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088A -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088A
KR20140012088A KR1020137024011A KR20137024011A KR20140012088A KR 20140012088 A KR20140012088 A KR 20140012088A KR 1020137024011 A KR1020137024011 A KR 1020137024011A KR 20137024011 A KR20137024011 A KR 20137024011A KR 20140012088 A KR20140012088 A KR 20140012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tor shaft
rotor
pair
in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009B1 (ko
Inventor
케이 시모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1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45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rotary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non-hinged de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회전댐퍼에 있어서, 로터축과 로터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고 확실한 것으로 한다. [해결수단]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11)과,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28) 및 로터 날개에 돌출 설치되어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29)을 구비한 로터(12)와, 로터축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원웨이 클러치(3)를 갖는 회전댐퍼장치(1)로서,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44)과 삽입통과구멍의 댐퍼 하우징측과 상반되는 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된 한쌍의 규제벽(44)을 갖고, 로터축의 돌출단은 삽입통과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가열 변형되어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ROTARY DAMPE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기어 등의 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쇠(減衰)하는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림 또는 닫힘 방향의 한쪽으로 밀어붙인 문 등을 천천히 작동시키는 목적으로, 회전댐퍼를 사용한 것이 있다. 회전댐퍼는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과, 댐퍼 하우징에 수용되는 로터 날개 및 로터 날개에 돌출 설치되어 댐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로터축을 구비한 로터를 갖고, 로터축에 있어서 회전을 감쇠할 기어 등의 회전부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댐퍼는 일방향의 회전에만 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원웨이 클러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일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8-16366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로터축의 선단(先端)에 키부를 형성함과 함께, 원웨이 클러치 측에 키구멍을 형성하고, 키부와 키구멍과의 끼워 맞춤에 의해 로터축과 원웨이 클러치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발명은 로터축과 원웨이 클러치를 로터축의 축선 방향으로 규제하는 수단을 갖지 않기 때문에, 로터축과 원웨이 클러치가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댐퍼에 있어서, 로터축과 로터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고 확실한 것으로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11)과,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28) 및 상기 로터 날개의 회전축을 따라 돌출 설치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29)을 구비한 로터(12)와,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突出端)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를 갖는 회전댐퍼장치(1)로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43)과,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상기 댐퍼 하우징측과 상반되는 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立設)된 한쌍의 규제벽(44)을 갖고,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가열 변형되어 상기 한쌍의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상기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축의 돌출단을 가열 변형시켜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시킬 때에, 한쌍의 규제벽이 로터축의 돌출단의 변형 방향을 규제하기 때문에, 로터축의 돌출단과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의 결합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변형(돌출) 방향을 직경 방향의 전(全) 방위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방향으로 한정함으로써,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로터축의 돌출단을 두껍게 할 수 있어, 결합 구조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열 변형한 로터축의 돌출단은 규제벽과도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벽을 로터축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회전부재(3)는 내치차(內齒車)(63)를 갖는 원통형상의 외측부재(36)와, 상기 외측부재에 동축(同軸)이면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외주부에 2개의 오목부(47)를 갖는 내측부재(35)와, 상기 오목부의 각각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내치차에 맞물리는 유성기어(37)를 갖고,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에 대하여 정방향(正方向)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오목부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한편,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에 대하여 부방향(負方向)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오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측에 형성된 각부(角部)(49)에 상기 유성기어가 결합하여 상기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이며, 상기 내측부재는 그 회전축선을 따라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가짐과 함께, 상기 한쌍의 규제벽을 갖고, 상기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한쌍의 규제벽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상반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열 변형에 의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로터축의 돌출단과 유성기어를 로터축의 축선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원웨이 클러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규제벽을 배치한 것에 의해 형성된 사공간(dead space)에 오목부를 배치함으로써, 내측부재의 대형화를 초래함이 없이 로터축의 돌출단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기 위한 공간을 내측부재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규제벽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대변(對邊)을 따라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축의 돌출단은 가열 변형시에 한쌍의 규제벽에 의해 안내되고, 로터축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180°다른 2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로터축과 내측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로터축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규제벽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열 변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축이 삽입통과구멍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로터축과 삽입통과구멍이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터축의 규제벽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열 변형시킴으로써, 로터축의 삽입통과구멍으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져, 로터축의 가열 변형시키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11)과,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28) 및 상기 로터 날개의 회전축을 따라 돌출 설치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29)을 구비한 로터(12)와,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회전댐퍼장치(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43)과,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된 한쌍의 규제벽(44)을 갖고,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을, 상기 규제벽이 입설된 측과 상반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삽입통과구멍에 통과시키는 공정과, 상기 돌출단을 가열한 압압편(80)에 의해 압압하고, 상기 돌출단을 가열 변형시켜 상기 한쌍의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상기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축을 회전부재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댐퍼장치에 있어서, 로터축과 로터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결합 구조를 간단하고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로터축과 회전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도.
