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77Y1 -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 Google Patents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77Y1
KR200469477Y1 KR2020110007327U KR20110007327U KR200469477Y1 KR 200469477 Y1 KR200469477 Y1 KR 200469477Y1 KR 2020110007327 U KR2020110007327 U KR 2020110007327U KR 20110007327 U KR20110007327 U KR 20110007327U KR 200469477 Y1 KR200469477 Y1 KR 200469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water purifier
cock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94U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to KR2020110007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7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는 정수기의 냉수와 온수가 각각 저장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음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코크와, 상기 코크를 통해 음용수 출수가 제어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정수기출수장치를 보호하는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코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는 후면을 개구시키고 전면에는 설치구멍을 형성시켜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코크를 수용하면서 상기 코크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 출수 버튼이 설치구멍으로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가이드공을 형성시켜 코크와 결합된 레버의 힌지축을 인입시켜 커버와 코크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CAVER APPARATUS OF DISCHARGE FOR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 출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정수기의 코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를 장착하여 음용수 출수시 커피 등의 음식물이 코크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정수기 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환경이 급속하게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수질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하천수나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과 아울러 관공서나 학교, 직장, 가정, 음식점 등에서는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정수기를 보급,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각종 불순물을 여과시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로 각각 이동되어 냉수와 온수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의 내부에 사용자의 선택 시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환시켜 각각 저장하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내장한 함체상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에 상기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 저장된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코크에 마련된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코크로부터 물을 받아 음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정수기의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벌레들의 출입으로 인해 병원균 번식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 코크는 정수기의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이 냉수코크와 온수코크에 장착된 레버를 손으로 만지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용수 출수시 커피 등의 음식물이 코크에 묻게 되면서 오염의 원인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는 정수기의 냉수와 온수가 각각 저장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음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코크와, 상기 코크를 통해 음용수 출수가 제어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정수기출수장치를 보호하는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코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는 후면을 개구시키고 전면에는 설치구멍을 형성시켜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코크를 수용하면서 상기 코크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 출수 버튼이 설치공으로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가이드공을 형성시켜 코크와 결합된 레버의 힌지축을 인입시켜 커버와 코크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개방된 후면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인입부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내부공간의 개구된 단부의 하부에 결합홈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상기 코크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는 음용수 출수시 커피 등의 음식물이 코크에 묻게 되면서 오염되어 세균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정수기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정수기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출수장치용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정수기(10)는 전방에 인입부(12)를 홈 형태로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음용수가 충진되는 저수조(11)와, 상기 저수조(11)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인입부(12)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음용수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코크(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크(13)에는 레버(14)가 힌지 연결로 설치되어 레버(1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코크 13로 음용수 출수가 결정된다.
이렇게 케이스에 설치되는 코크(1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0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100)는 코크(13)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 (110)을 갖는다.
상기 커버(100)는 후면을 개구시키고 전면에는 설치구멍(120)을 형성시켜 커버(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코크(13)를 수용하면서 상기 코크(13)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 출수 버튼이 설치구멍(120)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 출수 버튼은 정수기(10)의 온수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온수 출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레버(14)를 회전시켜야 온수를 출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온수 출수 버튼의 누름 동작을 가능하도록 커버(100)에 설치구멍(12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가이드공(130)을 형성시켜 코크(13)와 결합된 레버(14)의 힌지축(15)을 인입시켜 커버(100)와 코크(13)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레버(14)는 코크(13)의 중앙 위치에 하향으로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코크(13)를 커버(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완전하게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커버(100)의 양측면에 가이드공(130)을 형성시키되, 상기 가이드공 (130)은 일측이 개구되어 힌지축(15)이 인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공(130)의 일측은 내부공간(110)의 개구된 단부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100)는 코크(13)와 레버(14)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코크(13)에서 레버(14)의 회동작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는 개방된 후면 단부에 걸림턱(140)을 형성시키고 인입부(12)에 형성시킨 걸림홈(12a)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인입부(12)에 커버(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인입부 (12)의 걸림홈(12a)에 커버(100)의 걸림턱(140)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인입부(12)에 커버(10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정수기 11 : 저수조
12 : 인입부 12a : 걸림홈
13 : 코크 14 : 레버
15 : 힌지축 100 : 커버
110 : 내부공간 120 : 설치구멍
130 : 가이드공 140 : 걸림턱

Claims (3)

  1. 정수기의 냉수와 온수가 각각 저장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음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코크와, 상기 코크를 통해 음용수 출수가 제어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정수기출수장치를 보호하는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코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는 후면을 개구시키고 전면에는 설치구멍을 형성시켜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코크를 수용하면서 상기 코크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 출수 버튼이 설치구멍으로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가이드공을 형성시켜 코크와 결합된 레버의 힌지축을 인입시켜 커버와 코크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출수장치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방된 후면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인입부에 형성시킨 걸림홈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공간의 개구된 단부의 하부에 결합홈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상기 코크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2020110007327U 2011-08-12 2011-08-12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200469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27U KR200469477Y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27U KR200469477Y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94U KR20130001194U (ko) 2013-02-20
KR200469477Y1 true KR200469477Y1 (ko) 2013-10-15

Family

ID=5073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327U KR200469477Y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50B1 (ko) * 2013-06-18 2014-02-11 염영철 정수기 급수 밸브용 마개
KR200486737Y1 (ko) * 2016-12-12 2018-06-26 여동엽 정수기 클린 버튼
KR102020050B1 (ko)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9B1 (ko) * 2019-09-02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3924B1 (ko) *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199A (ja) 2005-11-29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100821371B1 (ko) 2007-01-11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방치
KR100864779B1 (ko) 2007-04-09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취수부 안전장치
KR20090114711A (ko) * 2008-04-30 2009-1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199A (ja) 2005-11-29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100821371B1 (ko) 2007-01-11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방치
KR100864779B1 (ko) 2007-04-09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취수부 안전장치
KR20090114711A (ko) * 2008-04-30 2009-1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94U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477Y1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SI2009187T1 (sl) Sanitarna oprema s talnim odtokom in postopek montaže take sanitarne naprave
KR100650666B1 (ko)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08017758A3 (fr) Appareil electromenager comportant une cuve dans laquelle de l'eau est portee a ebullition et des moyens pour evacuer le tartre
NZ596076A (en) Beverage machine with retaining and actuation of hot water to capsule and opening of discharge controlled by common actuator, with capsule oriented vertically
KR102020050B1 (ko) 정수기
KR101721676B1 (ko) 필터 교체 의도를 감지하는 직수형 정수기
WO2011078604A3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GB2490811B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cological and ergonomic kettles
MX2012004262A (es) Unidad de preparacion para preparar cafe.
KR20220151141A (ko)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WO2007063502A3 (en) A tea mak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liquid collection chamber
US9845565B2 (en) Drainage device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CN2936065Y (zh) 电热水壶
KR20140096589A (ko)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
KR101732503B1 (ko) 직수형 정수기
WO2017064821A1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60036367A (ko) 직수형 정수기
KR20080102101A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200472378Y1 (ko) 스마트형 파우셋
CN202955315U (zh) 具连动闭锁开关的水龙头改良结构
KR200463619Y1 (ko) 물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용 코크
KR20160056223A (ko) 2중 필터 교체 모드의 직수형 정수기
CN208769531U (zh) 一种即热开水机的热水出水装置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