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92B1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92B1
KR102014392B1 KR1020180004031A KR20180004031A KR102014392B1 KR 102014392 B1 KR102014392 B1 KR 102014392B1 KR 1020180004031 A KR1020180004031 A KR 1020180004031A KR 20180004031 A KR20180004031 A KR 20180004031A KR 102014392 B1 KR102014392 B1 KR 10201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cover
container
wat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773A (ko
Inventor
김민호
김영석
윤종원
장훈
전제욱
정순기
지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92B1/ko
Priority to CN201980007662.2A priority patent/CN112004773B/zh
Priority to EP19738470.4A priority patent/EP3737635B1/en
Priority to PCT/KR2019/000366 priority patent/WO2019139359A1/en
Priority to US16/766,401 priority patent/US11186475B2/en
Publication of KR2019008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92B1/ko
Priority to US17/517,931 priority patent/US1151867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cup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83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electrically or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켜,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하고, 하단에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공급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정수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출수부가 세팅된 위치의 수직 하방에 컵 등의 용기를 위치하고, 그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정수기 주변에 컵 등의 용기가 배치되면, 출수부가 자동으로 회전하거나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의 위치에 맞춰 직접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해줘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818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가 고정커버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커버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커버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커버 및 승강커버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의 체결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켜,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하고, 하단에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공급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정수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종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횡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로테이터와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커버와,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커버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승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의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로테이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의 내측 하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의 제2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로테이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 및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에 상기 출수노즐이 위치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수모듈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 또는 하강하여,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인접해서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키고 나면,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높이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가 고정커버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커버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커버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커버 및 승강커버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승강커버의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커버가 상승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승강커버가 하강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로테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슬림한 형상을 갖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는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회전동작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승강동작하면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120)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위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1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노즐(43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101)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탑 커버(114)의 전방에는 출수버튼(310)을 포함한 조작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정수기 본체(100)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출수모듈(4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출수버튼(310)이 출수모듈(400)의 전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면서,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있다. 반면, 출수버튼(310)이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출수모듈(400)에 출수버튼(310)이 구비된 경우, 출수버튼(310)은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정수기 본체(100)의 탑커버(114)와, 출수모듈(400)의 상면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승강유닛의 구성으로,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15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4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상부에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상기 조작부(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의 메인 구성요소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과 로테이터(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34)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트레이(900)의 회전을 위해 베이스(1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링(9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트레이(90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00)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36)에는 상부로 둘레와 나란하게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는 내접 기어(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133b)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게 되며, 후술되는 로테이터(2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 기어(271)와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71)가 내접기어(133b)를 따라 회전하면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된다.
상기 로테이터(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는 어퍼 커버(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필터 브라켓(13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로어 커버(111b)와 함께 정수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로테이터(200)와 탑 커버(114)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111a)의 상단에는 탑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14)는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14)에는 상기 조작부(30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3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00)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0)에는 출수 버튼(31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300)는 일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면을 커버하고, 나머지 일부가 탑 커버(114)에 결합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상면은 상기 출수모듈(400)과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10,62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 또는 상기 출수모듈(400)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710,720) 및 상기 감지부(710,720)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430)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610,62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는, 근접센서(710) 또는 카메라(720)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근접센서(710)와 카메라(720)는 감지부(710,72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11)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에 종방향(승강커버의 승강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11)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에 횡방향(로테이터의 회전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원주 방향(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4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근방에 놓인 컵 등의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
일 예로, 감지부(710,720)는 컵 등의 용기가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놓였는지, 중심보다 좌측 또는 중심보다 우측에 놓였는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서,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하부 또는 중심부에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놓인 용기의 횡방향 위치를 감지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좌측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 보다 좌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우측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우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한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10)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복수 구비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20)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부 또는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획득한 초점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승강커버의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승강커버가 상승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승강커버가 하강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출수모듈(400)은, 프론트 커버(111)에 마련된 개구부(101)를 통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커버(420)와 함께 승강하는 출수노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430)은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커버(420)가 고정커버(410)를 따라 승강하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430)의 수직방향의 위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정커버(410)는 로테이터(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커버(4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수평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르면, 로테이터(200)와 조작부(3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420)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상기 조작부(300) 사이 간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2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상승 높이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하강 높이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즉,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높이조절범위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커버(410)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출수모듈(400)은 조작부(300)에 의해 그 상단이 정수기 본체(100)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로테이터(200)에 의해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100)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모듈(400)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출수모듈(400)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400)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테이터(200)와 출수모듈(400)은 개구부(101)를 통과하는 브릿지(5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00)는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통과하며, 양단이 각각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모듈(400) 및 로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500)의 내부, 그리고 브릿지(500)가 연결된 로테이터(200)의 선단,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의 배면(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는 각종 배관이 통과되게 상호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로가 형성되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통로를 통해 승강커버(420)에 구비된 출수노즐(43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관은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정수관, 그리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관 및 온수관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 동작할 때, 배관이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에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수,정수 및 온수가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41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커버(420)는, 상기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커버(410)의 개방된 하측으로 출몰하면서 승강한다.