도 8은 도 3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로터축의 가열 변형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를 적용한 덮개부착 상자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좌표축을 기준으로 하여 각 방향을 정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댐퍼장치(1)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댐퍼(2)와, 회전부재로서의 원웨이 클러치(3)를 조합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댐퍼(2)는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되는 댐퍼 하우징(11)과, 댐퍼 하우징(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12)를 구비하고 있다. 댐퍼 하우징(11)은 모두 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바닥부재(14)와, 바닥부재(14)의 개구단(開口端)을 폐색하는 원판형상의 덮개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재(15)의 주연부(周緣部)에는, 바닥부재(14)의 개구단이 끼워 맞춤 가능한 환(環)형상 홈(1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재(14) 및 덮개부재(15)는 바닥부재(14)의 개구단이 환형상 홈(17)에 끼워 맞춘 상태로 마찰 용착(진동 용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14)의 외주면의 저부(底部)측 부분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턱부(顎部)(21)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180°의 간격을 두어 2개 형성되어 있다. 각 턱부(21)의 돌출단에는, 바닥부재(14)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바닥부재(14)의 개구단측으로 뻗는 탄성걸림돌기(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걸림돌기(22)는 바닥부재(14)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함께, 탄성걸림돌기(22)의 기단(基端)측을 향하는 역지면(逆止面)을 구비한 걸림돌기부(23)를 갖고 있어, 탄성변형함으로써 바닥부재(14)의 직경 방향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14)의 바닥부(19)의 중심부에는, 바닥부재(14)의 축선을 따라 덮개부재(15)측으로 돌출하는 원기둥형상의 축(2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재(14)의 중심부에는, 축(25)과 동축의 원 구멍인 관통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12)는 원판형상의 로터 날개(28)와, 로터 날개(28)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와 축선을 따라 돌출 설치된 로터축(29)을 갖고 있다. 로터(12)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로터 날개(28)및 로터축(29)은 일체로 되어 있다. 로터축(29)은 기단부(31)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31)에 연속하는 선단부(32)가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날개(28)의 로터축(29)이 돌출 설치된 측과 상반되는 측에는, 단면 원형 형상의 바닥이 있는 구멍인 축받이 구멍(3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터 날개(28)는 바닥부재(14)와 덮개부재(15)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즉, 댐퍼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축받이 구멍(33)에서 축(25)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이 때, 로터축(29)은 관통구멍(26)을 통과하여, 선단부(32) 및 기단부(31)의 일부가 댐퍼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기단부(31)의 외주면이 관통구멍(26)의 구멍 벽에 대향된다.
