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15Y1 -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15Y1
KR200360715Y1 KR20-2004-0016795U KR20040016795U KR200360715Y1 KR 200360715 Y1 KR200360715 Y1 KR 200360715Y1 KR 20040016795 U KR20040016795 U KR 20040016795U KR 200360715 Y1 KR200360715 Y1 KR 200360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filter
water
filter assembly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봉
최석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20-2004-001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의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탈부착 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 혹은 재개하는 비데용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기밸브의 출구부가 상호 수직이 되게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분기밸브의 내부에 가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됨으로써, 필터조립체의 교환시 필터조립체의 분리만으로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필터조립체의 삽입만으로 원수의 공급이 재개되며, 필터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시 별도의 보조캡을 삽입하여 원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필터조립체 혹은 보조캡 중 어느 것도 삽입되지 않을시 원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본 고안의 분기밸브는 원수 유입부와,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에 연결된 제1출구부와, 필터조립체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접속구와, 밸브 플런저를 내장하고 그 일측은 필터조립체의 원수 유입부 측으로 삽입되어 원수를 필터소자 카트리지 내부로 유동시키는 체크밸브 바디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에 연결된 제2출구부로 구성되며, 원수 유입부, 제1출구부, 필터접속구 및 제2출구부가 상기 분기밸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원수 중 일부는 상기 제1출구부로 공급되며, 원수 중 나머지는 체크밸브 바디에 형성된 유동통로를 통해 필터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소자 카트리지에 의해 정화되며,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제2출구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A bidet filter assembly and coupling apparatus for controling water purifier by attaching filter of which inlet/outlet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본 고안은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입출구를 같은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필터조립체의 교환시 별도의 장치 없이도 필터조립체의 분리만으로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필터조립체의 삽입만으로 원수의 공급이 재개되며, 필터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별도의 캡을 삽입함으로써 원수의 공급이 가능하며, 필터조립체 및 캡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원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환경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면서 근래에 들어 화장실 문화 또한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화장실에 용변을 본 후 국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비데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비데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항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어 상쾌한 기분으로 생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변 후 뒤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비데장치의 사용이날로 증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의 구성이 각각 사시도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변기(10)의 전단에 좌대(12)가 설치되고 후단에 변기 물탱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대(12)의 일측에 비데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데장치(20)는 일반적으로 물의 수압과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박스(22)와,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데장치(20)는 원수를 바로 공급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필터조립체(30)를 급수 라인 중에 설치하여 정화된 정수수를 공급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 상기한 필터조립체(30)를 급수라인 중에 설치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30) 단부를 니플이나 나사와 같은 접속구(32,34)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조립체(30)는 소정 기간이 도과하면 수명을 다하여 더 이상 필터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새로운 필터조립체(30)로 교환하여 주어야 한다.
종래 통상 사용되는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는, 벽체 외측에 설치되어 벽체 내부의 수도전(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원수이송라인(40)과, 일단에 상기 원수이송라인(40)에 설치되고 타단에 손잡이(48)가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지수밸브(50)와, 상기 지수밸브(50)의 일측에 연결되어 변기의 물탱크(14)로 급수를 안내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과, 상기 지수밸브(50)의 타측에 연결되어필터조립체(30)를 통과한 정수를 안내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과, 상기 지수밸브(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과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을 수직으로 분기하는 T자형 분기밸브(8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터 및 그 연결장치에 있어서 필터조립체를 교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도전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손잡이(48)를 돌려 지수밸브(50)를 차폐한다. 필터조립체(30)와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 사이의 접속구(32)를 해체하고, 분기밸브(80)와 접속구(34)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필터조립체(30)를 해체한 다음, 기존의 필터조립체(30) 대신에 새로운 필터조립체(30)를 교환한다. 그 결합과정도 해제과정과 마찬가지로, 분기밸브(80)와 필터조립체(30)를 접속구(34)로서 결합하고, 필터조립체(30)와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 사이의 접속구(32)를 결합한다. 