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137B1 -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137B1
KR101397137B1 KR1020130128443A KR20130128443A KR101397137B1 KR 101397137 B1 KR101397137 B1 KR 101397137B1 KR 1020130128443 A KR1020130128443 A KR 1020130128443A KR 20130128443 A KR20130128443 A KR 20130128443A KR 101397137 B1 KR101397137 B1 KR 10139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tank
toi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준
Original Assignee
양병준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준,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filed Critical 양병준
Priority to KR102013012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는,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년중에 수시로 내리는 빗물을 받아 정화하고 오존살균 및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정화 및 살균되어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순환급수펌프로 펌핑하여 수세식변기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수세식변기의 변기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면대의 세면물과 빗물을 침전 및 정화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되 자외선살균탱크에서는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오존 및 자외선 살균하여 줌으로써 세균이 사멸된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하고 수세식변기 및 화장실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Washing of outdoor toilet and rainwater recycling unit}
본 발명은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야외화장실 및 이동식화장실(이하 '야외화장실'로 통칭함)의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물과 빗물을 저장하여 수세식변기의 수세물로 재차 사용하도록 하는 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년중에 수시로 내리는 빗물을 받아 정화하고 오존살균 및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정화 및 살균되어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순환급수펌프로 펌핑하여 수세식변기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수세식변기의 변기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물의 사용에 대한 사회 및 개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물을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계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긍정적인 사고 방식에 순응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야외(공중)화장실에서 손을 씻은 세척수를 살균 저장하고,비오는 날에는 야외(공중)화장실의 지붕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받아 살균 저장하며, 이와 같이 정장된 손세척수 및 빗물을 양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세면대에서 발생하는 세척수 등을 재활용하는 장치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8215호(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등록특허 제10-0532249호(욕조 및 세면시의 폐수를 재활용한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20335호(절수형 변기와 세면대 구조), 등록특허 제10-0827960호(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구조)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8215호(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는, 세면대로부터 배수되는 세면수를 필터에 의해 정화(필터링)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필터링)된 세면수를 펌프 및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면수를 펌프 및 솔레노이드 밸브와 공급관을 통해 저수조로 공급하여 제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20335호(절수형 변기와 세면대 구조)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드레인 필터를 설치하고, (대,소)변기에 저압용 플르트 자동수위장치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며, 세면대와 변기 사이에 보조탱크를 설치하며, 보조탱크의 우측은 세면대 배수구에서 흘러들어오는 배수관을 연결하여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정수를 보관하면서 변기의 저장탱크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플르트에 의한 일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자동수위 조절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또는 절수형 변기와 세면대 구조는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단순히 필터에 의해 일부의 오염물질만을 필터링시켜 저장탱크에 저장하므로, 저장탱크에서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따라서 세균에 의해 오염된 세척수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등록특허 제10-0532249호(욕조 및 세면시의 폐수를 재활용한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는, 욕조 및 샤워실에서 사용된 물을 중수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를 갖는 저장탱크에 필터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탱크와 세면기에서 사용된 물을 집수탱크에 저장시키되 하단 일측에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배출관이 연결되어 물을 중수로 여과하여 저장하며, 상기 집수탱크에 집수된 물이 공급관을 통해 상부 저수탱크에 공급 저장하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수중펌프에 의해 변기에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827960호(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구조)는, 화장실 상부에 변기로 통하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성하되, 그 상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경사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한 빗물받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에는 빗물받이부 높이를 넘지 않는 인입공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를 구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집수되는 빗물을 단순히 필터에 의해 일부의 오염물질만을 필터링시켜 저장하므로, 저장탱크에서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따라서 세균에 의해 오염된 빗물을 세척수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 