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376A - 온수통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온수통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376A
KR20110001376A KR1020090058889A KR20090058889A KR20110001376A KR 20110001376 A KR20110001376 A KR 20110001376A KR 1020090058889 A KR1020090058889 A KR 1020090058889A KR 20090058889 A KR20090058889 A KR 20090058889A KR 20110001376 A KR20110001376 A KR 20110001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water
washing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김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욱 filed Critical 김형욱
Priority to KR102009005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376A/ko
Publication of KR2011000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scrapers, chains, grains of shot, sand or other abra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모터와 같은 세척기를 이용하여 냉온수기,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의 내부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을 청결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수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를 분해시키는 분해단계와,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원수유입관을 통해 온수통의 내부로 세척제를 투입하는 세척제 투입단계와, 상기 온수통에 펌핑모터가 구비된 세척기를 연결 설치하는 세척기 설치단계와, 상기 세척기를 작동시켜 온수통 내부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수통을 세척하는 온수통 세척단계 및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퇴수구를 통해 세척에 사용된 물과 세척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통, 세척방법, 냉온수기, 정수기, 이온교환수지

Description

온수통 세척방법{Washing method of the hot water tank}
본 발명은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모터와 같은 세척기를 이용하여 냉온수기,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의 내부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을 청결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100)(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 프레임의 상단에 냉수통(110)(210)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중간에 온수통(110)(210)이 설치되어 있다. 냉수통(110)(210)은 저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으로서 그 주변에 냉수냉각벨트(112)(212)가 감겨져 있으며, 정수기(100)의 경우 냉수통(110)의 상부에 정수탱크(130)가 구비되고, 냉온수기(200)의 경우 냉수통(2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생수통 받침대(230)와 생수통(미도시)이 장착된다.
온수통(120)(220)은 저부와 상부가 모두 막힌 원통으로서 그 외주면에 온수열선히터(122)(222)가 감겨져 있고 열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을 붙여서 합친 바이메탈(124)(224)이 구비되며, 그 상부 중심이 원수유입관(126)(226)을 통해 냉수통(110(210)의 저부 중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통(110)(210)과 온수통(120)(220)에는 각각 냉수토출구(118)(218)와 온수토출구(128)(228)가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에 구비된 냉수통(110(210)과 온수통(120)(220)은 그 내벽면이 항상 물과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하면 그 내벽면 상에 물이끼, 칼슘찌거기 등의 침작물(슬러지)이 부착되는데, 냉수통(110)(210)의 경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지만, 온수통(120)(220)은 상부와 저부가 모두 막힌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온수통(120)(220)의 내측에 부착된 침착물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051호에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세척이 가능한 냉온정수기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는 온수탱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온수탱크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냉온수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20033호에는 냉온수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세척방법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전(10)에 연결 설치되고, 약품탱크(22)와 와류발생체(24) 및 소용돌이 발생체(26)가 구비된 소용돌이 분사관(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총 형상의 본체(20)를 이용 하여 온수통(3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그 구조가 복잡한 권총 형상의 본체(20)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통(30)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약품을 사용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세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온수통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핑모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온수통을 세척할 수 있는 온수통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 어패류 껍데기, 돌가루 및 유리구슬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온수통을 세척함으로써 온수통 세척 후 온수통에 남아있는 세척제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사용자가 안심하고 냉수 또는 온수를 음용할 수 있는 온수통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은,
냉수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를 분해시키는 분해단계와,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원수유입관을 통해 온수통의 내부로 세척제를 투입하는 세척제 투입단계와, 상기 온수통에 펌핑모터가 구비된 세척기를 연결 설치하는 세척기 설치단계와, 상기 세척기를 작동시켜 온수통 내부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수통을 세척하는 온수통 세척단계 및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퇴수구를 통해 세척에 사용된 물과 세척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를 분해시키는 분해단계와,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온수통의 내부로 세척수를 80~90%의 비율로 충전시키는 세척수 충전단계와, 상기 온수통에 펌핑모터가 구비된 세척기를 연결 설치하는 세척기 설치단계와, 상기 세척기를 작동시켜 온수통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온수통을 세척하는 온수통 세척단계 및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퇴수구를 통해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척제는 이온교환수지, 어패류 껍데기, 돌가루 및 유리구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 토출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흡입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구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면 내측으로 잠긴 상태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흡입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구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관에 직접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단계 이후에 온수통 내부로 물을 순환시키는 