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464A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464A
KR20200079464A KR1020200077772A KR20200077772A KR20200079464A KR 20200079464 A KR20200079464 A KR 20200079464A KR 1020200077772 A KR1020200077772 A KR 1020200077772A KR 20200077772 A KR20200077772 A KR 20200077772A KR 20200079464 A KR20200079464 A KR 2020007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fting
water
gea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449B1 (ko
Inventor
정순기
장훈
지진규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27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898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4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464A/ko
Priority to KR1020220029932A priority patent/KR2022003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49B1/ko
Priority to KR1020230086527A priority patent/KR20230107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에는, 케이스 및 출수유닛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출수 사이드 커버, 제 1 승강커버, 제 2 승강커버, 승강모터, 기어모듈 및 출수노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기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포함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어가 상기 승강기어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소정의 물을 필터링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상기 정수기는 가전제품 또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정수를 제공하는 가정용 정수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는, 필터 등이 장착되는 정수기 본체 및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필터링된 물을 제공하는 출수부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에 물을 수용하는 용기 등을 배치하여 정수를 취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의 위치에 구속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 1이 등록공고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등록번호 : 제10-1381803호 (공고일자 : 2014년 04월 07일)
2. 발명의 명칭 : 정수기
상기 선행문헌 1에는, 본체의 일 측에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결합되는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고 설정각도만큼 회전되어 다시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출수부의 위치를 필요로 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 1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출수부를 분리하고 결합시켜야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리 및 결합과정에서 구성품의 분실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출수부에는 정수가 취출되는 출수관이 연결되기 때문에, 분리 및 결합과정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는 소정의 각도로만 회전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출수부의 위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출수부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만 가능하고, 수직방향 이동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승강모터에 의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상하로 이동되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에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는 승강모터 및 상기 승강모터에 연동되는 기어모듈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기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포함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어가 상기 승강기어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에는, 상기 출수노즐의 연직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에 취수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취수용기의 높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수노즐의 하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승강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승강모터가 동작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된 기어가 회전되며 상기 제 1 승강커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기어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출수노즐과 함께 하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출수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에서 물이 출수되어 상기 취수용기에 물이 취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승강모터의 구동에 따라 출수노즐이 설치된 승강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승강입력부의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 또는 취수용기를 인식하여 상기 출수노즐이 하강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이 취수용기의 높이에 대응하여 하강됨에 따라 취수되는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온도가 높은 온수가 취수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도 마련되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단면을 이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결합된 출수유닛(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후술할 각종 구성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0)에는, 프론트 커버(100), 리어커버(102), 베이스 커버(104), 탑 커버(106)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포함된다. 이때, 각 커버는 상기 정수기(1)의 전면, 후면, 저면,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커버는 서로 결합부재 또는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상기 리어 커버(102)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정수기(1)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상단에 상기 탑 커버(10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00), 상기 리어 커버(10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의 하단에 상기 베이스 커버(104)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104)는 상기 정수기(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108)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리어 커버(10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 및 상기 탑 커버(106)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상기 리어 커버(102)에 대응되어 전단 및 후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002)는 후술할 출수유닛(20)의 회전시 중심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1002)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함몰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전면는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는 컵 등의 용기(이하, 취수 용기)를 배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평면부(1002)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취수 용기를 보다 깊숙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취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취수 용기가 안착되는 트레이(30)가 포함된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함께 상기 정수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는 후술할 출수노즐(240)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취수 용기에 수용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30)는 그릴 및 상기 그릴의 하방에 저장부가 구비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 및 상기 탑 커버(106)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와 연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출수 탑 커버(230), 출수 승강커버(200, 210) 및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포함된다. 각 커버는 상기 출수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10)에 안착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후술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곡률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가 상하부로 구분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로트 커버(1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와 결합되는 하부 프론트 커버(1000) 및 상기 탑 커버(106)와 결합되는 상부 프론트 커버(1004)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4)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에 비하여 적은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004)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적인 부분으로 이해된다.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는, 상기 평면부(1002)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 용기의 일 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특히,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탑 커버(230)는 상기 탑 커버(106)에서 연장되어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의 상단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각종 입력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는 버튼방식, 터치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입력부(40)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입력부(40)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소정의 물이 취수되는 출수노즐(240)이 포함된다. 