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205B1 -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205B1
KR100581205B1 KR1020040078134A KR20040078134A KR100581205B1 KR 100581205 B1 KR100581205 B1 KR 100581205B1 KR 1020040078134 A KR1020040078134 A KR 1020040078134A KR 20040078134 A KR20040078134 A KR 20040078134A KR 100581205 B1 KR100581205 B1 KR 10058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water
rice cook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015A (ko
Inventor
손광범
Original Assignee
손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범 filed Critical 손광범
Publication of KR2005003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상태 및 취반시간(예약시간)을 설정부(600)에서 버튼으로 입력하면 제어부(700)에서 쌀의 계량 및 투입과 세척 및 취반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밥솥 뚜껑(3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설정된 분량의 쌀이 쌀 공급부(200)에서 밥솥(300)에 투입되고, 통합 노즐부(500)를 통해 세미를 위한 세척수가 밥솥(300)에 공급됨과 동시에 초음파 및 공기가 공급되어 깨끗하게 세척된 후, 쌀을 세척한 물은 배수관(56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밥짓기에 필요한 추가의 물이 밥솥에 재주입된 후 뚜껑(310)이 닫히고 취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으로, 세척수와 밥을 짓기 위한 취반수의 공급 및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초음파발생기와 공기의 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하나의 통합 노즐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작동 메카니즘의 단순화를 도모하여 고장발생율을 줄이고 전체적인 크기도 축소하여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온/냉수기능을 갖는 정수부(800)와 일체로 구성하여 주방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기능, 자동 전기밥솥, 하우징, 쌀 공급부, 밥솥부, 계량부, 통합부,

Description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A Small size automatic rice cook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정수부와 통합 노즐부의 배관 및 배선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과 외부 쌀 저장통과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 : 증기 배출구
120 : 배기팬 130 : 운반 손잡이
200 : 쌀 공급부 210 : 쌀 투입구
212 : 덮개 220 : 개폐밸브
230 : 배출구 240 : 쌀 공급관
250 : 정량공급펌프 260 : 임시저장부
270 : 배출밸브 300 : 밥솥
310 : 뚜껑 400 : 밥솥 안착부
410 : 구동모터 500 : 통합 노즐부
510 : 승강수단 510' : 선회수단
520 : 급수관 530 : 공기공급관
540 : 초음파발생기 550 : 수위감지기
560 : 배수관 600 : 설정부
700 : 제어부 800 : 정수부
900 : 디스플레이부 1000 : 센서부
P1 : 급수포트 P2 : 배수포트
본 발명은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사용자가 요구로 하는 밥의 양과 밥의 상태 및 취반시간을 설정부에서 버튼으로 입력하면 쌀의 계량 투입과 세척 및 취반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히 기계적인 작동 메카니즘의 단순화를 도모하여 고장발생율을 줄이고 전체적인 크기도 축소하여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밥솥시스템을 온/냉수기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이나 음식업소의 주방 등에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밥 맛이 변하기 때문에 매 끼니 때마다 또는 매일 하루에 한번은 꼭 밥을 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의 세척과 취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는데, 이들 중 대표적이면서도 본 발명과 연관된 종래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평3-176007호(1991.07.31공개)의 "자동세미취반기", 일본공개특허 평4-54919호(1992.02.21공개)의 "세미취반기", 국내공개특허 제94-13433호(1994.07.15공개)의 "전자동전기밥솥", 국내특허 제292039호(2001.03.19등록)의 "전자동 시스템 밥솥",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18997호의 "자동 취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취반기는 쌀을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육체적인 행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취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취반기들은 구조의 복잡성 및 높은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과 더불어 자동취반시스템의 성능에 해결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쌀의 세척에서부터 취반까지 모든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밥솥시스템을 제공하되, 세척수와 밥을 짓기 위한 취반수의 공급 및 쌀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초음파발생기와 공기방울의 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하나의 통합된 노즐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간단하고 작동 메카니즘 또한 단순화시켜 시스템의 작동시 고장발생율을 줄이고 전체적인 크기도 작게 제작할 수 있는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에 정수기, 바람직하게는 냉/온수기를 유기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조합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밥을 세척함과 아울러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서 취반과는 별도로 냉수 또는 온수를 뽑아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가정이나 음식업소에서 한 가지 제품으로 여러가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취반시스템의 소형화 및 저가화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도록 쌀 저장부를 별도로 구성하고, 취반시 쌀을 설정된 양만큼 펌핑하여 밥솥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통합 노즐관이 밥솥 뚜껑의 