된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년중에 수시로 내리는 빗물을 받아 정화하고 오존살균 및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정화 및 살균되어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순환급수펌프로 펌핑하여 수세식변기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수세식변기의 변기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의 세면물과 빗물을 침전 및 정화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되 자외선살균탱크에서는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오존 및 자외선 살균하여 줌으로써 세균이 사멸된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하고 수세식변기 및 화장실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의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빗물을 받아 빗물정화장치로 정화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되, 상기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세면수침전정화장치에 의해 정화하고, 정화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살균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살균탱크에 공급하여 자외선살균하여 저장하며, 정화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탱크는 오존살균장치가 구비된 오존살균탱크에 공급하여 오존살균장치에 의해 오존살균시켜 저장하며,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자외선살균된 세면정화수와 오존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오존살균된 빗물을 상기 자외선살균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살균탱크에 공급하여 혼합시키고, 세면정화수와 빗물의 혼합수를 자외선살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자외선살균 된 세면정화수와 빗물의 살균혼합수를 순환급수펌프가 포함되는 살균혼합수공급장치에 의해 수세식변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빗물정화장치는;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된 빗물정화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호퍼와 하측호퍼를 각각 외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한 것과;
상기 빗물정화통과 상측호퍼 및 하측호퍼의 내부에는 빗물공급관을 설치하되 빗물공급관의 상단은 상측호퍼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빗물공급관의 하단은 하측호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과;
상기 상측호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빗물공급관의 상단은 측면에 침전물자동배출밸브(V1)가 장착된 파이프클램프를 통하여 집수배관과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상기 빗물정화통의 내부에는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활성탄휠터유니트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는,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년중에 수시로 내리는 빗물을 받아 정화하고 오존살균 및 자외선 살균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며, 정화 및 살균되어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순환급수펌프로 펌핑하여 수세식변기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수세식변기의 변기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면대의 세면물과 빗물을 침전 및 정화하여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하되 자외선살균탱크에서는 저장된 세면물과 빗물을 오존 및 자외선 살균하여 줌으로써 세균이 사멸된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하고 수세식변기 및 화장실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면물과 빗물을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가 야외화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가 야외화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의 회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가 야외화장실(1)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의 정면도 및 분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가 설치되는 야외화장실(1)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대(2)위에 설치되고, 벽면에는 창문(3)과 에어컨(4)과 같은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며, 상기와 같은 야외화장실(1)의 구조는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야외화장실(1)에서 지붕의 처마(가장자리)에는 빗물받이(11)를 설치하였고, 빗물받이(11)에는 역 사각뿔형상으로 형성된 빗물받이덕트(12)를 설치하여 지붕에서 빗물받이(11)로 흐르는 빗물을 집수하도록 하였으며, 빗물받이덕트(12)의 꼭지점 하측에는 빗물정화장치(20)를 설치하여 측면에 바이패스배관(15)이 구비된 빗물집수공급관(14)을 연통되게 연결하였으며, 빗물받이덕트(12)에 집수되는 빗물이 빗물집수공급관(14)을 통해 빗물정화장치(20)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특히, 빗물받이덕트(12)의 내부에서 빗물집수공급관(14)의 상측에는 거름망(13)을 설치하여 빗물받이덕트(12)로 집수되는 빗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거름망(13)에 의해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순수한 빗물이 빗물집수공급관(14)을 통해 빗물정화장치(20)로 공급(유통)되도록 하였다.
상기 빗물집수공급관(14)의 하측에 설치되는 빗물정화장치(2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된 빗물정화통(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호퍼(21-1)와 하측호퍼(21-2)를 각각 외향(상단 또는 하단)으로 돌출되게 결합하였고, 상기 빗물정화통(21)과 상측호퍼(21-1) 및 하측호퍼(21-2)의 내부에는 빗물공급관(23)을 설치하되 빗물공급관(23)의 상단은 상측호퍼(21-1)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빗물공급관(23)의 하단은 하측호퍼(2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측호퍼(21-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빗물공급관(23)의 상단은 측면에 침전물자동배출밸브(V1)가 장착된 파이프클램프(16)를 통하여 집수배관(14)과 연통되게 연결하였으며, 상기 빗물정화통(21)의 내부에는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활성탄휠터유니트(22)를 내장시켰다.
상기 빗물정화장치(20)의 하측에는 빗물저장탱크로서 내부에 오존살균장치(26)가 구비된 오존살균탱크(25)를 구비하여 상측호퍼(21-1)와 오존살균탱크(25)의 상면을 바이패스배관(24)으로 연통되게 연결하였고, 오존살균탱크(25)의 외측에는 보조탱크(25-1)를 구비하고 오존살균탱크(25)의 상단부와 보조탱크(25-1)를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27-1)으로 연결하여 오존살균탱크(25)에서 넘치는 빗물이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27-1)을 통하여 보조탱크(25-1)로 자동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였다.
