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165B1 - 기어댐퍼 - Google Patents

기어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165B1
KR100805165B1 KR1020060048961A KR20060048961A KR100805165B1 KR 100805165 B1 KR100805165 B1 KR 100805165B1 KR 1020060048961 A KR1020060048961 A KR 1020060048961A KR 20060048961 A KR20060048961 A KR 20060048961A KR 100805165 B1 KR100805165 B1 KR 10080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ar
gear damper
dam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097A (ko
Inventor
방사원
박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엠
Priority to KR102006004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16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댐퍼에 관한 것으로,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댐퍼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기어댐퍼에 있어서,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의 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오일을 충입시킬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감싸는 측벽의 상부에는 슬릿을 사이에 두고 안내편과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 중앙에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부의 치차부와, 상기 걸림편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 안내부에 결합하는 하부의 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을 더욱 간소화하여 조립 및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어댐퍼, 회전, 감속

Description

기어댐퍼{A GEAR DAMPER}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댐퍼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댐퍼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 : 본체 10 : 회전체
11 : 걸림홈 12 : 돌출부
13 : 제3끼움환체 14 : 제4끼움봉
19 : 치차부 20 : 수용부
21 : 제1끼움환체 22 : 제2끼움환체
23 : 슬릿 24 : 안내편
25 : 걸림편 26 : 브라켓
30 : 오링
본 발명은 기어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차부와 회전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제조공수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기어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 등에서 통상적으로 도어의 개방 및 폐쇄에 따른 도어자체의 하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전자제품의 댐퍼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의 프레임(50)에 기어댐퍼(A)를 고정하고, 상기 기어댐퍼(A)의 치치부(19)와 치합되도록 도어(60)의 기어(65)를 결합시켜 구성됨으로써 도어(60)의 개폐시 발생되는 회전력을 완화시켜주어 소음이나 충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기어댐퍼(A)를 조립시 치차부(19)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축의 선단부를 열용착 방식으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조립 및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4691호 " 기어댐퍼 "를 출원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20-0264691호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댐퍼오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공간(10)에 환형의 요부(12) 및 철부(13)가 형성되며, 그 상단 내주면에는 일정크기의 단턱부(21)가 형성된 본체(11)와; 그 일측면에 상기 본체(11)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환형의 요부(12) 및 철부(1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환형의 철부(14) 및 요부(15)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그 끝단이 탄성력을 가진 탄성지지수단(18)을 갖는 회전체(16)와; 상기 회전체(1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1)의 단턱부(21)에 안착되어 융착 결합됨과 아울러 그 상단 외주연에는 하부로 경사진 경사면(45)을 갖는 덮개(17); 및 상기 덮개(17)를 관통한 상기 회전체(16)의 탄성지지수단(18)에 탄성력 있게 고정결합되도록 그 중앙에 관통홀(20)이 형성된 댐퍼기어(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0-0264691호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조립 및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었으나, 댐퍼기어(19), 덮개(17) 및 탄성지지수단(18)이 분리되어 있어 여전히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분리되어 있던 치차부와 덮개 및 회전체를 하나의 일체화된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을 더욱 간소화하여 조립 및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기어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어댐퍼는,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의 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오일을 충입시킬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감싸는 측벽의 상부에는 슬릿을 사이에 두고 안내편과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 중앙에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부의 치차부와, 상기 걸림편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 안내부에 결합하는 하부의 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바닥에 결합하는 회전체의 바닥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걸림편 안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상기 후크에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환턱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걸림편의 후크 아래쪽과 환턱 사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돌출부 아래쪽에는 상기 오링이 결합되는 둘레방향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회전 안내부는 원형으로 된 1개 이상의 끼움환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부는 상기 끼움환체에 끼워지는 1개 이상의 끼움환체 또는 회전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A)은, 브라켓(26)이 외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오일을 충입시킬 수 있는 수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0)를 감싸는 측벽의 상부에는 슬릿(23)을 사이에 두고 안내편(24)과 걸림편(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20)의 바닥 중앙에는 회전 안내부(70)가 형성된 본체(2)와, 상부의 치차부(19)와, 상기 회전 안내부에 결합하는 하부의 회전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2)의 수용부(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10)와, 상기 걸림편(25)에 결합하는 회전체(10)의 돌출부(12)와, 상기 본체(2)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체(10)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바닥에 결합하는 회전체(10)의 바닥에는 돌기(10a)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면마찰을 방지하고, 돌기(17)에 의한 틈에서 그리스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체(2)는 하부가 막혀있고 상부는 개구된 원통형의 통체이며, 외측 저면에는 통공(260)을 갖는 브라켓(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20)의 저면에는, 대경의 제1끼움환체(21)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끼움환체(21)의 내부에는 소경의 제2끼움환체(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회전 안내부(70)를 구성한다.