개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격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 공급부; 밥솥이 안착되고 전방으로 인출작동되는 밥솥 안착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쌀 공급부에서 밥솥 내부로 투입된 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와 공기 및 초음파를 동시에 공급하여 밥솥 내부에서 쌀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관·공기공급관·초음파발생기 및 밥솥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이 통합 설치된 통합 노즐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밥의 상태 및 취반시간을 예약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이 설정부의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쌀 공급부, 밥솥, 밥솥안착부 및 통합 노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밥솥의 뚜껑은 2개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수단에 의해 밥솥으로부터 들려 개방되고 측방으로 회전되어 밥솥 내부로의 쌀의 투입과 통합 노즐부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하우징 자체에 구비된 정수 부를 거친 정수(淨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정수부는 다단계의 공지된 필터를 구비하며, 이 필터들을 거친 물은 상기 급수관 외에도 각각 별도의 온/냉수저장탱크에 저장되어 각각 온/냉수 배출콕을 통해 외부에서 뽑아 쓸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노즐부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공지의 랙-피니언방식을 이용한 승강수단에 의해 하강하여 밥솥 내부로 진입되어 쌀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세척 및 물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반대의 동작으로 상승하여 밥솥 뚜껑의 개폐작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보다 단순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밥솥의 뚜껑은 1개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수단에 의해 밥솥으로부터 적어도 90°이상으로 들려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통합 노즐부는 모터 구동방식 또는 공기압 구동방식의 승강수단 및 선회수단에 의해 뚜껑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승강작동 및 선회작동되도록 하며, 쌀 저장부를 본 장치와 별도로 구성하여 필요시 설정된 양을 외부로 부터 펌핑하는 도입하는 방식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자동전기밥솥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은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하부에는 전기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개폐밸브(220)를 갖는 배출구(230)가 형성된 쌀 공급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우징(100)내부에서 전방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에 밥솥(300)이 안착되는 밭솥 안착부(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며 승강작동되면서 밥솥(300)내부로 투입된 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와 공기 및 초음파를 공급하여 밥솥(300)내부에서 쌀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관(520)·공기공급관(530)·초음파발생기(540)및 밥솥(30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550)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560)이 통합 설치된 통합 노즐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외부에 구비되어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밥의 상태 및 취반시간을 예약설정하기 위한 설정부(600)와; 상기 설정부(600)의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쌀 공급부(200), 밥솥(300), 밥솥 안착부(400)및 통합 노즐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의 외형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태 외에도 원기둥 형태나 기타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하우징(100)의 형태는 위에서 언급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0)은 그 내부 및 전면부 외측에 쌀 공급부(200), 밥솥(300), 밥솥 안착부(400), 통합 노즐부(500)및 설정부(600)와 제어부(70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몸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부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쌀 공급부(2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도면상으로는 좌측)에 위치하고, 밥솥(300)과 밥솥 안착부(400)는 하우징(100)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통합 노즐부(500)는 하우징(100)상부의 쌀 공급부(2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설정부(600)와 제어부(700)는 하우징의 상부 전방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하우징(100)의 하부 좌측에는 정수부(800)가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0)의 상부 좌측 전방으로는 온/냉수 배출콕(822,8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쌀의 저장 및 세척과 취반에 필요한 정수(淨水)의 공급과 온/냉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각 구성부의 배치를 달리 예를 들면, 쌀 공급부(200)를 하우징(100)의 상부 우측에 배치하거나, 밥솥 안착부(400)를 하부 좌측에 배치하거나, 배출콕(822,832)을 상부 우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쌀 공급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하우징의 전체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호 110은 하우징(100)의 측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이고, 그 내부에 밥솥(300)에서 밥을 지을 때 발생되는 다량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120)이 구비되며, 이 배기팬(120)은 제어부(700)에 의해 밥솥(300)의 취반동작과 연계되어 구동이 제어된다. 또, 부호 130은 하우징(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운반손잡이이다.
