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745B1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745B1
KR102425745B1 KR1020170040659A KR20170040659A KR102425745B1 KR 102425745 B1 KR102425745 B1 KR 102425745B1 KR 1020170040659 A KR1020170040659 A KR 1020170040659A KR 20170040659 A KR20170040659 A KR 20170040659A KR 102425745 B1 KR102425745 B1 KR 10242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tip
unit
wat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837A (ko
Inventor
김철호
문현석
이권재
최인두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7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물배출부; 상기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팁부재; 및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팁연결분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물배출장치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물배출장치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물배출장치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종래의 물배출장치의 배출구에는 팁부재가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배출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팁부재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어서 사용자에게 오염됨 물을 공급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배출장치에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팁부재를 배출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팁부재를 물배출장치의 배출구에 용이하게 연결하고 배출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물배출부; 상기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팁부재; 및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팁연결분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팁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물배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구를 연결하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된 배출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배출부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팁연결분리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물배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팁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팁부재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연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물배출부에 포함하는 이동지지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이동지지부재에 각각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이동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은 수처리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장치본체와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이 상기 덮개에 의해서 덮혔는지 감지하는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이 개방되었음이 상기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었음이 상기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팁부재를 팁연결분리부에 의해서 물배출장치의 배출구에 용이하게 연결하고 배출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팁부재를 물배출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전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후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전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후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물배출부(200), 팁부재(300) 및, 팁연결분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배출부(200)는 물공급원(WS)에 연결될 수 있다. 물배출부(200)는,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P)에 의해서 물공급원(WS)에 연결될 수 있다.
물배출부(200)가 연결되는 물공급원(WS)은, 예컨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W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배출부(200)에 연결되어 물배출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원(WS)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인 경우에, 물배출부(2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장치본체(BD)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부(200)는 처리장치본체(BD)에 구비되는 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 예컨대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처리장치본체(BD)에 구비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P)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 물배출부(200)는, 전술한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태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P)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은 덮개(CV)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그리고, 처리장치본체(BD)와 덮개(CV)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CV)가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을 덮었는지 감지하는 센서(SN)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센서(SN)는 처리장치본체(BD)나 덮개(CV)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서(SN)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처리장치본체(BD)와 덮개(C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덮개(CV)가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을 덮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물배출부(200)에는 배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1)를 통해, 물공급원(WS)으로부터 물배출부(200)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배출부(200)는 배출부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본체(210)에는 전술한 배출구(211), 연결구(212) 및, 유동로(21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1)는 한 개일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본체(210)에 형성되는 배출구(21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는 등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배출구(211)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211a)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211a)는 팁부재(300)가 배출구(211)에 연결될 때, 배출구(211)와 팁부재(3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연결구(212)는,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P)에 의해서 물공급원(WS)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212)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본체(210)에 형성되는 연결구(21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등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한편, 연결구(212)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연결구(212) 중 사용하지 않은 연결구(212) 등은 플러그부재(214)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유동로(21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1)와 연결구(2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WS)으로부터 연결관(P)을 통해 연결구(212)에 공급된 물은, 연결구(212)에 유입되어 유동로(213)를 유동한 후, 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WS)의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본체(21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구(211)와 연결구(212) 및 유동로(213)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본체(210)는 이동지지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재(220)는 배출부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지지부재(220)는 볼트 등에 의해서 배출부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지지부재(220)가 배출부본체(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지지부재(220)에는 팁연결분리부(4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지지부재(220)에는 팁연결분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동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지지부재(220)와 이동부재(410)에는 각각 이동가이드구멍(221,4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지지부재(220)의 이동가이드구멍(221)과 이동부재(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2)에 팁연결분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동가이드부재(42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지지부재(220)에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지지부재(220)에 팁연결분리부(400), 예컨대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팁부재(300)는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팁부재(300)에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가 삽입되어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부재(300)에는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가 삽입되는 삽입연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팁부재(300)의 삽입연결부(310)에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팁부재(300)의 삽입연결부(310)로부터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팁부재(300)에는 연결배출유로(3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배출유로(320)는 삽입연결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배출유로(320)는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면, 배출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배출유로(320)는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도록 연장된 물배출부(200)의 유동로(2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팁부재(300)의 연결배출유로(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외부의 이물질이 배출구(2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구(211)와, 배출구(211)에 연결되는 유동로(213)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배출구(211)를 포함한 물배출장치(100)의 위생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팁부재(300)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서 오염된 경우에, 팁부재(300)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한 후 팁부재(300)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된 팁부재(300)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하거나 교체된 새 팁부재(300)를 배출구(211)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배출구(211)를 포함한 물배출장치(100)의 위생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팁부재(30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배출구(2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팁부재(300)에는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330)에는 팁연결분리부(400), 예컨대 팁연결분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동부재(410)에 형성되는 연결부(411)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홈(33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팁연결분리부(400), 예컨대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의 연결부(411)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팁연결분리부(400)는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팁연결분리부(400)는 팁부재(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팁연결분리부(400)는 물배출부(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연결분리부(400)의 물배출부(200)에서의 이동에 따라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팁연결분리부(400)는 이동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410)는 팁부재(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10)에는 연결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1)는 팁부재(300)의 연결홈(3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411)에 팁부재(300)의 연결홈(33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연결부(411)와 팁부재(300)의 연결홈(330)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11)가 팁부재(300), 예컨대 팁부재(300)이 연결홈(3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팁부재(300)를 이동부재(410)에 연결하거나, 팁부재(300)를 이동부재(410)로부터 분리하여 팁부재(300)를 세척하거나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동부재(410)는 물배출부(200), 예컨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10)에는 이동가이드구멍(4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도 이동가이드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410)와 이동지지부재(220)의 이동가이드구멍(412,221)에 후술할 이동가이드부재(42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재(410)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410)가 물배출부(200), 예컨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부재(4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413)가 형성될 수 있다. 랙기어(413)에는 후술할 이동구동모터(430)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431)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구동모터(430)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기어(431)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410)가 이동할 수 있다.
팁연결분리부(400)는 이동가이드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420)는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의 이동가이드구멍(221)과, 이동부재(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2)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부재(410)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서 이동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410)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서 이동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재(410)에 연결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거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팁부재(300)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배출구(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팁연결분리부(400)는 이동구동모터(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구동모터(430)는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구동모터(430)는 볼트 등에 의해서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구동모터(430)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구동모터(43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431)가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431)는 이동부재(410)의 랙기어(413)에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구동모터(430)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기어(431)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4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부재(410)가 물배출부(200)의 이동지지부재(220)에서 이동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이동부재(410)에 연결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거나 배출부(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WS)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인 경우에, 제어부(5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장치본체(BD)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50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장치와 별도로 구비되는 등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조작부(51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도록 조작부(51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어부(500)는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하여,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를 이동시킴으로써,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되도록 조작부(51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하여,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를 이동시킴으로써,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조작부(510)를 조작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팁부재(300)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하여 팁부재(300)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팁부재(300)의 세척 또는 교체 후, 사용자는 조작부(510)를 조작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팁부재(300)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WS)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인 경우에, 조작부(5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와 함께 처리장치본체(BD)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51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장치와 별도로 구비되는 등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수처리장치의 처리장치본체(BD)와,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C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센서(SN)에 의해서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이 개방되었음이 감지되면,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하여,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를 이동시켜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센서(SN)에 의해서 덮개(CV)가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을 덮었음이 감지되면,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구동모터(430)를 제어하여, 팁연결분리부(400)의 이동부재(410)를 이동시켜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수처리장치의 덮개(CV)를 처리장치본체(BD)로부터 분리하면, 제어부(500)에 의해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팁부재(300)의 세척 또는 교체를 잊은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부(500)에 의해서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팁부재(300)를 세척 또는 교체한 후, 사용자가 덮개(CV)로 처리장치본체(BD)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것만으로도, 팁부재(300)가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팁부재를 팁연결분리부에 의해서 물배출장치의 배출구에 용이하게 연결하고 배출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팁부재를 물배출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고,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물배출부
210 : 배출부본체 211 : 배출구
211a : 밀봉부재 212 : 연결구
213 : 유동로 214 : 플러그부재
220 : 이동지지부재 221, 412 : 이동가이드구멍
300 : 팁부재 310 : 삽입연결부
320 : 연결배출유로 330 : 연결홈
400 : 팁연결분리부 410 : 이동부재
411 : 연결부 413 : 랙기어
420 : 이동가이드부재 430 : 이동구동모터
431 : 피니언기어 500 : 제어부
510 : 조작부 WS : 물공급원
P : 연결관 BD : 처리장치본체
CV : 덮개 SN : 센서