손잡이(48)를 돌려 지수밸브(50)를 개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필터 교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필터조립체를 교환함에 있어 필터조립체의 입구와 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한 필터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 사이의 접속구를 해체하고 다시 필터조립체와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사이의 접속구를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할 필터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필터조립체와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사이의 접속구를 결합하고 다시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 사이의 접속구를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필터조립체를 교환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터조립체의 교환시 별도의 A/S를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필터조립체의 구입이 늦어져 필터조립체를 교환할 수 없고, 필터조립체가 사용가능기간을 훨씬 도과하여 정화능력을 상실하고 오히려 오염된 원수를 사용하는 상태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필터조립체를 그대로 결합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필터조립체의 입구와 출구를 동일한 방향에서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분기밸브의 출구를 변기 물탱크로 분기되는 출구 이외에 필터조립체를 접속하여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 사이에 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한 필터접속구를 두는 동시에 필터를 통과한 정수수가 비데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또 하나의 유출구를 두어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조립체가 사용기간을 훨씬 도과하여 정화능력을 상실했으나 미처 새필터를 구비하지 못했을 경우 부득이하게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정화되지 않는 원수를 비데장치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기밸브에 별도의 보조캡을 결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비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비데 사용중 부득이한 고장으로 비데측으로의 원수 유입마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캡 혹은 필터조립체를 모두 분리함으로써 비데장치로 공급되는 정수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b 및 도 6c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측단면 및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에 보조캡이 결착된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분기밸브에 보조캡이 나사결합된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가 결착되기 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가 결착된 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필터조립체 및 보조캡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원수이송라인 48: 손잡이
50: 지수밸브 60: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70: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102: 벽체
150: 분기밸브 152: 원수 유입부
154: 제1출구부 156: 필터접속구
158: 제2출구부 160: 체크밸브 바디
162: 제1관통공 164: 제2관통공
165: 제3관통공 168: 밸브플런저
170: 시트면 172: 스프링
174: 오링 176: 안내깃
180: 보조캡 182: 제1가압봉
184: 나사산 190: 커넥터
192: 걸림턱 194: 삽입홈
200: 필터조립체 202: 케이싱
210: 유로전환어댑터 212: 구분벽
214: 유로전환통로 216: 원수유동통로
218: 정수수유출구 220: 제2가압봉
222: 체결용칼라 224: 경사면
226: 스토퍼 230: 필터소자 카트리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벽체 내부의 급수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이송라인; 상기 원수이송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개폐하는 지수밸브; 상기한 원수를 변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상기한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조립체; 상기한 정화된 정수를 비데장치로 공급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상기 지수밸브와 연결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1출구부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필터접속구와, 원수의 일부 흐름을 필터조립체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동통로를 구비한 체크밸브 및 상기 비데측 정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2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원수 유입부를 경유하여 각각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필터조립체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으로 분기하는 분기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 중 일부는 상기 제1출구부로 공급되며, 상기 원수 중 나머지는 체크밸브 바디 내부의 중앙유동통로로 유출되며 상기 중앙통로로 유출된 원수는 필터접속구에 접속된 필터조립체를 통과하여 정화되며, 정화된 정수는 필터접속구를 경유하여 상기 비데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분기밸브의 내부에는 체크밸브 바디와 밸브 플런저로 구성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크밸브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인입되는 제1관통공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원수가 제1출구부로 인출되는 제2관통공이 성형되며, 또 다른 타측에는 필터접속구에 접속된 필터조립체의 내부로 원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3관통공이 성형되며, 체크밸브 바디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는 플런저가 설치되어 필터조립체 내부에 장착되고 중앙의 제3관통공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케이싱 내면과 필터소자 외면 사이의 유동통로로 유로를 변경하여 주는 유로전환어댑터의 중앙에 형성된 가압봉에 의하여 가압되면 플런저가 스프링 측으로 이동하여 체크밸브 바디의 경사진 시트면에 밀착되어 있는 오링이 해제되면서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체크밸브 바디의 제3관통공을 통과하여 궁국에는 유로전환어댑터를 거쳐 필터소자 카트리지 내부로 이송된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선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싱; 원수를 정화하는 다수의 필터소자 카트리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고 그 일측은 필터소자카트리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 바디의 제3관통공과 밀착되어 연결되는 내외측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분벽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분벽의 내측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된 밸브 플런저를 스프링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봉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어댑터로 구성된다.