상기 쌀 공급부(200)는 그 상부에 덮개(212)가 개폐되는 쌀 투입구(210)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는 밥솥(300)의 내부로 쌀을 배출시킬 수 있는 슈트(shute)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230)에는 전기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개폐밸브(220)가 설치되어 상기 설정부(600)에서 입력된 인분 수에 해당하는 양 만큼의 쌀을 정량 배출시키도록 제어부(700)에서 그 개폐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쌀 공급부(200)의 하부 형태는 쌀이 배출구(230)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경사진 바닥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쌀 공급부(200)내부에 남아있는 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생략됨)를 설치하여 쌀의 잔량을 제어부(700)에 송출함으로써 하우징(100)전방의 디스플레이부(9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설정부(600)에서 현재 남아있는 쌀보다 많은 양의 인분 수를 입력할 경우 정상적인 동작이 중단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쌀을 보충하거나 적은 인분수로 재설정을 할 수 있도록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밥솥(300)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밥솥을 부분적으로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밥솥(300)자체의 취반/보온프로그램을 본 발명의 제어부(700)와 통합시켜 제어부(700)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 되고, 밥솥 뚜껑(310)이 하우징(100)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뚜껑(310)의 힌지부에 수평회전모터(322)와 수직회전모터(324)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수단(320)을 설치하여 수평회전모터(322)에 의해 뚜껑(310)이 밥솥(300)으로부터 약 15~30°정도로 들린 상태에서 수직회전모터(324)에 의해 측방으로 90°정도 회전되어 밥솥(300)내부로의 쌀의 투입과 통합 노즐부(500)의 진입이 가능하게 되며, 쌀의 투입과 세척 및 밥을 짓기 위한 물을 보충한 후에는 다시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뚜껑(310)이 닫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밥솥(300)이 놓여지는 밥솥 안착부(400)는 하우징(100)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하부 양측에 가이드 로울러(430)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로울러(430)에 밥솥 안착부(400)의 측면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420)이 슬라이드 되도록 서랍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퇴동작은 제어부(7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우징(100)내부에 설치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410)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412)이 밥솥 안착부(400)의 측면에 부착된 랙기어(424)에 기어결합되어 전후진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상기 밥솥 안착부(400)는 제조코스트의 절감을 위해 일반 서랍과 같이 수동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통합 노즐부(500)는 하우징(10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며 승강작동되면 서 밥솥(300)내부로 투입된 쌀을 세척하고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며 취반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 통합 노즐부(500)가 승강작동하면서 밥솥(300)내부로 진입하여 밥솥(300)내부에서 쌀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쌀 세척부를 별도로 구성한 대부분 종래기술의 자동 전기밥솥시스템보다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부피를 작게 만들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노즐부(500)는 급수관(520), 공기공급관(530), 초음파발생기(540)및 밥솥(30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550)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560)이 통합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노즐관 가이드(501)에 의해 수직상태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통합 노즐부(500)의 외측에는 랙기어부(502)가 형성되며, 이 랙기어부(502)는 승강수단(510)을 이루는 구동모터(511)의 축(512)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14)와 기어결합되어 구동모터(511)의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합 노즐부(500)를 이루는 급수관(520)은 도 5에서와 같이 급수밸브(522)와 급수펌프(5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급수관(520)은 후술하는 