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44B1 - 출수장치 - Google Patents

출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44B1
KR102295444B1 KR1020190089633A KR20190089633A KR102295444B1 KR 102295444 B1 KR102295444 B1 KR 102295444B1 KR 1020190089633 A KR1020190089633 A KR 1020190089633A KR 20190089633 A KR20190089633 A KR 20190089633A KR 102295444 B1 KR102295444 B1 KR 10229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ear
water
water extraction
fix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138A (ko
Inventor
김민호
윤희상
장훈
한동구
김형근
노근호
박종호
송영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57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15400A1/en
Priority to US16/898,330 priority patent/US11325821B2/en
Publication of KR2020012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49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출수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출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가 고정된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커버, 상기 이동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되는 기어모듈, 상기 이동커버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 상기 이동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동작한다.

Description

출수장치{drinking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음용수 자판기에 적용가능한 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소정의 물을 필터링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상기 정수기는 가전제품 또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정수를 제공하는 가정용 정수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는, 필터 등이 장착되는 정수기 본체 및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필터링된 물을 제공하는 출수부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에 물을 수용하는 용기 등을 배치하여 정수를 취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의 위치에 구속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 1이 등록공고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등록번호 : 제10-1381803호 (공고일자 : 2014년 04월 07일)
2. 발명의 명칭 : 정수기
상기 선행문헌 1에는, 본체의 일 측에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결합되는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고 설정각도만큼 회전되어 다시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출수부의 위치를 필요로 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 출수구의 전후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입구의 크기가 큰 용기에 물을 받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즉, 종래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출수구가 제시되지 않아, 출수구와 케이스 전면의 간격이 고정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용기에 출수를 진행하게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또한, 출수 위치가 고정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한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전동작할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와 출수노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수구의 수평이동 동작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용기 입구크기 및 용기가 놓인 위치에 따라,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출수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출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가 고정된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커버와, 상기 이동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되는 기어모듈 및 상기 이동커버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 상기 이동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동작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 상기 출수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수평방향 간격은 가변된다.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이동커버에 결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이동커버가 상기 고정커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상기 고정커버에는 상기 랙기어의 맞은편에 상기 랙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바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기어 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통과되게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바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 통과홀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마찰력을 줄여주는 마찰방지부재가 삽입된다.
상기 구동모터에는, 모터축 및 모터축에 연결된 모터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제 4 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커버는 저면에 상기 이동커버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의 저면은 상기 제1개구를 따라서, 하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제1개구를 정의하는 양측 하단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커버는 양측 단부에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단에 안착되게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커버는 전면이 개방되어 제2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는 상기 제2개구를 통해서, 상기 고정커버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커버 및 이동커버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는 링(ring) 형상의 로테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로테이터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출수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주변에 놓인 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 또는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을 지시하거나, 상기 출수노즐과 연결된 출수배관의 개폐동작을 지시하는 입력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 회전방향, 회전속도, 부하급변 여부 등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 및 제1센서 또는 제2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구동모터에 의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동작할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와 출수노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출수구의 수평이동 동작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다양한 용기 입구크기 및 용기가 놓인 위치에 따라,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도 마련되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수유닛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유닛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출수유닛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구동모터와 기어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이동커버가 고정커버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보인 출수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커버의 위치별 출수유닛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출수장치는 정수기 및 음용수 자판기, 커피머신 등과 같이 원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원수를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상태로 공급하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출수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출수장치(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결합된 출수유닛(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후술할 각종 구성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0)에는, 프론트 커버(100), 리어커버(102), 베이스 커버(104), 탑 커버(106)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포함된다. 