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44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443B1
KR102557443B1 KR1020160098518A KR20160098518A KR102557443B1 KR 102557443 B1 KR102557443 B1 KR 102557443B1 KR 1020160098518 A KR1020160098518 A KR 1020160098518A KR 20160098518 A KR20160098518 A KR 20160098518A KR 102557443 B1 KR102557443 B1 KR 10255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filter
out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988A (ko
Inventor
주원일
윤성한
문형민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4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정수기는 정수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는 여과된 물, 즉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도 포함한다.
정수필터를 정수기에 장착한 후, 정수필터에 물이 유입 또는 유출하도록 구비된 필터유출입구에 연결관이 연결된 관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정수필터가 연결관에 의해서 정수기의 다른 구성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콜릿부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관연결부재가 필터유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수필터의 교체 등을 위해서, 정수필터를 정수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관연결부재를 정수필터의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콜릿부재 등이 움직이지않도록 하는 렌치 등의 다른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정수필터를 정수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종래에는 저장탱크를 교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를 정수기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의 필터유출입구와 관연결부재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저장탱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의 테두리에는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리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턱에는 상기 분리방지턱으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 연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필터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필터와 필터안착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필터안착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커버부재에는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연결되며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저장탱크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탱크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안착부는 개방된 일측이 높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안착부의 개방된 일측은 상기 필터안착부의 개방된 일측과 함께 상기 메인커버부재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및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연결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탱크유출입구가 구비된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탱크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탱크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관연결부재는 상기 메인커버부재와, 상기 메인본체에 형성되는 분리방지턱과 연장돌기 및 분리방지돌기 및, 상기 메인커버부재에 형성되는 분리방지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상기 탱크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는 외부탱크; 및,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탱크에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고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물이 유출되면서 상기 내부탱크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필터유출입구와 관연결부재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를 정수기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탱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다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 정수필터와 저장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 정수필터와 정수탱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의 메인본체의 일측에 메인커버를 연결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도9는 도7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다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 정수필터와 저장탱크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 정수필터와 정수탱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의 메인본체의 일측에 메인커버를 연결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고, 도9는 도7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는 정수기본체(200)와, 정수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본체(200)에는 정수필터(300)가 교체가능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300)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는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삽입되어,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는 연결관(T)이 연결될 수 있다.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는 연결관(T)이 삽입되어 직접 연결관(T)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외, 연결관(T)이 타측에 연결된 다른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 예컨대 삽입되는 것으로 연결되어,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 간접적으로 연결관(T)이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관(T)은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나 다른 정수필터(300) 또는 후술할 저장탱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의 물, 즉 원수가 정수필터(300)에 유입되어 여과되거나,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다른 정수필터(300)에 유입되어 여과되거나,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탱크(4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정수기본체(200)는 관연결부재(FT), 예컨대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콜릿부재(도시되지 않음) 등의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관연결부재(FT)가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와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정수필터(300)의 장치본체(200)에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정수필터(30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기본체(200)는 메인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본체(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필터안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3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정수필터(300)가 메인본체(210)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관(T)이 타측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를 삽입하여, 관연결부재(FT)의 일측과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300)가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을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한 후, 정수필터(300)를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300)가 정수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300)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안착부(211)는 메인본체(210)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안착부(211)는 메인본체(21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안착부(211)는 복수개인 정수필터(30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안착부(211)는 3개인 정수필터(300)에 대응되도록 3개일 수 있다.
그러나, 필터안착부(21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3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라면 1개 등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필터안착부(211)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필터안착부(211)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메인본체(210)와 정수기본체(2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100)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본체(210)에는 일측이 개방된 탱크안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저장탱크(400)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탱크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탱크안착부(212)는 전술한 필터안착부(211) 아래의 메인본체(21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안착부(212)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인본체(210)의 어느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400)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탱크유출입구(4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400)가 메인본체(210)의 탱크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관(T)이 타측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를 삽입하는 것으로, 관연결부재(FT)의 일측과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탱크(400)가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을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로부터 분리한 후, 저장탱크(400)를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400)가 정수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400)를 교체할 수 있다.