정수부(800)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530)은 공기펌프(532)에 접속되어 공기펌프(532)에서 발생된 공기를 밥솥(300)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속으로 공급하여 공기방울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쌀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쌀이 공기방울에 의해 뒤섞이면서 세미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세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540)와 수위감지기(550)는 각각 초음파발생회로(542)와 수위감지회로(552)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관(560)은 배수펌프(562)에 연결되어 배수펌프(562)의 동작에 의해 밥솥(300)내부의 세척수와 잉여의 물을 배수포트(P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520), 공기공급관(530), 초음파발생기(540)및 밥솥(30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550)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560)은 통합 노즐부(500)의 승강동작시 관이 막히거나 전선이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무한궤도(캐터필러)형의 전선보호관(570) 내부에 수용하여 정리함으로써 관과 전선의 노출을 막아 하우징(100)내부에서 통합 노즐부(500)가 승강동작을 할 경우 관과 전선이 꼬이지 않고 원활한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통합 노즐부(500)는 그 하단에 급/배수 및 공기배출용 노즐과, 초음파발생용 프로브와, 수위감지용 프로브가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밥솥(300)내부로 진입되어 투입된 쌀의 세척 및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며, 투입된 쌀의 양과 설정된 밥의 상태에 맞게 밥을 짓는데 필요한 물의 수위를 감지해 내게 되며, 상기 수위 감지용 프로브를 생략하고 통합 노즐부(500)의 노즐관 가이드(501)쪽에 직접 접촉방식이 아닌 간접접촉방식의 수위감지용 프로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정수부(800)는 급수포트(P1)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필터(810,812,814,816)와 이 필터(810~816)를 거쳐 정수된 물이 상기 급수관(520)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정수된 물은 각각 온/냉수 저장탱크(820,830)에 저장되어 필요시 배출콕(822,832)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520)으로 공급되는 정수는 세미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온수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쌀 공급부(200), 밥솥(300), 밥솥 안착부(400), 통합 노즐부 및 정수부(800)는 설정부(600)와 센서부(1000)에서 입력된 설정신호와 센서데이터 의해 제어부(700)에서 제어된다.
상기 설정부(600)는 필요로 하는 밥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분량설정버튼(610), 밥의 상태 즉, 진 밥 또는 된 밥이나 기타 사용자가 먹고 싶은 밥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상태설정버튼(620)및 취반시간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시간설정버튼(63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000)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부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쌀 공급부(200)에 구비된 쌀 잔량감지센서와, 통합 노즐부(500)의 수위감지기(550)와, 정수부(800)의 온.냉수 저장탱크(820,830)의 수온을 감지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온센서들을 포함한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는 쌀의 잔량과 설정부에서 설정된 분량과 밥의 상태 및 예약시간 등을 LCD디스플레이 및 LED램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플로우차트로, 사용자가 설정부(600)에서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상태 및 취반시간(즉시 또는 예약)을 설정하면(S110), 먼저, 제어부(700)에서는 쌀 공급부(200)에 저장된 쌀의 양이 설정된 밥의 양과 비교하여(S120), 잔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900)에 문자 또는 음성으로 경고를 하게 되고(S121), 쌀의 양이 설정된 밥의 양보다 많을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 과정은 밥솥(300)의 뚜껑(310)이 뚜껑개폐수단(320)의 수평회전모터(32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뚜껑을 소정의 각도로 들어 올리고 수직회전모터(324)가 소정의 각도로 들려진 뚜껑(31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밥솥(300)내부로 쌀의 투입과 통합 노즐부(500)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S130).
뚜껑(310)이 개방되면 쌀 공급부(200)의 배출구(230)에 구비되 개폐밸브(220)가 인분수에 맞는 쌀이 배출되도록 개방된 후 다시 닫히면서 정량의 쌀이 밥솥(300)내부로 투입된다(S140).
