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924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924B1
KR102223924B1 KR1020200053967A KR20200053967A KR102223924B1 KR 102223924 B1 KR102223924 B1 KR 102223924B1 KR 1020200053967 A KR1020200053967 A KR 1020200053967A KR 20200053967 A KR20200053967 A KR 20200053967A KR 102223924 B1 KR102223924 B1 KR 10222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opening
water
outlet nozzl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559A (ko
Inventor
장문재
이승돈
원봉희
소랍 체탄
샤 쿠날
카레드라 라제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9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이 노출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정수기를 각 가정이나 기관, 사무실에서 사용하다 보면, 손의 세균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 또는 먼지 등이 정수, 냉수, 온수가 선택적으로 취출되는 출수노즐에 묻게 되면서, 출수노즐이 오염된다.
또한,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해 출수노즐을 통해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출수노즐로 커피 등의 불순물이 접촉하면서 출수노즐이 오염되고, 출수노즐은 필연적으로 다량의 세균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파리, 모기 등이 날아다니다가 출수노즐에 접촉하면서, 출수노즐이 각종 세균이 오염될 가능성도 있었다.
따라서, 출수노즐이 오염되지 않도록 출수노즐 주변을 보호하는 커버수단이 마련된 정수기의 제공이 시급하다.
한편, 종래 일부 정수기의 경우, 정수, 냉수, 온수를 토출하는 출수노즐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컵 등으로, 레버를 후방으로 누르거나, 손을 이용해서 레버를 전방으로 당기면 출수노즐이 개방되면서 정수, 냉수, 온수가 토출되고, 사용자는 컵 등에 정수, 냉수, 온수를 받아 마실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 하부에 배치된 레버를 통해 출수가 진행되는 종래 정수기의 경우, 사용자가 실수로 레버를 살짝이라도 밀게 되면, 출수노즐이 즉시 개방되면서, 갑자기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노즐로 취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출수노즐이 개방되지 않고, 레버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출수의도가 명확히 전달된 상태에서만, 출수노즐이 개방되면서 출수가 진행되는 정수기의 제공이 시급하다.
한편, 정수의 취출을 위해 레버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했다가, 출수가 종료되면서 레버가 출수노즐의 하측으로 복귀할 때, 출수노즐에서 출수되는 물에 상기 레버가 닿게 되면서, 물튐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레버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에 출수되는 물이 닿는 경우 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출수되는 물이 정수기의 전면 또는 사용자에게 튐으로써, 제품의 전면 또는 주변이 지속적으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정수기의 사용 시 사용자의 불만이 커지고, 제품의 오염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08124호(2013.09.0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의 주변이 보호캡으로 커버되면서, 출수노즐의 오염발생 가능성을 줄여, 위생적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관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보호캡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 사용자 출수노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을 커버하는 보호캡이 손쉽게 탈착 가능하여, 보호캡의 세척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출수노즐이 개방되지 않고, 레버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할 경우에서 사용자의 출수의도가 명확히 전달된 상태에서만, 출수노즐이 개방되면서 출수가 진행되어, 레버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출수노즐이 실수로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할 때, 레버가 출수노즐의 수직 하방에 도달하기 전에 출수노즐이 차폐되면서, 출수가 종료되기 때문에,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레버에 닿지 않아, 물튐 등의 현상이 예방되고, 레버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레버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생성과 청결성의 향상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 위해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되는 정화된 물에 의한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고,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정수기 자체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의한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이 노출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캡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용기의 형태를 구비하되, 바닥면에는 상기 출수노즐과 대응하는 위치에 출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캡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탈착되고, 배면에는 슬라이드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이 통과되는 통과홈이 형성된다.
상기 출수노즐의 개폐를 위해 상기 출수노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출수구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보호캡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과 연통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상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유닛을 상승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유닛에 전달하는 판형의 캠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의 후면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쿠션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는, 상기 출수모듈을 기준으로 하부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는 전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탄성재질의 마찰부재 구비된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캡과, 상기 챔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캡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캡과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승강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재와 제2 개폐부재 사이에는 제1압축스프링이 삽입된다.