상기 오존살균탱크(25)의 외측에는 자외선살균장치(28)가 내장된 자외선살균탱크(27)를 구비하였고, 자외선살균탱크(27)의 내부 하단에는 레벨센서(LS1)를 설치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살균혼합수공급장치에서 워터펌프(30)의 작동(가동)여부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외선살균탱크(27)의 상단에는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27-1)을 설치하여 자외선살균탱크(27)에서 넘치는 살균혼합수가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2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 된 살균혼합수를 수세식변기에 공급하는 순환급수펌프가 포함되는 살균혼합수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워터펌프(30)의 흡입구에는 일측 단부가 자외선살균탱크(27)의 내부 하단부에 위치하는 흡수관(31)과 연결시켰고, 상기 자외선살균탱크(27)의 외부에서 흡수관(31)에는 세면수바이패스밸브(V3)와 체크밸브(V2)를 설치하되, 세면수바이패스밸브(V3)가 워터펌프(30)의 흡입측에 위치하고 체크밸브(V2)가 자외선살균탱크(27)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설치하였다.
상기 워터펌프(30)의 배출측에는 배출관(32)을 연결하되 배출관(32)의 단부를 T관(33)의 일단에 연결하였고, 상기 T관(33)의 타단은 오버플로우바이패스밸브(V4)가 구비된 회수관(35)을 통하여 하측호퍼(21-2)와 연통되게 연결하여 자외선살균탱크(27)에서 살균되어 공급되는 살균혼합수(세면수+빗물)를 하측호퍼(21-2)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T관(33)의 또 다른 타단은 수세식변기(6:대변기 및 소변기)에 살균혼합수(세면수+빗물)를 공급하는 변기물공급관(37)과 연결하였다.
또 야외화장실(1)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면대(5)의 하측에는 세면수침전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세면대(5)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오물제거하여 자외선살균탱크(27)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세면대(5)의 하측에는 세면수침전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세면대(5)의 하측에 세면수집수탱크(40)를 설치하였고, 상기 세면수집수탱크(40)의 내부 중앙에는 분할벽(44)을 설치하여 세면수집수탱크(40)의 내부를 좌우 로 분할시키되 분할벽(44)의 하단에 유통공(44-1)을 형성하여 분할된 세면수집수탱크(4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좌우로 분할 된 세면수집수탱크(40)의 내부에서 일측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상단에 거름망(42)이 구비되고 하단에 침전물배출밸브(V7)가 설치된 호포형의 1차침전통(41)을 설치하였고, 세면대(5)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세면수배수관(5-1)의 하단을 거름망(42)을 통하여 1차침전통(41)의 내부까지 유입시켜 세면수배수관(5-1)을 통해 유입되는 세면수가 1차침전통(41)으로 유입되고 넘쳐 흐르면서 거름망(42)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으며, 1차침전통(41)이 설치된 일측탱크의 상단에는 오버플로우관(40-1)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세면수의 수량이 많을 경우 오버플로우관(40-1)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1차침전통(41)이 설치된 일측탱크와 유통공(44-1)에 의해 연통되는 타측탱크의 내부에서 바닥의 중앙에는 가름벽(45)을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여 침전실(43)과 저장실(43-1)로 분할하였고, 상기 침전실(43)의 바닥에는 침전물배출밸브(V8)를 설치하여 침전실(43)에 적층되는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저장실(43-1)의 하측부는 세면수회수관(48)을 통하여 세면수바이패스밸브(V3)와 연결하였고, 상기 저장실(43-1)의 하단에는 워터펌프(30)의 작동여부를 단속하는 레벨센서(LS2)를 설치하였다.