상기 출수노즐(240)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의 하부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노즐(240)의 연직하방에는 상기 트레이(3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에는, 상기 출수노즐(240)과 연결되는 출수배관(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배관(미도시)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출수유닛(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출수노즐(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1)의 출수유닛(10)은, 상기 출수노즐(24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되거나 승강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은 회전되거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출수노즐(240)에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 상기 출수 탑 커버(230) 및 상기 출수노즐(2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유닛(20)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고,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입력부(40)가 상기 출수 탑 커버(230)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출수유닛(20)과 함께 회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닛(20)과 대응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도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20)의 승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수 승강커버에는,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승강커버(21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단에 상기 출수 탑 커버(2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승강을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 및 승강은 서로 동시에 또는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은 설치장소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유닛(20)의 승강은 취수 용기의 높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 또는 승강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유닛(20)은 회전되지 않고 승강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정수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해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서로 다르게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정수기(1)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다만, 또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정수기(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물이 유동되는 배관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40), 쿨링 탱크(50), 압축기(60), 응축기(70) 및 유도 가열 어셈블리(8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40)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45)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부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0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반원의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은 상기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필터(4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과 상기 프론트 커버(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4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는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45)에는 다양한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배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 및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쿨링 탱크(50)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또는 상기 출수노즐(24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냉수, 온수 및 정수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55)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냉수의 공급을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60)와 응축기(70)의 사이에는 쿨링 팬(65)이 배치된다. 상기 쿨링팬(65)은 상기 압축기(60)와 상기 응축기(70)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60)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70)는 상기 리어 커버(102)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70)는 응축기 브라켓(75)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7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브라켓(75)은, 상기 응축기(7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상기 쿨링팬(65) 및 상기 리어 커버(102)의 토출구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응축 브라켓(75)의 상부에는 상기 쿨링 탱크(50)가 수용되는 탱크 장착부(53)가 배치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 장착부(53)는 상기 쿨링 탱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쿨링 탱크(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55)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를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는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에서 상기 쿨링 탱크(50)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는 상기 압축기(160)의 상방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제어부(9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제어하여 상기 정수기(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압축기(60), 상기 쿨링 팬(65), 각종 밸브, 센서 및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함께 정수를 가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80)와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5)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는, 상기 출수유닛(20)의 회전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 및 상기 트레이(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구조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와 결합되는 회전 장착부(225, 227)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와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장착부(225, 227)는 볼 베어링 또는 롤러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장착부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 장착부(225) 및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 장착부(227)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회전 장착부(227)는 상기 필터 브라켓(45)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 장착부(225)는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104)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0)와 결합되는 트레이 장착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는 상기 베이스 커버(104)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104)의 전단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0)에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와 결합되는 트레이 후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트레이 장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30)를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출수유닛(20)의 승강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VII-V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VIII-VIII'단면을 이동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상기 출수 승강커버(200, 210) 및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출수 승강 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 및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출수 탑 커버(230) 및 상기 출수 노즐(240)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고정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이동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 1, 2 승강커버(200, 210)는 상대이동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2 승강커버(200, 210)는 모두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 커버(100)와 함께 상기 정수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의 외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2000)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에서 연장되는 제 2 플레이트(200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되는 것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구비된다. 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 대응되는 곡률로 구부러진 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7은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출수개구(200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에도 상기 출수개구(2004)와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출수개구(2004)는 상기 출수노즐(240)로 연장되는 출수배관이 통과되는 구멍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기어(2006) 및 가이드 레일(200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2006)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이 형성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일 면을 내면이라 하고,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220)와 결합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일 면은 외면이라 한다.