쌀의 투입이 완료되면 이어서 통합 노즐부(500)가 하강하여 밥솥(300)내부로 진입하게 되며(S150), 투입된 쌀의 양에 비례해서 급수관(520)을 통해 세미를 위한 물이 급수된다(S160).
세척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초음파발생기와 공기공급관에서 초음파와 공기가 공급되어 세척수와 함께 쌀을 세척하게 된다(S170).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관(56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며(S180), 다시 취사용 급수(S190)가 이루어져 세척된 쌀의 분량과 설정부에서 입력된 밥의 상태에 맞게 물이 공급되고, 수위감지기(55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정확한 수량(水量)을 밥솥(300)내부에 공급한 후(S200), 급수가 정지(S210)된다.
이어서 통합 노즐부(500)는 상승하게 되고(S220), 통합 노즐부(500)가 밥솥(3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뚜껑(310)이 닫히게 된다(S230).
그 다음으로는, 설정부에서 설정된 취반(즉시 또는 예약)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여 밥솥(300)의 취반여부가 결정되며(S240), 즉시 취반인 경우에는 곧바로 취반단계로 들어가고 예약 취반인 경우에는 현재시간이 예약시간에 도달될 때 취반단계로 진입하여 취반이 이루어지게 된다(S25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의 정단면도와 평단면도로이며, 도 11은 본 발명과 외부 쌀 저장실과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전기밥 솥시스템은 최대한의 소형화 및 메카니즘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밥솥 뚜껑(310)의 개폐방식과 통합 노즐부(500)의 작동방식 및 쌀 저장 및 공급방식이 상기한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 부분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전기밥솥시스템은 밥솥(300)의 뚜껑(310)이 하우징(100)내부에서 수평회전모터(322)만으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수단(320)에 의해 90°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쌀의 투입과 통합 노즐부(500)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통합 노즐부(500)는 모터 등의 선회수단(510')에 의해 밥솥(30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여 모터나 유/공압실린더 등의 승강수단(510)에 의해 승강동작되고, 이탈시에는 선회수단(510')에 의해 밥솥(300)의 뚜껑이 개폐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측부에 근접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쌀 공급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에, 일례로서 바람직하게는 냉장고(R)의 냉장실 등에 쌀 저장통(B)을 설치하고 유연한 쌀 공급관(240)을 통해 정량공급펌프(250)를 사용하여 하우징(100)상부의 호퍼형태로 이루어진 임시저장부(260)로 펌핑하고, 이 임시저장부(260)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개폐작동되는 배출밸브(270)를 개방하여 밥솥(300)으로 쌀이 투하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의 동작 또한 상기한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설정된 양만큼의 쌀 공급은 상기 정량공급펌프(25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밥솥(300)의 뚜껑(310)개폐작동도 하나의 수평회 전모터(32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통합노즐관(500)은 선회수단(510')과 승강수단(510)의 연계작동에 의해 밥솥(300)으로의 진입동작이 이루어지며, 비사용시에는 하우징의 일측으로 격납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은 내부의 구성부품수가 적고 전체적으로 부피가 기존 밥솥의 약 2배 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저가로 제작 및 보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상태 및 취반시간(예약시간)을 설정부에서 버튼으로 입력하면 쌀의 계량 및 투입과 세척 및 취반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세척수와 밥을 짓기 위한 취반수의 공급 및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초음파발생기와 공기방울의 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하나의 통합된 노즐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작동메카니즘의 단순화를 도모하여 고장발생율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전체 크기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여기에 