탱크안착부(212)는 개방된 일측이 높도록 메인본체(210)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안착부(212)는 메인본체(210)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본체(210)의 일측,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전면측의 테두리에는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턱(213)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방지턱(213)에 의해서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정수필터(300) 중 메인본체(210)의 제일 위와 그 아래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2개의 정수필터(300) 각각에 정수필터(3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정수필터(300)의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2개의 관연결부재(FT)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방지턱(213)에 의해서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리방지턱(213)에는 분리방지턱(213)으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연장돌기(213a)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돌기(213a)는 분리방지턱(213)이 관연결부재(FT)가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와 소정 간격이 있는 분리방지턱(213)의 부분에 연장돌기(213a)가 형성됨으로써, 관연결부재(FT)가 연장돌기(213a)과 분리방지턱(213)에 의해서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본체(210)의 일측에는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방지돌기(214)에 의해서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정수필터(300) 중 메인본체(210)의 제일 아래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정수필터(300)에 3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3개의 필터유출입구(310) 중 1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정수필터(3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3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된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방지돌기(214)에 의해서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메인본체(210)의 일측에는 연결구멍(21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멍(215)에는 후술할 메인커버부재(220)에 형성되는 연결돌기(222)가 삽입되어, 메인커버부재(220)가 메인본체(2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본체(210)의 일측에는 관통과구멍(216)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과구멍(216)에는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관(T)이 통과할 수 있다.
정수기본체(200)는 메인커버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부재(22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메인본체(2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커버부재(220)에는 연결돌기(222)가 형성되고, 메인본체(210)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돌기(222)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멍(215)이 형성되어, 메인커버부재(220)가 메인본체(2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커버부재(220)가 메인본체(2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메인커버부재(220)에 의해서, 메인본체(210)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된 정수필터(300)가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메인커버부재(220)는 메인본체(210)의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과 함께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된 저장탱크(400)가 메인커버부재(220)에 의해서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메인커버부재(220)는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전후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정수필터(300) 중 메인본체(210)의 제일 아래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정수필터(300)에 3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3개의 필터유출입구(310) 중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정수필터(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정수필터(300)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2개의 관연결부재(FT)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커버부재(220)에 의해서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전후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메인커버부재(220)에는 메인본체(210)의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리브(221)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방지리브(221)에 의해서,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메인본체(210)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메인본체(210)의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커버부재(220)에는 연장지지리브(2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나, 메인본체(210)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된 정수필터(300)와 소정 간격이 있는 메인커버부재(220)의 부분에 연장지지리브(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연결부재(FT)가 연장지지리브(223)와 메인커버부재(220)에 의해서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정수필터(300)가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필터안착부(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본체(200)는 메인본체(210)의 개방된 후면을 덮는 후면커버부재(230)와, 메인본체(210)의 개방된 바닥면을 덮는 바닥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300)는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300)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300)에는 정수필터(3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유출입구(310)와,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필터유출입구(310),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300)에는, 예컨대 정수필터(300)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인 경우, 전술한 2개의 필터유출입구(310) 이외에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가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310)를 더 구비하여, 3개의 필터유출입구(3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300)에 구비되는 필터유출입구(3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정수필터(300)는 교체가능하도록 정수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300)가 정수기본체(200)의 메인본체(210)의 필터안착부(211)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관(T)이 타측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를 연결함으로써, 정수필터(300)가 정수기본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을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로부터 분리한 후, 정수필터(300)를 필터안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정수필터(300) 내부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400)는 정수필터(300)에 연결되어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탱크(400)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탱크유출입구(411)가 구비될 수 있다. 탱크유출입구(411)에는 타측에 연결관(T)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탱크유출입구(411)가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삽입되어,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탱크유출입구(4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유출입구(411)에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 연결된 연결관(T)은 정수필터(300)의 필터유출입구(310)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타측에 직,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탱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탱크(400)는 교체가능하도록 정수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본체(200)의 메인본체(210)에는 일측이 개방된 탱크안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400)가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탱크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관(T)이 타측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에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를 연결함으로써, 저장탱크(400)가 정수기본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FT)의 일측을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로부터 