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286A -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286A
KR20120070286A KR1020100131785A KR20100131785A KR20120070286A KR 20120070286 A KR20120070286 A KR 20120070286A KR 1020100131785 A KR1020100131785 A KR 1020100131785A KR 20100131785 A KR20100131785 A KR 20100131785A KR 20120070286 A KR20120070286 A KR 20120070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extraction
link
extraction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286A/ko
Publication of KR2012007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코크나 파우셋과 같은 출수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는 수처리 장치의 출수라인과 연결되어 취수시 음용수를 배출하는 출수부재; 상기 출수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수부재와 연결되며, 링크구조를 갖는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된 물을 여과하거나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수처리부; 및 상기 수처리부의 출수라인과 연결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간단한 구조의 링크방식으로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출수부재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므로 출수부재의 이동을 위한 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COCK ASSEMBLY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용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장치에서 코크나 파우셋과 같은 출수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사용하여 출수부재의 높이를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수도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수도물을 필터시스템을 통하여 여과하여 사용하는 정수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온수나 냉수, 또는 이온수와 같은 기능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온도조절기능이나 기능수 제공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생수통으로부터 생수를 공급받아 냉수나 온수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수기, 온수기 등의 수처리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코크나 파우셋과 같은 출수부재가 구비된다.
그러나, 통상의 수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출수부재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페트병이나 주전자와 같이 길이가 긴 용기에 정수를 받기 위해서는 용기를 기울여서 받아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높은 위치에 있는 출수부재의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54580호(명칭: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에 개시된 바와 같이, 랙과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코크의 높이를 조절하는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인의 상기 공개특허는 추출버튼(60)의 조작에 의해 정수를 배출하며 코크몸체(20) 안에서 이동하는 코크부(30)와, 상기 코크부(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하며, 제어부(50)가 높이조절버튼(70)의 조작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부(40)에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구동부(4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부(30)는 각각 랙(rack)(35,36)이 형성된 제1 코크(31)와 제2 코크(32)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40)는 구동모터(41)와 연결된 구동기어(42)와,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42)와 기어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랙(35,36)과 기어결합되는 코크 이동기어(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크(31,32)는 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하여 코크 이동기어(43)가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랙(35,36)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코크(31,32)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코크(31,32)에 직접 랙(35,36)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코크(31,32)의 제작이 어렵게 된다.
특히, 상기 공개특허는 코크(31,32) 및 랙(35,36)의 길이가 코크(31,32)의 이동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코크(31,3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코크몸체(20)의 부피도 커지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31,32)의 상부에는 탱크(12)가 설치되고 상방에 설치된 코크(31,3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공개특허와 같이 코크몸체(20) 및 구동부(40)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탱크(12)의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즉, 정수기(10)의 상부에는 탱크(12)가 설치되므로 하우징(11) 내부에 큰 부피를 갖는 코크몸체(20) 및 구동부(40)의 장착으로 인하여 탱크(12)의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기어결합을 통하여 코크(31,32)를 구동시키므로 기어 맞물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출수부재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출수부재 높이의 조절을 위한 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동하는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출수부재의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로 인하여 감전이나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의 출수라인과 연결되어 취수시 음용수를 배출하는 출수부재; 상기 출수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수부재와 연결되며, 링크구조를 갖는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출수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3 링크부재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이동안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안내부재는 상기 출수부재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수부재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출수부재의 좌우측을 많이 벗어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 수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차단판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된 물을 여과하거나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수처리부; 및 상기 수처리부의 출수라인과 연결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술한 출수부재 조립체;를 포함하는, 출수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의 구동부재 및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하부를 막는 차단판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처리 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재 및 링크형 동력전달부재의 설치로 인하여 탱크의 용량이 영향받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출수부재보다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출수부재는 상기 구동부재보다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간단한 구조의 링크방식으로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출수부재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므로 출수부재의 이동을 위한 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재 및 이에 연결된 링크형 동력전달부재가 출수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출수부재가 상기 구동부재보다 상측에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출수부재 상측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45)의 용량이 출수부재 조립체의 설치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를 통하여 출수부재의 상하 높이조절을 수행하므로 기어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소음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안내부재를 출수부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출수부재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부재에 차단판이 