일 예로,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커버(420)가 하강하면, 고정커버(4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승강커버(4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커버(420)를 상승시키면,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커버(420)가 승강하며, 승강커버(420)에 고정된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승강커버(420)의 외형은 상기 고정커버(410)의 승강공간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은, 고정커버(410)와 승강커버(420)의 고정력은 확보하면서, 상기 승강커버(420)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을 하기 때문에, 고정커버(410)에 의해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승강커버(420)가 고정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승강커버(420)가 양측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이 불안정하게 진행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고정커버(410) 또는 승강커버(420)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커버(4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돌출부 또는 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이면서, 승강커버(42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커버(410)에 홈부가 형성되면, 승강커버(420)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커버(410)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승강커버(420)에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440,450)는 상기 고정커버(410)에 승강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측면의 적어도 일측에 기어치(431)가 형성된 가이드홈(440)과, 상기 가이드홈(440)과 대면하는 승강커버(420)의 전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440)에 끼워져 상기 기어치(441)와 치합되면서 회전 및 승강하는 제1피니언 기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440,450)는 상기 승강커버(42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커버(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40)에 끼워져, 가이드홈(440)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상기 승강커버(4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에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과 같은 방식으로 맞물리고, 제1피니언 기어(450)는 회전하면서, 가이드홈(440)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피니언 기어(450)와 기어치(441)가 형성된 가이드홈(440)의 구성으로, 제1피니언 기어(450)가 회전하면서 가이드홈(440)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20)의 승강이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에는 상기 승강커버(220)의 승강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 일부 또는 전체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부드럽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2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경우, 뾰족한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의 요철(凹凸)부분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피니언기어(450)의 제1 회전축(452)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6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구동부재(610)는 전술한 구동부를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부재(6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피니언기어(450)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4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420)의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구동부재(61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 제1 구동부재(610)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 구동부재(610)는 회전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피니언기어(450)가 가이드홈(440)을 따라 승강하면서, 제1 피니언기어(450)가 고정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710,720)와 연결되어, 감지부(710,720)에서 감지된 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부 및 제어부에 의한 제1 구동부재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로테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로테이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출수노즐(430)의 수평방향 위치를 가변시킨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테이터(200)는 중공(211)을 갖는 원형의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디스크(220) 및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디스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부 디스크(220), 하부 디스크(230)는 조립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는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디스크(2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하고,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디스크(230)의 상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돌기와 상부디스크, 제2안착돌기와 하부디스크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에는 각각 중심부에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중공(211)과 연통하는 통공(221,2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공(221,231)은 로테이터(200)의 회전중심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공(221,231)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정수관 및 온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통공(221,231)을 통해, 온수관, 정수관, 냉수관이 로테이터(2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200)의 내측 하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27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3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a)의 내측면에는 내접 기어(133b)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3a)는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반원 형상 또는 아치형으로 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271)는 상기 내접 기어(133b)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271)의 제2 회전축(271a)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재(620)의 축과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구동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재(62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로테이터(2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 제2 구동부재(620)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회전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271)가 내접 기어(133b)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2 피니언기어(27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제2 피니언 기어(271)가 고정된 로테이터(200)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와 연결된 출수모듈(40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710,720)와 연결되어, 감지부(710,720)에서 감지된 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구동부재(62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부 및 제어부에 의한 제2 구동부재(620)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구동부의 제어를 통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여, 감지부(710)가 근접센서로 구비된 경우,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된다(S101).