드레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제 투입단계 또는 상기 세척수 충전단계의 이후에 온수통의 내부로 살균소독제를 첨가하는 살균소독제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세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온수통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핑모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온수통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구비된 온수통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이온교환수지, 어패류 껍데기, 돌가루 및 유리구슬과 같은 세척제를 사용하여 온수통을 세척하므로 세척 후 남아있는 세척제를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이 간단하여 온수통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통에 남아 있는 물을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온수통 세척을 위한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온수통 세척방법에서의 세척수와 세척제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온수통 세척방법에서의 세척수와 세척제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펌핑모터와 같은 세척기(300)를 이용하여 정수기(100), 냉온수기(200) 등에 설치된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세척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 등에 설치된 온수통(120,220)을 청결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기(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 프레임의 상단에 냉수통(110)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중간에 온수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냉수통(110)은 저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으로서 그 주변에 냉수냉각벨트(112)가 감겨져 있으며, 상부에는 정수탱크(1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정수탱크(130)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온수통(120)은 저부와 상부가 모두 막힌 원통으로서 그 외주면에 온수열선히터(122)가 감겨져 있고, 열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을 붙여서 합친 바이메탈(124)이 구비되며, 그 상부 중심이 원수유입관(126)을 통해 냉수통(110)의 저부 중심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수유입관(126)의 상부에는 냉온수 분류판(114)이 설치되고 냉온수 분류판(114)에는 원수유입관(126)과 연결되는 원수유입구(1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통(110)과 온수통(120)에는 각각 냉수토출구(118)와 온수토출구(128)가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의 하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노즐(140)이 냉각 컴프레셔(150)를 관통하여 정수필터(160)에 연결 설치되어 정수필터(160)를 통과한 원수 가 각각 냉수통(110)과 온수통(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온수통(120)의 하부에는 냉수통(110) 또는 온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구(170)가 구비된다.
또한, 냉온수기(200)의 기본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수기(10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정수기(100)의 원수를 유입하기 위한 노즐(140)과 정수필터(160) 대신에 냉수통(210)의 상부에 생수통(미도시)이 설치되는 생수통 받침대(230)가 연결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정수기(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부호인 (214)는 냉온수 분류판이고, (250)은 냉각컴프레셔이며, (125)(225)는 온수통(120)(220)과 온수토출구(128)(228)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온수토출관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정수기(100)와 냉온수기(200)의 냉수통(110)(2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지만, 온수통(120)(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와 저부가 모두 막힌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온수통(120)(220)의 내측에 부착된 침착물(슬러지)을 제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용자가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에 구비되는 온수통(120)(220)을 간단한 방법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분해단계(S10)와, 세척제 투입단계(S20), 세척기 설치단계(S30), 온수통 세척단 계(S40) 및 배출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해단계(S10)는 냉수통(110)(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수탱크(130)(정수기(100)의 경우) 또는 생수통 받침대(230)(냉온수기(200)의 경우) 등을 제거하여 냉수통(110)(210)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분해함으로써 후술할 세척제(400)를 온수통(120)(22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세척기(300)를 냉수통(110)(2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세척제 투입단계(S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냉수통(110)(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온수 분류판(114)(214)에 형성되는 원수유입구(116)(216)를 통해 온수통(120)(220)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제(400)를 투입하여 세척제(400)가 원수유입관(126)(226)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수와 함께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온수통(120)(220)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제(400)로는 이온교환수지, 조개, 소라, 굴 등의 어패류 껍데기, 맥반석 등의 돌가루 및 유리구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온교환수지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띤 부분이 있어 주변 용액으로부터 그와 반대 전하를 띤 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는 다양한 유기 합성 중합체 화합물을 뜻하는 것으로, 종래에도 불순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실시예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또한, 조개, 소라, 굴 등의 어패류 껍데기는 껍데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찌꺼기나 세제, 기름성분 등의 오염물질을 고속으로 산화 분해시키도록 함으로써 물을 정화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효능을 갖는 어패류 껍데기를 온수통(120)(220)에 투입한 후 세척수를 순환시켜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쌓여있는 오염물질들을 분해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맥반석 등의 돌가루는 살균 및 정화작용이 뛰어나 종래에도 정수기(100) 등에 물의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유리구슬은 온수통(120)(220)에 투입시킨 후 세척수의 순환에 의해 온수통(120)(220)의 내측 벽면 및 원수유입관(126)(226) 등과의 마찰에 의해 온수통(120)(220)의 내측 벽면에 부착된 슬러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에 의하면 이온교환수지, 조개, 소라, 굴 등의 어패류 껍데기, 맥반석 등의 돌가루 및 유리구슬 등 인체에 무해한 재료들을 세척제(400)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온수통(120)(220)의 세척 후에 상기 세척제(400)들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일부 남아 있더라도 지속적으로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정화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세척제(400)를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투입한 후에는 상기 온수통(120)(220)에 세척기(300)를 연결 설치하는데, 이때 세척기(300)로는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펌핑모터(300)를 사용한다(세척기 설치단계(S30)). 