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682A -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682A
KR20140009682A KR1020120076039A KR20120076039A KR20140009682A KR 20140009682 A KR20140009682 A KR 20140009682A KR 1020120076039 A KR1020120076039 A KR 1020120076039A KR 20120076039 A KR20120076039 A KR 20120076039A KR 20140009682 A KR20140009682 A KR 2014000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bottle
portable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호
김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산
Priority to KR102012007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9682A/ko
Publication of KR2014000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물병에 정수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10)와; 상기 필터부재(300)를 수용하는 단위부재(22)들이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용부(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단위부재들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를 역방향으로 위치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Device for filtering the water of portable water container}
본 발명은 휴대용물병의 배출구에 장착되어 정수기능을 수행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장치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돌려서 재사용가능함은 물론 정수장치의 길이를 물병의 용량에 맞추어 조절하여 정수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음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정수하는 여과수단의 한 종류로서, 이 정수장치는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대의 생활여건에 따라 음식점이나 공공장소는 물론이고 일반가정에서도 역시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생활환경이 점차적으로 향상되면서 낚시나 등산과 같은 각종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이로 인해 정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어 정수장치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레저활동에서도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음은 주지 사실이다.
게다가, 상기 레저활동에서 미리 정수된 물을 준비하려는 경우 부피나 무게로 인하여 부담이 가중되고, 또한 자연에 흐르는 물이나 수돗물은 환경오염의 심화로 인해 음용수로 직접 사용할 수 없음을 감안하여, 휴대용 정수기를 개발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물을 여과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용정수기(100)는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끼움부(113)를 통해 결합되면서 그 일측부에 소정크기의 수용공간(116)을 갖는 몸체부(110) 및, 상기 수용공간(116)에 내장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정수하는 필터카트리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저활동 등의 과정에서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상기 끼움부(113)를 통해 상기 휴대용정수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상기 몸병(200)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20)를 경유하면서 음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정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휴대용정수기(100)는 상기 필터카트리지(120)의 규격이 세팅된 상태로서 예컨대, 상기 물병(200)의 용량이나 규격에 맞추어 임의로 상기 필터카트리지(120)의 용량을 임으로 조절할 수 없이므로, 상기 휴대용정수기(100)에 의해 원하는 정수효율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휴대용정수기(100)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필터카트리지(120)의 여과력이 저하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정수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특히 필터카트리지(12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여과력 차이로 인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필터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상단부과 하단부를 돌려서 재사용함은 물론 필터 카트리지의 길이를 물병의 용량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정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병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부재를 이용하여 정수작용을 수행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로서, 상기 배출구에 억지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부재들이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용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첫째, 상기 휴대용정수기의 단위부재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물병의 용량이나 규격에 맞추어 원하는 정수효율을 얻을 수 있어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휴대용정수기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를 역방향으로 위치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력 차이로 인한 정수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단면도,
도 5(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정수장치(1)는 물병(200)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부재(300)를 이용하여 정수작용을 수행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로서,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억지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몸체부(10)와; 상기 필터부재(300)를 수용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부재(22)들이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용부(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장치(1, 이하, '정수장치'라 통칭함)는 상기 몸체부(10)와 수용부(20)와 결합부(3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단위부재(22)들을 연결하여 길이조절함은 물론 상기 수용부(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위치변경하여 재사용하는 데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3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상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물병(200)은 물을 담을 수 있는 모든 수용수단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의 도면부호 "200"을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상기 정수장치(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억지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합체(16), 및 상기 결합체(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8)의 둘레면에는 상기 정수의 음용과정에서 개폐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코크(19)가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체(16)의 내주면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결합부(3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체(16)의 내벽에는 상기 배출구의 둘레면에 형성된 요철부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체(16)에는 상기 돌출체(18)와 상기 코크(19)를 포함한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컵(17)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는 상기 필터부재(300)를 수용하여 정수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부재(300)를 수용하는 각각의 단위부재(22)들이 상호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며, 그 둘레면에는 상기 물병(2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유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주입공(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22)의 양단부에 암/수나사 형태의 나선부(22-5)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0) 또는 단위부재(22)의 결합수단으로 이용된다.
물론, 상기 나선부(22-5)를 대신하여 억지끼움방식 등으로 단위부재(22)들을 상호 연결하더라도 본원발명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수용부(2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수용부(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부재(300)를 통해 여과되는 정수를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다수개의 정수공(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0)의 양단부에 상기 결합부(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00)의 여과력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위치변경하여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정수공(36) 중 후방측의 정수공(36)를 밀폐하는 유연한 재질의 러버캡(3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0)의 둘레면에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돌기(12)와 결합되는 암나수 또는 숫나사 형태의 나선부(32)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정수장치(1)를 구성하려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부(30)를 통해 수용부(20)를 고정하여 상기 정수장치(1)를 구성하고, 상기 물병(200)에 정수장치(1)를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상기 몸체부(10)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가 상기 물병(2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므로, 상기 물병(200)내에 수용된 물의 정수작업이 가능해진다.
만일, 상기 정수장치(1)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물병(200)의 용량이 너무 커서 상기 필터부재(300)를 길게 형성하려는 경우, 상기 수용부(20)의 단위부재(22)에 또다른 단위부재(22)를 연결하여 길이를 증대한다.
그런 다음, 상기 물병(200)의 몸체를 기울이면, 상기 물병(200)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상기 수용부(20)의 주입공(24)으로 주입된 다음 상기 필터부재(300)를 경유하여 음용가능한 상태로 정수되어 배출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300)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정수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수용부(20)를 분리하고 역방향으로 위치변경한 후 상기 몸체부(10)에 다시 결합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필터부재(3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위치가 완전히 변경된 상태이므로, 상기 필터카트리지(120)의 상하단부의 여과력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수효율의 저하현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장치 10 : 몸체부
12 : 결합돌기 14 : 걸림돌기
16 : 결합체 17 : 컵
18 : 돌출체 19 : 코크
20 : 수용부 22 : 단위부재
22-5 : 나선부 24 : 주입공
30 : 결합부 32 : 나선부
34 : 러버캡 36 ; 정수공