상기 제1개폐부재는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의 상측은 상기 제1개폐부재의 중공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돌기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캡과 함께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승하다가, 상기 돌기가 장공의 하단에 걸리면 상기 제2개폐부재도 제1개폐부재와 함께 상승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의 상단은 상기 챔버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캡과 연결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챔버의 내측 상면 사이에는 제2압축스프링이 삽입된다.
상기 레버의 후방 회전 시, 상기 레버가 회전하는 구간은, 상기 승강캡과 제1개폐부재만 상승하면서 상기 제2개폐부재가 출수노즐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제1회전구간 및 상기 제1회전구간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캡과 제1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을 개방시키는 제2회전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정수탱크는 상기 챔버와 연결된다.
상기 챔버는,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출수노즐이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을 차폐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케이스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또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주변이 보호캡으로 커버되면서, 출수노즐의 오염발생 가능성을 줄여,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관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보호캡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 사용자 출수노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을 커버하는 보호캡이 손쉽게 탈착 가능하여, 보호캡의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출수노즐이 개방되지 않고, 레버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할 경우에서 사용자의 출수의도가 명확히 전달된 상태에서만, 출수노즐이 개방되면서 출수가 진행되어, 레버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출수노즐이 실수로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 레버가 출수노즐의 수직 하방에 도달하기 전에 출수노즐이 차폐되면서, 출수가 종료되고, 이에 따라,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레버에 닿지 않아 물튐 등의 현상이 예방되고, 레버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생성과 청결성의 향상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 위해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되는 정화된 물에 의한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고,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정수기 자체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의한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이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호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이 장착된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에서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레버가 동작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의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레버가 후방으로 1차 회전된 상태에서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은 레버가 후방으로 2차 회전된 상태에서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구성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부가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기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과 제2 또는 A와 B 또는 (a)와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100) 및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서 정화된 물을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10)이 구비된 출수모듈(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21,122,12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원수배관을 거쳐 필터부재(121,122,123)로 공급된 후, 필터부재(121,122,123)를 거치면서 정화된 물(정수)은 출수배관 및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정수기 외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정수는 상온의 상태로,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고, 정수기 본체(100) 내부에서 온수로 가열되거나, 냉수로 냉각된 후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에는 그 하단에 출수노즐(210)이 노출되는 출수모듈(2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출수모듈(200)을 기준으로 하측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부에 캐비티(111)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111)를 통해서 컵 등의 용기가 출수노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출수모듈(200)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수노즐(210)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레버(3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레버(300)의 전후 스윙동작(회전동작)에 필요한 공간이 캐비티(111)에 의해 확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각종 배관, 밸브, 센서 등의 부품이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외측에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배관(131)과, 상기 원수배관(131)을 통과한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부재(121,122,123)와, 상기 원수배관(131) 상에 설치되어 유속 또는 유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재(141)와, 상기 필터부재(121,122,1231)를 통과한 물을 정수기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배관(132,133,134,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132,133,134,135)을 통과한 물은 정수기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출수노즐(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물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원수배관(131)으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재(121,122,123)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되고, 정수는 출수배관(132,133,134,135) 및 출수노즐(210)을 거쳐 정수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132,133,134,135) 상에는 정수를 가열하는 온수모듈 또는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수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21,122,12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부재(121,122,123)는, 원수가 1차로 통과하는 프리 카본필터(121)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121)를 통과한 정수가 2차로 통과하는 역삼투압필터(RO필터, 122) 및, 상기 역삼투압필터(122)를 통과하는 정수가 3차로 통과하는 포스트 카본필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역삼투압필터(122)는 표면의 기공 크기가 0.0001㎛인 막을 여러장 겹쳐놓고, 삼투를 역으로 밀어 통과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필터로서, 폐수와 정수의 비율이 '7:3' 인 특징을 갖는다. 