이때, 각 커버는 상기 출수장치(1)의 전면, 후면, 저면,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커버는 서로 결합부재 또는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상기 리어 커버(102)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출수장치(1)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상단에 상기 탑 커버(10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하단에 상기 베이스 커버(104)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104)는 상기 출수장치(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 및 상기 탑 커버(106)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상기 리어 커버(102)에 대응되어 전단 및 후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002)는 후술할 출수유닛(20)의 회전시 중심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1002)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함몰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전면는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는 컵 등의 용기(이하, 취수 용기)를 배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평면부(10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취수 용기를 보다 깊숙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취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장치(1)에는, 상기 취수 용기가 안착되는 트레이(30)가 포함된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함께 상기 출수장치(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는 후술할 출수노즐(240)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취수 용기에 수용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30)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의 하방에 저장부가 구비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와 연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에는, 로테이터(220) 및 상기 로테이터(220)에 연결된 고정커버(200), 그리고 고정커버(2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커버(210)가 포함된다. 각 커버는 상기 출수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220)는, 상기 케이스(10)에 안착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후술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곡률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2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가 상하부로 구분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로트 커버(1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결합되는 하부 프론트 커버(100a) 및 상기 탑 커버(106)와 결합되는 상부 프론트 커버(100b)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b)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a)에 비하여 상하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b)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적인 부분으로 이해된다.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a)에는, 상기 평면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 용기의 일 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상기 로테이터(220)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a)와, 상부 프론트 커버(100b) 사이 간격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고정커버(200)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a)와, 상부 프론트 커버(100b) 사이 간격을 통해서 로테이터(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200)는 상기 로테이터(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커버(200)의 후단(200a)은 상기 로테이터(220)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221)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커버(210)는 상기 고정커버(20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테이터(220)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221)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커버(210)는 상기 로테이터(22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커버(200)의 후단(200a) 보다 더 돌출되게 로테이터(220)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22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200) 및 이동커버(21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특히, 상기 로테이터(2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탑 커버(106)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각종 입력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30)는 버튼방식, 터치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입력부(230)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입력부(230)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30)는 출수명령을 입력하는 출수버튼(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30)는, 후술되는 구동모터(250, 도 9참조)의 회전동작을 지시하거나, 상기 출수노즐과 연결된 출수배관에 설치된 출수밸브의 개폐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30)는 상기 케이스9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06) 에 형성되거나, 상기 출수유닛(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탑커버(106)와 출수유닛(20)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소정의 물이 취수되는 출수노즐(240)이 포함된다. 상기 출수노즐(240)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커버(210)의 하부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노즐(240)의 연직하방에는 상기 트레이(3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에는, 상기 출수노즐(240)과 연결되는 출수배관(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배관(미도시)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출수노즐(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출수장치(1)의 출수유닛(20)은, 상기 출수노즐(24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동작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출수노즐(240)에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로테이터(22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테이터(2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200) 및 이동커버(210) 및 상기 출수노즐(24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고,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입력부(230)는 상기 로테이터(220)와 연결되어, 출수유닛(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닛(20)과 대응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도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20)의 수평방향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고정커버(200) 및 상기 고정커버(200)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커버(21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커버(210)는 상기 고정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커버(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이동커버(21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커버(2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수평이동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수평이동은 서로 동시에 또는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 또는 수평이동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되지 않고 수평이동만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출수장치(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해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서로 다르게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출수장치(1)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다만, 또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출수장치(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물이 유동되는 배관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장치(1)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40), 쿨링 탱크(50), 압축기(60), 응축기(70) 및 유도 가열 어셈블리(8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40)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45)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부에는 상기 로테이터(22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a)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반원의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필터(4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과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4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는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에는 다양한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배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 및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쿨링 탱크(50)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또는 상기 출수노즐(24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냉수, 온수 및 정수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55)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냉수의 공급을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60)와 응축기(70)의 사이에는 쿨링 팬(65)이 배치된다. 