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29B1 -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29B1
KR101483529B1 KR20080113549A KR20080113549A KR101483529B1 KR 101483529 B1 KR101483529 B1 KR 101483529B1 KR 20080113549 A KR20080113549 A KR 20080113549A KR 20080113549 A KR20080113549 A KR 20080113549A KR 101483529 B1 KR101483529 B1 KR 10148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
water purifier
gear
driv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1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580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1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는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콕크몸체(200); 상기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2)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탱크(2)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부(300); 상기 콕크부(30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구동부(400); 및 상기 콕크부(300)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1)에 구비되는 공급조절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콕크부(300)는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를 포함하고, 상기 콕크에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일정간격 떨어지면서 다른 높이에 탈착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알맞게 정수기 콕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린이나 노인 또는 장애우들이 용이하게 정수기 콕크를 사용하여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수기, 콕크

Description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COCK FOR WATER PURIFIER WHICH IS HEIGHT ADJUSTABLE}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든 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수기에는 물을 여과시키는 복수개의 정수필터와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및 정수탱크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 콕크가 구비되어 있다. 정수기 콕크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 밸브를 열어서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컵 등으로 받아서 정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 이러한 정수기 콕크는 정수기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이었다. 따라서, 정수기 콕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수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정수기에 구비된 정수기 콕크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정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수기가 커서 정수기에 구비된 정수기 콕크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수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노약자나 장애우들은 용이하게 정수기 콕크를 통해 정수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 콕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에 알맞게 정수기 콕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어린이나 노인 또는 장애우들이 용이하게 정수기 콕크를 사용하여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기 콕크를 사용자에 알맞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는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콕크몸체;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콕크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부; 콕크부를 이동시키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콕크부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수기에 구비되는 공급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콕크부는 콕크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를 포함하고, 콕크에는 구동기어부와 구동기어부와 일정간격 떨어지면서 다른 높이에 탈착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콕크부는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온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콕크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콕크; 및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냉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콕크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콕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구동부는 콕크부에 포함되는 제1 콕크 또는 제2 콕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일측은 구동기어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제1 콕크 또는 제2 콕크에 형성된 구동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콕크 이동기어;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콕크몸체; 정수기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콕크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부; 콕크부를 이동시키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콕크부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수기에 구비되는 공급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부는 콕크부에 포함되는 제1 콕크와 제2 콕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일측은 구동기어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제1 콕크와 제2 콕크에 형성된 구동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콕크 이동기어 및, 제1 콕크와 제2 콕크에 형성된 탈착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탈착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탈착기어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콕크몸체에 구비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일측 단부는 콕크몸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탈착기어에 고정되는 지지스프링; 지지스프링의 타측 단부를 탈착기어에 고정시키도록 탈착기어에 구비되는 고정후크; 및 고정후크가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콕크몸체에 형성된 회전제한홈;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조절부는 정수탱크를 콕크부에 연결하는 연결관에 구비된 개폐밸브; 및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정수기에 구비된 제어회로기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알맞게 정수기 콕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나 노인 또는 장애우들이 용이하게 정수기 콕크를 사용하여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기 콕크를 사용자에 알맞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100)는 콕크몸체(200)와,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콕크부(300), 콕크부(3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00) 및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급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콕크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수기(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콕크몸체(200)가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방법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등 콕크몸체(200)를 정수기(1) 내에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콕크몸체(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100)의 콕크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2)에 연결되어 정수탱크(2)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콕크부(300)는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콕크부(300)는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콕 크(310)와 제2 콕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콕크(310)는 사용자에게 온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에 내에 구비되는 온정수탱크(3)에 연결관(5)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콕크(320)는 사용자에게 냉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냉정수탱크(4)에 