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769A - 정수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769A
KR20180043769A KR1020180044903A KR20180044903A KR20180043769A KR 20180043769 A KR20180043769 A KR 20180043769A KR 1020180044903 A KR1020180044903 A KR 1020180044903A KR 20180044903 A KR20180044903 A KR 20180044903A KR 20180043769 A KR20180043769 A KR 20180043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hollow
partition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량
Original Assignee
한병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량 filed Critical 한병량
Priority to KR102018004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769A/ko
Publication of KR2018004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0Safety devices, e.g. by-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이루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미세물질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부재;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을 우회시키는 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벽으로부터 내부로 스며들며 통과되도록 중공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중공필터; 및 상기 중공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중공홀부를 따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중공홀부에 충진되는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필터장치{WATER PURIFICATION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정수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연장하여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고, 필터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되어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부를 손쉽게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정수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를 포함한 각종 급수장치는 온수와 냉수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예컨대 샤워기의 경우 수도전을 통해 샤워호스로 공급되는 원수를 그대로 샤워꼭지를 통해 방출하는 바, 모래, 흙, 수도관의 녹 등 주로 입자가 큰 이물질뿐만 아니라, 잔류염소나 유기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 또는 악취와 같은 미세 성분이 원수 중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건강을 심히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수필터장치가 제안된 바,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외부 몸체를 이루고 있으며, 몸체의 중간에 수납공간으로 이어진 입수구가 개방되어 있고, 몸체의 일단에 외부로 이어진 출수구가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입수구를 통해 수납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일차적으로 여과하도록 되어 있는 1차 여과수단과, 1차 여과수단의 내부에 동축 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1차 여과수단에 의해 일차적으로 여과된 물을 이차적으로 여과한 뒤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2차 여과수단과, 케이스 타단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1차 및 2차 여과수단이 삽입된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마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654호(2011년 01월 1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정수필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케이스의 중앙부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일단에 출수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출수구에 인접한 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은 여과수단을 통과하는 유로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잔류염소 등의 미세물질이 충분히 걸러지지 않고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여과수단은 통합캡에 안착되어 출수구에 삽입되기 때문에 여과수단과 통합캡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되어 여과수단을 통과하지 못하고 출수구로 물이 배출될 수 있어 정수작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여과수단과 통합캡이 서로 밀착되게 조립되므로 교체시기가 서로 다른 여과수단과 통합캡을 분리하여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연장하여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고, 필터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되어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부를 손쉽게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정수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이루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미세물질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부재;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을 우회시키는 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벽으로부터 내부로 스며들며 통과되도록 중공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중공필터; 및 상기 중공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중공홀부를 따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잔류염소 등의 미세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중공홀부에 충진되는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우회부는, 상기 중공필터와 상기 세라믹볼을 구획하도록 상기 중공홀부에 삽입되는 구획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중공필터를 통과한 물의 유로를 우회시켜 세라믹볼이 수납되는 공간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물이 통과된 후에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연장시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중공필터를 구획파이프의 경사면을 향하여 가압시키는 탄성가압부가 구비되므로 케이스 내부에 필터부를 수납한 후에 마개부재를 결합시키면 중공필터가 구획파이프의 경사면에 밀착되므로 중공필터가 구획파이프의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통과되면서 중공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중공필터를 경사면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중공필터의 탄성력에 의해 중공필터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구획파이프에서 약간 분리되어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세라믹볼이 수납되는 구획파이프와 중공필터를 손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어 교체시기가 서로 다른 중공필터와 세라믹볼 필터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필터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탄성가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탄성가압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와 