로터축(29)의 기단부(31)와 관통구멍(26) 사이에는, 가요성을 갖는 O링(34)이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다. O링(34)은 로터축(29)과 관통구멍(26)의 틈새를 씰링하여, 댐퍼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이라고 하는 점성 유체가 관통구멍(26)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회전댐퍼(2)는, 로터(12)가 댐퍼 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할 때에, 점성 유체의 유동 저항에 의해 로터(12)에 회전 저항을 준다(회전을 감쇠한다). 회전댐퍼(2)의 회전 저항은 점성 유체의 점도나 로터(12)의 형상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3)는 로터축(29)에 결합되어, 로터축(29)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내측부재(35)와, 내측부재(35)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외측부재(36)와, 내측부재(35)와 외측부재(36)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 한쌍의 유성기어(37)를 갖고 있다. 내측부재(35), 외측부재(36) 및 유성기어(37)는 각각 수지 재료 형성되어 있다.
내측부재(35)는 일단에 바닥판(41)을 갖는 한편, 타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이룬다. 바닥판(41)의 하면의 중심부에는, 바닥판(41)과 동축으로 되는 원기둥형상의 지지축(4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41) 및 지지축(42)의 중심부에는, 양쪽의 축선을 따라 일체로 관통하는 삽입통과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43)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판(41)의 상면에는, 삽입통과구멍(43)의 서로 대향하는 1조(組)의 대변의 각각을 따라 규제벽(44)이 위쪽으로 입설되어 있다. 규제벽(44)의 측단은 삽입통과구멍(43)의 일변(一邊)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규제벽(44)의 양측단에 연속하는 제1 벽(45) 및 제2 벽(46)은 내측부재(3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이들 규제벽(44), 제1 벽(45) 및 제2 벽(46)에 의해 직경 방향 바깥으로 향하여 개구된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47) 사이에서, 한쪽의 오목부(47)의 제1 벽(45)과, 다른 쪽의 오목부(47)의 제2 벽(46)은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호벽(48)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목부(4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간격으로 내측부재(35)의 측둘레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벽(45) 및 제2 벽(46)은 각각 규제벽(44)에 매끄럽게 연속되며, 오목부(47)의 측면의 측면을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1 벽(45)은 내측부재(3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원호벽(48)의 외주면을 바깥에서 삽입한 호(弧) 위까지 연장하고 있다. 한편, 제2 벽(46)은 제1 벽(45)에 비하여, 내측부재(35)의 직경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약 절반 정도로 짧고, 연장된 단부에 각부(角部)(49)를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벽(44), 제1 벽(45) 및 제2 벽(46)의 상단끼리는 천정벽(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오목부(47)의 상단은 천정벽(50)에 의해 봉지(封止)되어 있다. 한쌍의 원호벽(48)의 상단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내측부재(35)는 시점을 바꾸어 보면, 바닥판(41), 규제벽(44), 제1 벽(45), 제2 벽(46) 및 원호벽(48)에 의해 구성된,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는 내부공간(55)을 갖고 있다. 내부공간(55)은 삽입통과구멍(43)에 연통되어 있다.
