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913A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913A
KR20150099913A KR1020140021056A KR20140021056A KR20150099913A KR 20150099913 A KR20150099913 A KR 20150099913A KR 1020140021056 A KR1020140021056 A KR 1020140021056A KR 20140021056 A KR20140021056 A KR 20140021056A KR 20150099913 A KR20150099913 A KR 2015009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making tray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595B1 (ko
Inventor
이동훈
이서진
이욱용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95B1/ko
Priority to EP20157792.1A priority patent/EP3680586B1/en
Priority to US14/630,260 priority patent/US9841217B2/en
Priority to EP15156429.1A priority patent/EP2910876B1/en
Priority to ES15156429T priority patent/ES2791727T3/es
Publication of KR2015009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가지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및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장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는 장치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16092호(공개일 2011.02.17)(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장실에 급수용기가 구비되고, 냉동실에 얼음을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측으로 강제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1의 경우, 급수용기에서 아이스 메이커로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유량 조절을 위한 전자식 밸브가 구비됨에 따라, 펌프 및 밸브의 추가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고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61492호(공개일 2010.06.07.)(이하 "선행문헌2"라 함)에는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2에 개시된 제빙기는, 복수의 셀을 구비한 제빙트레이와, 셀 내부의 얼음을 분리하는 이젝터와, 이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제빙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1의 경우, 제빙트레이가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제빙트레이의 셀에서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에서 분리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므로, 히터의 작동에 따른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72367호(공개일 2011.06.29.)(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3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장실 도어에 아이스 메이커와, 아이스 빈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서 연결되어 트위스팅 방식에 의해서 얼음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3의 경우, 아이스 메이커를 일 방향으로 회전 및 트위스팅시켜 아이스 메이커를 변형시킨 후에 다시 아이스 메이커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 어셈블리가 높은 토크가 요구되는 양방향 DC 모터를 포함하여야 하므로, 모터의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 트레이로 자유 낙하되어 아이스 트레이로 공급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가지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 또는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및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장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 작동부는,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연결되는 캠과, 상기 캠과 접촉하여 상기 캠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로 전달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제빙챔버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캠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캠은,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며 원통 형상의 캠 바디와, 상기 캠 바디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상기 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로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제2회전축이 연결되는 축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서포터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물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서포터는, 상기 이동 가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물 탱크의 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 서포터에는 상기 물 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방향 회전 가능한 AC 모터와, 상기 AC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은, 일측의 폭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제빙챔버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얼음 분리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얼음 분리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고정 샤프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의 얼음을 상기 얼음 분리기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암은,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의 얼음이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고정 샤프트에서 각도가 다르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암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제빙챔버에서 생성된 얼음의 폭 중에서 폭이 좁은 부분을 가압하여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회전축이 연결되는 축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는 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장치 및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단열 박스에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냉동실 도어이고, 상기 제빙장치 및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단열 박스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에 위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냉동실 도어이고,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냉동실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빙 트레이를 가지는 제빙장치와, 상기 제빙장치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및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상기 물 탱크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 과정;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과정; 및 제빙 완료 후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빙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과정, 제빙 과정 및 이빙 과정은 상기 제빙 트레이가 일 방향으로 한 바퀴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본 발명에서, 상기 급수 과정은 상기 제빙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급수 과정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위치로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는 제1회전 과정과,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 채워질 때까지를 대기하는 대기 과정과, 상기 제빙 트레이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형성된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제2회전 과정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빙 트레이의 상방에 물 배출구를 밸브를 구비하는 물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이 밸브 작동부에 의해서 밸브로 전달되어 밸브가 작동함에 따라서 펌프와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식 밸브 없이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자유 낙하에 의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와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냉장고의 비용이 줄어들 수 있고, 펌프 및 전자식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분리기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얼음 분리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빙챔버의 폭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얼음 분리기의 암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얼음에서 폭이 작은 부분에 먼저 접촉하여 상기 얼음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로서 비용이 저렴한 AC 모터를 사용하여도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브 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가 물과 비접촉함에 따라 탄성부재가 녹스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물 탱크의 