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711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711A
KR20090114711A KR1020080040489A KR20080040489A KR20090114711A KR 20090114711 A KR20090114711 A KR 20090114711A KR 1020080040489 A KR1020080040489 A KR 1020080040489A KR 20080040489 A KR20080040489 A KR 20080040489A KR 20090114711 A KR20090114711 A KR 20090114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extraction
cover
front cas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541B1 (ko
Inventor
이종한
정희도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를 추출하는 추출코크를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정수기는 추출레버가 장착된 추출코크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내부에 상기 추출코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추출코크를 내장시키며,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하여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수기에 의하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통해 추출코크를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어 추출코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추출레버를 가압토록 회동되는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할 수 있으므로, 정수의 추출 중 정수의 연속 추출이 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다.
정수기, 상부커버, 하부커버, 연속 추출

Description

정수기{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설치되어 정수가 추출되는 추출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필터와 저수탱크가 일체의 케이스 안에 설치된 카운터탑(counter top)형과, 주로 가정용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under sink)형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10)는 기본적으로 필터부(20), 필터부(20)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40) 및 추출부(60)를 포함한다.
필터부(20)는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데, 예를 들어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침강 및 여과하는 세디멘트 필터(22), 세디멘트 필터(22)를 통과한 원수로부터 염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선카본 필터(24), 선카본 필터(24)를 통과한 원수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 필터(26), 그리고 멤브레인 필터(26)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 필터(28) 등이 설치된다.
정수기에 제공되는 원수는 필터부(20), 즉 세디멘트 필터(22), 선카본 필터(24), 멤브레인 필터(26), 및 후카본 필터(28)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과 냄새 등이 제거되어 음용수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정화된다.
후카본 필터(28)을 통해 나온 정수는 저수탱크(40)에 저장되고, 저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은 추출부(60)를 통해 외부로 추출된다.
추출부(60)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수탱크(40)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추출코크(62)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저수탱크(40)의 물을 음용하고자 할 때 추출코크(62)를 통해 물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추출코크(62)에 장착된 추출레버(64)를 가압하면 추출코크(62)로부터 정수가 추출되는데, 이를 통해 정수를 정수기(10)로부터 추출한다.
그러나, 추출코크(6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속추출을 원하는 경우, 즉, 많은 양의 정수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추출레버(64)를 가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연속추출 방식은 추출레버(64)를 추출코크(62)의 상부에 위치 되도록 회동시켜 연속 추출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추출레버(64)의 회동시 추출코크(62)로부터 정수가 추출되므로 미처 사용자가 저장 용기를 추출코크(62) 아래에 위치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정수가 추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정수를 추출하는 추출코크를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정수의 연속 추출시 정수의 낙하에 의한 주변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추출레버가 장착된 추출코크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내부에 상기 추출코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추출코크를 내장시키며,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하여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커버는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부커버의 회동시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 기 전면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는 배면에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의한 충격을 완화토록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토록 상기 추출코크의 하측에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추출레버가 장착된 추출코크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하여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와 함께 상기 추출코크를 내장시키며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되, 회동된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커버와 접촉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 레버 가압시 상기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부커버의 전면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 하부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에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의 배면에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는 배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한 위치를 제한토록 형성된 제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통해 추출코크를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어 추출코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추출레버를 가압토록 회동되는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할 수 있으므로, 정수의 추출 중 정수의 연속 추출이 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의 추출 중 정수의 연속 추출이 되도록 할 수 있어 연속 추출시 정수의 낙하에 의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100)는 몸체부(120), 전면 케이스(140), 하부커버(160), 및 상부커버(180)를 포함한다.
몸체부(120)는 내부에 정수를 위한 각종 부품 및 장치, 예를 들어 다수개의 필터, 저수탱크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20)는 정화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코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추출코크(122)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출레버(124)를 구비할 수 있고, 추출레버(124)가 회동되면 저수탱크(미도시)로부터 정수가 추출코크(122)에 공급되어 정수가 추출된다.
전면 케이스(140)는 추출코크(122)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22)에 장착되는 추출코크(122)는 개구부(142)를 통해 전면 케이스(14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40)는 몸체부(120)에 결합되어 몸체부(120)와 함께 정수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전면 케이스(140)는 배면 하부에, 다시 말해 개구부(142)의 하부에 하부커버(1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44)에는 체결홀(144a)가 형성되어 하부커버(160)가 체결홀(144a)에 결합되어 회동된다.
또한,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에는, 다시 말해 체결부(144)의 상부에 하부커버(160)의 회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완충부재(14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부커버(16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완충부재(146)에 의해 전면 케이스(14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 즉 완충부재(146)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80)의 이동을 위한 안내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커버(180)는 안내부(148)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전면 케이스(140)는 완충부재(146)와 안내부(148)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한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한부재(150)에 의해 상부커버(180)의 하한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에는 상부커버(18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15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1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면 케이스(140)에 장착되는 상부커버(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돌기(15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52)에는 체결부재(102)가 결합되어 상부커버(180)가 전면 케이스(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커버(160)는 상부커버(180)과 함께 추출코크(122)를 내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커버(160)에는 추출코크(122)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160)는 상부커버(180)의 하부에서 전면 케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하여 추출레버(124)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커버(160)의 외부면 양측 하부에는 전면 케이스(140)의 체결부(144)에 형성된 체결홀(144a)에 결합되는 돌기(16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 기(164)가 체결홀(144a)에 결합되어 돌기(16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부커버(160)는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160)는 추출코크(122)의 추출레버(124)를 가압하기 위하여 회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6)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66)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커버(16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링 스프링, 코일 스프링, 와셔 스프링 등일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160)는 외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168)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68)는 탄성부재(166)의 일단을 지지하여 하부커버(160)가 회동하면 탄성부재(166)를 압축시켜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즉, 탄성부재(166)는 하부커버(160)의 돌기(164)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일단은 지지부재(168)에 지지되고, 타단은 전면 케이스(140)의 체결부(144)에 지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160)가 회동하는 경우, 타단이 체결부(144)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부재(166)의 일단이 지지부재(168)에 의해 하부커버(160)와 같이 회동되어 탄성부재(166)는 압축된다. 