상기 쿨링팬(65)은 상기 압축기(60)와 상기 응축기(70)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60)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리어 커버(102)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70)는 응축기 브라켓(75)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7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상기 쿨링팬(65) 및 상기 리어 커버(102)의 토출구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응축 브라켓(75)의 상부에는 상기 쿨링 탱크(50)가 수용되는 탱크 장착부(53)가 배치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쿨링 탱크(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55)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를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에서 상기 쿨링 탱크(50)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압축기(160)의 상방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수장치(1)에는 제어부(9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제어하여 상기 출수장치(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압축기(60), 상기 쿨링 팬(65), 각종 밸브, 센서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함께 정수를 가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장치(1)에는,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로테이터(220) 및 상기 트레이(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구조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터(220)와 결합되는 회전 장착부(225, 227)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는 상기 로테이터(220)와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 장착부에는,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 장착부(225) 및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 장착부(227)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회전 장착부(227)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 장착부(225)는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10b)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0)와 결합되는 트레이 장착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의 전단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와 결합되는 트레이 후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30)를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출수유닛(20)의 수평이동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수유닛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유닛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출수유닛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는, 출수노즐(240)이 설치된 이동커버(21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이동커버(210)는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및 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다른 예로, 상기 이동커버(210)는 랙 앤 피니언, 모터 및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수평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출수노즐이 전후 및 좌우 이동하여 다양한 컵에 대응하는 기능이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240) 로테이터(2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출수노즐(240)과 케이스(10)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상세히, 출수유닛(20)에 내장된 랙 앤 피니언 구조와 모터에 의해 출수노즐(24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206, 도 10참조)가 고정된 고정커버(200)와, 상기 고정커버(200)의 내측에 수평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커버(210)와, 상기 이동커버(210)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50) 및 상기 구동모터(250)에 연동되는 기어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이동커버(210)의 하단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물을 출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250)의 동작 시, 상기 이동커버(210)는 상기 고정커버(200)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커버(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50)의 동작 시, 상기 이동커버(2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출수노즐(240)과 상기 케이스(10)의 수평방향 간격은 가변된다.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2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커버(210)가 고정커버(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출수노즐(240)과 상기 케이스(10)의 수평방향 간격은 증가된다.
다른 예로, 상기 구동모터(250)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커버(210)가 고정커버(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출수노즐(240)과 상기 케이스(10)의 수평방향 간격은 감소된다.
상기 구동모터(250)는 모터커버(255)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커버(255)가 상측에 배치되고, 그 아래 구동모터(250)가 배치된다. 그리고 그 아래 기어모듈(260)이 배치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모듈(260)에서, 제1기어(261)가 상측에 배치되고, 제1기어(261)의 하측에 제2기어(262)가 배치되며, 제2기어(262)의 하측에 제3기어(263)가 배치되고, 제3기어(263)의 하측에 제4기어(26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기어(264)는 고정커버(200)의 하단에 배치된 랙기어(206)와 맞물려 회전한다.
또한, 상기 기어모듈(260)은, 상기 구동모터(250)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커버(210)에 결합되는 기어 브라켓(265) 및 상기 기어 브라켓(26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206)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64)가 상기 랙기어(206)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이동커버(210)가 상기 고정커버(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수유닛(20)이 상기 케이스(10)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50)가 작동하면, 상기 이동커버(210) 및 출수노즐(24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 브라켓(265)에는,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된 제1가이드 돌기 또는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200)에는 양측에 상기 제1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제2가이드 홈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2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커버(200)는 저면에 상기 이동커버(21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개구(201)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210)의 저면 및 출수노즐(240)은 상기 제1개구(201)에 의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200)는, 상기 제1개구(201)를 정의하는 양측 하단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204)는 상기 고정커버(200)의 저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구(201)는, 고정커버(200)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 연장부(2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커버(210)는 양측 단부에 상기 수평 연장부(204)의 상단에 안착되게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단턱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13)는 상기 수평 연장부(204)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13)는 상기 수평 연장부(204)의 돌출된 수평방향의 길이만큼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13)의 오목한 공간에 상기 수평 연장부(204)가 수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커버(210)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고정커버(200)이 접촉 지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204)에는 상기 이동커버(210)의 수평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200) 및 이동커버(21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200)는, 상기 제1개구(201)를 정의하는 양측단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가이드벽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커버(210)는, 양측 단부에 상기 가이드벽에 접촉 지지되는 가이드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이동커버의 양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벽에 접촉 지지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커버가 고정커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링이 상기 가이드벽에 접촉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커버와 고정커버의 유격이 방지되고, 이동커버의 수평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2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제2개구(202)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210)는 상기 제2개구(202)를 통해서, 상기 고정커버(2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구동모터와 기어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이동커버가 고정커버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보인 출수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커버의 위치별 출수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 모듈(260)에는, 상기 기어 브라켓(265)에 장착되는 제 1 기어(261), 제 2 기어(262), 제 3 기어(263) 및 제 4 기어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기어의 개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해당된다.