위생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와 제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와 얼음 분리기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으로 가해지는 얼음 분리기의 힘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A와 B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동실(11)과 상기 냉동실(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장실(12)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냉동실(11)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통칭하여 저장실이라 하고, 상기 냉동실 도어(13)와 상기 냉장실 도어(14)를 통칭하여 냉장고 도어라 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13)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4: outer case)와, 상기 냉동실(11)을 커버하는 도어 라이어(15: door liner)와, 상기 도어 라이너(15)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4)를 연결하는 데코부재(16: deco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5)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20)와, 상기 제빙장치(20)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30: ice b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15)는 상기 제빙장치(20)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도 3의 40참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 박스(151: insulation box)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너(15) 일부가 단열 박스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박스(151)는 박스 커버(152: box cover)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박스(151)와 상기 박스 커버(15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 커버(152)를 상기 단열 박스(151)에서 분리하여, 상기 물 탱크(도 3의 40참조)를 상기 단열 박스(151) 내에 수용하거나, 상기 단열 박스(151)로부터 꺼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 박스(151) 내에 물 탱크(도 3의 40참조)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물 탱크(도 3의 40참조)가 상기 냉동실 도어(13)에 구비되어도 상기 물 탱크(도 3의 40참조)가 상기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서 결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와 제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40)는 제빙 장치(40)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박스(151) 내에는 상기 물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40: water tank)는 상기 탱크 지지부(5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4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 바디(410: tank body)와, 상기 탱크 바디(410)를 개폐하는 탱크 커버(420: tank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410)에는 개구(412)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 커버(420)는 상기 개구(41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커버(420)는 상기 탱크 바디(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40)를 상기 냉동실 도어(13)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상기 개구(412)를 개방하여 물을 상기 탱크 바디(41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커버(420)가 상기 탱크 바디(410)의 개구(412)를 개폐함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탱크 바디(4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커버(420)에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탱크 커버(420)를 상기 탱크 바디(410)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상기 홀(422)을 통하여 물을 상기 탱크 바디(41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탱크 바디(410)의 하측에는 상기 탱크 지지부(50)에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510)가 수용되는 수용부(414)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415)에 상기 안착 가이드(510)가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물 탱크(40)가 상기 탱크 지지부(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4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40)를 상기 지지부(4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물 탱크(40)를 상기 탱크 지지부(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410)의 하벽(415)은 경사지며, 상기 하벽(415)에서 높이가 가장 낮은 부분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도 8의 418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410)는 상기 물 배출구(도 8의 418참조)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4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4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탱크 지지부(50)는, 상기 단열 박스(151)에 장착되거나 상기 단열 박스(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지지부(50)는, 상기 물 배출구(도 8의 418참조)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제빙장치(2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물 배출구(도 8의 418참조)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탱크 지지부(50)와 상기 물 탱크(2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 배출구(도 8의 418참조)의 일부는 상기 물 안내부(5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20)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복수의 제빙챔버(212)를 가지는 제빙 트레이(210: ice making tray)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280)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430)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430)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는 상기 물 탱크(20)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복수의 제빙챔버(212)로 안내하는 물 공급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가이드(220)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회전축(214) 및 제2회전축(2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축(214, 215)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트레이 서포터(272, 274: tray supporte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서포터(272, 274)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축(214)이 관통하는 제1서포터(272)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타 측에 형성되는 제2회전축(215)이 결합되는 제2서포터(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272)에는 상기 구동장치(28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장치(280)는 일 방향 회전 가능한 AC 모터와, 상기 AC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1회전축(214)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 예로 기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방향 회전 가능한 DC 모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AC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서 냉장고의 제조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1회전축(214)은 상기 제1서포터(272)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장치(28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동장치(280)를 구동하는 동력전달부 일부 또는 모터의 축이 상기 제1서포터(272)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1회전축(2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터(274)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2회전축(215)에 삽입되는 축 결합부(275)가 구비된다. 상기 축 결합부(275)는 상기 제2회전축(21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회전축(215)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상기 밸브 작동부(230, 240)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2회전축(215)이 결합되는 캠(230: cam)과, 상기 캠(230)과 접촉하며 직선 운동하는 가동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230)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2회전축(215)과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21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캠(230)은 축 결합홀(232)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캠 바디(231: cam body)와, 상기 캠 바디(231)의 원주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2회전축(215)은 상기 캠 바디(231)의 축 결합홀(2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포터(274)의 축 결합부(275)와 결합된다.