또한, 불순물, 환경호르몬, 중금속, 박테리아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 반면, 지하수에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반면, 정수시간이 느리고, 별도의 펌프를 구비해야 하며, 몸에 좋은 미네랄 성분까지 제거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역삼투압필터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직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를 대신해서, 중공사막필터(UF필터)를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압필터(122)의 하단에는 배수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배관에 유량제한수단(flow restrictor, 14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카본필터는 복합필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리카본필터(121)는 중금속 및 일반 세균을 걸려주는 역할을 하고, 포스트카본필터(123)는 물속에 남아있는 가스 성분을 제거하여 물맛을 더욱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출수배관(132,133,134,135)은 상기 프리 카본필터(121)와 역삼투압필터(122)를 연결하는 제1출수배관(132)과, 상기 역삼투압필터(122)와 포스트카본필터(123)를 연결하는 제2출수배관(133)과, 상기 포스트카본필터(123)와 상기 출수노즐(210)을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134,1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출수배관(134,135) 상에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121,122,12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포스트카본필터(123)와 정수탱크(150)를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134)을 통해 정수탱크(150)로 유동한 후, 정수탱크(150)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출수요청이 발생하면, 정수탱크(150)와 출수노즐(210)을 연결하는 제3출수배관(135)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2출수배관(133) 상에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피드밸브(142) 및, 상기 역삼투압필터(122)로 공급되는 물의 유압을 증가시키는 펌프(1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143)의 일예로, 부스터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143)는, 이물질 등에 의해 구동손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리카본필터(121)와 역삼투압필터(1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카본필터(12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정수는 부스터 펌프(143)에 의해 역삼투압필터(122)로 압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스터펌프(143)에 의해 압송된 물은 역삼투압필터(122)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이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서, 보호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일부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200)은,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210)이 노출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230)와, 상기 케이스(230)의 외측 하단에 노출된 출수노즐(2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230)의 하단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24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를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의 손의 세균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 또는 먼지 등이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210)에 묻게 되면서, 출수노즐(210)이 오염된다.
또한,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해 출수노즐(210)을 통해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출수노즐(210)로 커피 등의 이물질이 접촉하면서 출수노즐(210)이 오염되고, 출수노즐(210)은 필연적으로 다량의 세균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파리, 모기 등이 날아다니다가 출수노즐(210)에 접촉하면서, 출수노즐(210)이 각종 세균이 오염될 가능성도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 출수노즐(210)이 오염되지 않도록 출수노즐(210) 주변을 커버하면서 각종 이물질 및 세균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캡(240)을 케이스(230)의 하단에 설치한다.
상기 보호캡(240)은 상기 출수모듈(200)의 케이스(23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캡(240)은 상기 출수모듈(200)의 케이스(23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30)의 하단에 보호캡(24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 출수노즐(210)이 보호캡(240)에 의해 커버되면서, 출수노즐(210)의 오염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보호캡(240)을 따로 분리해서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인 이점도 있다.
상기 보호캡(240)의 형태는, 상기 출수노즐(210)에서 출수된 물을 외측(하측)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출수노즐(210)을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잇다.
일 예로, 상기 보호캡(24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용기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2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출수노즐(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출수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캡(240)은 내측에 공간부(240a)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240a)는 보호캡(240) 상단의 개구(240b)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240a)는 상기 출수구(241)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10)에서 출수된 물은 상기 공간부(240b)를 통과하고, 상기 출수구(241)를 통해서 보호캡(240)의 외측으로 출수될 수있다.
참고로, 상기 보호캡(240)이 출수모듈(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노즐(210)의 중심과 출수구(241)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캡(240)의 저면의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부(242)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241)는 연장부(2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4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출수구(241)의 하부에 컵 등의 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구(241)의 직경은 상기 출수노즐(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노즐(210)을 빠져나온 물줄기가 출수구(241)를 통해 보호캡(240) 외부로 빠져나갈 때, 보호캡(240)에 닿지 않고, 온전한 물줄기의 상태로 출수구(241)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캡(240)은, 상기 케이스(23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하면서, 상기 케이스(230)의 하단에 탈착되고, 배면에는 슬라이드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210)이 통과되게 통과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과홈(243)이 형성되면, 상기 보호캡(24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보호캡(240)을 케이스(230)의 하단에 장착하거나, 보호캡(24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보호캡(230)을 케이스(230)의 하단에서 분리할 때, 출수노즐(210)이 통과홈(243)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캡(240)의 슬라이드 동작이 출수노즐(210)의 간섭없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이 통과홈(243)을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과홈(243)의 크기는 상기 출수노즐(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캡(240)의 슬라이드 동작을 위해서, 상기 보호캡(240)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돌기(244)가 형성되고, 케이스(230)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244)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돌기(244)와 슬라이드 홈(미도시)의 구성으로, 보호캡(240)의 전후 슬라이드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캡(240)이 케이스(230)의 하단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캡(24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캡(240)이 투명하게 형성되면, 보호캡(240)이 출수노즐(210)을 커버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출수노즐(2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노즐(210)의 위치에 맞춰 컵 등의 용기를 출수노즐(21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노즐(210) 및 출수구(241)의 하부에는 레버(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노즐(210)을 개폐한다.