연결부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를 배출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 외주에 중공필터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필터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탄성가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탄성가압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와 연결부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를 배출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구획파이프 외주에 중공필터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내부공간을 이루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16)가 구비되는 케이스(10)와, 개구부(16)를 통해 수납되고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34, 36)와,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개구부(16)에 결합되는 마개부재(30)와,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도록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물을 우회시키는 우회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입구(12)에 수도관을 연결하고 수도관을 개방하면,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터부(34, 3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배출구(14)를 통해 별도의 배출관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물은 우회부(50)에 의해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경로가 연장되므로 배출구(14)에 인접하게 유입되는 물도 우회부(50)에 의해 필터부(34, 36) 내부를 우회하며 통과하면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충분히 거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 필터부와 같이 출수구에 인접한 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의 경우,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로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잔류염소 등의 미세물질이 충분히 걸러지지 않고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본 발명의 우회부(50)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필터부(34, 36)는,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벽으로부터 내부로 스며들며 통과되도록 중공홀부(34c)를 구비하며 케이스(10)에 수납되는 중공필터(34)와, 중공필터(34)를 통과한 물이 중공홀부(34c)를 따라 배출구(14) 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도록 중공홀부(34c)에 충진되는 세라믹볼(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10)는,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구비되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면 중앙부에 유입구(12)가 형성되며, 일단에 마개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구부(16)가 구비되고, 타단에 개구부(16)와 비교하여 지름이 작은 배출구(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원기둥 모양의 케이스(10) 둘레면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된 중공필터(34)를 통과한 물은 케이스(10)의 타단, 즉 도면상의 하단으로 이동된 후에 배출구(14)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다.
케이스(10)의 둘레면 중앙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케이스(10)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구(14) 측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유로가 짧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우회부(50)에 의해 중공필터(34)를 통과한 물이 중공필터부(34) 내부에 충진된 후에 우회부(50)를 지나 다시 중공홀부(34c) 내부로 유입된 후에 세라믹볼(36) 사이의 간격을 지나 배출구(1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부(34, 36) 내부에 충진된 물은 중공필터(34)의 상단까지 충진된 후에 우회부(50)를 통과하여 중공홀부(34c) 내부로 유입된 후에 세라믹볼(36) 사이의 공극을 지나 배출구(14)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다.
우회부(50)는, 중공필터(34)와 세라믹볼(36)을 구획하도록 중공홀부(34c)에 삽입되는 구획파이프(52)와, 구획파이프(52)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타공부(54)와, 세라믹볼(36)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은 복수 개의 홀부를 구비하고 구획파이프(52)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타공부(56)을 포함한다.
중공필터(34)는 케이스(10) 내벽의 직경보다 작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재질의 필터이며, 중공홀부(34c)를 구비하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중공홀부(34c) 내벽에 구획파이프(52)가 끼워지거나 뺄 수 있도록 삽입된다.
구획파이프(52)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1타공부(54) 및 제2타공부(56)가 구비되므로 구획파이프(52) 내부에는 다수 개의 세라믹볼(36)이 수납될 수 있으며, 중공필터(34)를 통과하고 제1타공부(54)을 통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구획파이프(52)의 타단으로 이동되면서 세라믹볼(36)과 접촉되어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공필터(34)를 통과하는 물은 구획파이프(52)에 의해 바로 세라믹볼(36)이 수납되는 파이프 내측의 하측(60b)으로 유입되지 않고, 구획파이프(52)의 상단까지 물이 중공필터(34)에 충진된 후에 중공홀부(34c)로 배출되는 물이 제1타공부(54)을 통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된 후, 파이프 내측의 상측(60a)울 거쳐 파이프 내측의 하측(60b)으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라믹볼(36)과 접촉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동안에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고, 충진되는 세라믹볼(36)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세라믹볼(36)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등, 사용자의 인체에 이로운 물질이 물과 혼합되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물에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등을 공급하는 세라믹볼(36)의 조성물 및 조성비율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조성비율 또는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중공필터(34)를 통과하지 않고 중공필터(34)와 케이스(10) 사이의 간격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획파이프(52)를 배출구(14)에 연결하는 연결부(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구획파이프(52)를 배출구(14)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케이스(10)의 내벽과 중공필터(34) 사이의 간격으로 스며들며 이동되는 물이 구획파이프(52)와 배출구(14)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70)는, 배출구(14)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리브(14a)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72)와, 삽입돌출부(72)와 일체로 연결되고 구획파이프(52)에 압입되는 압입리브(74)와, 구획파이프(52)로부터 연장되고 중공필터(34)가 안착되는 안착부(76)를 포함한다.