온/냉수기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하나의 제품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쌀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쌀을 임의의 양만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개폐밸브(220)를 갖는 배출구(230)가 형성된 쌀 공급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우징(100)내부에서 진퇴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에 뚜껑(310)이 개폐되는 밥솥(300)이 안착되는 밭솥 안착부(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며 승강수단(510)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밥솥(300)내부로 투입된 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와 공기 및 초음파를 동시에 공급하여 밥솥(300)내부에서 쌀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관(520), 공기공급관(530), 초음파발생기(540) 및 밥솥(30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550)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560)이 통합설치된 통합 노즐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외부에 구비되어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밥의 상태 및 취반시간을 예약설정하기 위한 설정부(600)와;
    상기 설정부(600)의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쌀 공급부(200), 밥솥(300), 밥솥안착부(400)및 통합 노즐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밥솥(300)의 뚜껑(310)은 수평회전모터(322)와 수직회전모터(324)로 이루어진 뚜껑개폐수단(320)에 의해 밥솥(300)으로부터 들려 개방되고 측방으로 회전되어 밥솥(300)내부로의 쌀의 투입과 통합 노즐부(500)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520)으로 공급되는 물은 하우징(100)자체에 구비된 정수부(800)를 거친 정수(淨水)이고, 이 정수부(800)는 다단계의 필터(810~814)를 구비하며, 이 필터(810~814)를 거친 물은 상기 급수관(520)외에도 각각 별도의 온/냉수저장탱크(820,830)에 저장되고, 이 온/냉수 저장탱크(820,830)에 저장된 물은 하우징(10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온/냉수 배출콕(822,832)을 통해 음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노즐부(500)는 노즐관 가이드(501)에 의해 수직상태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통합 노즐부(500)의 외측에는 랙기어부(502)가 형성되며, 이 랙기어부(502)는 승강수단(510)을 이루는 구동모터(511)의 축(512)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14)와 기어결합되어 구동모터(511)의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
  5. 외부의 쌀 저장통(B)에서 쌀 공급관(240)을 통해 정량공급펌프(250)에 의해 하우징(100)상부의 호퍼형태로 이루어진 임시저장부(260)로 펌핑되고, 이 임시저장부(260)의 하단에는 전기적으로 개폐작동되는 배출밸브(270)가 형성된 쌀 공급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우징(100)내부에서 진퇴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에 뚜껑(310)이 수평회전모터(322)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수단(320)에 의해 개폐되는 밥솥(300)이 안착되는 밭솥 안착부(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며 승강수단(510)과 선회수단(510')에 의해 승강 및 선회작동되면서 밥솥(300)내부로 투입된 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와 공기 및 초음파를 동시에 공급하여 밥솥(300)내부에서 쌀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관(520), 공기공급관(530), 초음파발생기(540) 및 밥솥(30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기(550)와 쌀을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560)이 통합설치된 통합 노즐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외부에 구비되어 필요로 하는 밥의 양과 밥의 상태 및 취반시간을 예약설정하기 위한 설정부(600)와;
    상기 설정부(600)의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쌀 공급부(200), 밥솥(300), 밥솥안착부(400)및 통합 노즐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전기밥솥시스템.
