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298A -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 Google Patents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298A
KR20230116298A KR1020220013056A KR20220013056A KR20230116298A KR 20230116298 A KR20230116298 A KR 20230116298A KR 1020220013056 A KR1020220013056 A KR 1020220013056A KR 20220013056 A KR20220013056 A KR 20220013056A KR 20230116298 A KR20230116298 A KR 2023011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passage
cas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혁
정희도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298A/ko
Priority to PCT/KR2023/000897 priority patent/WO2023146208A1/ko
Publication of KR2023011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건조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필터의 원수입수구에 연결되는 정수기의 제1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입수통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필터의 정수출수구에 연결되는 상기 정수기의 제2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수통로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된 출수통로를 포함하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FLOW PATH FOR CLEANING AND WATER PURIFI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로 여과하며, 필터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기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 정수기 외부로 출수된다.
한편, 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 냉수로 제공되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후 온수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 경우 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기 외부로 출수되기 전까지 유로 또는 탱크 내부에 소정 시간 동안 머무르게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정수기는 오랜 기간 사용되면 세균 등의 오염 물질이 정수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 물질에 의해 정수기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 사용 중 경도성 물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온수부에서 산화·환원반응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형성된 라임 스케일로 인해 유로와 밸브가 폐색될 수 있다. 특히, 필터 이외에 유로 및 탱크 등의 구성이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될 경우 물이 필터에서 깨끗한 정수로 여과된다 하더라도 출수되는 과정에서 유로 및 탱크 등에 잔류하는 오염 물질에 의해 재오염될 수 있다. 이에, 정수기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7842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특허문헌 1)은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전극 살균모듈은 저장탱크의 살균 또는 세정이 필요한 경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유로상에 설치되며, 살균 또는 세정이 종료된 후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전극 살균모듈을 살균 대상 수처리 장치의 유로에 연결되어야 하며, 유로 상에 전극 살균모듈이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연결관 또는 커넥터가 필요하다. 이 경우 별도의 연결관 또는 커넥터가 수처리 장치 내부에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 1의 전극 살균모듈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 세정수를 생성하며, 이를 위해 전극장치, 전해질 공급부 및 정유량 밸브 등을 구비한다. 그러나, 전극 살균모듈 내에 전극장치, 전해질 공급부 및 정유량 밸브 등이 배치되기 위해서는 전극 살균모듈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전해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해질이 전부 소진되는 경우 전해질만 별도로 전해질 공급부에 충진시켜 전극 살균모듈을 재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에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는 구조를 가지며, 용이하게 세정제를 충진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정키트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7842 (2017.07.31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정수기 내부에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는 구조를 가지는 세정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용이하게 세정제를 충진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정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세정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건조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필터의 원수입수구에 연결되는 정수기의 제1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입수통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필터의 정수출수구에 연결되는 상기 정수기의 제2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수통로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된 출수통로를 포함하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 입수통로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 출수통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입수통로단부 및 상기 제1 출수통로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맞물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맞물림구와 맞물리는 고정구가 형성된,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세정용유로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물의 유동은 허용하면서 고체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메쉬 구조를 가지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통로와 상기 출수통로는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용유로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삽입구에 수용되는 크기를 가지는, 세정용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체결구에 연결될 수 있는 원수입수구 및 상기 제2 체결구에 연결될 수 있는 정수출수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정수기를 세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정용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용유로는, 내부에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건조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입수통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수통로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된 출수통로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 내부에 별도의 연결관 또는 커넥터가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용이하게 세정제를 충진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키트가 정수기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정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정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수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수기로부터 