또한, 본체(2) 측벽의 상부를 등간격으로 수직되게 절개하여 다수개의 슬릿(23)이 형성됨으로써, 슬릿과 슬릿 사이에는 안내편(24)과 걸림편(25)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23)으로 인해 탄성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편(24)과 걸림편(25)은 교호되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 걸림편(25)은 후술될 회전체(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후크(250)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250)는 안쪽 모서리가 적당한 각도로 꺽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 측벽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환턱(202)이 형성되는데, 바람직 하게는 상기 환턱(202)은 슬릿(23)의 하단에 인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렇게 환턱(202)을 형성함으로써 측벽의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는데, 환턱(202)이 형성된 하부의 측벽 두께보다 환턱(202)이 없는 상부 측벽, 즉, 안내편(24) 및 걸림편(25)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탄력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상기 후크(250)나 환턱(202) 대신 다른 형상의 환형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체(10)는 전술한 본체(2)의 내측 수용부(2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상면에는 피니언기어 형상의 치차부(19)가 회전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저면에는 본체(2)의 제1끼움환체(21)와 결합되는 제3끼움환체(13)와, 제2끼움환체(22)와 결합되는 제4끼움봉(14)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부(60)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2개의 끼움환체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부는 끼움봉과 끼움환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갯수나 결합구성에 있어서는 적절히 변경되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10)의 외주면 상단에는 환턱(20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돌출부(12)가 원주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2)는 본체(2)의 수용부(20)를 커버하는 덮개의 역할을 하며, 그 상면이 본체(2)에 마련된 걸림편(25)의 후크(250)에 의해 눌려져 지지된다(도 3 참조).
또한, 회전체(10)의 측면 원주둘레에는 오링(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걸림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30)은 회전체(10)의 외주면과 본체(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수용부(20)를 밀폐시킴으로써 충입된 오일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치차부(19)의 크기는 도 4에 도시된 도어(60)의 기어(65)와 치합될 수 있을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치차부(19)에 대한 치수가공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본체(2)의 수용부(20) 내에 오일을 충입시킨 후 회전체(10)를 삽입하면, 회전체(10)의 돌출부(12)가 걸림편(25)의 후크(250)를 탄성적으로 넘어서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체(10)의 측면에 개재된 오링(30)이 수용부(2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때,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10)의 돌출부(12)가 본체(2)에 마련된 걸림편(25)의 후크(250)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비교적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댐퍼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프레임(50) 내부에 도어(60)의 양측방으로 적어도 1개 이상 본 발명의 기어댐퍼(A)를 고정설치하고, 이 기어댐퍼(A)의 치차부(19)에는 도어(60)의 기어(65)가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도어(60)를 개폐시 기어(65)에 치합된 치차부(19)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회전체(10)가 회전되는데, 회전체(10)는 그 돌출부(12)가 본체(2)의 걸림편(25)의 후크(25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수용된 그리스의 양과 점도에 의해 치차부(19)의 회전속도가 감소될 수밖에 없다.
즉, 도어(60)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은 기어(65) 및 치차부(19)에 직접 전달된 후 치차부(19)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2)의 회전을 유발하게 되나 회전체(10)와 본체(2)의 걸림편(25)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저하됨으로써 도어(60)의 개방 및 폐쇄에 따른 자체하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10)의 회전시 본체(2)의 걸림편(25)에 의해 눌려진 상태이므로 회전체(10)가 본체(2)로부터 이탈될 우려는 배제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서는 분리되어 있던 치차부와 덮개 및 회전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을 더욱 간소화하여 조립 및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 모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의 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는 기어댐퍼에 있어서,
    내부에는 오일을 충입시킬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감싸는 측벽의 상부에는 슬릿을 사이에 두고 안내편과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 중앙에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된 본체;
    상부의 치차부와, 상기 걸림편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 안내부에 결합하는 하부의 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바닥에 결합하는 회전체의 바닥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걸림편 안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상기 후크에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환턱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걸림편의 후크 아래쪽과 환턱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돌출부 아래쪽에는 상기 오링이 결합되는 둘레방향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전자제품의 도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회전 안내부는 원형으로 된 1개 이상의 끼움환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부는 상기 끼움환체에 끼워지는 1개 이상의 끼움환체 또는 회전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댐퍼.
  8. 삭제
KR1020060048961A 2006-05-30 2006-05-30 기어댐퍼 KR10080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61A KR100805165B1 (ko) 2006-05-30 2006-05-30 기어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61A KR100805165B1 (ko) 2006-05-30 2006-05-30 기어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97A KR20070115097A (ko) 2007-12-05
KR100805165B1 true KR100805165B1 (ko) 2008-02-21