Claims (3)

  1. 물병(200)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부재(300)를 이용하여 정수작용을 수행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로서,
    상기 물병(200)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10)와;
    상기 필터부재(300)를 수용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부재(22)들이 상호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수용부(20)를 결합하는 결합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22)는,
    상기 결합부(30) 또는 상기 또다른 단위부재(22)가 결합되는 나선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돌기(1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나선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KR1020120076039A 2012-07-12 2012-07-12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KR20140009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39A KR20140009682A (ko) 2012-07-12 2012-07-12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39A KR20140009682A (ko) 2012-07-12 2012-07-12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682A true KR20140009682A (ko) 2014-01-23

Family

ID=501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039A KR20140009682A (ko) 2012-07-12 2012-07-12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96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50A1 (ko) * 2019-03-18 2020-09-24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KR20210054216A (ko) 2019-11-05 2021-05-13 오환종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 장치
CN115135610A (zh) * 2020-01-10 2022-09-30 Bw科技有限公司 用于多用途瓶子的封盖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50A1 (ko) * 2019-03-18 2020-09-24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CN111701327A (zh) * 2019-03-18 2020-09-25 恩铂锘有限公司 用于便携式水瓶的具有内置过滤器的盖
KR20200110964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CN111701327B (zh) * 2019-03-18 2022-03-25 恩铂锘有限公司 用于便携式水瓶的具有内置过滤器的盖
KR20210054216A (ko) 2019-11-05 2021-05-13 오환종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 장치
CN115135610A (zh) * 2020-01-10 2022-09-30 Bw科技有限公司 用于多用途瓶子的封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287B2 (en) Water filter assembly
US20130213877A1 (en) Fluid filter and filter cartridge
MX2009013400A (es) Cartucho de filtro, particularmente para jarras de filtro de percolacion y metodo para fabricarlo.
KR20140009682A (ko)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CN103787432A (zh) 便携式净水器
CN203360140U (zh) 全自动直饮式净水箱
CN205269225U (zh) 一种水净化装置
US9993756B2 (en) Filter with barb-shaped bayonet receptacle and filter element
PL2040812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oczyszczania ścieków
CN204004668U (zh) 单把手控制双出水弯管滤水龙头
WO2008010116A3 (en) A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CN205099493U (zh) 改进型净水过滤芯
KR101598166B1 (ko) 정수기용 정화필터
KR20130002659A (ko) 필터 조립체
CN204352636U (zh) 具反冲洗功能的净水器
CN203628115U (zh) 一种滤水分水器
CN208161167U (zh) 龙头净水器多级滤芯
CN204134303U (zh) 一种净水器用易拆卸式滤芯结构
CN104492154A (zh) 具反冲洗功能的净水器
CN204798974U (zh) 滤水器的改良结构
CN204310840U (zh) 一种多功能带弯道滤水器
CN215691899U (zh) 一种水龙头过滤器
CN205710277U (zh) 一种水管接头
CN104445502A (zh) 一种多功能带弯道滤水器
CN205838601U (zh) 带固态碳饼滤芯的盛水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