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88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88B1
KR102128988B1 KR1020180142714A KR20180142714A KR102128988B1 KR 102128988 B1 KR102128988 B1 KR 102128988B1 KR 1020180142714 A KR1020180142714 A KR 1020180142714A KR 20180142714 A KR20180142714 A KR 20180142714A KR 102128988 B1 KR102128988 B1 KR 10212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over
cover
water
lifting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114A (ko
Inventor
정순기
장훈
지진규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에는, 케이스 및 출수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출수유닛에는, 제 1 승강커버, 제 2 승강커버 및 출수노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걸림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래치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소정의 물을 필터링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상기 정수기는 가전제품 또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정수를 제공하는 가정용 정수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는, 필터 등이 장착되는 정수기 본체 및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필터링된 물을 제공하는 출수부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에 물을 수용하는 용기 등을 배치하여 정수를 취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의 위치에 구속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 1을 출원하고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 제10-2004-0085751호(공개일자 : 2004년 10월 08일)
2. 발명의 명칭 : 냉장고의 디스펜서
상기 선행문헌 1에는, 급수관에 연통되고, 급수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연장 및 단축되는 공급관이 개시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은 구동수단에 의해 연장 및 단축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구동수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랙 및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된 구동모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 1에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구동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재료비가 상승되고, 충분한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래치구조를 통해 출수노즐을 상하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한 동작으로 작동가능하며, 신속하게 출수노즐을 하강시키는 구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에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걸림핀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을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출수 탑 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탑 커버에는, 상기 걸림상태의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원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출수노즐이 설치된 승강커버를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승강커버에 외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이 신속하게 하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이 취수용기의 높이에 대응하여 하강됨에 따라 취수되는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온도가 높은 온수가 취수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도 마련되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 중 결합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걸림상태 및 걸림상태의 해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결합된 출수유닛(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후술할 각종 구성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0)에는, 프론트 커버(100), 리어커버(102), 베이스 커버(104), 탑 커버(106)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포함된다. 이때, 각 커버는 상기 정수기(1)의 전면, 후면, 저면,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커버는 서로 결합부재 또는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상기 리어 커버(102)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정수기(1)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상단에 상기 탑 커버(10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하단에 상기 베이스 커버(104)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104)는 상기 정수기(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 및 상기 탑 커버(106)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상기 리어 커버(102)에 대응되어 전단 및 후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002)는 후술할 출수유닛(20)의 회전시 중심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1002)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함몰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전면는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는 컵 등의 용기(이하, 취수 용기)를 배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평면부(1002)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취수 용기를 보다 깊숙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취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취수 용기가 안착되는 트레이(30)가 포함된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함께 상기 정수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는 후술할 출수노즐(240)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취수 용기에 수용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30)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의 하방에 저장부가 구비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상기 탑 커버(106)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와 연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출수 탑 커버(230), 출수 승강커버(200, 210) 및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포함된다. 각 커버는 상기 출수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10)에 안착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후술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곡률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가 상하부로 구분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로트 커버(1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결합되는 하부 프론트 커버(1000) 및 상기 탑 커버(106)와 결합되는 상부 프론트 커버(1004)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4)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에 비하여 적은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4)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적인 부분으로 이해된다.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는, 상기 평면부(1002)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 용기의 일 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특히,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탑 커버(230)는 상기 탑 커버(106)에서 연장되어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의 상단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각종 입력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는 버튼방식, 터치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입력부(40)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입력부(40)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소정의 물이 취수되는 출수노즐(240)이 포함된다. 상기 출수노즐(240)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의 하부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노즐(240)의 연직하방에는 상기 트레이(3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에는, 상기 출수노즐(240)과 연결되는 출수배관(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배관(미도시)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출수노즐(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1)의 출수유닛(10)은, 상기 출수노즐(24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되거나 승강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은 회전되거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출수노즐(240)에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 상기 출수 탑 커버(230) 및 상기 출수노즐(2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고,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입력부(40)가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출수유닛(20)과 함께 회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닛(20)과 대응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도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20)의 승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 승강커버에는,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승강커버(21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단에 상기 출수 탑 커버(2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승강을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승강은 서로 동시에 또는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은 설치장소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유닛(20)의 승강은 취수 용기의 높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 또는 승강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되지 않고 승강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정수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해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서로 다르게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정수기(1)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다만, 또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정수기(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물이 유동되는 배관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40), 쿨링 탱크(50), 압축기(60), 응축기(70) 및 유도 가열 어셈블리(8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40)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45)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부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반원의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필터(4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과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4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는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에는 다양한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배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 및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쿨링 탱크(50)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또는 상기 출수노즐(24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냉수, 온수 및 정수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55)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냉수의 공급을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60)와 응축기(70)의 사이에는 쿨링 팬(65)이 배치된다. 상기 쿨링팬(65)은 상기 압축기(60)와 상기 응축기(70)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60)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리어 커버(102)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70)는 응축기 브라켓(75)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7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상기 쿨링팬(65) 및 상기 리어 커버(102)의 토출구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응축 브라켓(75)의 상부에는 상기 쿨링 탱크(50)가 수용되는 탱크 장착부(53)가 배치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쿨링 탱크(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55)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를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에서 상기 쿨링 탱크(50)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압축기(160)의 상방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제어부(9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제어하여 상기 정수기(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압축기(60), 상기 쿨링 팬(65), 각종 밸브, 센서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함께 정수를 가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 및 상기 트레이(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구조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와 결합되는 회전 장착부(225, 227)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와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는 볼 베어링 또는 롤러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장착부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 장착부(225) 및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 장착부(227)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회전 장착부(227)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 장착부(225)는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104)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0)와 결합되는 트레이 장착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의 전단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와 결합되는 트레이 후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30)를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출수유닛(2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 및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출수 승강 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에 수용된다. 