상기 가동부재(240)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부재(240)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기 캠(23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캠 바디(231)의 원주와 상기 돌출부(234)와 접촉한다. 상기 가동부재(240)와 상기 캠(230)의 접촉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캠(230)의 회전력이 상기 가동부재(240)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상기 가동부재(24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롤러(2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40)의 하단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롤러(244: roller)가 결합되는 롤러 결합부(2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가동부재(240)의 하나 이상의 롤러(244)가 상기 캠(23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캠(2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부재(240)가 직선 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234)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40)의 연장선이 상기 캠 바디(231)의 축 결합홀(232)과 만나도록 상기 가동부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터(274)에는 상기 가동부재(240)의 직선 이동(도면에서는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 가이드(277)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기 이동 가이드(277)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277)는 상기 가동부재(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277)의 수평 단면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가동부재(240)의 수평 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캠(230)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밸브(4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탱크 지지부(5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277)와 상기 가동부재(240)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5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530)의 수평 단면의 일부 또는 상기 이동 가이드(277)의 수평 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240)가 상하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가동부재(240)가 안정적으로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4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 과정에서 각 제빙챔버(212)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분리하기 위한 얼음 분리기(260: ice separ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분리기(260)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제2회전축(215)을 관통하여 상기 제2서포터(274)의 축 결합부(275)에 삽입된다. 즉, 상기 얼음 분리기(260)의 일단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측면에 아이들(idle)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분리기(26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얼음 분리기(2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와 얼음 분리기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으로 가해지는 얼음 분리기의 힘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제빙챔버(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상면 일측에는 물 공급 가이드(220)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 분리기(260)는, 고정 샤프트(262: fixing shaft)와, 상기 고정 샤프트(262)의 원주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을 가압하는 다수의 암(264: ar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262)는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212)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빙챔버(212)의 길이(도 5에서는 상하 길이임)를 이등분하는 가상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 샤프트(262)는 상기 각 제빙챔버(212)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선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 분리기(260)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각 제빙챔버(212)을 이등분 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빙챔버(212)에서 폭 중에서 상기 가상선 일측의 폭(W1)이 타측의 폭(W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제빙챔버(212)의 폭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들어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의 일측의 폭이 도 6과 같이 타측의 폭과 다르게 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이 순차적으로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암(264)은 상기 고정 샤트프(262)에서 각도가 다르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암(264)은 상기 고정 샤프트(262)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빙 트레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서, AC 모터를 사용하므로, DC 모터에 비하여 토크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토크에 의해서도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용이하게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분리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이 하나 씩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각 제빙챔버(212)의 얼음(I)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각 암(264)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얼음(I)에서 폭이 작은 부분에 먼저 접촉하여 상기 얼음(I)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얼음(I)에서 폭이 작은 부분과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마찰력이 상기 얼음(I)에서 폭이 큰 부분과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마찰력 보다 작으므로, 상기 각 암(264)이 상기 얼음(I)에서 폭이 작은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서, 적은 토크를 발생하는 AC 모터를 사용하여도 상기 얼음(I)을 제빙 트레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물 탱크(40)의 물이 자유 낙하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 공급되므로,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는 상기 각 제빙챔버(212) 간의 물 유동을 위한 물 안내유로가 불필요하다.