여기서, 상기 '용기'는 컵, 물병, 냄비 등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용기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용기는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면, 상기 감지부(710)에서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
먼저, 감지부(710)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710)는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된 상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최하단에 위치된 감지부(710)에서,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용기의 높이에 관계 없이 용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세히, 도면상의 좌측 하단에 위치된 근접센서(710a)에서, 용기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S111)
만약 상기 S111단계에서, 상기 좌측의 근접센서(710a)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1)
이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271)와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S111단계에서, 상기 좌측의 근접센서(710a)에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중심에 위치된 근접센서(710b)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12)
만약 상기 S112 단계에서, 상기 중심부의 근접센서(710b)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2)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중심부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만약, 대기모드에서 출수모듈(400)이 중심부에 위치된 경우,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별도의 신호를 보내지 않고, 출수모듈(400)은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112 단계에서도, 상기 중심부의 근접센서(710b)에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된 근접센서(710c)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13)
상기 S113단계에서, 상기 우측의 근접센서(710c)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3)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기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회전하고, 출수노즐(430)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용기의 높이에 따라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하, 용기가 프론트 커버(111)의 우측에 위치된 상태라는 가정하에 설명한다.
먼저, 프론트 커버(111)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근접센서(710d,710e,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1)
만약, 상기 S131 단계에서, 모든 근접센서(710d,710e, 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최대로 상승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대기모드에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최대 상승높이에 위치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별도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초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S141)
반면, S131 단계에서, 모든 근접센서(710d, 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2)
만약, 상기 S132 단계에서,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 1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2)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e) 근처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반면, S132 단계에서, 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하단의 근접센서(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3)
만약, 상기 S133 단계에서, 하단의 근접센서(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1 회전량 보다 큰 제2 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3)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f) 근처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반면, S133 단계에서, 상부의 모든 근접센서(710d, 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용기의 높이가 근접센서(710f) 보다 낮다고 판단한다.(S134)
따라서,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2 회전량 보다 큰 제3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4)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최대로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f) 보다 하부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고, 용기의 위치 및 높이에 맞춰 출수모듈(400)이 회전하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하강하면서,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출수버튼을 누른다.(S151)
이후, 제어부는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의 출수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152)
그리고, 출수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 및 제2구동부재(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S153)
다른 예로,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감지부(720)가 카메라로 구비된 경우, 구동부의 제어를 통한 출수노즐의 위및 및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된다(S201).
여기서, 상기 '용기'는 컵, 물병, 냄비 등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S201 단계에서, 용기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용기는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면, 상기 감지부(720)에서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
먼저, 감지부(720)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된 상태이다.
상세히, 도면상의 좌측에 위치된 카메라(720a)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211)
또는, 중심부에 위치된 카메라(720b)에서, 용기를 감지할 수 있다.(S212)
또는,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된 카메라(720c)에서 용기를 감지할 수도 있다.(S213)
이후, 용기가 감지된 카메라(720a,720b,720c)의 위치로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킨다.(S221)
상세히, S211단계에서, 좌측의 카메라(720a)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12 단계에서, 상기 중심부의 카메라(720b)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중심부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만약, 대기모드에서 출수모듈(400)이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별도의 신호를 보내지 않고, 출수모듈(400)은 초기에 고저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213단계에서, 상기 우측의 카메라(720c)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기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회전하고, 출수노즐(430)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출수노즐(430) 또는 출수노즐(430)과 인접한 승강커버(420)의 하단에는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720d)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출수노즐(430)의 위치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720d)를 통해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
만일, S231단계에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지 않을 경우,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때 까지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을 회전시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재조절한다.(S232)
한편, S231단계에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를 제어하여, 용기의 높이에 따라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720a,720b,720c,720d)에서 획득한 용기의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용기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기의 높이가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회전시킨다.(S241)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고, 용기의 위치 및 높이에 맞춰 출수모듈(400)이 회전하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하강하면서,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출수버튼을 누른다.(S251)
이후, 제어부는 출수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252)
그리고,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S253)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키고 난 뒤,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높이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하강시킨다고 설명한 바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변형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높이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의 상단과 인접하게 하강시키고 난 뒤,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위치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610,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고 명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변형 예로,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출수노즐(430)은 복귀하지 않고, 출수가 진행되었던 위치에 회전 및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된 후, 출수노즐(43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출수노즐(430)의 복귀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는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제1 구동부재(610)가 회전하고 승강커버(420)가 하강하면서, 용기의 상단과 출수노즐(430)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감지부, 제어부 및 구동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조절한다고 명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감지부, 제어부 및 구동부가 꺼진 상태(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출수모듈(400)을 잡고,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승강커버(42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수동으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 피니언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은 회전 저항력을 제공하는 오일댐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이점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20)