상기 승강기어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은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어(2006)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은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2006)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은 상기 출수개구(2004)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7상에서, 상기 승강기어(2006)는 상기 출수개구(2004)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좌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승강기어(2006)와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승강기어(2006)는 직선랙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기어(200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기어 이(gear teeth)를 갖는다. 특히, 상기 승강기어(2006)는 상기 기어 이가 일 측면, 자세하게는, 상기 출수개구(2004)를 향하도록 좌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은 매끄럽게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2006)와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일 면, 즉, 우측면에는 복수의 안착홈(2007, 2009)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안착홈(2007, 2009)은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우측면에서 좌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착홈(2007, 2009)에는 제 1 안착홈(2007) 및 상기 제 1 안착홈(2007)보다 하부에 위치된 제 2 안착홈(2009)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제 1 안착홈(2007)은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상단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착홈(2009)은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하단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1 안착홈(2007)과 상기 제 2 안착홈(2009)은 거의 최대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안착홈(2007)과 상기 제 2 안착홈(2009)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이동되는 거리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양 단에서 볼록하게 연장된 판에 해당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의 양 단과 구부러진 형태로 결합된 판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200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간은 상하가 개구된 상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하부는 개구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상부는 상기 출수 탑 커버(230)가 결합되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하부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일 면을 내면이라 하고 그와 대향되는 면을 외면이라 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외면은 상기 정수기(1)의 전방에 돌출되는 부분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면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플레이트(20002)의 외면은 미관을 위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내면은 상기 제 1 승강커버(2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내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00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003)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0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2003)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7) 및 상기 승강기어(2009)와 인접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7)과 인접한 가이드 돌기(2003)가 도시되었고, 도 7에서는 상기 승강기어(2006)와 인접한 가이드 돌기(2003)가 도시되었다.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제 1 플레이트(2000)와 제 2 플레이트(2002)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상승커버(210)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의 내측에서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제 2 상승커버(210)는 상기 제 1 상승커버(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 2 상승커버(210)는 상기 제 1 상승커버(200)와 동일하게 제 1 플레이트(2010) 및 제 2 플레이트(2012)를 갖는다. 도 6에서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제 1 플레이트(2010) 및 제 2 플레이트(2012)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상승커버(210)도 상기 제 1 플레이트(20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12)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상단은 개방되고, 후술할 승강모터(250) 및 기어모듈(260)과의 결합을 위해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설치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상승커버(210)의 하부에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끼워져 결합되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10)에는, 상기 출수개구(2004)에 대응되는 출수홈(2014)이 형성된다. 상기 출수 홈(2014)은 상기 제 2 상승커버(21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개구(200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출수개구(2004) 및 상기 출수 홈(2014)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2010)에는, 보조 가이드 레일(2015)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2015)은 양 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2015)은 상기 가이드 돌기(2003)와 접하여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1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0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013)는 상기 제 2 플레이트(2012)의 양 측면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승강커버(200)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파지부(2013)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삭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파지부(201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를 이동시키는 보조적인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2013)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2012)에는, 후술할 승강모터(250) 및 기어모듈(260)과 결합되는 승강 브라켓(2016)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 브라켓(2016)에는 상기 승강모터(250)가 결합되는 모터 결합부(2017) 및 상기 기어모듈(260)이 결합되는 기어 안착부(2018)가 포함된다.
상기 출수유닛(20)에는, 승강모터(250) 및 상기 승강모터(250)에 연동되는 기어모듈(26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승강모터(25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2504), 전원공급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2500) 및 상기 모터축(2500)에 연결된 모터기어(2502)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기어(2502)는 상기 모터축(2500)과 나란하게 기어 이가 절삭된 평기어에 해당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모터(250)는, 상기 모터 결합부(2017)에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모터(250)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결합될 수 있다.자세하게는, 상기 승강모터(250)는 상기 모터축(2500)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기어(2502)가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모듈(260)은 상기 승강모터(250)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기어 브라켓(2600)이 포함된다. 상기 기어 브라켓(2600)은 상기 모터 결합부(2017)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브라켓(2600)에는,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003)와 접하는 기어 가이드 돌기(2602)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가이드 돌기(2602)는 상기 가이드 돌기(2003)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2003)와 상기 기어 가이드 돌기(2602)는 서로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어 브라켓(2600)은 상기 가이드 돌기(20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브라켓(2600)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어 브라켓(260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08)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는 상기 제 1, 2 안착홈(2007, 2009)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 모듈(260)에는, 상기 기어 브라켓(2600)에 장착되는 제 1 기어(2606), 제 2 기어(2607), 제 3 기어(2608) 및 제 4 기어(2609)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기어의 개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해당된다.
