 (ko) 2012-07-04 2012-12-26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KR101308492B1 (ko) * 2011-10-06 2013-09-17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JP2014533642A (ja) * 2012-07-17 2014-12-15 ジ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Jin Tech Co., Ltd. 浄水器及び冷温水器のコックカバー装置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KR20190089145A (ko) * 2019-07-23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5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744430B2 (en) 2017-08-30 2020-08-18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KR20200128837A (ko)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200129936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US10905988B2 (en) 2017-08-3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926204B2 (en) 2017-08-30 2021-02-23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940412B2 (en) 2017-08-24 2021-03-09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1135536B2 (en) 2017-08-28 2021-10-05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923B1 (ko) * 1994-12-12 1998-04-25 이영서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상,하승강장치
KR20010065112A (ko) * 1999-12-29 2001-07-11 정해윤 냉온정수기
KR200215850Y1 (ko) 1998-12-31 2002-05-09 채병태 음료공급기 꼭지
KR200289034Y1 (ko) 2002-06-20 2002-09-11 김찬구 취수부 개폐도어가 설치된 냉온정수기
KR20040003510A (ko) * 2002-07-03 2004-01-13 정낙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KR200376768Y1 (ko)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200379093Y1 (ko) 2004-12-24 2005-03-17 양원동 자동식 정수기용 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923B1 (ko) * 1994-12-12 1998-04-25 이영서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상,하승강장치
KR200215850Y1 (ko) 1998-12-31 2002-05-09 채병태 음료공급기 꼭지
KR20010065112A (ko) * 1999-12-29 2001-07-11 정해윤 냉온정수기
KR200289034Y1 (ko) 2002-06-20 2002-09-11 김찬구 취수부 개폐도어가 설치된 냉온정수기
KR20040003510A (ko) * 2002-07-03 2004-01-13 정낙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KR200376768Y1 (ko)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200379093Y1 (ko) 2004-12-24 2005-03-17 양원동 자동식 정수기용 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1B1 (ko) * 2007-02-16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구동 기구가 장착된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장치
KR101308492B1 (ko) * 2011-10-06 2013-09-17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101215470B1 (ko) 2012-07-04 2012-12-26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JP2014533642A (ja) * 2012-07-17 2014-12-15 ジ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Jin Tech Co., Ltd. 浄水器及び冷温水器のコックカバー装置
US10940412B2 (en) 2017-08-24 2021-03-09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1135536B2 (en) 2017-08-28 2021-10-05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926204B2 (en) 2017-08-30 2021-02-23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744430B2 (en) 2017-08-30 2020-08-18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905988B2 (en) 2017-08-3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1491426B2 (en) 2017-08-30 2022-11-0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KR20200128837A (ko)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200129936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KR102223509B1 (ko) 2019-05-10 2021-03-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KR102111593B1 (ko) * 2019-07-23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89145A (ko) * 2019-07-23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5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32820B1 (ko) * 2020-05-06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666B1 (ko)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10040861B (zh) 净水器
IL21785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n initiation pump
KR20140036613A (ko) 정수기
HK1134416A1 (en) Jug for filtering liquids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100825936B1 (ko) 콕크
CN104433811B (zh) 咖啡饮水机
KR100794120B1 (ko) 회전형 레버를 구비하는 코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735913B1 (ko) 냉온수기의 밸브
RU248488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113876203B (zh) 盒抽取单元
KR101430496B1 (ko) 정수기
KR200373888Y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냉온정수기의 온수코크
KR20090120748A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01430494B1 (ko) 정수기
KR20140036611A (ko) 정수기
KR920007460Y1 (ko) 급수기기의 급수장치
KR100625195B1 (ko) 냉온수기
KR102223924B1 (ko) 정수기
CN218996089U (zh) 一种液体饮品机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KR200333468Y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20190104301A (ko) 정수기
JP5161286B2 (ja) 水自動供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