상기 제4기어는 피니언 기어(264)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기어(261)는 상기 모터(250)의 회전축(251)과 연결된 모터 기어(252)와 맞물리는 기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262)는 상기 제 1 기어(261)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기어(261) 및 상기 제 2 기어(262)는 하나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261)의 크기(직경)는 제2기어(262)의 크기(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263)는 상기 제 2 기어(262)와 맞물리는 기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4)는 상기 제 3 기어(263)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3 기어(263) 및 상기 제 4 기어(264)는 하나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기어(263)의 크기(직경)는 제4기어(264)의 크기(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4)는 상기 랙기어(206)와 맞물린다. 이때, 상기 랙기어(206)는 상기 고정커버(200)에 형성된 것으로 고정된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4 기어(264)는 상기 기어 브라켓(265)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커버(210)에 결합된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기어(26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커버(21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어모듈(260)이 여러 개의 기어들로 구성되면서, 기어모듈(260)은 감속기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동커버(210)가 고정커버(200)를 따라 수평이동 하다보면, 유격에 의해, 이동커버(210)가 흔들리거나, 이동커버(210)의 수평이동이 불안정하게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이동커버(210)가 고정커버(200)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이동커버(210)와 고정커버(200)가 점점 분리되고, 이에 따라 유격이 증가되면서, 휨 현상 및 흔들거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장시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이동커버(210)가 고정커버(200)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유격을 잡아주는 가이드수단이 필요하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커버(200)에는 가이드바(20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07)는 상기 고정커버(200)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커버(200)의 일측 하단에는 가이드바(207)가 장착되고, 고정커버(200)의 타측 하단에는 랙기어(20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206)는 상기 고정커버(200)의 저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2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07)의 구성으로, 이동커버(210)의 수평이동 시, 좌우방향으로 유격이 생기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07)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07)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07)는 고정커버(200)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바(207)의 후단(도 11기준 상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20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07)의 선단(도 11기준 하단)은 상기 고정커버(200)의 선단(도 11기준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05)는 상기 가이드바(207)의 후단이 삽입되게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바 장착홈(205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바(207)의 후단은 상기 가이드바 장착홈(205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200)의 선단에는 가이드바 장착돌기(208)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바 장착돌기(208)에는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바 장착홈(209)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07)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바 장착홈(209)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커버(210)에는 상기 가이드바(207)가 통과되는 가이드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바 통과홀에 가이드바(207)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커버(210)가 수평이동하면, 가이드바(207)에 의해서, 이동커버(210)의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어 브라켓(265)에는 상기 가이드바(207)가 통과되게 후방으로 돌출된 보조 돌기(26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돌기(267)에는 상기 가이드바(207)가 통과하는 가이드바 통과홀(2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267)는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조돌기(267)에는 가이드바 통과홀(26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커버(200)와 이동커버(210)의 유격을 보다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바 통과홀(266)에는 상기 가이드바(207)와 보조돌기(267)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마찰방지부재(268)가 삽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커버(210)의 수평이동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207)가 구비되면, 이동커버(210)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바(207)에 의해서 접촉 지지되고, 이동커버(210)의 타측은 상기 랙기어(206)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커버(210)의 양측이 고정커버(200)에 접촉 지지되면서, 고정커버(200)와 이동커버(210)의 유격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되고, 이동커버(210)가 직선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이동커버(21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출수유닛(20)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주변에 놓인 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250)의 회전량, 회전방향, 회전속도, 부하급변 여부 등을 감지하는 제2센서(254, 도 9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54)는 상기 구동모터(250)와 인접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250)는 외측으로 연장된 별도의 커넥터(253)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제2센서(254)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230) 및 제1센서(미도시) 또는 제2센서(254)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 출수장치 10 : 케이스
20 : 출수유닛 30 : 트레이
200 : 고정커버 210 : 이동커버
220 : 로테이터 240 : 출수노즐
250 : 구동모터 260 : 기어모듈

Claims (15)

  1.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출수유닛을 포함하는 출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가 고정된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랙기어의 맞은편에 상기 랙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커버;
    상기 이동커버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커버와 함께 움직이는 구동모터;