구비되어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게 되므로 먼지나 출수부재로부터 추출된 물이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 인하여 화재나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정수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수기의 코크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수부재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출수부재 조립체만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출수부재 조립체만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a)는 출수부재가 최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9(b)는 출수부재가 도 9(a)의 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수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된 물을 여과하거나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수처리부(220)와, 상기 수처리부(220)의 출수라인(225)과 연결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출수부재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처리부(220)는 수도전 등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230)와, 상기 필터부(230)에서 여과된 정수의 온도를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온도변화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처리부(220)의 출수라인(225)은 출수부재(1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취수요구가 있을 때 정수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변화부(240)는 냉수탱크나 온수탱크와 연계되어 상온의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거나 냉각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상기 온도변화부(240)는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직접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순간가열식 또는 순간냉각식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온도변화부(240)에 온수탱크나 냉수탱크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생수통 등을 이용하여 생수를 공급하는 수처리 장치(100)의 경우, 수처리부(220)에 필터부(230)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출수부재 조립체(100)는 하우징(210)의 전면에 설치되며 기계식 밸브 또는 전자식 밸브로 이루어진 출수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정수탱크, 냉수탱크, 온수탱크와 같은 저장탱크(245)에 수용된 정수는 사용자의 출수요구가 있을 때 내부에 수용된 물을 수두차를 이용하여 출수부재(110)에 공급하므로 출수부재(1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출수부재 조립체(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100)는 출수부재(110)와, 상기 출수부재(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와,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의 구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수부재(110)는 일측이 수처리부(220)의 출수라인(225)과 연결되도록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며 타측이 하우징(210)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출수를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출수부재(110)는 하우징(2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부(211)를 통하여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출수부재(110)는 기계식 밸브 또는 전자식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기계식 밸브로 이루어진 출수부재(110)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출수부재(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상기 출수부재(1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개구부(211)를 관통하는 수평관(111)과, 상기 수평관(111)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수직관(11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관(112) 또는 수평관(111)을 개폐하기 위해 작동하는 출수레버(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관(111)은 플렉서블 관을 통하여 수처리부(220)의 출수라인(225)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20)는 상기 출수부재(110)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재(120)는 스테핑모터와 같은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전면에 설치된 조절버튼(250)의 조작에 의해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는 링크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구동부재(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수부재(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20) 및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저장탱크(245)의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상기 출수부재(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이러한 링크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부재(120)의 회전축(121)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131)와, 상기 제1 링크부재(1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링크부재(133)와, 상기 제2 링크부재(133)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3 링크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부재(131)와 제2 링크부재(133)는 제1 링크절(13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133)와 제3 링크부재(135)는 제2 링크절(13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부재(135)는 출수부재(110)의 후방에 구성된 브라켓(114)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120)의 구동에 의해 제3 링크부재(1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3 링크부재(135)와 결합된 출수부재(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는 상기 제3 링크부재(135)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출수부재(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36)는 제3 링크부재(135)의 홈(135a)에 끼워지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3 링크부재(135)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출수부재(1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이동안내부재(136)는 상기 출수부재(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는 상기 이동안내부재(136)의 하측을 연결하는 장착판(137)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장착판(137)에는 구동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부재(11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재(120) 및 이에 연결된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가 출수부재(1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출수부재(110)가 상기 구동부재(120)보다 상측에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출수부재(110) 상측에 설치되는 탱크의 용량이 출수부재 조립체(100)의 설치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10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9(a)는 출수부재(110)가 하우징(210)의 상부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b)는 출수부재(110)가 하우징(210)의 하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재(110)의 충분한 이동거리를 확보하면서도 동력전달부재(130)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출수부재(110)가 하우징(210)의 상부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링크부재(131)와 제2 링크부재(133)가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조절버튼(도 3의 250)을 통해 출수부재(110)의 하측방향 이동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20)의 회동에 의해 제1 링크부재(131) 및 이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133)가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3 링크부재(135) 및 이에 연결된 출수부재(110)는 이동안내부재(136)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가 상기 출수부재(110)의 좌우측을 많이 벗어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링크부재(131)의 