상기 유로전환어댑터는 상기 구분벽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케이싱 내면과 필터조립체의 외면 사이의 원수유동통로로 유도하는 유로전환통로와, 상기 필터소자 카트리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구분벽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정수수유출구와, 상기 구분벽의 중앙에 형성되어 밸브 플런저를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가압봉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외측에 원통형의 커넥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선단 외주면에 경사면을 구비한 체결용 칼라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필터조립체를 커넥터 내부에 압입하고 필터조립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필터조립체가 커넥터에 착탈된다.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선단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조립체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밸브와 상기 필터조립체가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필터조립체가 상기 분기밸브에 착탈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벽체 내부의 급수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이송라인; 상기 원수이송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개폐하는 지수밸브; 상기한 원수를 변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상기한 원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지 않도록 밀폐하면서 동시에 내측으로 수로를 형성하며 내측 선단 중앙에 가압봉이 돌출되는 보조캡; 상기한 보조캡의 내측을 경유한 원수를 비데장치로 공급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상기 지수밸브와 연결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1출구부와, 상기 보조캡에 의하여 폐쇄된 필터접속구 및 상기 비데측 정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2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원수 유입부를 경유하여 각각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으로 분기하는 분기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분기밸브의 내부에는 원수 유입부에서 필터조립체 쪽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체크밸브 바디와 체크밸브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플런저로 구성되며, 체크밸브 바디의 일측에는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인입되는 제1관통공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원수가 제1출구부로 인출되는 제2관통공이 성형되며, 또 다른 타측에는 필터접속구와 연통되는 제3관통공이 성형되며, 상기 밸브 플런저는 수압과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어 통상 제3관통공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가압봉에 의하여 가압되면 밸브 플런저가 스프링 측으로 이동하여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제3관통공을 통과하여 필터조립체를 거쳐 궁국에는 상기 제2출구부로 이송된다.
상기 보조캡을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외측에 원통형의 커넥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캡의 외주면에경사면을 구비한 체결용 칼라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보조캡을 커넥터 내부에 압입하고 보조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보조캡이 커넥터에 착탈된다.
상기 보조캡을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캡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캡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밸브와 상기 보조캡이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보조캡이 상기 분기밸브에 착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에 의하면 필터조립체의 교환방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조립체 및 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각각 사시도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따르면, 벽체(102) 외부에 벽체 내부의 수도전(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원수이송라인(40)이 벽체(102)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원수이송라인(40)의 일방에 변기 물탱크(14)로 급수를 안내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이 연장되고 원수이송라인(40)의 타방에 비데장치(20)로 정수를 안내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이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48)가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지수밸브(50)가 상기 원수이송라인(4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수밸브(50)의 단부에 본 고안의 분기밸브(150)가 설치되어 상기 지수밸브(50)를 통과한 원수를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과 필터조립체(200) 측으로 분기하고, 필터조립체(200)를 통과한 정수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을 통하여 비데장치(20)로 유입된다.
이 때, 분기밸브(150)에는 원수 유입부(152)가 형성되어 지수밸브(50)에서 분기밸브(150)로 원수를 공급하며, 공급된 원수를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70) 등으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부(154, 158)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조립체(200)를 접속하기 위한 필터접속구(156)가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출구부(154, 158) 및 필터접속구(156) 각각은 상호 직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기밸브 중 제1출구부(154)는 지수밸브(50)을 통과한 원수를 변기 물탱크(14)로 바로 공급하기 위하여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필터접속구(156)는 필터조립체(200)를 접속 고정하며, 필터조립체(200)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수를 다시 배출하는 부분이며, 제2출구부(158)는 필터접속구(156) 및 필터조립체(200)를 통과한 정수수를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의 구성이 각각 측단면 및 평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에는 분기밸브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밸브(150)의 원수 유입부(152)와 제1출구부(154)는 일직선을 이루고 있으나, 상기 필터접속구(156) 및 제2출구부(158)는 원수 유입부(152)와 제1출구부(154)에 대하여 각각 수직이 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분기밸브(150)의 내부에는 깔대기 모양의 체크밸브 바디(160)가 설치되어 원수 유입부(152)와 제1출구부(154)는 항상적으로 원수가 공급되고, 원수 유입부(152)와 필터접속구(156) 사이에는 필터조립체(200) 등이 결합되었을 때는 개방되고 필터조립체(200) 등이 해체되었을 때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체크밸브 바디(160)의 측면 양측에는 분기밸브(150)의 원수 유입부(152)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및 2관통공(162, 164)이 형성되어 있어, 지수밸브(50)가 개방되어 있는 한 언제든지 원수가 제1 및 2관통공(162, 164)을 경유하여 제1출구부(154)로 배출되어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에 공급된다.