KR1020040078134A 2003-10-02 2004-10-01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KR100581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955 2003-10-02
KR20030068955 2003-10-02
KR20040010521 2004-02-17
KR1020040010521 2004-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015A KR20050033015A (ko) 2005-04-08
KR100581205B1 true KR100581205B1 (ko) 2006-05-17

Family

ID=3723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134A KR100581205B1 (ko) 2003-10-02 2004-10-01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78B1 (ko) * 2011-03-25 2013-11-13 팅 이 챙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요리 장치
CN109480637A (zh) * 2019-01-16 2019-03-19 王晓晖 智能煮饭器和用于智能煮饭器的加料组件
KR102230162B1 (ko) * 2019-12-02 2021-03-18 김인식 자동조리 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564B (zh) * 2015-09-26 2017-08-15 杭州点厨科技有限公司 具有自动进米加水功能的智能电饭煲的一体化转轴结构
CN105768845B (zh) * 2016-01-26 2019-02-01 中山市晶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煮饭净水一体机
CN105747882A (zh) * 2016-04-19 2016-07-13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大米预处理装置和方法
KR101679167B1 (ko) * 2016-05-30 2016-11-23 문성길 전자동 밥솥
CN107865601A (zh) * 2016-09-27 2018-04-03 叶可 智能电饭煲与净水器的组合电器
CN106473583B (zh) * 2016-11-24 2018-08-03 天津工业大学 全自动智能煲饭一体机
CN106963233A (zh) * 2017-05-18 2017-07-21 岭南师范学院 一种全自动量米洗米智能电饭煲及其控制方法
CN109247831B (zh) * 2017-07-13 2023-12-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9247842B (zh) * 2017-07-13 2023-11-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7259973B (zh) * 2017-08-09 2022-05-27 周发文 智能电饭煲
KR102001892B1 (ko) * 2017-11-13 2019-07-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CN108385778B (zh) * 2018-02-07 2019-10-11 佛山市爱米吧科技有限公司 自清洁供排水装置
CN108078367B (zh) * 2018-02-10 2023-06-0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一体式全自动控制电饭煲及其控制方法
CN109567564B (zh) * 2019-01-23 2023-10-24 富石电子(武汉)有限公司 一种自动煮饭装置及其煮饭方法
CN110693304B (zh) * 2019-10-26 2021-07-06 肇庆金雅乐电器有限公司 一种全自动蒸煮电饭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933A (ko) * 1988-10-31 1990-05-07 최근선 초음파를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920008667A (ko) * 1990-10-18 1992-05-28 정용문 카폰용 음성인식 및 응답시스템
KR950024428U (ko) * 1994-02-01 1995-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세미장치
KR20030010172A (ko) *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933A (ko) * 1988-10-31 1990-05-07 최근선 초음파를 이용한 쌀 세척장치
KR920008667A (ko) * 1990-10-18 1992-05-28 정용문 카폰용 음성인식 및 응답시스템
KR950024428U (ko) * 1994-02-01 1995-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세미장치
KR20030010172A (ko) *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78B1 (ko) * 2011-03-25 2013-11-13 팅 이 챙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요리 장치
CN109480637A (zh) * 2019-01-16 2019-03-19 王晓晖 智能煮饭器和用于智能煮饭器的加料组件
KR102230162B1 (ko) * 2019-12-02 2021-03-18 김인식 자동조리 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015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205B1 (ko)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US8992694B2 (en) Flow rate sensor and related dishwasher
US20120266924A1 (en) Water diverter valve and related dishwasher
CN106963233A (zh) 一种全自动量米洗米智能电饭煲及其控制方法
US3863657A (en) Dishwasher and sink combination
CN107296577A (zh) 清洗机
CN101980636A (zh) 包括清洁蒸汽喷管的系统的制备饮料的机器
CN107752942B (zh) 水槽洗碗机及其清洗果蔬时的进水控制方法
CN204813353U (zh) 一种自动分离米汤的电饭锅
CN205214949U (zh) 改进型智能煮饭装置
CN202294539U (zh) 一种多功能车载橱柜
KR100856952B1 (ko)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KR100292039B1 (ko) 전자동 시스템 밥솥
KR200442782Y1 (ko) 쌀통에 정수기가 구비되어 쌀 양과 밥물 양 자동조절투입장치
CN204467884U (zh) 全自动煮饭装置
CN105089112B (zh) 一种集成净水机的家用水槽
KR20180106051A (ko) 쌀 세척 장치
KR0168731B1 (ko) 전자동 취사 장치
CN208301616U (zh) 清洗机
CN211582988U (zh) 一种洗碗机
US10753597B1 (en) Light blocking features for indicator lights in an appliance
CN208301615U (zh) 清洗机
CN105638800A (zh) 一种半自动节油油炸器具
CN205611622U (zh) 一种半自动节油油炸器具
KR200442156Y1 (ko) 자동취사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