일 예로, 레버(300)에 별도의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상기 레버(300)는 출수구(24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출수구(241)의 적어도 일부가 출수구(241)의 하부에 위치된 레버(3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출수구(24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300)에는 출수구(241)와 마주보는 면에 후방으로 연장된 가림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310)에 의해 상기 출수구(241)는 보다 확실히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구(241)로의 이물질 유입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310)의 면적은 상기 출수구(24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림부(310)는 출수구(241)를 보다 확실히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241)의 하단과, 상기 가림부(31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레버(300)의 회전 시, 가림부(310)가 출수구(241)에 걸리지 않고, 레버(30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노출된 출수모듈(200)의 케이스(230)에는,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부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또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2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정수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함과 동시에, 정수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하는 조작표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표시부(220)는 다수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각 버튼으로 빛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표시부(220)의 버튼을 가압하거나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에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버튼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도 있으며, 표시부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표시부(220)에는 취수하고자 하는 물의 종류 다시 말해,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정수(상온수)를 선택하는 버튼과, 연속 출수를 위한 버튼 등이 제공되며, 온수의 전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과 온수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된다.
물론, 상기 조작표시부(220)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이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 기능에 따라 얼음 등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버튼이 구비되거나, 온수 등을 추출할 때 경고 표시를 해주는 경고 표시등 또는 필터의 교체주기, 정수된 물의 저장 수량 표시등과 같은 알림부가 구비되거나 정수기의 동작시간 또는 상기 버튼 등의 조작시간 또는 정화된 물의 추출 완료시점 등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등이 더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종류와 형태 등에 따라 상기 조작표시부(220)에는 조명이 없는 야간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이 더 제공되기도 하며, 추가적인 부가 기능이 더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작표시부(220)에 구비되는 버튼과 표시부의 수량과 형태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 출수노즐의 개폐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이 장착된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에서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노즐(210)은 레버(300)의 동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케이스(230)의 내측에 구비되고,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51)와, 상기 유입구(25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52)를 형성하며,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과 연통하는 챔버(250)와, 상기 챔버(25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400) 및 상기 케이스(23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유닛(400)을 상승시키는 레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챔버(2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150)와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탱크(150)의 물이 챔버(250)를 거쳐 출수노즐(210)로 출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250)는 정수탱크와 연결되지 않고, 온수탱크 또는 냉수탱크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는 별도의 탱크와 연결되지 않고, 필터부재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250)는,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51)가 형성되며, 하측이 출수노즐(210)과 연통하는 몸체부(250a) 및, 상기 몸체부(250a)의 개방된 상측을 차폐하는 마개부(25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50a)와 마개부(250b)는 암나사 및 수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레버(3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300)와 연동하는 개폐유닛(400)이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유닛(400)이 상승하면 개폐유닛(400)이 막고 있던 출수노즐(210)의 상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유입구(251)를 통해 챔버(250)의 수용부(252)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과해 정수기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300)와 개폐유닛(400)의 연결구조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운동을 개폐유닛(400)에 왕복운동(상하운동)으로 전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레버(300)는,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등의 용기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전면의 형상이 곡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가압부(320)와, 상기 가압부(32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30)와, 상기 수직부(330)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2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40) 및 상기 수평부(34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40)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상하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유닛(400)에 전달하는 판형의 캠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350)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캠부재(350)는 곡면, 경사면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가압부(320)가 후방으로 가압되면서, 수평부(340)가 회전하면, 상기 수평부(340)의 단부에 형성된 캠부재(350)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캠부재(350)가 회전하면, 캠부재(350)의 