즉, 일측에 흡입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부(310)가 형성된 펌핑모터(300)를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한 후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저 장된 물을 세척제(400)와 함께 순환시킴으로써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온수통 세척단계(S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세척기(300)는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중 제1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기(300)의 토출부(310)를 토출호스(312)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온수토출구(128)(228)에 연결 설치하고,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를 흡입호스(322)에 의해 냉수통(120)(220)에 구비되는 냉온수분류판(114)(214)에 형성되는 원수유입구(116)(216)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즉,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세척제(400)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세척기(펌핑모터)(300)를 연결 설치한 후 작동시키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원수유입관(126)(226) 및 원수유입구(116)(216)를 통해 펌핑모터(세척기)(300)의 흡입호스(322)로 유입되고, 흡입호스(322)를 통해 유입된 물(세척수)은 토출부(310)를 통해 배출되어 토출호스(312)를 통해 온수토출구(128)(228)로 유입되어 온수토출구(128)(228)와 온수통(120)(22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온수토출관(125)(225)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일부 세척제(400)와 함께 순환하게 되어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온수통(120)(220)의 내벽면, 온수토출관(125)(225) 및 원수유입관(126)(226)에 부착된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온수통(120)(2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퇴수구(170)(270)에 구비되 는 밸브(172)(272)는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는 세척수와 세척제(400)가 퇴수구(170)(270)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상기 세척기(300)를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하는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수통(110)(210)의 내부에 물이 일정량 차 있는 상태에서 냉수통(110)(210)에 존재하는 물을 이용하여 온수통(120)(220)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냉수통(110)(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냉온수 분류판(114)(214)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술한 분해단계(S10)에서 분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S30)에서 세척기(300)의 토출부(310)는 토출호스(312)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온수토출구(128)(228)에 연결 설치되고,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는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냉수통(110)(21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면 내측으로 잠긴 상태로 위치하도록 설치한 후 세척기를(300) 작동시키면 냉수통(110)(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부(310)에 연결 설치된 토출호스(312)를 통해 온수토출구(128)(228)로 유입되고, 상기 온수토출구(128)(228)로 유입되는 물은 온수토출관(125)(225)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제(400)와 함께 순환하면서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온수통(120)(220)의 내벽면, 온수토출관(125)(225) 및 원수유입관(126)(226)에 부착된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온수통(120)(2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퇴수구(170)(270)에 구비되는 밸브(172)(272)는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는 세척수와 세척제(400)가 퇴수구(170)(270)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상기 세척기(300)를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하는 제3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기(300)의 토출부(310)를 토출호스(312)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퇴수구(170)(270)에 연결 설치하고, 세척기(300)의 흡입부(310)는 흡입호스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원수유입구(116)(216)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즉,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세척제(400)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세척기(펌핑모터)(300)를 연결 설치한 후 퇴수구(170)(270)에 설치된 밸브(172)(272)를 열고 세척기(300)를 작동시키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원수유입관(126)(226) 및 원수유입구(116)(216)를 통해 세척기(300)의 흡입호스(322)로 유입되고, 흡입호스(322)를 통해 유입된 물(세척수)은 토출부(310)를 통해 배출되어 토출호스(312)를 통해 퇴수구(170)(270)로 유입되어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일부 세척제(400)와 함께 순환하게 되어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온수통(120)(220)의 내벽면, 온수토출관(125)(225) 및 원수유입관(126)(226)에 부착된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되는 온수토출구(128)(228)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되도 록 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는 물 및 세척제(400)가 온수토출관(125)(225)을 통해 온수토출구(128)(228)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세척기(300)를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하는 제4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기(300)의 토출부(310)를 토출호스(312)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퇴수구(170)(270)에 연결 설치하고,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는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원수유입구(116)(216) 또는 원수유입관(126)(226)에 직접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즉,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세척제(400)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세척기(펌핑모터)(300)를 연결 설치한 후 퇴수구(170)(270)에 설치된 밸브(172)(272)를 열고 세척기(300)를 작동시키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원수유입구(116)(216) 또는 원수유입관(126)(226)을 통해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로 직접 유입되고, 상기 흡입부(320)로 유입된 물은 토출부(310)를 통해 배출되어 토출호스(312)를 통해 퇴수구(170)(270)로 유입되어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있던 물이 일부 세척제(400)와 함께 순환하게 되어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온수통(120)(220)의 내벽면, 원수유입관(126)(226) 및 온수토출관(125)(225)에 부착된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에 구비된 온수통(120)(220)을 세척한 후에는 퇴수구(170)(270)를 통해 온수통(120)(220) 세척에 사용된 물과 세척제(400)를 배출시킨다(배출단계(S50)).