필터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유입', '출수', '유동',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유입, 출수, 유동,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조립체(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정수기조립체(1)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조립체(1)는 세정키트(2), 정수기(3) 및 필터(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키트(2)는 정수기(3) 내부를 살균 및 세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키트(2)는 정수기(3) 내부를 살균 및 세정하기 위하여 정수기(3)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된 채로 세정키트(2)에 물이 유입되면 세정키트(2)에서 세정액이 형성되며, 세정액은 정수기(3)로 유입되어 정수기(3)를 살균 및 세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정키트(2)는 세정용유로(10) 및 세정제(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세정용유로(10)는 내부에 세정제(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용유로(10)는 정수기(3)에 장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용유로(10)는 필터(4)가 정수기(3)로부터 분리되면, 필터(4)가 장착되었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용유로(10)는 정수기(3)의 후술할 필터삽입구(3c)에 수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세정용유로(10)는 케이스(100), 이탈방지부(200) 및 실링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세정제(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바디부(110, 120), 입수통로(130), 출수통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 120)의 내부에는 세정제(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 120)는 입수통로(130)를 통하여 내부에 물이 유입되며, 바디부(110, 1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출수통로(140)를 통하여 바디부(110, 12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 120)는 세정액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 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수용공간(S)에 수용된 세정제(20)와 혼합된다. 이 경우 바디부(110, 120) 내부에는 세정액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정액은 물에 세정제(20)가 혼합된 혼합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 120)는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0)는 제2 바디부(120)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2 바디부(120)와 결합되거나, 제2 바디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수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10)는 제2 바디부(120) 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내측에 삽입된 채로 제1 바디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폭은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4의 상하 방향 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바디부(110)에는 맞물림구(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120)에는 고정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구(111)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결합되었을 때, 고정구(121)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결합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구(111)와 고정구(121)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 제1 바디부(110)는 제2 바디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111)는 돌기의 형상을 가지고, 제2 바디부(120)는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맞물림구(111)가 홀의 형상을 가지고, 고정구(121)가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입수통로(130)는 물이 수용공간(S)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되었을 때, 정수기(3)로부터 공급된 물은 입수통로(130)를 통하여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다. 또한, 입수통로(130)는 바디부(110, 120)로부터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입수통로(130)는 제1 입수통로단부(131) 및 제2 입수통로단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수통로단부(131)는 수용공간(S)과 연통하도록 바디부(110, 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입수통로단부(131)는 입수통로(130)의 양측 단부 중 바디부(110, 120)와 연결된 단부일 수 있다.
제2 입수통로단부(132)는 케이스(100) 외부와 연통하도록 케이스(100) 외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입수통로단부(132)는 입수통로(130)의 양측 단부 중 제1 입수통로단부(131)의 반대측에 형성된 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수통로단부(132)는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되었을 때, 정수기(3)와 연결될 수 있다.
출수통로(140)는 수용공간(S)에 수용된 물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되었을 때, 수용공간(S)으로 물이 유입되면 세정액이 형성되고, 세정액은 출수통로(140)를 통하여 정수기(3)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통로(140)는 바디부(110, 120)로부터 입수통로(130)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수통로(140)는 케이스(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며, 입수통로(130)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통로(140)는 제1 출수통로단부(141) 및 제2 출수통로단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수통로단부(141)는 수용공간(S)과 연통하도록 바디부(110, 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출수통로단부(141)는 출수통로(140)의 양측 단부 중 바디부(110, 120)와 연결된 단부일 수 있다.
제2 출수통로단부(142)는 케이스(100) 외부와 연통하도록 케이스(100) 외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출수통로단부(142)는 출수통로(140)의 양측 단부 중 제1 출수통로단부(141)의 반대측에 형성된 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통로단부(142)는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되었을 때, 정수기(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입수통로(130)와 출수통로(140)는 각각 후술할 필터(4)의 원수입수구(4a) 및 정수출수구(4b)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수통로(130)와 출수통로(140)는 후술할 제1 체결구(3a)와 제2 체결구(3b)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탈방지부(2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세정제(20)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00)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탈방지부재(210)는 수용공간(S)에 수용된 세정제(20)가 입수통로(130) 또는 출수통로(140)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이탈방지부재(210)는 제1 입수통로단부(131) 및 제1 출수통로단부(14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재(210)는 물의 유동은 허용하면서 고체 상태의 세정제(20)의 이탈은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재(210)는 입수통로(130)를 통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 및 수용공간(S)으로부터 출수통로(140)로 유동하는 물의 유동은 허용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210)는 물과 혼합되지 않은 채로 수용공간(S)에 놓인 세정제(20)가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방지한다.