높이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유닛(400)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개폐유닛(400)이 상승하면 개폐유닛(400)이 막고 있던 출수노즐(210)의 상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유입구(251)를 통해 챔버(250)의 수용부(252)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과해 정수기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림부(310)는 상기 가압부(32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부재(350)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회전축(36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25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36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홈(250)은 상기 챔버(250)의 회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홈(250)의 상측에는 사익 회전홈(253)이 삽입되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360)이 회전홈(2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레버(300)는, 케이스(230) 및 챔버(2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200)의 후면에는 탄성재질의 쿠션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쿠션부재(미도시)는 전술한 가림부(31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쿠션부재(미도시)는 상기 가압부(32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200)의 후면에 쿠션부재(미도시)가 구비되면, 상기 레버(200)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레버(200)가 접촉하더라도, 탄성을 갖는 쿠션부재(미도시)가 하우징(110)에 접촉하게 되어, 레버(200) 및 하우징(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레버(200) 및 하우징(110)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쿠션부재(미도시)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상기 레버(200)의 회전시 레버(200)의 후면이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에 쿠션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320)는 전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탄성재질의 마찰부재 (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찰부재(370)가 구비되면, 컵 등의 용기로 가압부(320)를 밀어 레버(3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킬 때, 용기가 가압부(320)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용기 등을 이용해서 레버(30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 (37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폐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유닛(400)은, 상기 챔버(25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의 캠부재(350)의 회전동작시, 캠부재(350)에 의해 상부로 밀리면서 상승하는 승강캡(410)과, 상기 챔버(25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캡(410)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캡(410)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420,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챔버(2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캡(410)은 'ㄷ'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캡(410)은 상기 챔버(250)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250)의 상측은 상기 승강캡(410)의 내부공간(410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캡(410)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11)의 하단에는 전술한 캠부재(350)가 위치된다. 따라서, 캠부재(350)가 회전할 경우, 상기 날개부(411)가 상부로 밀리면서, 승강캡(410)이 상승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레버가 동작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의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420,430)는, 상기 승강캡(4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개폐부재(420)와, 상기 제1개폐부재(4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재(420)와 제2 개폐부재(430) 사이에는 제1압축스프링(440)이 삽입된다.
이에 따르면, 승강캡(410)이 상승하면, 상기 승강캡(410)과 연결된 제1개폐부재(420)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압축스프링(440)은 제1 개폐부재(420)와 제2 개폐부재(43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인장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420)의 하단 및 제2개폐부재(430)의 상단에는 상기 제1압축스프링(44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422,4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축스프링(440)은 고정력이 확보된 상태로, 제1 개폐부재(420)와 제2 개폐부재(430)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개폐부재(420)가 상승하더라도, 제2 개폐부재(430)는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개폐부재(420) 상승 시, 제2 개폐부재(430)가 함께 상승하도록 제1 개폐부재(420)와 제2 개폐부재(430)는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개폐부재(420)는 내측에 하측이 개방된 중공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430)의 상측은 상기 제1개폐부재(420)의 중공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폐부재(420)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2개폐부재(430)의 외경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개폐부재(420)와 제2 개폐부재(430)의 승강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재(420)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부(미도시)와 연통하는 장공(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430)는 외측면에 상기 장공(421)에 삽입되는 리프팅 돌기(4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캡(410)과 함께 제1개폐부재(420)가 상승하면, 장공(421)의 하단에 상기 리프팅 돌기(431)가 걸리면서, 제2 개폐부재(430)가 제1개폐부재(42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레버가 후방으로 1차 회전된 상태에서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4은 레버가 후방으로 2차 회전된 상태에서 챔버와 개폐유닛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장공(421)의 길이는, 상기 리프팅 돌기(43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캡(410)과 함께 상기 제1개폐부재(420)가 제1 높이(h1)만큼 상승하면, 상기 리프팅 돌기(431)가 장공(421)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승강캡(410)과 제1개폐부재(420)가 제1 높이(h1) 보다 더 상승하면, 상기 제2개폐부재(430)도 제1개폐부재(42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부재(430)가 상승하면, 제2개폐부재(430)의 하단에 의해 막혀있던 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되면서, 유입구(251)를 통해서 챔버(25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출수노즐(210)로 빠져나갈 수 있다.