즉, 전술한 온수통 세척방법 중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세척기(300)를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는 퇴수구(170)(270)에 설치된 밸브(172)(272)가 닫혀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세척기(300)의 작동을 멈춘 후 밸브(172)(272)를 개방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 및 세척제(400)가 퇴수구(170)(27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제3 및 제4실시예와 같이 세척기(300)를 연결 설치한 경우에는 퇴수구(170)(270)에 설치된 밸브(172)(272)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온수통(120)(220)의 세척 후에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된 세척기(300)를 제거하면 퇴수구(170)(270)를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 및 세척제(400)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출단계(S50)에서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된 세척기(300)의 토출호스(312)를 온수통(120)(2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기(300)를 작동시켜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과 세척제(400) 및 이물질을 세척기(300)의 흡입부(320)를 통해 흡입하여 토출부(310)를 통해 배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에 사용되는 세척제(400)들은 모두 인체에 무해하고, 수질을 정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온수통(120)(220) 세척 후에 일부가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잔존하더라도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상기 배출단계(S50) 이후에도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일부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도 있으므로 깨끗한 물을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몇차례 순환시켜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 또는 세척제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드레싱 단계(S60)). 이때, 상기 드레싱 단계(S60)에서는 원수유입관(126)(226)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켜 온수토출관(125)(225) 또는 퇴수구(170)(270)를 통해 배출시킬 수도 있고 상기 세척기(300)를 이용하여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세척제(40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세척기(300)를 이용하여 공압에 의해 온수통(120)(220)을 세척할 수도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냉수통(110)(2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를 분해시킨다(분해단계(S10)).
다음, 상기 냉수통(110)(210)의 하부에 온수통(120)(220)과 연결 설치되는 원수유입구(116)(216) 또는 원수유입관(126)(226)을 통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세척수를 충전시킨다(세척수 충전단계(S20')). 이때, 상기 세척수는 온수통(120)(220)에 연결 설치되는 세척기(300)에 의해 순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온수통(120)(220) 전체 부피의 약 80~90% 정도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세척수를 충전시킨 후, 온수통(120)(220)에 토출부(310)와 흡입부(320)가 구비된 세척기(펌핑모터)(300)를 결합시킨 후(세척기 설치단계(S30)), 작동시키면 세척기(300)의 작동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면서 세척수가 순환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기포의 공압 및 세척수의 순환력에 의해 온수통(120)(220)의 내부에 부착된 슬러지와 같은 오염물질들이 깨끗이 세척되는 것이다(온수통 세척단계(S40)).
한편, 상기 온수통 세척단계(S40) 이후의 배출단계(S50) 및 드레싱 단계(S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평상시 온수통(120)(220)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의 경우나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에 의한 온수통(120)(220) 세척 약 10회 중 1회 정도는 온수통(120)(220) 내부의 살균소독을 위해 살균소독제를 첨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세척제 투입단계(S20) 또는 세척수 충전단계(S20')의 이후에 온수통(120)(220)의 내부로 살균소독제를 적당량 투입시킨 후 세척기(300)를 결합하여 온수통(120)(220)을 세척함으로써 온수통(120)(220)의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온수통(120)(220)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세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온수통(120)(220)이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핑모터(30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온수통(120)(220)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정수기(100) 또는 냉온수기(200)에 구비된 온수통(120)(220)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이온교환수지, 어패류 껍데기, 돌가루 및 유리구슬과 같은 세척제(400)를 사용하여 온수통(120)(220)을 세척하므로 세척 후 남아있는 세척제(400)를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이 간단하여 온수통(120)(220)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통(120)(220) 또는 냉수통(110)(210)에 남아 있는 물을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으므 로 온수통(120)(220) 세척을 위한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모터와 같은 세척기를 이용하여 냉온수기,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의 내부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에 설치된 온수통을 청결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기 세척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온수통 세척방법에서의 세척수와 세척제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통 세척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온수통 세척방법에서의 세척수와 세척제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수기 110, 210 : 냉수통