만약,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 물 안내유로가 형성되면, 상기 물 안내유로에 존재하는 물이 얼게 되어 인접하는 두 제빙챔버 사이의 얼음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두 제빙챔버 각각의 얼음을 분리하기 위하여 물 안내유로 상의 얼음을 깨야 하므로, 보다 많은 토크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인접하는 두 제빙챔버를 연결하는 물 안내유로가 제빙 트레이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적은 토크를 발생하는 AC 모터를 사용하여도 제빙 트레이에서의 얼음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와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급수 시작 시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주고, 도 7의 (b)는 급수 중일 때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주고, 도 7의 (c)은 급수 완료 후 제빙할 때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주고, 도 7의 (d)는 이방 시작 시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주고, 도 7의 (e)는 이빙 중일 때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주고, 도 7의 (f)는 이빙 완료 시의 제빙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또한, 도 8의 (a)는 도 7의 (a)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b)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먼저, 도 8의 (a)를 살펴보면, 본 실시 예의 밸브(430)는, 상기 탱크 바디(410)에 형성되는 밸브 결합부(416)에 결합된다. 상기 밸브 결합부(416)의 일부는 상기 탱크 바디(4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탱크 바디(4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430)의 일부는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 삽입된다.
상기 밸브 결합부(416)는 상기 탱크 바디(410)의 하벽(415)에 형성된 물 배출구(418)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는 상기 탱크 바디(410)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417)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430)는 상기 유입홀(417) 또는 상기 물 배출구(418)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430)는 상기 유입홀(417)과 상기 물 배출구(418)를 연통시키거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밸브(430)는, 상기 물 배출구(418)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432)와, 상기 밸브 부재(432)에 연결되는 로드(433: rod)와, 상기 로드(433)가 관통하며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 결합되는 밸브 바디(434: valve body)와, 상기 로드(433)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작동부(230, 240)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밸브 레버(4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432)는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홀(417)을 차단한 상태에서 물이 상기 유입홀(417)을 통하여 상기 물 배출구(418)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434)는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 결합부(41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434)와 상기 밸브 부재(432) 사이에는 탄성부재(4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7)는 상기 밸브 부재(432)가 상기 물 배출구(418)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상기 밸브 부재(432)로 제공한다.
상기 밸브 레버(436)는 상기 밸브 작동부(230, 240)로부터 힘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로드(433)를 상승시켜, 상기 밸브 부재(432)가 상기 유입홀(417)과 상기 물 배출구(418)를 연통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 레버(436)가 상기 로드(433)를 상승시키는 구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입홀(417)을 통과한 물은 상기 밸브 부재(432)의 외면과 상기 밸브 결합부(416)의 내면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물 배출구(418)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물은 상기 탄성부재(437)와 비접촉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437)가 물과 비접촉함에 따라 탄성부재(437)가 녹스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물 탱크의 위생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 지지부(50) 내에는 상기 물 탱크(40)의 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 탱크(4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단열 박스(151) 내에 상기 물 탱크(4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물 탱크(40) 내의 물의 결빙이 최소화되고, 상기 히터(54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40)의 물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7의 (c)를 살펴보면, 제빙 중일 때 가동부재(240)는 상기 캠 바디(231)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밸브(430)는 상기 유입홀(417)과 상기 물 배출구(418)의 연통을 차단한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각 제빙챔버(212)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챔버(212)의 물은 냉동실(11)의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기 제빙챔버(212)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80)를 작동시킨다.
도 7의 (d) 및 (e)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280)가 작동되면,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로 전달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제빙챔버(212)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얼음 분리기(260)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캠 바디(231)의 외주에 상기 가동부재(240)가 접촉하나,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승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210)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회전되는 과정을 이빙 과정이라 이름할 수 있다.
도 7의 (f)와 같이 이빙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기 캠 바디(231)에는 접촉하나 상기 돌출부(234)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빙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도 7의 (a)와 같이 가동부재(240)가 상기 돌출부(234)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가동부재(240)가 상기 돌출부(234)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240)가 상승하게 되면,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밸브 레버(436)를 들어올리고, 상기 밸브 레버(436)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밸브 레버(436)가 상기 로드(433)를 상승시킨다. 상기 로드(433)가 상승하면, 상기 로드(433)에 연결된 상기 밸브 부재(432)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유입홀(417)과 상기 물 배출구(418)가 연통되어 상기 물 탱크(40)의 물이 상기 물 배출구(418)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물 배출구(418)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상기 탱크 지지부(50)의 물 안내부(52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물 공급 가이드(220)로 낙하된다.