    상기 이동커버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가이드바가 통과되게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바 통과홀이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접촉 지지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모듈; 및
    상기 이동커버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이동커버가 상기 고정커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커버를 기준으로 출몰동작하는 출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 상기 출수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수평방향 간격은 가변되는 출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 통과홀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마찰력을 줄여주는 마찰방지부재가 삽입된 출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는, 모터축 및 모터축에 연결된 모터기어가 포함되고,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저면에 상기 이동커버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의 저면은 상기 제1개구를 따라서, 하방으로 노출되는 출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제1개구를 정의하는 양측 하단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부가 형성된 출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커버는 양측 단부에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단에 안착되게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단턱부가 형성된 출수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전면이 개방되어 제2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커버는 상기 제2개구를 통해서, 상기 고정커버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출수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 및 이동커버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출수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는 링(ring) 형상의 로테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로테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출수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출수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출수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 또는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을 지시하거나, 상기 출수노즐과 연결된 출수배관의 개폐동작을 지시하는 입력부가 형성된 출수장치.
KR1020190089633A 2019-04-23 2019-07-24 출수장치 KR10229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792 WO2021015400A1 (en) 2019-04-23 2020-04-29 Water ejecting apparatus
US16/898,330 US11325821B2 (en) 2019-04-23 2020-06-10 Water ej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31 2019-04-23
KR20190047331 2019-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38A KR20200124138A (ko) 2020-11-02
KR102295444B1 true KR102295444B1 (ko) 2021-08-31

Family

ID=7339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633A KR102295444B1 (ko) 2019-04-23 2019-07-24 출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5821B2 (ko)
KR (1) KR102295444B1 (ko)
WO (1) WO2021015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92B1 (ko) *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5317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D1027532S1 (en) * 2021-09-29 2024-05-21 Coway Co., Ltd. Water pur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59A1 (en) * 2018-01-11 2019-07-18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29B1 (ko)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KR101773478B1 (ko)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9988257B2 (en) * 2015-12-21 2018-06-05 Prince Castle LLC Manual dispensing valve
KR102004280B1 (ko) * 2016-12-28 2019-07-2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의 코크모듈
KR101818390B1 (ko)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30B1 (ko) * 2017-08-2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2B1 (ko) * 2017-08-30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92240B1 (ko) * 2017-11-21 2019-06-25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01615B1 (ko) * 2017-11-29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60768B1 (ko) * 2018-05-18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28981B1 (ko) * 2018-11-19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68226B1 (ko) * 2019-04-11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124131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4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2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5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6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0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59A1 (en) * 2018-01-11 2019-07-18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4342A1 (en) 2021-01-28
KR20200124138A (ko) 2020-11-02
WO2021015400A1 (en) 2021-01-28
US11325821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444B1 (ko) 출수장치
US10941048B2 (en) Liquid purifier
KR102042579B1 (ko) 정수기
EP3653565B1 (en) Liquid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of a liquid dispenser
CN109422311B (zh) 净水器
US11186475B2 (en) Liquid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15589B1 (ko) 정수기
KR102005569B1 (ko) 정수기
AU2007295158A1 (en) Ice making apparatus
KR101208551B1 (ko) 냉장고 또는 정수기의 디스펜서
KR2015009991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28859B1 (ko) 정수기
JP2015010817A (ja) 冷蔵庫
KR20210142574A (ko) 정수기
KR102128988B1 (ko) 정수기
KR102201040B1 (ko) 정수기
KR102115616B1 (ko) 정수기
KR102592271B1 (ko) 정수기
KR20240003629A (ko) 정수기
KR10237444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2173B1 (ko) 정수기
KR10238287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7107A (ko) 정수기
KR20220039665A (ko) 정수기
CN116530814A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