만약, 제2개폐부재(430)가 상승하지 않으면, 출수노즐(210)의 상측은 제2개폐부재(430)의 하단에 의해 차폐된 상태이다.
상기 제2개폐부재(430)의 하단에는 링 형태의 실링부재(4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47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링부재(470)가 마련되면, 제2개폐부재(430)가 출수노즐(210)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2개폐부재(430)와 출수노즐(210) 사이에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부재(430)의 하단에는 실링부재(470)가 삽입되게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개폐부재(43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고정돌기(433a,433b)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돌기(433a,433b) 사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실링부재(470)가 삽입되면서, 실링부재(470)의 고정력이 확보되어, 실링부재(47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챔버(25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캡(410)과 연결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420)와 상기 챔버(250)의 내측 상면 사이에는 제2압축스프링(4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개폐부재(420)의 상단에는 연결축(423)이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축(423)은 챔버(250)의 마개부(250b)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캡(4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강캡(410)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축(423)이 관통하는 위치에 상부로 연장된 보스(4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캡(410)이 상승하면, 승강캡(410)과 연결된 연결축(423)이 상승하고, 제1 개폐부재(420)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압축스프링(450)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450)은 챔버(250)의 마개부(250b)와 제1 개폐부재(4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인장력(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축(423)은 상기 제2 압축스프링(450)의 중심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2 압축스프링(450)의 상단은 챔버(250)의 마개부(250b)에 의해 접촉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축(423)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25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제2 압축스프링(450)의 이탈을 예방하도록 제2 압축스프링(450)의 외측을 커버하는 스프링커버(4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6 및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300)의 후방 회전 시, 상기 레버(300)가 회전하는 구간은, 상기 승강캡(410)과 제1개폐부재(420) 만 상승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430)는 고정되어 출수노즐(210)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제1회전구간(A) 및, 상기 제1회전구간(A) 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캡(410)과 제1개폐부재(420) 및 제2개폐부재(4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개폐부재(430)가 상기 출수노즐(210)의 상측을 개방시키는 제2회전구간(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해서, 레버(30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레버는 제1회전구간(A)을 먼저 회전하고, 제2회전구간(B)을 회전한다.
이때, 레버(300)가 제1회전구간(A)을 회전하는 동안에는 출수노즐(210)이 개방되지 않고, 제2회전구간(B)을 회전하는 동안에만 출수노즐(210)이 개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레버(300)의 회전동작에 의한 출수노즐(210)의 개폐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레버(30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개폐부재(430)는 출수노즐(210)의 상측을 차폐한다.
이때, 상기 제2압축스프링(450)에 의해 제1개폐부재(420)는 하방으로 눌린 상태이다. 그리고, 제1개폐부재(420)와 연결된 승강캡(410) 역시, 하강된 상태이다. 또한, 제1압축스프링(440)에 의해 제2개폐부재(430) 역시 하방으로 눌린 상태이다. 참고로, 상기 제2압축스프링(450)의 압축 시 저항력은 제1압축스프링(440)의 압축시 저항력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폐부재(430)는 하방으로 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수를 위해 사용자가 레버(300)를 후방으로 밀면, 레버(300)는 제1회전구간(A)을 경유하면서 후방으로 1차적으로 회전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레버(300)가 제1회전구간(A)을 지나는 상태에서, 레버(300)의 캠부재(350)가 회전하면서, 캠부재(350)의 높이는 높아지고, 캠부재(350)에 의해 승강캡(410)은 상승된다. 그리고, 승강캡(410)과 연결된 제1개폐부재(420)가 제1높이(h1)만큼 상승한다.