그리고, 도 7의 (c)와 같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물 공급 가이드(220)로 낙하된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각 제빙챔버(212)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40)는 상기 캠(230)의 돌출부(234)를 타고 넘게 되어 상기 가동부재(240)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동부재(2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될 수 있고, 상기 밸브(430) 내부의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른 상기 밸브 레버(436)의 회전력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다.
도 7의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정지하게 되고 급수는 완료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배출구(418)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 또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밸브(43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유입홀(417)과 상기 물 배출구(418)의 연통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통 시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속도나 상기 캠의 돌출부(234)의 길이 또는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빙 과정에서의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속도 보다 급수 과정에서의 제빙 트레이(210)의 속도가 늦도록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 트레이(210)의 회전속도가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빙 트레이(210)가 도 7의 (b)와 같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가 정지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의 과정을 살펴보면, 본 실시 예에서,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제빙 과정이라고 할 경우, 제빙 트레이로 상기 물 탱크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 과정과,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과정 및 제빙 완료 후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빙 과정은, 상기 제빙 트레이가 일 방향으로 한 바퀴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급수 과정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위치로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는 제1회전 과정과, 물이 제빙 트레이에 채워질 때까지를 대기하는 대기 과정과, 제빙 트레이로 공급된 물을 상기 각 제빙챔버로 분배하기 위하여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제2회전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급수 과정은 제빙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빙 트레이의 상방에 물 배출구를 밸브를 구비하는 물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이 밸브 작동부에 의해서 밸브로 전달되어 밸브가 작동함에 따라서 펌프와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식 밸브 없이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자유 낙하에 의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와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냉장고의 비용이 줄어들 수 있고, 펌프 및 전자식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2)의 경우, 물 탱크(40)와, 제빙장치(20) 및 아이스 빈(40)은 냉동실(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에는 상기 냉동실(11)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선반(1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 탱크(20)는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구비되는 단열 박스(15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20) 및 상기 아이스 빈(30)은 상기 선반(16)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3)의 경우, 냉동실(11)의 천정면에 물 탱크(40)가 수용되는 단열 박스(151)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 박스(151)의 하방에 제빙장치(20)가 배치되고, 상기 제빙장치(20)의 하방에 아이스 빈(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에는 상기 냉동실(11)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선반(1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빙장치(20)는 상기 단열 박스(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 빈(30)은 상기 선반(16)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의 경우, 본체(11)의 외부에 물 탱크(40)가 배치되고, 냉동실(11)에 제빙장치(20) 및 아이스 빈(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탱크(40)는 상기 본체(11)의 상면에 놓이거나, 상기 본체(1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탱크 수용부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40)의 물은 상기 본체(11)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장치(30)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물 탱크는 상기 제빙장치(20)의 직 상방에 위치되어야 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동부재는 상기 본체(11)를 관통하여 상기 물 탱크(40)의 밸브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물 탱크(40)가 상기 본체(11) 외부에 배치되므로, 단열 박스는 불필요한다.
다른 예로서, 도 11과 동일한 원리로,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물 탱크가 상기 냉동실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제빙 트레이와 아이스 빈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물 탱크가 상기 제빙 트레이의 직 상방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물 탱크가 상기 제빙 트레이의 직 상방에 위치되기 위하여 일 예로 상기 냉동실 도어의 전면이 후방으로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탱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 수용부의 하방에 상기 제빙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냉동실 도어를 관통하여 제빙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빈은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선행문헌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에 제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물 탱크와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빈이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공간에 냉동실의 냉기가 공급되므로, 상기 물 탱크 내의 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에서 상기 물 탱크는 단열 박스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본체 11: 냉동실
12: 냉장실 13: 냉동실 도어
14: 냉장실 도어 20: 제빙장치
30: 아이스 빈 40: 물 탱크
50: 탱크 지지부

Claims (22)

  1. 냉동실과 냉장실을 가지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 또는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및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장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부는,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연결되는 캠과,
    상기 캠과 접촉하여 상기 캠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로 전달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제빙챔버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캠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며 원통 형상의 캠 바디와,
    상기 캠 바디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상기 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로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이 연결되는 축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서포터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 가이드가 구비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서포터는, 상기 이동 가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물 탱크의 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서포터에는 상기 물 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는 냉장고.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방향 회전 가능한 AC 모터와,
    상기 AC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은, 일측의 폭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제빙챔버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얼음 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분리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고정 샤프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의 얼음을 상기 얼음 분리기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암은, 상기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의 얼음이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고정 샤프트에서 각도가 다르게 연장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암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제빙챔버에서 생성된 얼음의 폭 중에서 폭이 좁은 부분을 가압하여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이 연결되는 축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는 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 및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단열 박스에 내에 수용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냉동실 도어이고,
    상기 제빙장치 및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단열 박스 내에 수용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에 위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냉동실 도어이고,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냉동실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냉장고.