그리고, 체크밸브 바디(160)의 타측에는 제3관통공(165)이 형성되며, 체크밸브 바디(160) 내부에는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중앙 홈 부위에는 원수를 기밀하게 차폐하기 위한 오링(174)을 구비한 밸브 플런저(168)가 장착되고, 체크밸브 바디(160)의 내주면 일측에는 밸브 플런저(168)의 오링(174)이 안착되는시트면(170)이 형성되며, 밸브 플런저(168)의 후단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밸브 플런저(168)의 오링(174)이 시트면(170)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172)이 설치된다.
밸브 플런저(168)의 선단에는 안내깃(176)이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안내깃(176)은 밸브 플런저(168)가 개방되었을 때 원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을 기준으로 바라 볼 때 "+"자 형 날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조립체(200) 또는 보조캡(180)의 제1가압봉(182)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밸브 플런저(168)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필터접속구(156)에 어떠한 장치도 체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지수밸브(50)를 통과한 원수는 제1관통공(162) 및 제2관통공(164)을 경유하여 제1출구부(154)로 배출되어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에 의하여 변기 물탱크(14)로 공급되며, 반면 밸브 플런저(168)는 스프링(172)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고 오링(174)이 시트면(170)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있어 체크밸브 바디(160)의 제3관통공(165)으로 원수가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보조캡이 결착된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분기밸브가 보조캡과 나사결합된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200)를 사용하지 않고 원수를 직접 비데장치(20)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분기밸브(150)의 필터접속구(156)에 보조캡(180)을 설치하며, 보조캡(180)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타측은 폐쇄되어 있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비데장치(20)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터조립체(200)를 사용하는 경우 혹은 비데장치(20)에 원수를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필터조립체(200) 대신 보조캡(180)을 사용하는 경우, 분기밸브(150)의 필터접속구(156) 단부에는 상기 필터조립체(200) 혹은 보조캡(180)과 결합되는 커넥터(190)가 장착된다.
보조캡(180)의 중앙 내측에는 제1가압봉(182)이 설치되어 밸브 플런저(168)의 안내깃(176)을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가압봉(182)이 상기 밸브 플런저(168)을 가압하면 오링(174)과 시트면(170)이 상호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 사이로 원수가 제3관통공(165) 측으로 이송된다.
보조캡(180)의 원통 외측에는 경사면(224)을 갖는 체결용 칼라(222)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90)의 외주면의 체결용 슬롯에 체결되는데, 이 점에 관하여는 뒤에서 설명될 필터조립체(200)의 결합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180)의 외측에 나사산(184)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보조캡(180)을 분기밸브(150)에 체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기밸브(150)의 필터접속구(156)에 보조캡(180)이 체결될 때에는 지수밸브(50)를 통과한 원수가 제1 및 제2관통공(162, 164)을 통과하여 제1출구부(154)로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제1가압봉(182)에 의해 밸브 플런저(168)가 스프링(172) 측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하여 오링(174)과 시트면(170)이 이격되면서 원수가 제3관통공(165)을 거쳐 제2출구부(158)로 배출된다.
도 9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가 결착되기 전의 구성이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분기밸브와 필터조립체가 결착된 후의 구성이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필터조립체(200)는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선단에 이르러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202)과, 상기 케이싱(202)의 내부에는 케이싱(202)의 형상에 대응되는 필터소자 카트리지(230)와 상기 필터소자 카트리지(230)를 수용하고 원수 및 정수수의 흐름이 구별되도록 하는 구분벽(212)을 구비하는 유로전환어댑터(21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소자 카트리지(230)는 유입된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필터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210)의 선단에는 체크밸브 바디(160)의 제3관통공(165)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내부로 안내하는 동시에 필터소자 카트리지(230)를 경유한 정수가 상기 원수와 섞이지 않고 제3배출구(158)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분벽(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분벽(212)의 후단에는 상기 구분벽(212)의 내측을 통과한 원수를 안내하는 유로전환통로(214)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전환통로(214)를 통과한 원수는 케이싱(202)과 필터 가이드(210) 사이의 원수유동통로(216)를 경유하여 필터소자 카트리지(230)에 의하여 정수로 걸러지고, 걸러진 정수는 구분벽(212)의 외측에 형성된 정수수유출구(218)를 지나 제2배출구(158)로 유출된다.