Claims (14)

  1.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물배출부;
    상기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팁부재; 및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팁연결분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팁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물배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물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구를 연결하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된 배출부본체를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배출부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팁연결분리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물배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팁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연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물배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물배출부에 포함하는 이동지지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물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이동지지부재에 각각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팁연결분리부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이동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물배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은 수처리장치인 물배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장치본체와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이 상기 덮개에 의해서 덮혔는지 감지하는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물배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이 개방되었음이 상기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처리장치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었음이 상기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팁부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이동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물배출장치.
KR1020170040659A 2017-03-30 2017-03-30 물배출장치 KR10242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59A KR102425745B1 (ko) 2017-03-30 2017-03-30 물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59A KR102425745B1 (ko) 2017-03-30 2017-03-30 물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37A KR20180110837A (ko) 2018-10-11
KR102425745B1 true KR102425745B1 (ko) 2022-07-28

Family

ID=6386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59A KR102425745B1 (ko) 2017-03-30 2017-03-30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05A (ko)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428A (ja) * 1991-12-11 1993-06-22 Toshiba Corp ディスペンサ装置
JP3737591B2 (ja) * 1997-01-20 2006-01-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ペンサ
KR101483529B1 (ko)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US8939330B2 (en) * 2013-03-13 2015-01-27 Graco Minnesota Inc. Removable module servic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37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608B2 (en) Method for dewatering endoscope channels
US20130061407A1 (en) Pool cleaning robot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489664B1 (ko) 세탁기
US10371470B2 (en)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KR102425745B1 (ko) 물배출장치
CN105531415B (zh) 洗衣机
JP2006006631A (ja) 洗濯機
TW201427757A (zh) 塑料過濾裝置
KR102557443B1 (ko) 정수기
KR101285425B1 (ko) 수처리 장치
WO2015068245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6295147B2 (ja) 透析液取出装置
KR200452261Y1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JP4359553B2 (ja) リサイクル液体クロマトグラフ
KR101584815B1 (ko) 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KR20110037506A (ko) 다단 스크린을 구비한 디캔터
KR20070096798A (ko) 역침투 장치
JP6123483B2 (ja) 濾過装置
KR101156638B1 (ko) 분수대용 살균여과장치
KR20180043769A (ko) 정수필터장치
JP5247758B2 (ja) 濾過器及び濾過装置
KR102653910B1 (ko)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KR102146130B1 (ko) 수명 연장용 정수처리장치
US20080029450A1 (en) Valv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