외측부재(36)는 원통형상의 측둘레벽(61)과 측둘레벽(61)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상의 바닥판(62)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 부재이다. 측둘레벽(61)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측 기어로 이루어지는 내치차(63)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외측 기어로 이루어지는 외치차(外齒車)(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둘레벽(61)의 개구단(바닥판(62)이 설치된 측과 다른 단부)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환형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62)의 중심에는, 내측부재(35)의 지지축(42)이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통과 가능한 단면 원형상의 관통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부재(36)는 측둘레벽(61) 및 바닥판(62)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에 내측부재(35)를 수용한다. 이 때, 내측부재(35)의 지지축(42)은 외측부재(36)의 관통구멍(66)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삽입 통과되어, 돌기부(52)가 걸림홈(65)에 끼워 맞추어진다. 돌기부(52)는 걸림홈(65) 안을 걸림홈(6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외측부재(36)는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외측부재(36)의 내치차(63)는 내측부재(35)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유성기어(37)의 각각은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평치차이며, 축선이 내측부재(35) 및 외측부재(36)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각 오목부(47)에 수용되어 있다. 유성기어(37)는 오목부(47)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부재(36)의 내치차(63)에 맞물려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원웨이 클러치(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면,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정방향(반시계회전)으로 회전할 때에는, 외측부재(36)의 내치차(63)에 의해 회전되는 유성기어(37)는 오목부(47)를 제1 벽(45)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유성기어(37)는 제1 벽(45)에 맞닿음으로써, 제1 벽(45)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제1 벽(45)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공전(空轉)한다. 제1 벽(45)은 내측부재(3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비교적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기어(37)는 제1 벽(45)과 원호벽(48)과의 경계부에 맞물리는 일 없이 제1 벽(45) 위를 원활히 공전한다. 그 때문에, 외측부재(36)가 회전해도 내측부재(35)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부(負)방향(시계회전)으로 회전할 때에는, 외측부재(36)의 내치차(63)에 의해 회전된 유성기어(37)는 제2 벽(46)측으로 이동하여 제2 벽(46)의 각부(49)와 맞물려,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측부재(35)는 유성기어(37)를 통하여 외측부재(36)에 결합되고, 외측부재(36)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원웨이 클러치(3)는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정(正)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할 때에는, 내측부재(35) 및 외측부재(36)는 상대 회전할 수 있고,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할 때에는, 내측부재(35) 및 외측부재(36)가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댐퍼(2)와 원웨이 클러치(3)와의 결합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댐퍼(2)의 로터축(29)의 선단부(32)를, 원웨이 클러치(3)의 내측부재(35)의 삽입통과구멍(43)을 통과시켜, 내부공간(55) 안으로 돌출시킨다. 선단부(32) 및 삽입통과구멍(43)은 모두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축(29)과 내측부재(35)는 로터축(29)의 축선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된 압압편(80)을 사용하여, 로터축(29)의 선단부(32)를 변형시킨다. 압압편(80)은 내측부재(35)의 내부공간(55)에 돌입(突入) 가능한 금속제의 봉상(棒狀)부재이며, 그 선단에 한쌍의 돌기(81)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돌기(81)는 선단부(32)의 서로 대향하는 대변에 대향 가능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압압편(80)은 선단부(32)를 변형 가능한 온도로 승온(昇溫)한 후에, 선단부(32)의 규제벽(44)에 대향하지 않는 한쌍의 대변에 한쌍의 돌기(81)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로터축(29)의 축선 방향에서 선단부(32)에 압착시킨다. 이에 의해, 선단부(32)는 돌기(81)에 가열됨과 함께 압압되어, 변형된다. 이 때, 선단부(32)의 양 옆에는, 규제벽(44)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가요성이 높아진 부분은 돌기(81)에 압압되어 로터축(29)의 직경 방향으로서 규제벽(44)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볼록부(71)를 형성한다. 즉, 한쌍의 규제벽(44)은 볼록부(71)의 돌출 방향을 안내한다. 이상의 형성 방법에 의해, 볼록부(71)는 로터축(29)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2개 형성된다. 각 볼록부(71)는 삽입통과구멍(43)의 주연부에 결합되어, 로터축(29)의 삽입통과구멍(43)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회전댐퍼(2)와 원웨이 클러치(3)가 결합되어 회전댐퍼장치(1)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회전댐퍼장치(1)에서는, 댐퍼 하우징(11)을 고정한 상태에서,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외측부재(36)가 회전해도 내측부재(35)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댐퍼(2)에 의한 회전 저항(감쇠력)은 발생하지 않지만, 내측부재(35)에 대하여 외측부재(36)가 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외측부재(36)와 함께 내측부재(35) 및 로터축(29)이 회전하여, 회전댐퍼(2)에 의한 회전 저항(감쇠력)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댐퍼(2)와 원웨이 클러치(3)와의 결합 구조에서는, 로터축(29)의 서로 대향하는 대변 부분만을 가열 변형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압압편(80)의 압압력 및 가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규제벽(44)에 의해, 볼록부(71)의 돌출 방향을 일부에 규제하였기 때문에, 볼록부(71)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볼록부(71)의 형성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댐퍼장치(1)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회전댐퍼장치(1)는 예를 들면, 컵 홀더 등의 덮개부착 상자(90)에 사용된다. 