유로전환어댑터(210)의 구분벽(212) 내측에는 상기한 보조캡(180)의 내측에 마련된 제1가압봉(18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가압봉(220)이 형성되며, 원수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단면이 십자형의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는 필터조립체의 구성 및 보조캡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정단면을 기준으로 바라 볼 때 케이싱(202)의 선단 외부에는 체결용 칼라(222)가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칼라(222)의 일측에는 경사면(224)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체결용 칼라(222)가 후술할 커낵터의 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억제하는 스토퍼(2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90)의 내부에는 걸림턱(192)이 내향으로 마주보며, 상기 걸림턱(192)이 돌출형성되지 않은 커넥터(190)의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체결용 칼라(2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홈(194)이 형성됨으로써 체결용 칼라(222)를 상기 삽입홈(194)에 삽입한 채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체결용 칼라(222)의 경사면(224)이 상기 걸림턱(192)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커넥터(19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궁국적으로는 체결용 칼라(222)가 걸림턱(192)에 밀착되어 케이싱(202)이 커넥터(190)에 체결된다.
이 때, 상기 유로전환어댑터(210) 또는 보조캡(180)의 내측에 마련된 제1가압봉(182)의 스프링(172) 및 자체 수압으로 시트면(170)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174)을 포함하는 밸브 플런저(168)를 스프링(172) 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원수가 안내깃(176) 및 제3관통공(165)을 거쳐 종국에는 제2출구부(158)로 배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변기 물탱크에만 급수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상기 분기밸브(150)의 제1출구부(154)에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만을 연결하고, 필터접속구(156) 및 제2출구부(158)에는 아무런 연결장치도 설치하지 않는다. 다음 지수밸브(50)의 손잡이(48)를 돌려 원수이송라인(40)으로부터 원수를 분기밸브(150)로 공급한다.
이 때 분기밸브(150) 내에 설치된 밸브 플런저(168)는 스프링(172)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트면(17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원수 유입부(152)에서 필터접속구(156)로 연결되는 수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분기밸브(150)로 공급된 원수는 체크밸브 바디(160)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공(162) 및 제2관통공(164)을 경유하여 제1출구부(154)와 연결된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으로만 배출된다.
둘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장치를 사용하되 정수되지 않은 원수를 그대로 비데장치 및 물탱크로 급수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분기밸브(150)의 제1출구부(154)에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을 연결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제2출구부(158)에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을 연결한 후 필터접속구(156)에 보조캡(180)을 결착한다.
보조캡(180)을 결착하는 순간 밸브 플런저(168)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즉, 보조캡(180)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체결용 칼라(222)에 형성된 경사면(224)에 의하여 보조캡(180)이 커넥터(190) 내부로 진입하거나 나사산(184)을 따라 회전하면서 커넥터(190)와 밀착되며, 보조캡(180) 내측에 성형된 제1가압봉(182)은 밸브 플런저(168)의 선단에 돌출된 안내깃(176)을 가압한다.
밸브 플런저(168)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깃(176)이 가압되면 스프링(172)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트면(170)과 밀착된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던 오링(174)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오링(174)과 시트면(17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 사이로 원수가 배출된다. 배출된 원수는 보조캡(180)의 내측에 형성된 수로를 따라 제2출구부(158)로 이송된다.
따라서, 분기밸브(150)로 공급된 원수는 제1출구부(154)와 제2출구부(158)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과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으로 분기되어 각각 변기 물탱크(14)와 비데장치(20)로 공급된다.
세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를 사용하여 정수된 원수를 비데장치로 공급하고 원수는 그대로 변기 물탱크에 공급하는 경우이다.
분기밸브(150)의 제1출구부(154)에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을 연결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제2출구부(158)에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을 연결한 후 필터접속구(156)의 보조캡(180)을 탈거하고 다시 필터조립체(200)를 결착한다.
보조캡(180)을 탈거하는 순간 체크밸브 바디(16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보조캡(18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주면 체결용 칼라가 경사면을 따라 커넥터(190) 외부로 퇴거하거나 나사산(184)을 따라 회전하면서 커넥터(190)와 분리되며, 보조캡(180) 내측에 성형된 제1가압봉(182)에 의하여 가압된 안내깃(176)에는 외력이 제거되면서 밸브 플런저(168)는 스프링(172)의 탄성력 및 수압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되고 밸브 플런저(168)의 오링(174)과 시트면(170) 사이에는 기밀상태가 다시 유지된다.