배출구(14) 내측에는 케이스(10) 내부 측으로 관 모양으로 연장되는 결합리브(14a)가 형성되고, 결합리브(14a)에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삽입돌출부(72) 및 삽입돌출부(72)와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돌출부(72)와 비교하여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구획파이프에 압입되는 압입리브(74)가 구획파이프(52)와 결합리브(14a)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압입리브(74)를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압입한 후, 구획파이프(52)의 단부를 배출구(14) 측으로 삽입하면 결합리브(14a) 내부로 삽입돌출부(72)가 삽입되고, 배출구(14)와 구획파이프(52)가 결합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은 구획파이프(52)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파이프(52)와 배출구(14) 사이의 간격으로 스며드는 물은 고무 o-ring(25)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구획파이프(52)에 의해 유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배출구(14) 측으로 직접 이동되지 못하고, 중공필터(34)를 통과하면서 케이스(10) 내벽과 구획파이프(52) 외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후에 중공필터(34)를 통과하고, 구획파이프(52)의 일단으로 유입된 후에 구획파이프(52)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구(14)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가 길게 연장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필터부(34, 36)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가 연장되면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게 된다.
구획파이프(52)의 일단에는 제1타공부(54)이 구비되고, 구획파이프(52)의 타단에는 제2타공부(56)이 구비되므로 구획파이프(52) 내부에 다수 개의 세라믹볼(36)이 수납되고, 제1타공부(54)을 통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다수 개의 세라믹볼(36)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이동되어 제2타공부(56)를 통해 배출구(14) 측으로 배출된다.
제1타공부(54)는 구획파이프(5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2타공부(56)는 구획파이프(52)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압입리브(74)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중공필터(34)를 통과하지 않고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필터(34)를 안착부(76) 쪽으로 가압하여 중공필터(34)와 상기 구획파이프(52)를 밀착시키고, 중공필터(34)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중공필터(34)를 안착부(76)와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 사이의 간격이 탄성가압부(80)에 의해 차단되고, 중공필터(34)를 통과하지 않고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 사이의 간격으로 스며들며 이동되는 물이 구획파이프(5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탄성가압부(80)는, 구획파이프(52)와 안착부(76) 사이에 구비되는 경사면(82)과, 경사면(82)에 대향되는 중공필터(34)의 모서리(34a)가 변형되며 밀착되도록 마개부재(30)와 중공필터(34) 사이에 배치되고 중공필터(34)를 경사면(8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패널(84)과, 마개부재(30)에 구비되고 가압패널(84)을 중공필터(34) 측으로 가압하는 돌출부재(86)를 포함한다.
구획파이프(52)의 타단, 도면상의 하단에는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안착부(76)가 형성되고, 구획파이프(52)의 둘레면과 안착부(76) 사이에는 경사면(82)이 구비되어 중공필터(3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모서리(34a)가 경사면(82)에 가압되어 변형되면서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게 된다.
안착부(76)는, 구획파이프(52)의 둘레면으로부터 굴곡되어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중공필터(34)의 상단에는 중공홀부(34c)에 압입되는 돌출리브(84a)가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패널(84)이 배치되고, 가압패널(84)의 상면에는 마개부재(30)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4b)가 형성된다.
마개부재(30)에는 가압패널(84)을 중공필터(34) 측으로 가압하는 돌출부재(86)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중공필터(34)를 케이스(10)에 삽입한 후에 마개부재(30)를 케이스(10)의 개구부(16)에 결합하면 돌출부재(86)가 가압패널(84)을 가압하여 중공필터(34)를 배출구(14)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중공필터(34)의 내측 모서리(34a)가 경사면(82)에 가압되면서 변형되어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스(10)의 유입구(12)에서 유입된 물이 중공필터(34)를 거치지 않고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의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중공필터(34)를 거치지 않고 배출구(14)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개구부(16)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6a)과, 마개부재(30)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32)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시켜 마개부재(30)를 회전시켜 결합하면, 돌출부재(86)가 가압패널(84)을 배출구(14) 측으로 가압하면서 중공필터(34)의 내측 모서리(34a)가 경사면(82)에 가압되어 변형되면서 밀착된다.