  20. 제빙 트레이를 가지는 제빙장치와, 상기 제빙장치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및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상기 물 탱크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 과정;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과정; 및
    제빙 완료 후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빙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과정, 제빙 과정 및 이빙 과정은 상기 제빙 트레이가 일 방향으로 한 바퀴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과정은 상기 제빙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과정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위치로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는 제1회전 과정과,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 채워질 때까지를 대기하는 대기 과정과,
    상기 제빙 트레이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형성된 다수의 제빙챔버 각각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제2회전 과정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40021056A 2014-02-24 2014-02-24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2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56A KR102221595B1 (ko) 2014-02-24 2014-02-24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EP20157792.1A EP3680586B1 (en) 2014-02-24 2015-02-24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US14/630,260 US9841217B2 (en) 2014-02-24 2015-02-24 Ice making device,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EP15156429.1A EP2910876B1 (en) 2014-02-24 2015-02-24 Ice making device,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ES15156429T ES2791727T3 (es) 2014-02-24 2015-02-24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refrigerador que incluye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y método para controlar el refrigera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56A KR102221595B1 (ko) 2014-02-24 2014-02-24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13A true KR20150099913A (ko) 2015-09-02
KR102221595B1 KR102221595B1 (ko) 2021-03-02

Family

ID=542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56A KR102221595B1 (ko) 2014-02-24 2014-02-24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5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1497A1 (en) * 2020-09-16 2022-03-23 Arçelik Anonim Sirketi An ice making assembly having an ice distribution means
KR20230031856A (ko) * 2019-07-0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740001B2 (en) 2018-10-02 2023-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645A (ja) * 1996-03-28 1997-10-07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KR19990066484A (ko) * 1998-01-26 1999-08-16 구자홍 냉장고용 제빙기의 물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50117830A (ko) * 2004-06-11 200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급수장치
US20090145148A1 (en) * 2007-12-05 2009-06-11 Chun-Chuan Liu Water inflow control structure of ice machine
KR20100138108A (ko) * 2009-06-24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645A (ja) * 1996-03-28 1997-10-07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KR19990066484A (ko) * 1998-01-26 1999-08-16 구자홍 냉장고용 제빙기의 물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50117830A (ko) * 2004-06-11 200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급수장치
US20090145148A1 (en) * 2007-12-05 2009-06-11 Chun-Chuan Liu Water inflow control structure of ice machine
KR20100138108A (ko) * 2009-06-24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001B2 (en) 2018-10-02 2023-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30031856A (ko) * 2019-07-0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71497A1 (en) * 2020-09-16 2022-03-23 Arçelik Anonim Sirketi An ice making assembly having an ice distribution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595B1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0586B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US7017363B2 (en) Ice supply system of refrigerator
EP2568235B1 (en) Refrigerator
KR101932076B1 (ko) 냉장고
US20120024003A1 (en) Refrigerator
EP2407737B1 (en) Refrigerator
EP225045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MX2011009933A (es) Refrigerador.
CN102388284B (zh) 冰箱控制技术
KR101929517B1 (ko) 냉장고
EP2674703A1 (en) Refrigerator
KR2012008299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22159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00081038A (ko) 냉장고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0739053B2 (en) Ice-making appliance
KR2011010175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얼음 공급 방법
US2022034963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11009687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얼음 공급 방법
KR20110032635A (ko)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US898489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ice dispenser
KR20080052206A (ko) 냉장고
KR20230055012A (ko) 가요성 트레이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6906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