필터조립체(200)를 결착하는 순간 체크밸브 바디(160)는 다시 작동하며 그 과정은 보조캡(180)을 결착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안내깃(176)을 가압하면 오링(174)과 시트면(17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사이로 배출된 원수는 필터조립체(200)의 유로전환어댑터(210) 내부로 유입된다.
유로전환어댑터(210)의 선단에 형성된 구분벽(212)은 체크밸브 바디(160)의 선단 외측과 밀착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로전환어댑터(210)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구분벽(212)의 내측을 따라 유동되고 유로전환통로(214)를 경유하여 케이싱(202)과 유로전환어댑터(220) 사이에 형성된 원수유동통로(216) 측으로 이송된다. 원수유동통로(216)로 이송된 원수는 필터소자카트리지(230) 내부에 적층된 필터소자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정수는 정수수유출구(218)를 통해 유로전환어댑터(210) 외부로 배출되어 케이싱(202)과 구분벽(212) 사이의 수로를 따라 이동되어 제2출구부(158)와 연결된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분기밸브(150)로 공급된 원수는 제1출구부(154)와 제2출구부(158)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한편에서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60)으로 분기되어 변기 물탱크(14)로 공급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필터조립체(200)를 경유하여 정화된 상태에서 비데측 정수이송라인(70)으로 분기되어 비데장치(20)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터의 입출구를 동일한 방향에 형성하고, 분기밸브의 출구부 및 필터접속구를 상호 수직이 되게 입체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출구부 중 하나는 원수가 항상적으로 물탱크로 드레인되도록 하며, 필터접속구에는 필터조립체 혹은 보조캡을 결착할 수 있도록 하며, 출구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필터조립체 혹은 보조캡을 결착하는 조건에서 원수가 통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필터조립체의 입구와 출구를 같은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필터조립체를 일방향으로만 삽입하는 것으로도 필터조립체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분기밸브의 출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호 수직이 되게 형성됨으로써 분기밸브에 연결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및 필터조립체의 연결관계가 간단하고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좁은 화장실을 사용하는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세째, 비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필터접속구에 아무런 장치를 하지 않으면 되고, 비데장치를 사용하되 정화되지 않은 원수를 사용하거나 필터조립체의 구입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필터접속구에 보조캡으로 막아 두면 되고, 정화된 정수로 비데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필터접속구에 필터조립체를 설치하면 족하므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비데장치에 공급되는 원수 혹은 정수를 조절할 수 있어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네째, 필터조립체나 보조캡을 돌려주기만 하면 커넥터 혹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간단하게 필터조립체나 보조캡을 분기밸브에 결합 혹은 분리할 수 있고, 가정 내에서 부녀자나 어린이라도 별도의 장치없이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8)

  1. 벽체 내부의 급수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이송라인;
    상기 원수이송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개폐하는 지수밸브;
    상기한 원수를 변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상기한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조립체;
    상기한 정화된 정수를 비데장치로 공급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상기 지수밸브와 연결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1출구부와, 상기 필터조립체와 연결되는 필터접속구 및 상기 비데측 정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2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원수 유입부를 경유하여 각각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필터조립체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으로 분기하는 분기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원수 중 일부는 상기 제1출구부로 공급되며, 상기 원수 중 나머지는 필터접속구로 유출되며, 상기 필터접속구로 유출된 원수는 상기 필터접속구에 설치된 필터조립체를 통과하여 정화되며, 정화된 정수는 필터접속구를 경유하여 상기 제2출구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내부에는 체크밸브 바디와 밸브 플런저로 구성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크밸브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인입되는 제1관통공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원수가 제1출구부로 인출되는 제2관통공이 성형되며, 또 다른 타측에는 필터접속구에 접속된 필터조립체의 내부로 원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3관통공이 성형되며, 체크밸브 바디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는 플런저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조립체의 일측에 구비된 가압봉에 의하여 가압되면 플런저가 스프링 측으로 이동하여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체크밸브 바디의 제3관통공을 통과하여 궁국에는 상기 제2출구부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선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싱;
    원수를 정화하는 다수의 필터소자 카트리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고 그 일측은 필터소자카트리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 바디의 제3관통공과 밀착되어 연결되는 내외측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분벽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분벽의 내측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된 밸브 플런저를 스프링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봉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어댑터로 구성되며;
    상기 구분벽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소자 카트리지가 적층된 유로전환어댑터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유로전환통로와, 상기 필터소자 카트리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구분벽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정수수유출구가 유로전환어댑터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외측에 원통형의 커넥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선단 외주면에 경사면을 구비한 체결용 칼라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필터조립체를 커넥터 내부에 압입하고 필터조립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필터조립체가 커넥터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선단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조립체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밸브와 상기 필터조립체가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필터조립체가 상기 분기밸브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6. 벽체 내부의 급수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이송라인;