실링부재(3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결합되었을 때,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링부재(3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300)는 오링(O-ring)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오링은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재(300)는 제1 바디부(110)의 내주면과 제2 바디부(12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도 4의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세정제(20)는 세정용유로(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제(20)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물질이며, 일 예로 구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20)는 건조 상태일 때, 고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축된 분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상태의 세정제(20)는 세정용유로(10)로 물이 유입되면, 세정용유로(10) 내부에서 물과 혼합된다. 이 경우 세정제(20)와 물이 혼합됨으로써 세정액이 형성되며, 세정액은 정수기(3) 내부로 유입되어 정수기(3) 내부 유로 및 탱크를 살균 및 세정할 수 있다.
한편, 세정제(20)는 수용공간(S) 내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제(20)는 부피가 수용공간(S) 부피의 95% 내지 99.9%가 되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제(20)는 이탈방지부(200)에 의해 케이스(10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수기(3)에는 세정키트(2) 및 필터(4)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3)는 세정키트(2) 및 필터(4)와 연결되는 제1 체결구(3a) 및 제2 체결구(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3)는 필터(4)가 삽입되는 필터삽입구(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구(3a) 및 제2 체결구(3b)는 서로 간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구(3a)에는 세정키트(2)의 입수통로(13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필터(4)의 원수입수구(4a)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구(3b)에는 세정키트(2)의 출수통로(1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필터(4)의 정수출수구(4b)가 연결될 수 있다.
필터삽입구(3c)는 정수기(3)에 필터(4)가 결합되었을 때, 필터(4)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삽입구(3c)에는 필터(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삽입구(3c)는 정수기(3)에 세정키트(2)가 결합되었을 때, 세정키트(2)가 수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필터(4)는 정수기(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4)는 정수기(3)로부터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입수구(4a) 및 여과된 정수가 정수기(3)로 출수되기 위한 정수출수구(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입수구(4a)와 정수출수구(4b)는 입수통로(130)와 출수통로(140)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정키트(2)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세정키트(2)는 정수기(3) 내부를 살균 및 세정하기 위하여 정수기(3)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기(3)로부터 필터(4)를 분리시킨 후 필터(4)가 장착된 부분에 세정키트(2)를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가 정수기(3)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필터(4)의 원수입수구(4a) 및 정수출수구(4b)는 각각 정수기(3)의 제1 체결구(3a)와 제2 체결구(3b)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세정키트(2)를 정수기(3)에 장착시키면, 입수통로(130)와 출수통로(140)는 각각 정수기(3)의 제1 체결구(3a) 및 제2 체결구(3b)와 연결된다.