상기 제 1 기어(2606)는 상기 모터 기어(2402)와 맞물리는 기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2607)는 상기 제 1 기어(2606)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기어(2606) 및 상기 제 2 기어(2607)는 하나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2608)는 상기 제 2 기어(2607)와 맞물리는 기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09)는 상기 제 3 기어(2608)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3 기어(2608) 및 상기 제 4 기어(2609)는 하나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09)는 상기 승강기어(2608)와 맞물린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2608)는 상기 제 1 승강커버(200)에 형성된 것으로 고정된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4 기어(2609)는 상기 기어 브라켓(2600)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결합된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기어(2609)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승강을 설명한다. 도 8의 (a)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의 (a)는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삽입된 상태이며, 도 8의 (b)는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삽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는 상기 제 1, 2 안착홈(2009)의 이격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에 설치되는 상기 출수노즐(240)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의 이동거리만큼 승강될 수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정수기(1)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제어구성은 승강 및 출수에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제어구성은 보다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1)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정수기(1)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모터(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모커(2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 및 상기 출수노즐(240)이 승강된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출수노즐(24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출수밸브(9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94)는 상기 출수노즐(240)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출수 및 출수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입력부(40) 또는 각종 센서가 구비된 센싱부(92)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240) 및 상기 출수밸브(9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40)에는, 승강입력부(400) 및 출수입력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92)에는 복수의 센서(920, 922, 924)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입력부(40)에 의한 제어를 제 1 실시 예로 기재하고, 상기 센싱부(92)에 의한 제어를 제 2 실시 예로 기재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제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0)에 소정의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정수기(1)가 제어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상기 승강입력부(400) 및 상기 출수입력부(4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입력부(400) 및 상기 출수입력부(410)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도 10을 설명하면, 상기 정수기(1)는 출수 대기 상태로 마련된다(S100). 이때, 출수 대기 상태는 상기 정수기(1)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출수노즐(420)이 하강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승강입력부(400)를 가압하거나 터치하면,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하부로 이동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승강모터(240)를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축(2500)이 회전되고, 상기 기어모듈(260)로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09)가 상기 승강기어(2006)를 따라 회전되며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모터(2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을 따라 하강될 수 있다.