특히, 가름벽(45)의 높이를 1차침전통(41)의 상단보다 낮게 유지시켜 1차침전통(41)과 침전실(43)에 충진되는 세면수가 가름벽(45)을 넘어 저장실(43-1)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세면대(5)에서 사용된 세면수는 세면수배수관(5-1)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세면수집수탱크(40)에 설치된 1차침전통(41)으로 유입되어 충진되고, 1차침전통(41)으로 유입되는 세면수의 량이 많으면 1차침전통(41)의 상단으로 흘러 넘치면서 거름망(42)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지면서 1차침전통(41)으로 낙하한다.
거름망(42)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져 1차침전통(41)으로 낙하하는 세면수는 유통공(44-1)을 통하여 침전실(43)로 유입되고, 1차침전통(41)과 침전실(43)에 충진되는 세면수는 가름벽(45)을 넘어 저장실(43-1)로 저장된다.
상기 저장실(43-1)의 하단에 설치된 레벨센서(LS2)는 저장실(43-1)에 저장된 세면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워터펌프(30)의 작동여부를 단속하는데, 레벨센서(LS2)에 세면수의 수위가 감지되면 워터펌프(30)가 작동되고, 레벨센서(LS2)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워터펌프(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레벨센서(LS2)에 세면수의 수위가 감지되어 워터펌프(30)가 작동되면 저장실(43-1)에 저장되었던 세면수는 세면수회수관(48)과 세면수바이패스밸브(V3) 및 체크밸브(V2)와 흡수관(31)을 통하여 자외선살균탱크(27)로 저장된다.
한편, 야외화장실(1)의 지붕으로 낙하하는 빗물은 빗물받이(11)를 거쳐 빗물받이덕트(12)로 집수된다.
빗물받이덕트(12)로 집수되는 빗물은 거름망(13)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져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은 집수배관(14)을 통하여 빗물정화장치(20)로 유입된다.
상기 집수배관(14)을 통해 빗물정화장치(20)로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공급관(23)을 통하여 하측호퍼(21-2)의 내부로 유입되고, 하측호퍼(21-2)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정화통(21)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역류(상승)하면서 빗물정화통(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활성탄휠터유니트(22)를 역류 통과하면서 소독 및 멸균되며, 활성탄휠터유니트(22)를 역류하여 통과한 빗물은 상측호퍼(21-1)를 통하여 바이패스배관(24)을 통해 오존살균탱크(25)로 공급된다.
바이패스배관(24)을 통해 오존살균탱크(25)로 공급되는 빗물은 오존살균장치(26)에 의해 오존 살균되고, 오존살균탱크(25)에서 오존 살균된 빗물은 유통수단을 통해 자외선살균탱크(27)로 공급되어 세면수와 혼합되어 살균혼합수로 된다.
자외선살균탱크(27)로 공급되어 세면수와 혼합되는 빗물은 자외선살균장치(28)에 의해 자외선살균 된다.
상기 자외선살균탱크(27)에 저장된 살균혼합수는 수세식변기(대변기 또는 소변기)의 조작에 의해 워터펌프(30)가 작동한다.
워터펌프(30)가 작동하여 펌핑되면 흡수관(31)을 통하여 살균혼합수는 흡수되고, 배출관(32)과 체크밸브(V5)와 변기물공급관(37)을 통하여 수세식변기(6)로 공급되어 변기의 세척수로 사용된다.
특히 오존살균탱크(25) 또는 자외선살균탱크(27)에 충진되는 물의 량이 많으면 오버플로우관(27-1)을 통해 보조탱크(25-1)에 저장되며, 보조탱크(25-1)에 저장되는 살균 처리된 살균혼합수는 별도로 사용(처리)한다.