이때, 챔버(250)의 상면과 제1개폐부재(420) 사이에 마련된 제2압축스프링(450)은 압축된다. 그리고, 제1 개폐부재(420)는 상승하지만, 제2 개페부재(4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제1 개폐부재(420)가 상승하면, 장공(421)이 상승하게 되고, 장공(421)에 끼워진 리프팅 돌기(431)는 장공(421)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장공(421)을 따라 상대적으로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제1 개폐부재(420)와 제2개폐부재(430) 사이에 삽입된 제1압축스프링(440)은 인장되고, 제1압축스프링(440)의 인장력(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재(430)는 출수노즐(210)의 상측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300)를 후방으로 더 밀면, 레버(300)가 후방으로 더 회전하게되고, 레버(300)는 제2회전구간(B)을 경유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레버(300)가 제2회전구간(B)을 지나는 상태에서, 레버(300)의 캠부재(350)는 더 회전하고, 승강캡(410)은 좀 더 상승된다. 그리고, 승강캡(410)과 연결된 제1개폐부재(420)는 제1높이(h1)보다 높은 제2높이(h2)만큼 상승한다.
이때, 챔버(250)의 상면과 제1개폐부재(420) 사이에 마련된 제2압축스프링(45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좀 더 압축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인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개폐부재(420)가 추가적으로 상승되면서, 제2 개폐부재(4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상세히, 제1 개폐부재(420)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면, 장공(421) 역시 상승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장공(421)의 하단에 걸린 상태의 리프팅 돌기(431)는 장공(421)과 함께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제1 개폐부재(420)와 제2개폐부재(430) 사이에 삽입된 제1압축스프링(440)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좀 더 인장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압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부재(430)가 상승하면, 제2개폐부재(430)가 막고 있던 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되고, 유입구(251)를 통해 챔버(250)로 유입된 물은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정수기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개폐부재(430)의 상승에 따른 출수노즐(210)에서의 출수는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해서, 레버(300)를 누르고 있는 동안은 지속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나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출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를 레버(300)에서 떼고, 이에 따라 레버(300)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300)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압축스프링(45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재(420)는 하강하고, 제1개폐부재(420)와 연결된 승강캡(410) 역시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승강캡(410)의 날개부(411)가 캠부재(350)을 하측으로 누르고, 캠부재(350)가 회전하면서, 캠부재(350)의 높이가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레버(300)는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부재(420)가 하강하면서, 제2개폐부재(430)도 하강하고, 제2개폐부재(430)의 하단이 출수노즐(210)의 상측을 차폐한다. 이에 따라, 출수노즐(210)에서의 출수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출수 종료 후, 레버(300)가 회전할 때, 레버(300)가 출수노즐(210)의 수직 하방에 도달하기 전에 출수노즐(210)이 차폐되면서, 출수가 종료된다. 따라서, 출수노즐(210)에서 출수된 물이 레버(300)에 닿지 않아 물튐 등의 현상이 예방되고, 레버(30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연속출수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레버(300)를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레버(300)는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레버(300)를 전방으로 대략 90˚만큼 회전할 경우, 상기 레버(300)는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7을 기준으로 캠부재(35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길이가 최대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캡(410), 제1개폐부재(420), 제2개폐부재(420)는 모두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출수노즐(210)은 연속해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노즐(210)에서의 출수가 연속해서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30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면, 레버(300)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캠부재(350)는 수평한 상태(길이가 최저인 상태)로 복귀하면서, 승강캡(410), 제1개폐부재(420), 제2개폐부재(430)는 모두 하강하고, 출수노즐(210)은 제2개폐부재(4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노즐(210)에서의 출수가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주변이 보호캡으로 커버되면서, 출수노즐의 오염발생 가능성을 줄여, 정수기의 위생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관리된 출수노즐을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보호캡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 사용자 출수노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출수노즐을 커버하는 보호캡이 손쉽게 탈착 가능하여, 보호캡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레버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출수노즐이 개방되지 않고, 레버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할 경우에서 사용자의 출수의도가 명확히 전달된 상태에서만, 출수노즐이 개방되면서 출수가 진행되어, 레버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출수노즐이 실수로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에 의해 레버가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생성과 청결성의 향상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 위해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수되는 정화된 물에 의한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정수기 전면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정수기 자체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의한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상부에서 승강동작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유닛을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과 연통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출수노즐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출수노즐보다 전방에 배치된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길이가 상기 출수노즐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된 가림부;
    상기 가압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유닛에 전달하는 판형의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승강동작하되,