이후에, 중공필터(34)의 교체를 행할 때에는 사용자가 마개부재(30)를 개구부(16)로부터 분리시키면, 변형되었던 중공필터(34)의 모서리(34a)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경사면(82)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중공필터(34)가 구획파이프(52)의 안착부(76)로부터 이탈되어 사용자는 중공필터(34)만을 케이스(10) 외측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획파이프(52)는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므로 구획파이프(52) 외측으로 분리되는 중공필터(34)가 구획파이프(52)의 외벽과 밀착되지 않고 쉽게 슬라이딩되며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1차로 중공필터(34)를 통과하므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대부분 중공필터(34)에서 걸러지고,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되면서 세라믹볼(36)과 접촉된다. 통상적으로 중공필터(34)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거르므로 세라믹볼(36)에 비하여 수명이 짧아서 잦은 교체가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라믹볼(36)을 1회 교체하는 기간 동안 중공필터(34)를 대략 3번 이상 교체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는, 마개부재(30)의 가압력에 의해 중공필터(34)의 모서리(34a)가 변형되면서 경사면(8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마개부재(30)를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면 중공필터(34)의 복원력에 의해 중공필터(34)의 모서리(34a)가 팽창하면서 경사면(82)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중공필터(34)가 안착면(76)에서 멀어져서 분리가 쉬워진다.
또한, 구획파이프(52)의 외벽에는 복수 개의 간격리브(52a)가 형성되므로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는 구획파이프(52)가 중공필터(34)의 중공홀부(34c)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때에 구획파이프(52)가 중공필터(34)의 중공홀부(34c)의 중심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간격리브(52a)가 중공홀부(34c)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구획파이프(52)의 외벽과 중공홀부(34c)의 내벽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가압부(80)는 위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경사면(82)과 가압패널(84)과 돌출부재(8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중공필터(34)의 상부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패널(84)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가압부(80)는 단지 경사면(82)과 돌출부재(86)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패널(84)이 없는 중공필터(34)를 케이스(10)에 삽입한 후, 마개부재(30)를 케이스(10)의 개구부(16)에 결합하면 돌출부재(86)가 중공필터(34)를 직접 가압하여 중공필터(34)를 안착부(76)와 밀착시키게 되어 중공필터(34)와 구획파이프(52)가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공부(54)가 구비되는 구획파이프(52)의 내부에 세라믹볼(36)을 충진시킨 후에 제2타공부(56) 및 압입리브(74)를 구획파이프(52)의 타단에 압입시킨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파이프(52)를 케이스(10) 내부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파이프(52)에 끼워진 압입리브(74)를 배출구(14)의 결합리브(14a)에 결합시키고, 도 9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파이프(52)의 외부에 중공필터(34)를 끼우고 케이스(10)의 개구부(16)와 마개부재(30)를 결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재(30)에 설치되는 돌출부재(86)가 가압패널(84) 및 중공필터(34)를 안착부(76) 측으로 가압하므로 중공필터(34)의 내측 단부 모서리(34a)가 경사면(82)에 가압되면서 밀착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필터(34)의 상부에 가압패널(8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돌출부재(86)가 직접 중공필터(34)를 안착부(76) 측으로 가압하므로 중공필터(34)의 내측 단부 모서리(34a)가 경사면(82)에 가압되면서 밀착된다.