또한 1차침전통(41)과 침전실(43) 및 오존살균탱크(25) 또는 자외선살균탱크(27)에 침전되는 침점물은 물청소를 할 때에 침전물배출밸브(V6)(V7)(V8)를 통해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야외화장실 2: 기대
10: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11: 빗물받이
12: 빗물받이덕트 14: 집수배관
15: 바이패스관 20: 빗물정화장치
21: 빗물정화통 22: 활성탄휠터유니트
24: 바이패스배관 25: 오존살균탱크
26: 오존살균장치 27: 자외선살균탱크
28: 자외선살균장치 30: 워터펌프
31: 흡수관 35: 회수관
40: 세면수집수탱크 41: 1차침전통
43: 침전실 43-1: 저장실

Claims (7)

  1. 내부에는 세면대와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가 설치되고, 벽체에는 창문과 에어컨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된 야외화장실의 소변기 및 수세식변기를 사용한 후에 손을 씻을 때에 발생하는 세면대의 세면물을 정화하여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하고, 빗물을 받아 빗물정화장치로 정화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되, 상기 세면수집수탱크에 저장된 세면정화수를 세면수침전정화장치에 의해 정화하고, 정화된 세면정화수를 자외선살균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살균탱크에 공급하여 자외선살균하여 저장하며, 정화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탱크는 오존살균장치가 구비된 오존살균탱크에 공급하여 오존살균장치에 의해 오존살균시켜 저장하며,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자외선살균된 세면정화수와 오존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오존살균된 빗물을 상기 자외선살균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살균탱크에 공급하여 혼합시키고, 세면정화수와 빗물의 혼합수를 자외선살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되어 자외선살균 된 세면정화수와 빗물의 살균혼합수를 순환급수펌프가 포함되는 살균혼합수공급장치에 의해 수세식변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빗물정화장치는;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된 빗물정화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호퍼와 하측호퍼를 각각 외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한 것과;
    상기 빗물정화통과 상측호퍼 및 하측호퍼의 내부에는 빗물공급관을 설치하되 빗물공급관의 상단은 상측호퍼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빗물공급관의 하단은 하측호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과;
    상기 상측호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빗물공급관의 상단은 측면에 침전물자동배출밸브(V1)가 장착된 파이프클램프를 통하여 집수배관과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상기 빗물정화통의 내부에는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활성탄휠터유니트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빗물정화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오존살균탱크는;
    오존살균탱크의 내부에 오존살균장치를 설치한 것과;
    빗물정화장치의 상측호퍼와 오존살균탱크의 상면을 바이패스배관으로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상기 오존살균탱크의 외측에는 보조탱크를 구비하고 오존살균탱크의 상단부와 보조탱크를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외선살균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살균탱크는;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의 내부에 자외선살균장치를 설치한 것과;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의 내부 하단에는 워터펌프의 작동여부를 단속하는 레벨센서(LS1)를 설치한 것과;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의 상단에는 오버플로우바이패스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외선살균탱크에 저장 된 살균혼합수를 수세식변기에 공급하는 순환급수펌프가 포함되는 살균혼합수공급장치는;
    워터펌프의 흡입구에는 일측 단부가 자외선살균탱크의 내부 하단부에 위치하는 흡수관을 연결시킨 것과;
    상기 자외선살균탱크의 외부에서 흡수관에는 면수바이패스밸브(V3)가 워터펌프의 흡입측에 위치하고 체크밸브(V2)가 자외선살균탱크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설치한 것과;
    상기 워터펌프의 배출측에는 배출관을 연결하되 배출관의 단부를 T관의 일단에 연결한 것과;
    상기 T관의 타단은 오버플로우바이패스밸브(V4)가 구비된 회수관을 통하여 하측호퍼와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상기 T관의 또 다른 타단은 수세식변기에 살균혼합수를 공급하는 변기물공급관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세면대의 하측에 설치는 세면수침전정화장치는;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 세면수집수탱크를 설치한 것과;
    상기 세면수집수탱크의 내부 중앙에 분할벽을 설치하여 세면수집수탱크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시키되 분할벽의 하단에 유통공을 형성하여 분할된 세면수집수탱크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 것과;
    상기 분할 된 세면수집수탱크의 내부에서 일측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상단에 거름망이 구비되고 하단에 침전물배출밸브(V7)가 설치된 1차침전통을 설치한 것과;