연결관(6)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4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에는 온정수가 유동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313)와 배출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콕크(320)에도 냉정수가 유동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323)와 배출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는 도3 내지 도5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콕크몸체(200)에는 제1 가이드홈(210)이 형성되어 이에 제1 콕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홈(220)이 형성되어 이에 제2 콕크(3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 각각의 일측면에는 도4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기어부(311,3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가 구동부(400)에 포함된 하나의 구동모터(410)에 의해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를 위해서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콕크(310)와 제2콕크(320) 각각에 탈착기어부(312,3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착기어부(312,321)는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 각각의 구동기어부(311,321)와 일정간격 떨어지면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콕크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400)가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구동부(400)에 의해서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를 각각 이동시킬 수도 있고,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400)에 의해서 제1콕크(310)와 제2 콕크(32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동부(400)에 의해서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를 각각 이동시키는 경우에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구동기어(420) 및 콕크 이동기어(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20)는 구동모터(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콕크 이동기어(430)는 일측은 구동기어(420)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에 형성된 구동기어부(311,321)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기어(420)가 회전하고 구동기어(420)의 회전으로 콕크 이동기어(430)가 회전하여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가 이동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400)에 의해서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구동기어(420), 콕크 이동기어(430) 및 탈착기어(4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20)는 구동모터(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콕크 이동기어(430)는 일측은 구동기어(420)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에 형성된 구동기어부(311,321)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탈착기어(440)가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에 형성된 탈착기어부(312,322)에 맞물리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가 모두 상승위치에 있으면,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의 구동기어부(311,321)의 일측 단부에는 콕크 이동기어(430)가 맞물리고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의 탈착기어부(312,322)의 일측 단부에는 탈착기어(440)가 맞물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410)를 구동시켜서 콕크 이동기어(430)를 회전시키면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 중 하나가 하강하게 된다. 예컨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가 하강하게 되면 제2 콕크(320)는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의 구동기어부(311)는 콕크 이동기어(430)와 완전히 맞물리게 되고 탈착기어부(312)는 탈착기어(440)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한, 제2 콕크(320)의 구동기어부(321)는 콕크 이동기어(430)에서 벗어나게 되고 탈착기어부(322)는 탈착기어(440)와 완전히 맞물리게 된다. 즉, 콕크 이동기어(430)는 제1 콕크(310)의 구동기어부(311)에만 맞물리게 되고, 탈착기어(440)는 제2 콕크(320)의 탈착기어부(322)에만 맞물리게 된다. 한편, 탈착기어(440)는 콕크 이동기어(430)와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 하는 콕크 이동기어(430)에 의해서 이에 구동기어부(311)가 맞물려 있는 제1 콕크(310)만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콕크(310)를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콕크(32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서 제1 콕크(310)의 구동기어부(311)와 맞물려 있는 콕크 이동기어(430)를 회전시켜서 제1 콕크(310)를 상승시킨다. 제1 콕크(310)를 상승시키면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콕크(310)의 탈착기어부(312)가 탈착기어(440)와 맞물리면서 탈착기어(4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기어(440)와 맞물려 있는 제2 콕크(320)가 하강하게 되어 제2 콕크(320)의 구동기어부(321)가 콕크 이동기어(430)에 맞물리게 된다. 한편, 콕크 이동기어(430)는 제1 콕크(31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콕크 이동기어(430)에 구동기어부(321)가 맞물린 제2 콕크(320)는 하강하게 된다. 제2 콕크(320)가 하강하면 제2 콕크(320)의 탈착기어부(322)는 탈착기어(440)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편, 상승하는 제1 콕크(310)의 탈착기어부(312)가 탈착기어(440)와 완전히 맞물리게 되면서 제1 콕크(310)의 구동기어부(311)는 콕크 이동기어(430)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콕크 이동기어(430)는 제2 콕크(320)의 구동기어부(321)에만 맞물리게 되고 탈착기어(440)는 제1 콕크(310)의 탈착기어부(312)에만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콕크 이동기어(430)에 의해서 이에 구동기어부(321)가 맞물려 있는 제2 콕크(320)만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콕크(320)를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400)에 의해서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구동부(400)는 회전제한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제한수단(450)은 탈착기어(440)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콕크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제한수단(45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스프링(451)과 고정후크(452) 및 회전제한홈(45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스프링(451)의 일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콕크몸체(20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탈착기어(44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스프링(451)의 타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기어(440)에 구비될 수 있는 고정후크(452)에 의해서 탈착기어(4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후크(452)가 삽입되어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제한홈(453)이 콕크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제한홈(453)은 고정후크(452)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고정후크(452)가 회전제한홈(453)에 삽입되어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기 때문에, 고정후크(452)가 구비된 탈착기어(440) 역시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제한홈(453)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후크(452)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탈착기어(440)의 회전범위가 탈착기어(440)에 구비된 고정후크(452)와 고정후크(452)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회전제한홈(453)에 의해서 제한된다. 따라서, 그 구동기어부(311,321)가 콕크 이동기어(430)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 에 있는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의 자중에 의해서 탈착기어(440)가 회전하여,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스프링(451)의 일측 단부는 콕크몸체(20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후크(45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스프링(451)의 장력에 의해서 또한 탈착기어(440)를 지지하기 때문에, 그 구동기어부(311,321)가 콕크 이동기어(430)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 있는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의 자중에 의해서 탈착기어(440)가 회전하여,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가 하강하는 것을 또한 방지하게 된다.