덮개부착 상자(90)는 위쪽 개구의 상자(91)와, 상자(91)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평판 모양의 덮개(92)를 갖고 있다. 덮개(92)는 그 측변부에 주면(主面)에 대하여 수직하게 입설된 부채형의 귀부(耳部)(93)를 갖고, 귀부(93)에 설치된 축(94)에 의해 상자(91)의 측벽(9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귀부(93)의 호형상의 주연부에는, 래크(rack)(9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덮개부착 상자(90)에는, 덮개(92)가 개구를 폐색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lock)장치와 덮개(92)가 개루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밀어붙이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댐퍼장치(1)는 상자(91)의 측벽(95)에 형성된 관통구멍인 장착구멍(98)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구멍(98)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형상의 주부(主部)와, 주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절결된 2개의 절결부를 갖고 있다. 2개의 절결부는 주부의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댐퍼장치(1)는 장착구멍(98)의 주부에 삽입된다. 이 때, 턱부(21)가 장착구멍(98)의 둘레 가장자리에 결합됨과 함께, 탄성걸림돌기(22)가 장착구멍(98)의 절결부에 결합되어 회전댐퍼장치(1)는 장착구멍(98)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댐퍼장치(1)의 외측부재(36)의 외치차(64)는 래크(96)에 맞물린다.
이상과 같이 회전댐퍼장치(1)를 덮개부착 상자(90)에 적용한 경우에는, 덮개(92)가 스프링에 밀어붙이는 힘을 받아 개방할 때에는, 래크(96)에 의해 외측부재(36)가 부방향으로 회전하고, 내측부재(35) 및 로터축(29)가 함께 회전하고, 회전댐퍼(2)가 회전 저항을 일으키게 하여, 덮개(92)의 개방 속도가 저감된다. 한편, 덮개(92)를 닫을 때에는, 래크(96)에 의해 외측부재(36)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내측부재(35) 및 로터축(29)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댐퍼(2)가 회전 저항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댐퍼(2)에 원웨이 클러치(3)를 조합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원웨이 클러치(3)를 대신하여 치차나 풀리 등의 회전부재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전부재에 삽입통과구멍(43)및 규제벽(44)를 마련하면 좋다. 또한, 규제벽(44)의 형상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면 ㄷ자 형상으로 하여 삽입통과구멍(43)의 한쪽을 남겨서 둘러싸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압압편(80)은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축(29)의 선단부(32)를 사각기둥형상으로 하고, 삽입통과구멍(43)을 사각형상으로 하였지만, 삽입통과구멍(43)을 I형이나 타원형으로 하고, 선단부(32)를 삽입통과구멍(43)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1 : 회전댐퍼장치
2 : 회전댐퍼
3 : 원웨이 클러치
11 : 댐퍼 하우징
12 : 로터
28 : 로터 날개
29 : 로터축
31 : 기단부
32 : 선단부
35 : 내측부재
36 : 외측부재
37 : 유성기어
43 : 삽입통과구멍
44 : 규제벽
45 : 제1 벽
46 : 제2 벽
47 : 오목부
48 : 원호벽
49 : 각부
50 : 천정벽
55 : 내부공간
63 : 내치차
64 : 외치차
71 : 볼록부
80 : 압압편
81 : 돌기
90 : 덮개부착 상자
91 : 상자
92 : 덮개

Claims (5)

  1.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 및 상기 로터 날개의 회전축을 따라 돌출 설치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을 구비한 로터와,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突出端)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회전댐퍼장치로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상기 댐퍼 하우징측과 상반되는 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立設)된 한쌍의 규제벽을 갖고,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가열 변형되어 상기 한쌍의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상기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내치차(內齒車)를 갖는 원통형상의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에 동축(同軸)이면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외주부에 2개의 오목부를 갖는 내측부재와, 상기 오목부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내치차에 맞물리는 유성기어를 갖고,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에 대하여 정방향(正方向)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오목부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한편,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내측부재에 대하여 부방향(負方向)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오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측에 형성된 각부(角部)에 상기 유성기어가 결합하여 상기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이며,
    상기 내측부재는 그 회전 축선을 따라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가짐과 함께, 상기 한쌍의 규제벽을 갖고, 상기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한쌍의 규제벽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상반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과구멍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규제벽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대변(對邊)을 따라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은 상기 삽입통과구멍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규제벽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열 변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장치.