계속하여 하강되는 중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240)에는 일시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이와 같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큰 부하가 입력되면, 하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모터(24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 및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입력부(410)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상기 출수입력부(410)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출수밸브(94)가 열려 상기 출수노즐(420)로 물이 취출된다(S140). 이때, 취출되는 물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출수입력부(410)의 입력이 있다면 출수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을 하강시키거나 원 위치에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40)이 하강된 상태에 취수된 경우, 취수가 종료되면 다시 원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노즐(240)의 상승은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입력 또는 취수가 종료된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후로 설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승강입력부(400)의 신호 또는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승강모터(240)를 반대로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축(2500)이 반대로 회전되고, 상기 기어모듈(260)로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기어(2609)가 반대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기어(2006)를 따라 회전되며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모터(2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008)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승되는 중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240)에는 일시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이와 같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큰 부하가 입력되면, 상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모터(24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제 2 승강커버(210) 및 상기 출수노즐(240)은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삽입될 때까지 상승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상기 센싱부(92)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정수기(1)가 제어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상기 센싱부(92)에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920), 제 2 센서(922) 및 제 3 센서(924)가 포함된다. 이때, 센서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 센서(920, 922, 924)는 상기 프론트 커버(10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2, 3 센서(920, 922, 924)는 상기 평면부(1002)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922)는 상기 제 1 센서(9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센서(924)는 상기 제 2 센서(922)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각 센서의 위치는 취수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920)는 낮은 높이의 취수용기(C)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는 높이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센서(920)는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센서 중 최하측에 설치된 센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잔과 같은 낮은 높이의 취수용기(C)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센서(92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서(924)는 높은 높이를 갖는 취수용기(A)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는 높이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와 같은 높은 높이의 취수용기(A)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2, 3 센서(920, 922, 924)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922)는 상기 제 1 센서(920) 및 상기 제 3 센서(924)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중간 높이의 취수용기(B)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그컵과 같은 중간 높이의 취수용기(B)가 상기 트레이(3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2 센서(920, 922)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고하여, 도 11을 설명하면, 상기 정수기(1)는 출수 대기 상태로 마련된다(S200).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920)의 인식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때, 도 12와 같이 상기 트레이(30)에 어떤 높이의 취수용기(A, B, C)가 안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센서(920)에 의해 인식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센서(920)의 인식여부는 상기 트레이(30)에 취수용기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센서(92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출수 대기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920)가 인식된 경우, 상기 트레이(30)에 취수용기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220)의 인식여부를 판단한다(S220).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220)가 인식된 경우, 제 3 센서의 인식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제 1 센서(920)가 인식되었으나 상기 제 2 센서(22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도 12의 (c)와 같은 상태로 판단한다. 즉, 낮은 높이의 취수용기(C)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수노즐(240)의 하강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이 2단 하강된다(S225).
다시 말하면,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센서 중 최하측에 위치된 센서만 인식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출수노즐(240)은 최대로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센서(920, 922)가 인식되었으나 상기 제 3 센서(924)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도 12의 (b)와 같은 상태로 판단한다. 즉, 중간 높이의 취수용기(B)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수노즐(240)의 하강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이 1단 하강된다(S235).
이는 복수의 센서 중 최하측에 위치된 센서와 그 센서의 상부에 위치된 센서가 인식된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출수노즐(240)은 최대보다 작은 범위로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노즐(240)의 2단 하강은 상기 제 2 승강커버(210)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240)의 1단 하강은 2단 하강에 비하여 중간정도로 하강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안착홈(2007)과 상기 제 2 안착홈(2009)의 중간부분에 제 3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의 1단 하강은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3 안착홈에 안착될 때까지의 하강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40)의 2단 하강은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2 안착홈(2009)에 안착될 때까지의 하강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 센서(920, 922, 924)가 인식된 경우, 도 12의 (a)와 같은 상태로 판단한다. 즉, 높은 높이의 취수용기(A)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수노즐(240)의 하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취수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개수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240)이 복수의 단계로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40)은 보다 다양하게 취수용기의 높이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240)의 하강이 완료되거나 하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출수 여부를 판단한다(S240). 이때, 출수는 상기 출수입력부(410)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출수입력부(410)가 입력되면, 상기 출수밸브(94)가 개방되어 상기 출수노즐(240)로 취수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출수입력부(410)의 입력이 없거나,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출수노즐(240)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모터(250)가 반대로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2604)가 상기 제 1 안착홈(2007)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출수노즐(240)이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수노즐(24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취수용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출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취수되는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매우 높은 온도의 물이 취수되는 경우 비산을 방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1 : 정수기 10 : 케이스
20 : 출수유닛 30 : 트레이
200 : 제 1 승강커버 210 : 제 2 승강커버
220 : 출수 사이드 커버 230 : 출수 탑 커버
240 : 출수노즐 250 : 승강모터
260 : 기어모듈

Claims (28)

  1.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결합되는 출수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커버;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승강커버;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는 승강모터 및 상기 승강모터에 연동되는 기어모듈;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설치되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기어;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상승 동작 시, 상기 승강모터에 기준치 이상의 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상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포함되어,
    상기 승강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어가 상기 승강기어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제 1 승강커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안착홈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더 포함되고,
    상기 기어 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 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는, 제 1 안착홈 및 상기 제 1 안착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안착홈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가 상기 제 1 안착홈에 삽입될 때까지 상승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가 상기 제 2 안착홈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출수 사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커버는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승강기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내측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양 단에서 볼록하게 연장된 제 2 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면은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기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어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기어 브라켓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와 접하도록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기어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승강커버에는,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제 2 플레이트의 양 측면 하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개구된 출수개구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출수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노즐과 연결되는 출수배관이 더 포함되는 정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터에는, 모터축 및 모터축에 연결된 모터기어가 포함되고,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동축으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어와 맞물리는 제 4 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2 승강커버 및 상기 출수노즐이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출수노즐의 연직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출수 사이드 커버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승강커버를 덮는 출수 탑 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출수 탑 커버에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승강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출수노즐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 및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출수유닛이 돌출되어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안착되는 취수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취수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출수노즐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정수기.