Family

ID=3914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961A KR100805165B1 (ko) 2006-05-30 2006-05-30 기어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615B1 (ko) * 2010-01-25 2012-05-10 김희일 도어용 댐핑장치
KR101773478B1 (ko)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0B1 (ko)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3B1 (ko) * 2019-07-23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9B1 (ko) * 2019-09-02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3924B1 (ko) *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32820B1 (ko) * 2020-05-06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51B1 (ko) * 1995-09-01 1999-01-15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회전댐퍼
JP2004263461A (ja) * 2003-03-03 2004-09-24 Piolax Inc ハートカム−ダンパ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51B1 (ko) * 1995-09-01 1999-01-15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회전댐퍼
JP2004263461A (ja) * 2003-03-03 2004-09-24 Piolax Inc ハートカム−ダンパ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97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165B1 (ko) 기어댐퍼
KR910002335B1 (ko) 회전 댐퍼
JP5302115B2 (ja) ラチェット
CN101893065B (zh) 中心曲柄式偏心摆动型减速器
KR20140012088A (ko)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553121B2 (ja) 回転ダンパー
JPH0425626A (ja) 一方向ダンパ
EP2824356B1 (en) Rotary damper
JP6560295B2 (ja) 可変トルク式のトルクヒンジ
JP5743557B2 (ja) ダンパー装置
KR20180025791A (ko) 로터 구동부 방수 구조 및 스피닝 릴
CN108351015B (zh) 运动控制装置
KR100648518B1 (ko) 누유 방지형 싸이크로이드 감속기
JP2006211795A5 (ko)
KR102609817B1 (ko) 턴테이블용 감속기
KR101855522B1 (ko) 오일 누출 방지구조를 가지는 모터
CN212360617U (zh) 一种旋转阻尼器
CN208719311U (zh) 一种减噪齿轮箱
JP2003130112A (ja) 回転ダンパ
JP2006345595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ギアトレーン潤滑油切れ防止方法
CN215172301U (zh) 一种高耐腐蚀蝶阀
CN214092901U (zh) 一种减速箱
CN210053305U (zh) 一种无刷减速电机
CN214157127U (zh) 一种食品加工机
JP4335635B2 (ja) 回転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