    상기 레버의 후방 회전 시, 상기 레버가 회전하는 구간은, 제1회전구간과, 상기 제1회전구간보다 후방에 위치된 제2회전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구간에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회전구간에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을 개방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챔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 시,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림부에 의해 은폐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캡과, 상기 챔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캡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캡과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승강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노즐의 개방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재와 제2 개폐부재 사이에는 제1압축스프링이 삽입되는 정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는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의 상측은 상기 제1개폐부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정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돌기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캡과 함께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승하다가, 상기 돌기가 장공의 하단에 걸리면 상기 제2개폐부재도 제1개폐부재와 함께 상승하는 정수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의 상단은 상기 챔버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캡과 연결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챔버의 내측 상면 사이에는 제2압축스프링이 삽입되는 정수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간은, 상기 승강캡과 제1개폐부재만 상승하면서 상기 제2개폐부재가 출수노즐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회전구간은, 상기 승강캡과 제1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출수노즐의 상측을 개방시키는 정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용기의 형태를 구비하되, 바닥면에는 상기 출수노즐과 대응하는 위치에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 시, 상기 출수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수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림부에 의해 은폐되는 정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탈착되고, 배면에는 슬라이드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이 통과되는 통과홈이 형성되는 정수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의 내경은 상기 출수노즐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정수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출수구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된 정수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전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0200053967A 2020-05-06 2020-05-06 정수기 KR10222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67A KR102223924B1 (ko) 2020-05-06 2020-05-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67A KR102223924B1 (ko) 2020-05-06 2020-05-06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245A Division KR102111599B1 (ko) 2019-09-02 2019-09-02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59A KR20200051559A (ko) 2020-05-13
KR102223924B1 true KR102223924B1 (ko) 2021-03-08

Family

ID=7072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67A KR102223924B1 (ko) 2020-05-06 2020-05-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974Y1 (ko) 2004-09-01 2004-11-16 염범용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정수기 수도꼭지의 자동덮개
JP2008168237A (ja) 2007-01-12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101338670B1 (ko) 2012-10-12 2013-12-09 이창현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65B1 (ko) * 2006-05-30 2008-02-21 주식회사 비엔엠 기어댐퍼
KR101483529B1 (ko)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101308124B1 (ko) 2010-03-31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KR200469477Y1 (ko) * 2011-08-12 2013-10-1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101692732B1 (ko) * 2013-07-03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543125B1 (ko) * 2013-12-24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레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974Y1 (ko) 2004-09-01 2004-11-16 염범용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정수기 수도꼭지의 자동덮개
JP2008168237A (ja) 2007-01-12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101338670B1 (ko) 2012-10-12 2013-12-09 이창현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59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50B1 (ko) 정수기
KR100847208B1 (ko) 휴대용 정수기
CN102272051B (zh) 液体过滤器设备
KR101471864B1 (ko)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CN102068849B (zh) 过滤器组件
KR100873665B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US10556808B2 (en) Pitchers, filtration units, and filtr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12066234A (ja) フィルタのブロック状態の自動検出構造を有する濾過装置
KR101543125B1 (ko)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2223924B1 (ko) 정수기
KR102111599B1 (ko) 정수기
US10059603B2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compostable filter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CN111943418A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净化加热一体机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CN204890787U (zh) 一种带过滤网的自动排气止液精密过滤输液器
EP2200730B1 (en) Air filter device
CN210595503U (zh) 一种自动检测水位的净水机
CN106031902B (zh) 一种设有排杂流道的花洒
KR200461889Y1 (ko)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CN208692982U (zh) 饮水装置
CN108078357B (zh) 具有隔膜压滤功能的榨汁机
CN209919655U (zh) 真空能量站
KR20210000267U (ko)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CN110150990A (zh) 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