112, 212 : 냉수냉각벨트 114, 214 : 냉온수 분류판
116, 216 : 원수유입구 118, 218 : 냉수토출구
120, 220 : 온수통 122, 222 : 온수열선히터
124, 224 : 바이메탈 125, 225 : 온수토출관
126, 226 : 원수유입관 128, 228 : 온수토출구
130 : 정수탱크 140 : 노즐
150, 250 : 냉각컴프레셔 160 : 정수필터
170, 270 : 퇴수구 172, 272 : 밸브
200 : 냉온수기 230 : 생수통 받침대
300 : 세척기(펌핑모터) 310 : 토출부
312 : 토출호스 320 : 흡입부
322 : 흡입호스 400 : 세척제

Claims (9)

  1. 냉수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를 분해시키는 분해단계와,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원수유입관을 통해 온수통의 내부로 세척제를 투입하는 세척제 투입단계와,
    상기 온수통에 펌핑모터가 구비된 세척기를 연결 설치하는 세척기 설치단계와,
    상기 세척기를 작동시켜 온수통 내부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수통을 세척하는 온수통 세척단계 및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퇴수구를 통해 세척에 사용된 물과 세척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2. 냉수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를 분해시키는 분해단계와,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온수통의 내부로 세척수를 80~90%의 비율로 충전시키는 세척수 충전단계와,
    상기 온수통에 펌핑모터가 구비된 세척기를 연결 설치하는 세척기 설치단계 와,
    상기 세척기를 작동시켜 온수통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온수통을 세척하는 온수통 세척단계 및
    상기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퇴수구를 통해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는 이온교환수지, 어패류 껍데기, 돌가루 및 유리구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 토출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흡입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구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면 내측으로 잠긴 상태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흡입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구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에는 토출부와 흡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기 설치단계에서 토출부는 토출호스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퇴수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원수유입관에 직접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 이후에 온수통 내부로 물을 순환시키는 드레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투입단계 또는 상기 세척수 충전단계의 이후에 온수통의 내부로 살균소독제를 첨가하는 살균소독제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통 세척방법.
KR1020090058889A 2009-06-30 2009-06-30 온수통 세척방법 KR20110001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89A KR20110001376A (ko) 2009-06-30 2009-06-30 온수통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89A KR20110001376A (ko) 2009-06-30 2009-06-30 온수통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76A true KR20110001376A (ko) 2011-01-06

Family

ID=4360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889A KR20110001376A (ko) 2009-06-30 2009-06-30 온수통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3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0611A (zh) * 2014-03-28 2014-08-20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色谱进样瓶快速清洗装置
WO2015016469A1 (ko) 2014-02-27 2015-02-05 Kim Ill Bong 수소수 냉온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69A1 (ko) 2014-02-27 2015-02-05 Kim Ill Bong 수소수 냉온수기
CN103990611A (zh) * 2014-03-28 2014-08-20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色谱进样瓶快速清洗装置
CN103990611B (zh) * 2014-03-28 2016-01-20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色谱进样瓶快速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36439U (zh) 一种医疗器械循环灌流清洗装置
EP3140449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n uv source
CN204798005U (zh) 多功能医疗器械循环灌流清洗装置
KR20110001376A (ko) 온수통 세척방법
KR101397137B1 (ko)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CN109354265A (zh) 环保型家庭污水处理循环利用装置
CN101759234A (zh) 废水分类循环利用装置
JP2708086B2 (ja) 浄水装置
CN208135988U (zh) 一种城镇供水系统
CN202449926U (zh) 过滤型管道式电解水处理装置
JP2011020068A (ja) 排水浄化装置
JP5444074B2 (ja) 洗濯機置台
CN215800497U (zh) 一种节水洗涤消毒装置
CN108005154A (zh) 一种生活废水处理器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CN213310507U (zh) 一种超声波义齿清洗机
KR20130123566A (ko) 식용뼈 세척장치
CN210595647U (zh) 一种基于物联网的节能型净水器
CN108425411A (zh) 一种净水机废水回收处理装置
CN219185571U (zh) 一种口腔门诊护士用手部消毒装置
CN211835482U (zh) 具备废水过滤净化功能的医用处置柜
KR200389855Y1 (ko) 옥내관의 오수관과 하수관의 세정 및 정수장치
CN215442136U (zh) 一种基于自动控制的二次供水紫外消毒系统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KR200428145Y1 (ko) 수도관 연결용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