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433B1 - 급수전 - Google Patents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433B1
KR101970433B1 KR1020180021177A KR20180021177A KR101970433B1 KR 101970433 B1 KR101970433 B1 KR 101970433B1 KR 1020180021177 A KR1020180021177 A KR 1020180021177A KR 20180021177 A KR20180021177 A KR 20180021177A KR 101970433 B1 KR101970433 B1 KR 10197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le
horizont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정수기의 급수전으로서,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단은 정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1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2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 유로 및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3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전 {WATER TAP}
본 발명은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에서 급수전은 일반적인 용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본체에 대해 특정한 높이에 부착된다. 그런데 급수전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보다 작은 용기에 물을 받을 때 낙수 높이가 높아져 물이 용기의 바닥에 부딪혀 사방으로 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정수기 주변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온수를 받을 경우 화상의 위험도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낙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급수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수 높이를 조절할 때 유로의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급수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정수기의 급수전으로서,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단은 정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1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2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 유로 및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3 유로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의 연장부와 상기 제2 유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의 연장부와 상기 제3 유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의 연장부와 상기 제4 유로의 일단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연장부 사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유로의 타단은 연직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제1 유로, 제2 유로, 제3 유로 및 제4 유로가 관절식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본체에 결합된 제1 유로는 움직이지 않고 제4 유로만 이동함으로써 낙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4 유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2 유로와 제3 유로의 각도가 적절하게 변함으로써, 전체적인 유로의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특정한 영역에 과도한 수압이 가해지고, 이로써 그 영역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이 설치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의 제2 유로 측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이 설치된 정수기(P)의 사시도로서, 도 1은 급수전(100)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급수전(100)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급수전(100)은 정수기(P)의 본체(B)에 대해 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한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의 사시도로서, 도 3은 제4 유로(1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제4 유로(1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의 제2 유로(120) 측의 단면도이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급수전(100)은 제1 유로(110), 제2 유로(120), 제3 유로(130) 및 제4 유로(140)를 포함한다.
우선 각 구성요소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유로(110)는 일단(110A)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단(110A)에는 그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얻기 위해 제1 유로(110)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후 일단이 마개에 의해 폐색되고, 일단의 원주면에 홀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후 일단이 그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90°로 절곡될 수도 있을 것이다.
타단(110B)은 정수기(P)의 본체(B)에 결합된다. 따라서 타단(110B)으로 물이 유입되어 후술할 제4 유로(140)의 타단(140B)을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유로(120)는 양단(120A, 120B)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단(120A, 120B)에는 그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홀(121, 122)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두 홀(121, 122)은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거나 반대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을 얻기 위해 제2 유로(120)는 양단이 개방된 직선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후 양단이 마개에 의해 폐색되고, 양단의 원주면에 홀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단이 개방된 직선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후 양단이 그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90°로 서로 나란하게 절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타단(120B)만 개방된 직선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후 타단(120B)이 마개(123)에 의해 폐색되고, 양단(120A, 120B)의 원주면에 홀(121, 122)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게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제3 유로(130) 역시 양단(130A, 130B)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단(130A, 130B)에는 그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두 홀이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거나 반대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두 홀이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각각 형성되는 경우로 나타나 있다.
제4 유로(140)는 일단(140A)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단(140B)에는 그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다.
타단(140B)은 외부로 개방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형상에 기초하여, 그 구성요소들의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유로(110)의 타단(11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수기(P)의 본체(B)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홀이 수평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정수기(P)의 통상적인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대체적으로 좌우 방향을 말한다.
다음으로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이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에 연결된다.
단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의 홀(121)이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홀에 연통되게, 다시 말해 제1 유로(110)의 내부로부터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홀을 통해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의 홀(121)을 거쳐 제2 유로(120)의 내부로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즉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의 홀(121)이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홀을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유로(120)가 제1 유로(110)에 대해, 홀(121)을 지나가는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결국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을 중심으로 제2 유로(120)의 타단(120B)이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원주면에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111)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의 원주면에 홀(121)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124)가 형성되어, 두 연장부(111, 124)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유로(120)의 연장부(124)의 외경이 제1 유로(110)의 연장부(111)의 내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제2 유로(120)의 연장부(124)가 제1 유로(110)의 연장부(111)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두 연장부(111, 124) 사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2 유로(120)의 일단(120A)의 홀(121)이 제1 유로(110)의 일단(110A)의 홀에 연통되면서 제2 유로(120)가 제1 유로(110)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유로(130)의 일단(130A)은 제2 유로(120)의 타단(120B)에 연결된다.
단 제3 유로(130)의 일단(130A)의 홀이 제2 유로(120)의 타단(120B)의 홀(122)에 연통되게, 다시 말해 제2 유로(120)의 내부로부터 제2 유로(120)의 타단(120B)의 홀(122)을 통해 제3 유로(130)의 일단(130A)의 홀을 거쳐 제3 유로(130)의 내부로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또한 제3 유로(130)가 제2 유로(120)에 대해, 홀(122)을 지나가는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결국 제3 유로(130)의 일단(130A)을 중심으로 제3 유로(130)의 타단(130B)이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유로(120)의 타단(120B)의 원주면에 홀(122)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125)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3 유로(130)의 일단(130A)의 원주면에 홀의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131)가 형성되어, 두 연장부(125, 131)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유로(140)의 일단(140A)이 제3 유로(130)의 타단(130B)에 연결된다.