특히,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함께 상기 정수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의 외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고정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이동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 1, 2 승강커버(200, 210)는 상대이동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2 승강커버(200, 210)는 모두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2000)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에서 연장되는 제 2 플레이트(200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되는 것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구비된다. 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대응되는 곡률로 구부러진 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출수개구(200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도 상기 출수개구(2008)와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출수개구(2008)는 상기 출수노즐(240)로 연장되는 출수배관이 통과되는 구멍에 해당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양 단에서 볼록하게 연장된 판에 해당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양 단과 구부러진 형태로 결합된 판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하, 내측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공간은 상하가 개구된 상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하부는 개구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부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가 결합되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하부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일 면을 내면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내면과 대향되는 면을 외면이라 한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가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결합되는 면은 외면에 해당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외면은 상기 정수기(1)의 전방에 돌출되는 부분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면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외면은 미관을 위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내면은 상기 제 1 승강커버(2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내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00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006)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006)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돌기(200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2006)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내면에 상기 내측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돌기(2006)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를 구속하는 래치(2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내면에는, 상기 래치(260)가 설치되도록 상기 내측공간으로 돌출된 래치설치부(2004)가 포함된다. 즉, 상기 래치(2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내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래치(2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래치(260)는 상기 내측공간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260)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00)에 형성된 걸림핀(2506)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제 1 플레이트(2000)와 제 2 플레이트(2002)가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상승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공간에서 하부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설치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하부에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끼워져 결합되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2100)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상승시 상기 제 2 플레이트(2100)와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102)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의 양 측면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상기 파지부(2102)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삭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파지부(2102)는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접근하여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는 결합브라켓(26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결합브라켓(260)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에는 상기 결합브라켓(260)과 결합되는 결합부(2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260)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에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260)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출수 탑 커버(23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는 상기 탑 커버(10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출수 탑 커버(23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이동과는 무관하게 고정된다. 다만,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 탑 커버(230)의 상부에는 상기 입력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출수 탑 커버(230)가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입력부(40)도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상기 입력부(40)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는, 탄성부재(2300, 2302)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2300, 2302)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2300, 2302)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서 하부로 연장된 탄성보조봉(2300) 및 상기 탄성보조봉(23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스프링(2302)이 포함된다.
즉,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단이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 고정되고 상하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서 하부로 돌출된 막대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기 탄성보조봉(230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스프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하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탄성체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302)의 일 단은 상기 탄성보조봉(2300) 또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302)이 상기 탄성보조봉(230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기 탄성스프링(230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보조봉(2300)이 생략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302)의 일 단이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2302)의 타 단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일 단이 고정되어 인장 및 압축가능하게 마련된다. 특히,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승된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의해 압축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2302)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하강되는 경우 탄성복원된다.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 중 결합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걸림상태 및 걸림상태의 해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브라켓(260)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2506)이 포한된다. 또한, 상기 걸림핀(2506)은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를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걸림핀(2506)은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후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2506)에는, 상기 래치(260)에 수용되는 걸림돌기(2507)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507)는 상부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핀(2506)은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507)는 상기 래치(260)에 삽입 또는 분리된다. 이하, 상기 걸림돌기(2507)가 상기 래치(260)에 삽입된 도 8의 (b)와 같은 상태를 걸림상태라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507)가 상기 래치(260)에서 분리된 도 8의 (a)와 같은 상태는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걸림상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래치(260)에는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한 쌍의 걸림부(260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600)에 상기 걸림돌기(2507)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2507)가 상기 래치(26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26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일 구성에 해당되며, 상기 걸림돌기(2507)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일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상태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 고정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승강커버(200)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 해당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가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파지부(2102)만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걸림돌기(2507)가 상기 래치(26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507)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부(2600)가 상기 래치(260)의 외부로 이동되며 벌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507)가 상기 걸림부(26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507)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중에 의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는 분리방지구조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와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브라켓(250)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브라켓(250)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고정결합홀(250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결합홀(2500)은 상기 결합브라켓(250)의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브라켓(250)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결합홀(2500)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의 결합부(2104)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결합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브라켓(25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는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25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210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홀(2500)은 양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결합홀(250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250)에는 상기 탄성부재(2300, 2302)가 삽입되는 탄성결합홀(250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홀(2502)은 상기 결합브라켓(250)의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홀(2502)은 상기 고정결합홀(25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홀(2500)과 상기 탄성 결합홀(2502)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결합홀(2502)은 상기 고정결합홀(25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0, 2302)는 상기 탄성결합홀(2502)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브라켓(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기 탄성결합홀(2502)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보조봉(2300)의 하부가 상기 탄성결합홀(2502)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탄성결합홀(250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보조봉(2300)이 상기 탄성결합홀(250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502)이 압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230, 2302)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탄성결합홀(2502)에 압축되며 삽입된다.