공급조절부(5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510)와 제어회로기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밸브(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2)를 콕크부(300)에 연결하는 연결관(5,6)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기판(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에 구비될 수 있어서 개폐밸브(5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회로기판(520)에는 배출버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출버튼(600)을 누르면 개폐밸브(510)가 열려서 온정수 또는 냉정수가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의 배출구(314,32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기판(520)에는 구동모터(410)와 이동버튼(7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버튼(700)을 눌러서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를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100)의 일실시예의 작동 을 설명한다. 온정수가 필요한 사용자는 이동버튼(700)을 눌러서 온정수탱크(3)와 연결된 제1 콕크(310)를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이동시킨다. 이후, 배출버튼(600)을 눌러서 제1 콕크(310)의 배출구(314)를 통해 온정수가 배출되게 하여 온정수를 컵 등으로 받는다. 한편, 냉정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콕크(310)를 상승시켜서 전술된 바와 같이 탈착기어(440)에 의해서 제1 콕크(310)의 구동기어부(311)가 맞물렸던 콕크 이동기어(430)에 제2 콕크(320)의 구동기어부(321)가 맞물리도록 한다. 이후, 이동버튼(700)을 눌러서 냉정수탱크(4)와 연결된 제2 콕크(320)를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배출버튼(600)을 눌러서 제2 콕크(320)의 배출구(324)를 통해 냉정수가 배출되게 하여 냉정수를 컵 등으로 받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100)를 정수기(1)에 사용하면, 사용자에 알맞게 정수기 콕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인 또는 장애우들이 용이하게 정수기 콕크(100)를 사용하여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배면사시도이다.
도7은 도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a 내지 도8f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기 2 : 정수탱크
3 : 온정수탱크 4 : 냉정수탱크
5,6 : 연결관 100 : 정수기 콕크
200 : 콕크몸체 210 : 제1 가이드홈
220 : 제2 가이드홈 230 : 커버
300 : 콕크부 310 : 제1 콕크
311,321 : 구동기어부 312,322 : 탈착기어부
313,323 : 유로 314,324 : 배출구
320 : 제2 콕크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구동기어
430 : 콕크 이동기어 440 : 탈착기어
450 : 회전제한수단 451 : 지지스프링
452 : 고정후크 453 : 회전제한홈
500 : 공급조절부 510 : 개폐밸브
520 : 제어회로기판 600 : 배출버튼
700 : 이동버튼

Claims (9)

  1.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콕크몸체(200);
    상기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2)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탱크(2)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부(300);
    상기 콕크부(30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구동부(400); 및
    상기 콕크부(300)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1)에 구비되는 공급조절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콕크부(300)는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를 포함하고, 상기 콕크에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일정간격 떨어지면서 다른 높이에 탈착기어부가 형성된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크부(300)는
    상기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온정수탱크(3)에 연결되고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콕크(310); 및
    상기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냉정수탱크(4)에 연결되고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콕크(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콕크부(300)에 포함되는 제1 콕크(310) 또는 제2 콕크(32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410);
    상기 구동모터(410)에 연결되는 구동기어(420); 및
    일측은 상기 구동기어(420)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상기 제1 콕크(310) 또는 상기 제2 콕크(320)에 형성된 상기 구동기어부(311,321)에 맞물리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콕크 이동기어(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6.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콕크몸체(200);
    상기 정수기(1) 내에 구비되는 정수탱크(2)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탱크(2)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콕크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콕크부(300);
    상기 콕크부(30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구동부(400); 및
    상기 콕크부(300)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1)에 구비되는 공급조절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콕크부(300)에 포함되는 제1 콕크(310)와 제2 콕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410), 상기 구동모터(410)에 연결되는 구동기어(420), 일측은 상기 구동기어(420)에 맞물리며 다른 측은 상기 제1 콕크(310)와 상기 제2 콕크(320)에 형성된 구동기어부(311,321)에 맞물리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콕크 이동기어(430) 및, 상기 제1 콕크(310)와 상기 제2 콕크(320)에 형성된 탈착기어부(312,322)에 맞물리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탈착기어(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탈착기어(440)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구비되는 회전제한수단(4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450)은
    일측 단부는 상기 콕크몸체(20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탈착기어(440)에 고정되는 지지스프링(451);
    상기 지지스프링(451)의 타측 단부를 상기 탈착기어(44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탈착기어(440)에 구비되는 고정후크(452); 및
    상기 고정후크(452)가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상기 콕크몸체(200)에 형성된 회전제한홈(4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절부(500)는
    상기 정수탱크(2)를 상기 콕크부(300)에 연결하는 연결관(5,6)에 구비된 개폐밸브(510); 및