분리한 후, 저장탱크(400)를 탱크안착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메인본체(210), 즉 정수기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는 전술한 메인커버부재(220)와, 메인본체(210)에 형성된 분리방지턱(213)과 연장돌기(213a) 및 분리방지돌기(214) 및, 메인커버부재(220)에 형성된 분리방지리브(22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탱크유출입구(4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탱크(40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탱크유출입구(411)가 저장탱크(4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탱크유출입구(411) 중 하나의 탱크유출입구(41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본체(210)의 분리방지돌기(214)에 의해서 메인본체(210)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7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탱크유출입구(411)는 메인커버부재(220)의 분리방지리브(221)에 의해서 메인본체(210)의 좌우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400)의 탱크유출입구(411)에 일측이 연결된 관연결부재(FT)는 메인커버부재(220)나 메인본체(210)의 분리방지턱(213) 또는 연장돌기(213a)에 의해서도 탱크유출입구(4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저장탱크(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탱크(410)와, 외부탱크(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탱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탱크(400)에 구비된 2개의 탱크유출입구(411) 하나는 외부탱크(4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내부탱크(4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외부탱크(410)에 물이 유입되면서 내부탱크(42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고, 외부탱크(410)로부터 물이 유출되면서 내부탱크(42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탱크(410)에는 수도 등의 원수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도록 하고, 내부탱크(420)에는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유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펌프 없이도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내부탱크(420)에 용이하게 유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4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3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정수필터(300)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하면, 정수필터의 필터유출입구와 관연결부재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수필터를 정수기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저장탱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200 : 정수기본체
210 : 메인본체 211 : 필터안착부
212 : 탱크안착부 213 : 분리방지턱
213a : 연장돌기 214 : 분리방지돌기
215 : 연결구멍 216 : 관통과구멍
220 : 메인커버부재 221 : 분리방지리브
222 : 연결돌기 223 : 연장지지리브
230 : 후면커버부재 240 : 바닥부재
300 : 정수필터 310 : 필터유출입구
400 : 저장탱크 410 : 외부탱크
411 : 탱크유출입구 420 : 내부탱크

Claims (16)

  1.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의 테두리에는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리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턱에는 상기 분리방지턱으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 연장돌기가 형성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필터안착부가 형성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와 필터안착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필터안착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정수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돌기가 형성되는 정수기.
  9.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필터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커버부재에는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리브가 형성되는 정수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연결되며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탱크; 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저장탱크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탱크안착부가 형성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안착부는 개방된 일측이 높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정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안착부의 개방된 일측은 상기 필터안착부의 개방된 일측과 함께 상기 메인커버부재에 의해서 덮이는 정수기.
  14. 정수기본체; 및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필터유출입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및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연결되며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탱크유출입구가 구비된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기본체는 일측은 상기 탱크유출입구에 연결되며 타측에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재가 상기 탱크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수기본체는,
    상기 정수필터가 장착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을 덮도록 연결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필터유출입구로부터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관연결부재는 상기 메인커버부재와, 상기 메인본체에 형성되는 분리방지턱과 연장돌기 및 분리방지돌기 및, 상기 메인커버부재에 형성되는 분리방지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상기 탱크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정수기.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외부탱크; 및,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탱크에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고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물이 유출되면서 상기 내부탱크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기.
KR1020160098518A 2016-08-02 2016-08-02 정수기 KR10255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18A KR102557443B1 (ko) 2016-08-02 2016-08-02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18A KR102557443B1 (ko) 2016-08-02 2016-08-02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88A KR20180014988A (ko) 2018-02-12
KR102557443B1 true KR102557443B1 (ko) 2023-07-20

Family

ID=6122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18A KR102557443B1 (ko) 2016-08-02 2016-08-02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639A1 (ko) * 2021-10-15 2023-04-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30143326A (ko) 2022-04-05 2023-10-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32163B1 (ko) * 2013-08-27 2020-07-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167950B1 (ko) * 2014-04-08 2020-10-21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0479705Y1 (ko) * 2014-05-21 2016-02-29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정수기용 취출코크 연결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88A (ko) 201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557443B1 (ko) 정수기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230117721A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ITMI20001615A1 (it) Filtro carburante per motori biesel a cartuccia intercambiabile.
KR102520774B1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20140022713A (ko) 카본필터
JP4462335B2 (ja) 浄水器
KR20140009682A (ko)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KR101852064B1 (ko) 정수필터장치
KR102210189B1 (ko) 정수장치
JP5009231B2 (ja) 浄水器
JP4116027B2 (ja) 浄水器
JP5266500B2 (ja) 油水分離装置
KR102184696B1 (ko) 물저장탱크
US7964099B2 (en) Water filtering device
JP7321499B2 (ja) 浴槽用給湯アダプタ
JP2003094044A (ja) 浄水器
JP6192631B2 (ja) リザーバカップ
KR20180043769A (ko) 정수필터장치
KR20130003535A (ko) 필터장치
KR102525177B1 (ko)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537713B1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0424049Y1 (ko) 잉크 프린터용 댐핑장치
KR200202527Y1 (ko) 냉온정수기의 필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