결국 탄성부재(166)에 복원력이 발생되고, 탄성부재(166)에 의해 하부커버(160)도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하부커버(160)를 회동시키면, 하부커버(160)에는 탄성 부재(166)에 의한 복원력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하부커버(16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 하부커버(160)는 탄성부재(16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하부커버(160)의 하부 수용부(162)에는 하부커버(160)의 회동시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70)는 하부커버(160)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하부커버(160)를 회동시키는 경우 가압부재(170)가 추출레버(124)를 가압하여 추출레버(124)를 회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170)가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경우 추출코크(122)로부터 정수가 추출된다.
또한, 하부커버(160)는 외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부재(17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72)는 하부커버(160)가 탄성부재(166)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에 지지되어 하부커버(160)가 전면 케이스(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172)는 전면 케이스(140)의 완충부재(146)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탈방지부재(172)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상부커버(180)는 하부커버(160)와 함께 추출코크(122)를 내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커버(180)에는 추출코크(122)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180)는 회동된 하부커버(160)가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면 케이스(140)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180)가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상부커버(180)는 하부커버(16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면, 상부커버(180)는 전면 케이스(140)의 개구부(142)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부커버(180)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연장부(184)에 의해 상부커버(180)는 전면 케이스(140)의 개구부(142)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용부(182)의 양측면 하부, 즉 상부커버(180)의 내부면 하부에는 걸림턱(186)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160)가 추출레버(124)를 가압하기 위하여 회동된 상태에서 상부커버(180)가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걸림턱(186)은 하부커버(160)의 전면을 지지하여 하부커버(160)가 추출레버(124)를 계속해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부커버(180)와 하부커버(160)는 앞쪽의 폭이 좁고, 뒷쪽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커버(180)와 하부커버(160)는 전면 측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160)가 회동되는 경우 하부커버(160)의 전면은 상부커버(180)의 상부 수용부(18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하부커버(160)와 상부커버(180)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커버(160)와 상부커버(180)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계속해서 하부커버(160)를 가압하지 않더라도 상부커 버(180)가 하부커버(16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정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연장부(184)는 상부커버(18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슬라이딩부(18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188)는 전면 케이스(140)의 배면에 형성되는 안내부(148)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188)는 안내부(148)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일 수 있다.
도면에는 슬라이딩부(188)가 홈이고, 안내부(148)가 돌기형상을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커버(18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부커버(180)와 전면 케이스에 LM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부커버(18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18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연장부(184)의 끝단이 전면 케이스(140)의 제한부재(150)에 도달되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상부커버(180)는 연장부(184)의 상부에 체결홈(190)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홈(190)은 전면 케이스(140)의 체결돌기(152)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체결돌기(152)에 체결부재(102)가 체결됨으로써 상부커버(180)는 전면 케이스(14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80)와 하부커버(160)가 전면 케이스(140)의 개구부(142)를 통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추출코크(122)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추출코크(12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커버(160)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부커버(180)를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하부커버(160)가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속 추출을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추출을 행할 수 있어 연속 추출시 발생되는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수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커버(180)와 하부커버(160)의 내부에 추출코크(122), 추출레버(124)가 수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하부커버(160)와 추출레버(124)는 원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다시 말해, 도 5는 사용자가 정수를 추출하기 위해 하부커버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사용자가 정수를 추출하기 위해 하부커버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수기(100)로부터 정수를 추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하부커버(160)을 가압한다. 사용자가 하부 커버(160)을 가압하면 하부커버(160)는 돌기(164)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때, 탄성부재(166)의 일단은 지지부재((168)에 지지되어 하부커버(160)와 함께 회동되며, 타단은 체결부(144)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탄성부재(166)는 압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하부커버(160)가 회동되면, 하부커버(160)의 가압부재(168)는 추출레버(124)를 가압하고, 추출레버(124)가 가압되어 회동되면 추출코크(122)로부터 정수가 추출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정수 추출이 끝나면, 사용자는 하부커버(160)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때, 하부커버(160)는 탄성부재(166)에 의해 발생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하부커버(160)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하부커버(160)는 이탈방지부재(172)를 구비하고 있어, 전면 케이스(14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160)의 복귀시 이탈방지부재(172)는 전면 케이스(140)의 완충부재(146)와 접촉되도록 회동되므로, 이탈방지부재(172)에 의해 전면 케이스(14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다시 말해, 도 7은 사용자가 정수의 연속 추출을 위해 상부커버를 하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사용자가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하기 위해 상부커버를 하부측으로 이동시켜 하부커버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커버(160)를 회동시켜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부커버(18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커버(180)의 슬라이딩부(188)는 전면 케이스(140)에 형성된 안내부(148)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커버(180)는 연장부(184)의 끝단이 전면 케이스(140)에 형성된 제한부재(150)에 접촉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부커버(180)가 제한부재(150)에 접촉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부커버(180)의 상부 수용부(182)에 형성된 걸림턱(186,도 3 참조)에 하부커버(160)의 전면이 지지되어 하부커버(160)는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한다. 즉, 하부커버(160)는 계속해서 추출레버(124)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이상 하부커버(160)를 가압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정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커버(180)를 상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하부커버(160)는 탄성부재(16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정수의 추출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수기(10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커버(180)와 하부커버(160)가 추출코크(122)를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어, 추출코크(12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커버(160)을 회 동시킨 상태에서 상부커버(180)를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하부커버(160)를 고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정수의 연속 추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추출되는 상태에서 연속 추출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주변으로 낙하되는 정수에 의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기
120 : 몸체부
140 : 전면 케이스
160 : 하부커버
180 : 상부커버