    상기 개폐밸브(51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수기(1)에 구비된 제어회로기판(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20080113549A 2008-11-14 2008-11-14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10148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3549A KR101483529B1 (ko) 2008-11-14 2008-11-14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3549A KR101483529B1 (ko) 2008-11-14 2008-11-14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580A KR20100054580A (ko) 2010-05-25
KR101483529B1 true KR101483529B1 (ko) 2015-01-16

Family

ID=4227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3549A KR101483529B1 (ko) 2008-11-14 2008-11-14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463B2 (en) * 2019-04-23 2022-03-15 Lg Electronics Inc. Water ejec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425745B1 (ko) * 2017-03-30 2022-07-28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KR101948726B1 (ko) 2017-07-13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45245A (ko) * 2017-07-20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30B1 (ko) * 2017-08-2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2B1 (ko) 2017-08-30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07820B1 (ko) * 2018-01-05 2018-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50B1 (ko)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71283B1 (ko) * 2018-05-28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374449B1 (ko) * 2018-11-19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579B1 (ko)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28981B1 (ko) * 2018-11-19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8549B1 (ko) * 2019-04-11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68226B1 (ko) * 2019-04-11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124136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102295444B1 (ko) 2019-04-23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29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5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3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2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0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4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102111593B1 (ko) * 2019-07-23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30507B1 (ko) * 2019-08-19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1819B1 (ko) * 2019-09-02 2020-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9B1 (ko) * 2019-09-02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32820B1 (ko) * 2020-05-06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3924B1 (ko) *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328859B1 (ko) * 2020-06-22 202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94563B1 (ko) * 2020-06-25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2873B1 (ko) * 2020-06-25 202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12050B1 (ko) * 2020-12-16 202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737U (ko) * 1997-07-29 1999-02-25 배순훈 위치가변형 콕크높이조절구조
KR200327554Y1 (ko) 2003-04-25 2003-09-26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0376768Y1 (ko) *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200434024Y1 (ko) 2006-09-28 2006-12-14 (주)원봉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737U (ko) * 1997-07-29 1999-02-25 배순훈 위치가변형 콕크높이조절구조
KR200327554Y1 (ko) 2003-04-25 2003-09-26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0376768Y1 (ko) *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200434024Y1 (ko) 2006-09-28 2006-12-14 (주)원봉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463B2 (en) * 2019-04-23 2022-03-15 Lg Electronics Inc. Water ej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580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529B1 (ko)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101818390B1 (ko) 정수기
CN110352174A (zh) 净水器
US11186475B2 (en) Liquid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040861B (zh) 净水器
US20040124548A1 (en) Carbonation system and method
EP2690328A1 (en) Single-lever mixing faucet
WO2005073124A3 (en)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a refrigerator
JP2023553639A (ja) 浄水器
CN109422312B (zh) 净水器
KR2012007028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KR101948704B1 (ko) 정수기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20220044712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0948A (ko) 정수기
KR20130112400A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JP5339558B2 (ja) 浄水器
CN214087778U (zh) 一种快速滤水净水壶
KR10187621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JPH081492U (ja) 浄水器
CN214534625U (zh) 废水阀及净水设备
CN211486806U (zh) 电磁阀滤清器
EP3693075A1 (en) Pressure relief cover assembly
CA2625560A1 (en) Odor air clean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