  5.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 및 상기 로터 날개의 회전축을 따라 돌출 설치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을 구비한 로터와,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회전댐퍼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된 한쌍의 규제벽을 갖고,
    상기 로터축의 돌출단을, 상기 규제벽이 입설된 측과 상반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삽입통과구멍에 통과시키는 공정과,
    상기 돌출단을 가열한 압압편에 의해 압압하고, 상기 돌출단을 가열 변형시켜 상기 한쌍의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상기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7024011A 2011-03-02 2012-01-10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5380A JP5759207B2 (ja) 2011-03-02 2011-03-02 回転ダンパ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1-045380 2011-03-02
PCT/JP2012/000079 WO2012117654A1 (ja) 2011-03-02 2012-01-10 回転ダンパ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088A true KR20140012088A (ko) 2014-01-29
KR101878009B1 KR101878009B1 (ko) 2018-08-09

Family

ID=4675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011A KR101878009B1 (ko) 2011-03-02 2012-01-10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0628B2 (ko)
EP (2) EP3239554A1 (ko)
JP (1) JP5759207B2 (ko)
KR (1) KR101878009B1 (ko)
CN (2) CN103477113B (ko)
WO (1) WO20121176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42A (ko) * 2017-05-16 2018-11-26 유순기 비상계단용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진 점성유체 댐퍼
KR101976277B1 (ko) * 2017-10-27 2019-08-28 유순기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지는 타원형 하우징 점성유체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6376B2 (ja) * 2011-05-16 2015-02-12 株式会社ニフコ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US10822841B2 (en) * 2016-08-24 2020-11-03 Accurate Lock & Hardware Co. Llc Door latch with delayed return mechanism
US10945975B2 (en) * 2016-10-24 2021-03-1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Delaying latency to seizure by combinations of ketone supplements
CN110546398B (zh) * 2017-03-31 2021-06-29 株式会社利富高 单向缓冲机构
JP6837912B2 (ja) * 2017-05-19 2021-03-03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JP6920728B2 (ja) * 2017-09-14 2021-08-1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CN108050190A (zh) * 2018-01-10 2018-05-18 赣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单向阻尼器
JP7219948B2 (ja) * 2018-06-11 2023-02-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JP7133710B2 (ja) * 2019-05-28 2022-09-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JP7133709B2 (ja) * 2019-05-28 2022-09-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CN110433458B (zh) * 2019-08-17 2021-01-12 石燕芳 一种神经内科肢体康复训练装置
CN110465046B (zh) * 2019-08-17 2021-04-06 刘山平 一种脚踏式健身运动装置
CN110772758A (zh) * 2019-08-26 2020-02-11 刘山平 一种节能环保的心肺训练车
CN110670753B (zh) * 2019-09-27 2022-03-18 同济大学 一种单向无空程摩擦阻尼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184A (ja) * 2001-11-06 2003-05-14 Tokai Rubber Ind Ltd 粘性流体封入ダンパの製造方法
JP2007139083A (ja) * 2005-11-18 2007-06-07 Bando Chem Ind Ltd 揺動型減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テンショナ装置
JP2008163667A (ja) 2006-12-28 2008-07-17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JP2008240854A (ja) * 2007-03-27 2008-10-09 Nifco Inc クラッチ機構
JP2009197836A (ja) * 2008-02-19 2009-09-03 Nidec Sankyo Corp 自立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300B2 (ja) * 1990-05-18 1994-08-31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一方向ダンパ
JP2884267B2 (ja) * 1991-03-11 1999-04-19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H08247256A (ja) * 1995-03-15 1996-09-24 Zexel Corp 回転緩衝抵抗装置および差動歯車装置
CN100434745C (zh) * 2003-09-17 2008-11-19 株式会社利富高 旋转阻尼器
JP4434755B2 (ja) * 2003-09-17 2010-03-17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005172199A (ja) 2003-12-15 2005-06-30 Nifco Inc 一方向クラッチ
JP5172142B2 (ja) * 2006-03-29 2013-03-27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WO2008053570A1 (fr) * 2006-10-31 2008-05-08 Nifco Inc. Amortisseur de rotation
ITTO20070412A1 (it) * 2007-06-11 2008-12-12 Antonino Cultraro Smorzatore rotativo con innesto unidirezionale.