    상기 세면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세면수배수관의 하단을 거름망을 통하여 1차침전통의 내부까지 유입시킨 것과;
    상기 1차침전통이 설치된 일측탱크의 상단에는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한 것과;
    상기 일측탱크와 유통공에 의해 연통되는 타측탱크의 내부에서 바닥의 중앙에는 가름벽을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여 침전실과 저장실로 분할한 것과;
    상기 침전실의 바닥에는 침전물배출밸브(V8)를 설치한 것과;
    상기 저장실의 하측부는 세면수회수관을 통하여 세면수바이패스밸브(V3)와 연결한 것과;
    상기 저장실의 하단에는 워터펌프의 작동여부를 단속하는 레벨센서(LS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세면수침전정화장치의 1차침전통과 가름벽은;
    가름벽의 높이를 1차침전통의 상단보다 낮게 유지시켜 1차침전통과 침전실에 충진되는 세면수가 가름벽을 넘어 저장실로 저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KR1020130128443A 2013-10-28 2013-10-28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KR10139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43A KR101397137B1 (ko) 2013-10-28 2013-10-28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43A KR101397137B1 (ko) 2013-10-28 2013-10-28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137B1 true KR101397137B1 (ko) 2014-05-28

Family

ID=5089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43A KR101397137B1 (ko) 2013-10-28 2013-10-28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1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884B1 (ko) * 2014-11-04 2015-06-24 (주)해밀이엔씨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하자보수 사후관리 시스템
KR102078752B1 (ko) 2019-06-18 2020-02-1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중공사 분리막과 빗물을 이용한 재처리 화장실 용수를 사용하는 친환경 화장실
KR20210127336A (ko) * 2020-04-14 2021-10-22 종 신 김 Iot 절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735A (ja) * 2001-08-27 2003-03-05 Toto Ltd 中水供給装置
KR100918758B1 (ko) * 2008-12-31 2009-09-24 다불산업주식회사 자외선과 오존 혼합 수처리시스템의 성능향상장치 및 그 성능향상방법
JP2010106605A (ja) * 2008-10-31 2010-05-13 Asahi Kasei Homes Co 雨水利用システムおよび雨水利用方法
KR101256956B1 (ko) * 2012-09-12 2013-04-25 대우산업 주식회사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735A (ja) * 2001-08-27 2003-03-05 Toto Ltd 中水供給装置
JP2010106605A (ja) * 2008-10-31 2010-05-13 Asahi Kasei Homes Co 雨水利用システムおよび雨水利用方法
KR100918758B1 (ko) * 2008-12-31 2009-09-24 다불산업주식회사 자외선과 오존 혼합 수처리시스템의 성능향상장치 및 그 성능향상방법
KR101256956B1 (ko) * 2012-09-12 2013-04-25 대우산업 주식회사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884B1 (ko) * 2014-11-04 2015-06-24 (주)해밀이엔씨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하자보수 사후관리 시스템
KR102078752B1 (ko) 2019-06-18 2020-02-1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중공사 분리막과 빗물을 이용한 재처리 화장실 용수를 사용하는 친환경 화장실
KR20210127336A (ko) * 2020-04-14 2021-10-22 종 신 김 Iot 절수 시스템
KR102453666B1 (ko) * 2020-04-14 2022-10-12 김종신 Iot 절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649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CN102926439B (zh) 居民住房生活废水处理回用系统
CN108423890B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KR101397137B1 (ko)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CN206654791U (zh) 一种生活废水收集装置
CN101077797A (zh) 小型微污染水的收集、净化和再利用节水装置
JP2002035763A (ja) 汚水浄化槽の再利用方法及び生活排水等の再利用装置
CN103086564B (zh) 无动力净化槽
CN209195076U (zh) 一种智能环保移动卫生间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CN109281495A (zh) 一种智能环保移动卫生间
CN101811787B (zh) 家用废水循环使用装置
CN101759234A (zh) 废水分类循环利用装置
JP2004322060A (ja) 浄化装置およびその浄化装置をもつ浄化用タンク
CN210287066U (zh) 污水处理系统
KR101404703B1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CN208135988U (zh) 一种城镇供水系统
CN219887038U (zh) 一种家庭用生活污水重复利用装置
CN210767047U (zh) 一种智能公厕用的水循环利用系统
CN215161850U (zh) 一种淋浴废水循环利用装置
CN211198845U (zh) 一种一体化生活污水处理机
CN201433438Y (zh) 中水处理装置
JP2002336883A (ja) ディスポーザ対応型のハイブリッド処理槽
CN212866198U (zh) 一种公共场所环保节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