단 제4 유로(140)의 일단(140A)의 홀이 제3 유로(130)의 타단(130B)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4 유로(140)가 제3 유로(130)에 대해, 홀을 지나가는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제4 유로(140)의 타단(140B)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유로(110)의 타단(110B)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2 유로(120)와 제3 유로(130)를 거쳐 제4 유로(140)로 유동하며, 제4 유로(140)의 타단(140B)을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제4 유로(140)의 타단(140B)은 통상적인 정수기와 같이 연직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에 기초하여, 급수전(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그밖에 다른 양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겠으나, 이해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120)와 제3 유로(130)가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제4 유로(14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가상해 본다.
이때 제1 유로(110) 및 정수기(P)의 본체(B)는 움직이지 않고 제4 유로(140)만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유로(1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로(130)가 제2 유로(12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유로(120)도 제1 유로(1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적절하게 회전함으로써 제4 유로(1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곧게 이동하게 허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4 유로(140)의 타단(140B)이 언제나 연직 하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4 유로(140)의 이동 여하에 무관하게, 물도 언제나 연직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물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유로(110), 제2 유로(120), 제3 유로(130) 및 제4 유로(140) 간 각도만 변할 뿐, 그 내부의 부피는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4 유로(140)의 이동 여하에 무관하게, 물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에 특정한 영역에 과도한 수압이 가해지고, 이로써 그 영역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정수기의 급수전으로서,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단은 정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1 유로에 대해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유로,
    양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양단에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2 유로에 대해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 유로 및
    일단이 폐색된 파이프 형태로, 일단에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되, 일단의 홀이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의 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제3 유로에 대해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하는 급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의 연장부와 상기 제2 유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되는 급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의 연장부와 상기 제3 유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되는 급수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유로의 일단에는 홀의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 유로의 타단의 연장부와 상기 제4 유로의 일단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다른 어느 하나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연결되는 급수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두 연장부 사이에 오링이 설치되는 급수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로의 타단은 연직 하방으로 개방되는 급수전.
KR1020180021177A 2018-02-22 2018-02-22 급수전 KR10197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7A KR101970433B1 (ko) 2018-02-22 2018-02-22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7A KR101970433B1 (ko) 2018-02-22 2018-02-22 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433B1 true KR101970433B1 (ko) 2019-04-18

Family

ID=6628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77A KR101970433B1 (ko) 2018-02-22 2018-02-22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4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050A (ja) * 1995-12-08 1997-06-17 Toshiyuki Koizumi 液位検出式自動注液装置
KR100939310B1 (ko) * 2009-08-18 2010-01-28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출수 각도와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정수기 및 이온수기용 출수 배관 구조
JP2010017980A (ja) * 2008-07-11 2010-01-28 Sato Tekkosho:Kk 溶融樹脂供給装置
KR20120070286A (ko) * 2010-12-21 2012-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050A (ja) * 1995-12-08 1997-06-17 Toshiyuki Koizumi 液位検出式自動注液装置
JP2010017980A (ja) * 2008-07-11 2010-01-28 Sato Tekkosho:Kk 溶融樹脂供給装置
KR100939310B1 (ko) * 2009-08-18 2010-01-28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출수 각도와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정수기 및 이온수기용 출수 배관 구조
KR20120070286A (ko) * 2010-12-21 2012-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0672B (zh) 旋转阻尼器
US3565099A (en) Reversible check valve
EP3115661A1 (en)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US10946395B2 (en) Shower head
CN1952460A (zh) 流体控制阀用扩散器以及流体控制阀
US10376905B2 (en) Foldable shower head
CN204647386U (zh) 流体阀组件和用于流体阀组件的密封套筒
KR101970433B1 (ko) 급수전
CN106694260A (zh) 水龙头扩展接头
CN206539721U (zh) 一种液体管道流量调节结构
CN101663526A (zh) 能够防止气蚀的高压差控制阀
US9377127B2 (en) Ball valve with square bore and quarter turn component
CN215445192U (zh) 一种对夹式止回阀
JP5075740B2 (ja) 吐出器
CN215568103U (zh) 一种多功能水利阀门
CN209781755U (zh) 一种可分流的防倒流阀门
JP2016011149A (ja) 液体計量栓
US20060059615A1 (en) Skimmer plug valve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8118659U (zh) 一种便于调节流量的截止阀
CN204592729U (zh) 支撑架脚垫
JP3302660B2 (ja) 流量調節弁
TWM449215U (zh) 閥件錐體外切線與閥座之軸不平行之三偏心閥
JP7061527B2 (ja) 吐水管の回動規制構造
KR101520923B1 (ko) 밴조니들밸브
CN208058008U (zh) 一种球阀的限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