이후에, 유입구(12)에 수도관을 연결하고, 배출구(14)에 배출관을 연결하여 유입관으로 물을 공급하면 유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케이스(10) 내벽과 구획파이프(52) 외벽 사이의 공간에서 충진된 후에 구획파이프(52)의 단부를 통해 구획파이프(52)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o-ring(25)에 의해 안착부(76)와 배출구(14)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면(82) 및 중공필터(34)의 내측 모서리(34a)에 의해 안착부(76)와 중공필터(34)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필터부(34, 36)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공필터(34)의 교체시기가 도래하여 작업자가 마개부재(30)를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면 경사면(82)에 변형되면서 밀착되었던 중공필터(34)의 모서리(34a)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경사면(82)에서 이탈되게 되므로 중공필터(34)의 단부가 안착부(76)에서 멀어져 케이스(10) 외부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구획파이프(52)로부터 중공필터(34)를 쉽게 분리시켜 케이스(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10) 외부 방향으로 밀려나는 중공필터(34)는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는 구획파이프(52)에 의해 중공필터(34)의 내벽과 구획파이프(52)의 외벽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중공필터(34)를 보다 쉽게 케이스(10) 외부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연장하여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고, 필터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되어 물이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부를 손쉽게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정수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장치는 앞서 설명한 정수필터장치와 비교할 때, 구획파이프(52)와 배출구(1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70)의 구성이 일부 차이가 있을 뿐, 그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연결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연결부는 구획파이프(52)의 하단에 삽입돌출부(72)가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돌출부(72)는 배출구(14)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리브(14a)에 o-ring(25)에 의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정수필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정수필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필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2 : 유입구
14 : 배출구 14a : 결합리브
16 : 개구부 16a : 제1나사산
30 : 마개부재 32 : 제2나사산
34 : 중공필터부 34c : 중공홀부
36 : 세라믹볼 50 : 우회부
52 : 구획파이프 54 : 제1타공부
56 : 제2타공부 70 : 연결부
72 : 삽입돌출부 74 : 압입리브
76 : 안착부 80 : 탄성가압부
82 : 경사면 84 : 가압패널
86 : 돌출부재

Claims (2)

  1. 내부공간을 이루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미세물질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부재;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을 우회시키는 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벽으로부터 내부로 스며들며 통과되도록 중공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중공필터; 및
    상기 중공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중공홀부를 따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중공홀부에 충진되는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는, 상기 중공필터와 상기 세라믹볼을 구획하도록 상기 중공홀부에 삽입되는 구획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장치.
KR1020180044903A 2018-04-18 2018-04-18 정수필터장치 KR20180043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03A KR20180043769A (ko) 2018-04-18 2018-04-18 정수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03A KR20180043769A (ko) 2018-04-18 2018-04-18 정수필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09A Division KR101852064B1 (ko) 2016-03-07 2016-03-07 정수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769A true KR20180043769A (ko) 2018-04-30

Family

ID=6208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903A KR20180043769A (ko) 2018-04-18 2018-04-18 정수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763B1 (ko) 2018-09-07 2019-05-21 (주)현대와코텍 사각 정수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763B1 (ko) 2018-09-07 2019-05-21 (주)현대와코텍 사각 정수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2743A (en) Filter
KR100873294B1 (ko) 필터 조립체
CN100579915C (zh) 水净化器
US7416664B2 (en) Water-conditioning cartridge
US20160076497A1 (en) Filter Element
JP2009297716A (ja)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101852064B1 (ko) 정수필터장치
JP5435289B2 (ja) 浄水装置付き吐水ヘッド及びカバー付き浄化カートリッジ
KR20180043769A (ko) 정수필터장치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2450084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JP2008267028A (ja) 水栓
KR200360715Y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JP3779566B2 (ja) 浄水装置及びその設置施工方法
KR102167823B1 (ko)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KR100668762B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KR200355376Y1 (ko) 온수 세정기용 정수필터
JP4451764B2 (ja) 浄水装置
JPS6312392A (ja) 濾過器
JP2009269016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用容器、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油水分離装置
JPH06178975A (ja) 浄水器
JP2846908B2 (ja) 浄水器
KR20230116298A (ko)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