길이는 상기 제2 링크부재(133)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링크부재(13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제1 링크부재(131)의 회동시 제1 링크절(132)이 이동안내부재(136)의 바깥쪽 방향으로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인접하여 배치된 추출부재 조립체(100)나 다른 부품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링크부재(131)의 길이는 상기 제2 링크부재(133)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의 상태에서 출수부재(1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버튼(도 3의 250)을 통해 상측방향의 이동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부재(1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출수부재(1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100)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는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를 통하여 출수부재(110)의 상하 높이조절을 수행하므로 기어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소음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하던 출수부재(11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출수부재(110)의 후방에 링크형 동력전달부재(130) 및 구동부재(120)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랙의 형성을 위해 출수부재(110)의 크기가 증가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출수부재(110)의 이동을 위한 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수부재 조립체(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에 도시된 출수부재 조립체(100)는 차단판(115)이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출수부재 조립체(100)와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출수부재 조립체(100)의 상하이동을 위하여 하우징(210)에 개구부(211)가 형성되므로 출수부재(110)에서 추출되는 물 등이 이러한 개구부(211)를 통하여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210) 내부로 침투한 물은 각종 전기장치와 접촉하는 경우 누전이 발생하여 화재나 감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출수부재(110)에 개구부(211)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판(1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판(115)은 상기 출수부재(110)의 수평관(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211)에 대응하는 하우징(210)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출수부재(110)에서 추출된 물이 상기 개구부(211)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차단판(115)은 출수부재(110)보다 낮은 쪽에 위치하는 개구부(211)의 하부를 막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출수부재 조립체 110... 출수부재
111... 수평관 112... 수직관
113... 출수레버 115... 차단판
120... 구동부재 130... 링크형 동력전달부재
131... 제1 링크부재 133... 제2 링크부재
135... 제3 링크부재 136... 이동안내부재
200... 수처리 장치 210... 하우징
211... 개구부 220... 수처리부
230... 필터부 240... 온도변화부
245... 저장탱크 250... 조절버튼

Claims (10)

  1. 수처리 장치의 출수라인과 연결되어 취수시 음용수를 배출하는 출수부재;
    상기 출수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수부재와 연결되며, 링크구조를 갖는 링크형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출수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3 링크부재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출수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재는 상기 출수부재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 수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차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재 조립체.
  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된 물을 여과하거나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수처리부; 및
    상기 수처리부의 출수라인과 연결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출수부재 조립체;
    를 포함하는, 출수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재 조립체의 구동부재 및 링크형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출수부재보다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출수부재는 상기 구동부재보다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하부를 막는 차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KR1020100131785A 2010-12-21 2010-1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KR20120070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785A KR20120070286A (ko) 2010-12-21 2010-1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785A KR20120070286A (ko) 2010-12-21 2010-1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86A true KR20120070286A (ko) 2012-06-29

Family

ID=4668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785A KR20120070286A (ko) 2010-12-21 2010-1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2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107A (ko) * 2012-09-06 2014-03-14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의 이동구조
KR101876213B1 (ko) * 2011-04-22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WO2018199533A1 (ko) * 2017-04-24 2018-11-01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KR101970433B1 (ko) * 2018-02-22 2019-04-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20200077243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13B1 (ko) * 2011-04-22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KR20140032107A (ko) * 2012-09-06 2014-03-14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의 이동구조
WO2018199533A1 (ko) * 2017-04-24 2018-11-01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CN110536859A (zh) * 2017-04-24 2019-12-03 豪威株式会社 排水装置
EP3613701A4 (en) * 2017-04-24 2020-04-15 Coway Co., Ltd. WATER DISTRIBUTION DEVICE
US11370647B2 (en) 2017-04-24 2022-06-28 Coway Co., Ltd Water discharge device
KR101970433B1 (ko) * 2018-02-22 2019-04-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20200077243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028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KR101483529B1 (ko)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US20150322651A1 (en) Sanitary fitting
CN101068990B (zh) 人体局部洗净装置
JP2007225252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KR100581205B1 (ko)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KR20120110736A (ko) 순환 펌프가 냉수 탱크에 수납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080091641A (ko) 정수기의 취수부 안전장치
KR102394470B1 (ko)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CN105026303A (zh) 饮水机
US20040211713A1 (en)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KR20200124138A (ko) 출수장치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JP2007225251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KR101986220B1 (ko)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CN109422342B (zh) 饮用水供给装置
CN216494869U (zh) 多功能饮水机的水箱组件和多功能饮水机
KR102232820B1 (ko) 정수기
CN214270559U (zh) 净饮机
CN213524836U (zh) 一种饮水设备
CN210433325U (zh) 人工智能品茶机
CN218683764U (zh) 一种具有消毒杀菌的电磁加热饮水机
CN108143271B (zh) 一种水杯供水装置
EP3106774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JPH0786245B2 (ja) 温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