Claims (14)

  1. 추출레버가 장착된 추출코크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내부에 상기 추출코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추출코크를 내장시키며,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하여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하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부커버의 회동시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전면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는
    배면에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의한 충격을 완화토록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토록 상기 추출코크의 하측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추출레버가 장착된 추출코크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하여 상기 추출레버를 가 압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와 함께 상기 추출코크를 내장시키며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면 케이스에 설치되되, 회동된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추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커버와 접촉하는 상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시 상기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부커버의 전면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커버의 추출레버 가압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 하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의 배면에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는
    배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한 위치를 제한토록 형성된 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80040489A 2008-04-30 2008-04-30 정수기 KR10152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89A KR101527541B1 (ko) 2008-04-30 2008-04-3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89A KR101527541B1 (ko) 2008-04-30 2008-04-3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11A true KR20090114711A (ko) 2009-11-04
KR101527541B1 KR101527541B1 (ko) 2015-06-09

Family

ID=4155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489A KR101527541B1 (ko) 2008-04-30 2008-04-3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20Y1 (ko) * 2010-02-03 2011-09-14 (주)스톰테크 냉온정수기용 콕밸브 레버 스토퍼
KR101308492B1 (ko) * 2011-10-06 2013-09-17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200469477Y1 (ko) * 2011-08-12 2013-10-1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96Y1 (ko) * 1999-03-20 2001-09-25 심언국 정수기케이스의 착탈구조
KR200289034Y1 (ko) * 2002-06-20 2002-09-11 김찬구 취수부 개폐도어가 설치된 냉온정수기
KR200367974Y1 (ko) * 2004-09-01 2004-11-16 염범용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정수기 수도꼭지의 자동덮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20Y1 (ko) * 2010-02-03 2011-09-14 (주)스톰테크 냉온정수기용 콕밸브 레버 스토퍼
KR200469477Y1 (ko) * 2011-08-12 2013-10-1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101308492B1 (ko) * 2011-10-06 2013-09-17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541B1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4543A1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11845025B2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CN102160751B (zh) 饮料配制机
KR20090114711A (ko) 정수기
DE202009014339U1 (de) Wasserstopp-Struktur für einen Deckel eines Wassergefäßes
RU2343820C2 (ru)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WO2006093981A3 (en) Containment features for liquid filter arrangements; assemblies; and, methods
KR200469477Y1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KR101869389B1 (ko) 휴대용 정수기
KR100825936B1 (ko) 콕크
KR20130029258A (ko) 개수대 음식물 찌꺼기 거름망
KR101642023B1 (ko) 차량용 에어 필터
FR2802195A1 (fr) Cartouche anti-calcaire et fer a repasser a vapeur comportant une telle cartouche
CN214484112U (zh) 用于饮用容器的盖组件、饮用容器和盖组件的内部机构
KR102388165B1 (ko) 정수기 필터 결합구조
KR20090120748A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CN212941827U (zh) 一种净水器滤芯的锁止机构
KR100814088B1 (ko) 음식물쓰레기 수분제거장치
CN106277092A (zh) 一种防儿童开启净水器
CN211212659U (zh) 一种磨豆咖啡机
CN215523427U (zh) 一种油杯组件及应用有该油杯组件的吸油烟机
JP4359578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KR20130021714A (ko) 정수기
CN106310769A (zh) 一种改进型净水器
CN218528484U (zh) 容器盖及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