  1.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켜,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 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하고, 하단에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공급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정수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출수모듈이, 회전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면, 상기 출수모듈이, 상기 회전 동작 후, 승강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종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횡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로테이터와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커버;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커버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승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의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
    상기 정수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로테이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내측 하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의 제2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로테이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항 또는 제 1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는 단계;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 및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에 상기 출수노즐이 위치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수모듈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 또는 하강하여,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인접해서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키고 나면,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높이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04031A 2018-01-11 2018-01-11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1A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8-01-11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980007662.2A CN112004773B (zh) 2018-01-11 2019-01-10 净水器及其控制方法
EP19738470.4A EP3737635B1 (en) 2018-01-11 2019-01-10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9/000366 WO2019139359A1 (en) 2018-01-11 2019-01-10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766,401 US11186475B2 (en) 2018-01-11 2019-01-10 Liquid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517,931 US11518670B2 (en) 2018-01-11 2021-11-03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1A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8-01-11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322A Division KR102130507B1 (ko) 2019-08-19 2019-08-19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73A KR20190085773A (ko) 2019-07-19
KR102014392B1 true KR102014392B1 (ko) 2019-08-26

Family

ID=6721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031A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8-01-11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86475B2 (ko)
EP (1) EP3737635B1 (ko)
KR (1) KR102014392B1 (ko)
CN (1) CN112004773B (ko)
WO (1) WO2019139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83B1 (ko) *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14392B1 (ko) *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762B1 (ko) * 2018-09-03 2019-09-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사고 방지용 정수기
KR20200124130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102295444B1 (ko) * 2019-04-23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10026592A (ko) * 2019-08-30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20124352A1 (de) * 2020-09-18 2022-03-24 Krones Aktiengesellschaft Getränkespender
KR20220085317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9466B1 (ko) 2020-12-22 2021-03-18 주식회사 모빌린트 정수기 제어 방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시스템
KR102534787B1 (ko) 2021-01-08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87831U (zh) * 2011-07-24 2012-07-04 九阳股份有限公司 感应式饮水装置
JP5220138B2 (ja) * 2011-01-13 2013-06-26 正樹 伊藤 自動液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138B2 (ko) 1972-11-02 1977-06-01
JP3264963B2 (ja) 1992-02-12 2002-03-11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KR20010010183A (ko) * 1999-07-16 2001-02-05 조명희 물통세정 및 정수공급장치
KR100824071B1 (ko) * 2006-07-05 2008-04-21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KR101075056B1 (ko) 2008-04-25 2011-10-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속추출 보조레버를 구비하는 정수기용 코크
KR101483529B1 (ko)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US20150305548A1 (en) * 2012-12-21 2015-10-29 Nestec S.A. Food or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101692732B1 (ko) * 2013-07-03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US9352950B2 (en) * 2013-11-26 2016-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with single serve dispenser
KR101773478B1 (ko) *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91442B1 (ko) *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637684B1 (ko) * 2016-05-04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539477B1 (ko) * 2016-05-04 202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70125559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00B1 (ko) * 2016-07-0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640866B1 (ko) * 2016-08-2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28260B1 (ko) * 2017-03-20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95026B1 (ko) * 2017-07-20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14392B1 (ko) *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95444B1 (ko) * 2019-04-23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0138B2 (ja) * 2011-01-13 2013-06-26 正樹 伊藤 自動液吐出装置
CN202287831U (zh) * 2011-07-24 2012-07-04 九阳股份有限公司 感应式饮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7635B1 (en) 2022-12-07
CN112004773B (zh) 2022-06-28
US20220055884A1 (en) 2022-02-24
US11518670B2 (en) 2022-12-06
EP3737635A4 (en) 2021-09-29
WO2019139359A1 (en) 2019-07-18
WO2019139359A8 (en) 2020-08-13
EP3737635A1 (en) 2020-11-18
KR20190085773A (ko) 2019-07-19
US20200377356A1 (en) 2020-12-03
US11186475B2 (en) 2021-11-30
CN112004773A (zh)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3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43888B2 (en) Water purifier
KR102095026B1 (ko) 정수기
KR10212898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9456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962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918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287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422312B (zh) 净水器
KR102068226B1 (ko) 정수기
KR20200124136A (ko) 출수장치
KR102232820B1 (ko) 정수기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102111593B1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KR102362173B1 (ko) 정수기
KR102201040B1 (ko) 정수기
KR20230107509A (ko) 정수기
KR20220027107A (ko) 정수기
KR20210015470A (ko) 수처리 장치
KR20190104966A (ko) 정수기
KR20200124133A (ko) 출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