이러한 세정키트(2)가 정수기(3)에 장착되었을 때, 정수기(3) 내부에 물을 유동시키면 물은 제1 체결구(3a) 및 입수통로(130)를 유동하여 바디부(110, 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 물은 세정제(20)와 혼합됨으로써 세정액이 형성되며, 세정액은 출수통로(140) 및 제2 체결구(3b)를 통하여 다시 정수기(3)로 유입된다. 이러한 정수기(3)로 유입된 세정액은 정수기(3) 내부의 유로 및 탱크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오염 물질을 살균 및 세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키트(2)는 필터(4)가 정수기(3)에 설치되는 제1 체결구(3a) 및 제2 체결구(3b)에 연결됨으로써 정수기(3)에 별도의 연결 커넥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정수기(3)의 구조를 변경하기 않고 기존의 정수기(3)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정키트(2)는 입수통로(130)와 출수통로(140)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하여 개구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히 일 방향으로 밀어서 세정키트(2)를 정수기(3)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세정키트(2)를 일 방향과 반대인 타 방향으로 당겨서 세정키트(2)를 정수기(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간단하게 세정키트(2)를 정수기에 장착하고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정키트(2)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세정제(20)가 다 소모되더라도 세정제(20)를 다시 바디부(110, 120)에 충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제(20)가 다 소모된 세정키트(2)를 버리지 않고, 케이스(100)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정키트(2)는 내부에 장치 및 밸브 등을 구비하지 않고 세정제(20)만 충진함으로써 세정키트(2)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고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세정키트
10: 세정용유로 20: 세정제
100: 케이스 110: 제1 바디부
111: 맞물림구 120: 제2 바디부
121: 고정구 130: 입수통로
131: 제1 입수통로단부 132: 제2 입수통로단부
140: 출수통로 141: 제1 출수통로단부
142: 제2 출수통로단부 200: 이탈방지부
210: 이탈방지부재 300: 실링부재

Claims (8)

  1. 내부에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건조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필터의 원수입수구에 연결되는 정수기의 제1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입수통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필터의 정수출수구에 연결되는 상기 정수기의 제2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수통로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된 출수통로를 포함하는,
    세정용유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 입수통로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 출수통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입수통로단부 및 상기 제1 출수통로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세정용유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맞물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맞물림구와 맞물리는 고정구가 형성된,
    세정용유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세정용유로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정용유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물의 유동은 허용하면서 고체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메쉬 구조를 가지는,
    세정용유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통로와 상기 출수통로는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세정용유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유로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삽입구에 수용되는 크기를 가지는,
    세정용유로.
  8.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체결구에 연결될 수 있는 원수입수구 및 상기 제2 체결구에 연결될 수 있는 정수출수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정수기를 세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정용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용유로는,
    내부에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건조 상태의 상기 세정제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입수통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수통로와 동일한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된 출수통로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KR1020220013056A 2022-01-28 2022-01-28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KR2023011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56A KR20230116298A (ko) 2022-01-28 2022-01-28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PCT/KR2023/000897 WO2023146208A1 (ko) 2022-01-28 2023-01-19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56A KR20230116298A (ko) 2022-01-28 2022-01-28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98A true KR20230116298A (ko) 2023-08-04

Family

ID=8747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56A KR20230116298A (ko) 2022-01-28 2022-01-28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6298A (ko)
WO (1) WO20231462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842A (ko) 2017-07-18 2017-07-31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6277B2 (ja) * 1998-07-15 2008-04-1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洗浄方法及び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521937B1 (ko) * 2011-08-02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311603B1 (ko) * 2011-11-02 2013-09-26 정휘동 정수라인 설치용 살균기
KR101544923B1 (ko) * 2013-04-22 2015-08-17 정휘동 정수기
KR20200083779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피코그램 기능성소재가 구비된 정수기용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842A (ko) 2017-07-18 2017-07-31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208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JP2011098345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JP2006095510A (ja) 浄水器
KR200390280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JP2009233623A (ja) 水処理ろ過装置
KR20230116298A (ko)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101852064B1 (ko) 정수필터장치
KR100430190B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정수기
JPH0529115Y2 (ko)
JP2000061463A (ja) 浄水装置及び浄水装置の洗浄方法
JP3169406U (ja) 簡易型浄水器
KR20180043769A (ko) 정수필터장치
JP2011020068A (ja) 排水浄化装置
KR100824078B1 (ko) 정수기
ES237895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limpieza y/o desinfección de filtros
KR20110001376A (ko) 온수통 세척방법
CN214597558U (zh) 一种带加药清洗功能的前置过滤器
KR200243062Y1 (ko) 다목적 필터 케이스
KR200236404Y1 (ko) 오존 살균 냉·온 정수기
JP2007275781A (ja) 水質改善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水質改善部材
KR200420771Y1 (ko) 정수기용 살균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