JP2009280171A (ja) * 2008-05-26 2009-12-03 Toyota Motor Corp 減衰力発生装置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519433B2 (ja) * 2010-01-25 2014-06-1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JP5666376B2 (ja) * 2011-05-16 2015-02-12 株式会社ニフコ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EP2776652B1 (en) * 2011-11-07 2018-08-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aligning rotary damper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184A (ja) * 2001-11-06 2003-05-14 Tokai Rubber Ind Ltd 粘性流体封入ダンパの製造方法
JP2007139083A (ja) * 2005-11-18 2007-06-07 Bando Chem Ind Ltd 揺動型減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テンショナ装置
JP2008163667A (ja) 2006-12-28 2008-07-17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JP2008240854A (ja) * 2007-03-27 2008-10-09 Nifco Inc クラッチ機構
JP2009197836A (ja) * 2008-02-19 2009-09-03 Nidec Sankyo Corp 自立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42A (ko) * 2017-05-16 2018-11-26 유순기 비상계단용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진 점성유체 댐퍼
KR101976277B1 (ko) * 2017-10-27 2019-08-28 유순기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지는 타원형 하우징 점성유체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56544A (zh) 2015-12-16
EP2682637A1 (en) 2014-01-08
CN105156544B (zh) 2017-08-29
JP5759207B2 (ja) 2015-08-05
EP3239554A1 (en) 2017-11-01
JP2012180917A (ja) 2012-09-20
EP2682637A4 (en) 2016-08-03
WO2012117654A1 (ja) 2012-09-07
US20140001007A1 (en) 2014-01-02
CN103477113A (zh) 2013-12-25
CN103477113B (zh) 2016-02-24
KR101878009B1 (ko) 2018-08-09
US9080628B2 (en) 2015-07-14
EP2682637B1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088A (ko)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66376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KR910002335B1 (ko) 회전 댐퍼
KR100625920B1 (ko)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도어 핸들
CN107084227B (zh) 扭转振动减小装置
CN102753774B (zh) 阻尼器
JP5681047B2 (ja) 回転ダンパ
EP2824356B1 (en) Rotary damper
JP6920728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KR100805165B1 (ko) 기어댐퍼
JP6560295B2 (ja) 可変トルク式のトルクヒンジ
EP2664818A1 (en) Damper device
JP2013007414A (ja) 回転ダンパ
JP2006523811A (ja) ダンパ
JP2012255516A (ja) 回転ダンパ
JP6629586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それを用いた扉制動装置
KR101643768B1 (ko) 도어 회전장치
JP6358221B2 (ja) ギア装置
JP3645669B2 (ja) 粘性ダンパー機構
JP2023045890A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
JP2009103235A (ja) ダンパー装置
JPH0510837U (ja) 回転ダンパ−装置
KR20120001670A (ko)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