  18. 제 1 승강커버 및 상기 제 1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이 설치되는 제 2 승강커버가 포함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연직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에 취수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상기 취수용기의 높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수노즐의 하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승강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승강모터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된 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제 1 승강커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기어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출수노즐과 함께 하부로 이동되고,
    출수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에서 물이 출수되어 상기 취수용기에 물이 취수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노즐에서의 출수가 종료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거나 상기 승강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승강모터가 반대로 동작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기어가 반대로 회전되며 상기 승강기어를 따라 상승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가 상기 출수노즐과 함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상승 동작 시, 상기 승강모터에 기준치 이상의 부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의 상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제 1 안착홈 및 제 2 안착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의 이격거리만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안착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 브라켓이 더 포함되고,
    상기 승강모터는 상기 가이드 레일 돌기가 상기 제 1 안착홈 및 상기 제 2 안착홈 중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에 삽입된 상태가 될 때까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브라켓 및 상기 승강모터는 상기 제 2 승강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승강커버와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 중 최하측에 설치된 제 1 센서에 의해 상기 취수용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 1 센서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이 최대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모터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센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이 최대보다 작은 범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모터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커버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안착홈 및 상기 제 1 안착홈과 하부로 이격된 제 2 안착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 1 센서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의 이격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 3 안착홈이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센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3 안착홈의 이격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0200077772A 2018-11-19 2020-06-25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72A KR102374449B1 (ko) 2018-11-19 2020-06-25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0029932A KR20220039665A (ko) 2020-06-25 2022-03-10 정수기
KR1020230086527A KR20230107509A (ko) 2020-06-25 2023-07-04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49A KR102128981B1 (ko) 2018-11-19 2018-11-19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077772A KR102374449B1 (ko) 2018-11-19 2020-06-25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749A Division KR102128981B1 (ko) 2018-11-19 2018-11-19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32A Division KR20220039665A (ko) 2020-06-25 2022-03-1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464A true KR20200079464A (ko) 2020-07-03
KR102374449B1 KR102374449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772A KR102374449B1 (ko) 2018-11-19 2020-06-25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580A (ko) * 2008-11-14 2010-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20100066979A (ko) * 2008-12-10 2010-06-18 (주)케이.아이.기술 건축용 리프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580A (ko) * 2008-11-14 2010-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20100066979A (ko) * 2008-12-10 2010-06-18 (주)케이.아이.기술 건축용 리프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449B1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98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298602B (zh) 净水器
US11447383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042579B1 (ko) 정수기
US11518670B2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36232B2 (en) Water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00211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11230468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20210001368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200124135A (ko) 출수장치
KR20200124134A (ko) 출수장치
KR10237444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89756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23003962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7509A (ko) 정수기
KR102201040B1 (ko) 정수기
KR102128988B1 (ko) 정수기
KR20210005967A (ko) 정수기
KR10238287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11904339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115616B1 (ko) 정수기
KR20230065942A (ko) 정수기
KR2019009918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