즉, 상기 탄성결합홀(2502)은 상기 탄성보조봉(2300)보다는 크고 상기 탄성스프링(2502)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보조봉(2300)은 상기 탄성결합홀(2502)에 삽입되나, 상기 탄성스프링(2502)은 삽입되지 못하며 상기 결합브라켓(2500)의 상단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보조봉(230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502)이 상기 결합브라켓(2500)의 상단에 압축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502)은 상기 결합브라켓(250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합브라켓(2500)이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250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006)와 접하도록 돌출된 결합가이드 돌기(2504)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2504)는 상기 가이드 돌기(2006)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2504)는 상기 결합브라켓(250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브라켓(2500)은 상기 가이드 돌기(2006)와 양 측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2504)는 상기 가이드 돌기(2006)를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2504)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돌기(2006)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돌기(2006)를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다만,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 돌기(2006) 및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2504)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다야한 가이드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상태 및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정리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상태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승강커버(210) 및 상기 출수노즐(240)이 상승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2506)이 상기 래치(260)에 삽입된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300, 2302)가 압축된 상태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탄성보조봉(2300)이 상기 결합브라켓(250)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302)이 상기 결합브라켓(250)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 해당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출수노즐(240)의 하강을 원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파지부(2102)에 상부로 외력을 가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측으로 약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2506)이 상기 래치(260)에서 분리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이 이동가능한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작용하는 하중 및 상기 탄성스프링(230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스프링(2302)의 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이 하부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핀(2506)이 상기 래치(26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상기 출수노즐(240)을 이동시킬 수 있다.그리고, 상기 출수노즐(240)의 승강에 의해 취수용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출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취수되는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매우 높은 온도의 물이 취수되는 경우 비산을 방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1 : 정수기 10 : 케이스
20 : 출수유닛 30 : 트레이
200 : 제 1 승강커버 210 : 제 2 승강커버
220 : 출수 사이드 커버 230 : 출수 탑 커버
240 : 출수노즐 250 : 결합브라켓
260 : 래치 2506 : 걸림핀
2300 : 탄성보조봉 2302 : 탄성스프링

Claims (15)

  1.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출수 탑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걸림핀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출수 탑 커버에는, 상기 걸림상태의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원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출수 탑 커버에서 하부로 연장된 탄성보조봉; 및
    상기 탄성보조봉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스프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탄성보조봉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부로 연장된 탄성결합홀이 포함되고,
    상기 탄성보조봉이 상기 탄성결합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탑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수 탑 커버의 상부에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걸림핀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출수노즐이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걸림핀이 형성된 결합브라켓이 포함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결합브라켓에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에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래치에 수용되도록 상부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양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결합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결합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결합홀;이 포함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결합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탄성결합홀에 압축되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하도록 돌출된 결합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걸림핀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내측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양 단에서 볼록하게 연장된 제 2 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내측 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래치가 설치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래치 설치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의 결합가이드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이동 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겹쳐지도록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 하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향해 돌출된 걸림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걸림핀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이 상기 래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2 승강커버 및 상기 출수노즐이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출수노즐의 연직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80142714A 2018-11-19 2018-11-19 정수기 KR10212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14A KR102128988B1 (ko) 2018-11-19 2018-11-1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14A KR102128988B1 (ko) 2018-11-19 2018-11-19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15A Division KR102201040B1 (ko) 2020-06-22 2020-06-22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14A KR20200058114A (ko) 2020-05-27
KR102128988B1 true KR102128988B1 (ko) 2020-07-02

Family

ID=7091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714A KR102128988B1 (ko) 2018-11-19 2018-11-1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10B1 (ko)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70A (ko) * 2011-01-28 2012-08-07 장소희 물받이가 움직이는 정수기
KR102571263B1 (ko) * 2016-11-10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10B1 (ko)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14A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1623B2 (en) Liquid dispenser
KR10212898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579B1 (ko) 정수기
KR20190087966A (ko) 정수기
US11518670B2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5569B1 (ko) 정수기
US11325821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128988B1 (ko) 정수기
KR101208551B1 (ko) 냉장고 또는 정수기의 디스펜서
KR20200077494A (ko) 정수기
KR102328859B1 (ko) 정수기
KR20210142574A (ko) 정수기
CN109422312B (zh) 净水器
KR102115616B1 (ko) 정수기
KR102068226B1 (ko) 정수기
KR10237444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20230107509A (ko) 정수기
KR102362173B1 (ko) 정수기
KR20180082985A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