    상기 원수이송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개폐하는 지수밸브;
    상기한 원수를 변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상기한 원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지 않도록 밀폐하면서 동시에 내측으로 수로를 형성하며 내측 선단 중앙에 가압봉이 돌출되는 보조캡;
    상기한 보조캡의 내측을 경유한 원수를 비데장치로 공급하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상기 지수밸브와 연결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1출구부와, 상기 보조캡에 의하여 폐쇄된 필터접속구 및 상기 비데측 정수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2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원수 유입부를 경유하여 각각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및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으로 분기하는 분기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분기밸브의 내부에는 원수 유입부에서 필터접속구로 유입되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체크밸브 바디와 체크밸브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플런저로 구성되며, 체크밸브 바디의 일측에는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인입되는 제1관통공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원수가 제1출구부로 인출되는 제2관통공이 성형되며, 또 다른 타측에는 필터접속구와 연통되는 제3관통공이 성형되며, 상기 밸브 플런저는 수압과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어 통상 제3관통공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가압봉에 의하여 가압되면 밸브 플런저가 스프링 측으로 이동하여 원수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제3관통공을 통과하여 궁국에는 상기 제2출구부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을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외측에 원통형의 커넥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캡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구비한 체결용 칼라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보조캡을 커넥터 내부에 압입하고 보조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체결용 칼라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보조캡이 커넥터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을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필터접속구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캡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캡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밸브와 상기 보조캡이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보조캡이 상기 분기밸브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20-2004-0016795U 2004-06-15 2004-06-15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200360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795U KR200360715Y1 (ko) 2004-06-15 2004-06-15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795U KR200360715Y1 (ko) 2004-06-15 2004-06-15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113A Division KR100668762B1 (ko) 2004-06-15 2004-06-15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15Y1 true KR200360715Y1 (ko) 2004-09-01

Family

ID=4934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795U KR200360715Y1 (ko) 2004-06-15 2004-06-15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1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16B1 (ko) 2006-08-25 2007-10-04 정화숙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100789388B1 (ko) 2006-06-16 2007-12-28 한스주식회사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20160116924A (ko) *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양변기용 밸브
KR20210029460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KR20210072379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의 스마트 이지 스윙 정수필터 연결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88B1 (ko) 2006-06-16 2007-12-28 한스주식회사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100761516B1 (ko) 2006-08-25 2007-10-04 정화숙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20160116924A (ko) *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양변기용 밸브
KR101671809B1 (ko) * 2015-03-31 2016-11-03 (주) 스카이시스템 양변기용 밸브
KR20210029460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KR20210072379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의 스마트 이지 스윙 정수필터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0663B2 (ja) 一体化水栓濾過システム
CA2573465C (en) Filter adaptor
KR200384558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100637044B1 (ko) 원터치 착탈식 단일 및 멀티 어댑터, 이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및 이들 요소를 채용한 정수 시스템
US9650767B2 (en) Sink faucet assembly
JP2009297716A (ja)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
KR20080063756A (ko) 역삼투 여과시스템
JP2011098345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US20080197063A1 (en) Fluid Flow Interruption Mean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KR950028805A (ko) 디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0360715Y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100668762B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JP5872498B2 (ja) シャワー装置
JP2008208582A (ja) 湯水混合水栓
KR20090032903A (ko) 구강세척기
CN214233100U (zh) 龙头净水器
CN216191254U (zh) 龙头软水机、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和用于控制阀的阀组件
JP3756783B2 (ja) 緊急遮断弁付きの水栓及び水栓用のカートリッジ
JP3779566B2 (ja) 浄水装置及びその設置施工方法
JP3747165B2 (ja) シリンダ式弁装置
KR20210026861A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수전금구
CN214466310U (zh) 一种双滤芯龙头洗漱器
KR200304283Y1 (ko) 정수기용 필터
CN209909237U (zh) 一种淋浴龙头
CN217422277U (zh) 水路切换组件和龙头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