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666B1 - Iot 절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절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666B1
KR102453666B1 KR1020200045011A KR20200045011A KR102453666B1 KR 102453666 B1 KR102453666 B1 KR 102453666B1 KR 1020200045011 A KR1020200045011 A KR 1020200045011A KR 20200045011 A KR20200045011 A KR 20200045011A KR 102453666 B1 KR102453666 B1 KR 10245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ving system
water saving
filt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336A (ko
Inventor
종 신 김
송정규
Original Assignee
김종신
송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신, 송정규 filed Critical 김종신
Priority to KR102020004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66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절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시스템의세부 충족 요건에 만족하기 위해 구조적인 결격 항목과 정보 시스템의 제어부 기능을 강화하여 품질과 안정성에 만족하게 하여 정보 시스템 기반의 절수 시스템의 상품성 가치를 높이고 품질이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IOT 절수 시스템 IOT 절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절수 시스템 {IOT of water conservation system}
본 발명은 IOT 절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시스템(IT/IOT)의세부 충족 요건에 만족하기 위해 구조적인 결격 항목과 정보 시스템의 제어부 기능을 강화하여 품질과 안정성에 만족하게 하여 정보 시스템(IT/IOT) 기반의 절수 시스템의 상품성 가치를 높이고 품질이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IOT 절수 시스템 IOT 절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고 다양한 화장실에는 다양한 사람이 흔히 이용 시 환경적 요소 또는 오래 된 화장실 또는 환풍 시설 미흡이 냄새로 인해 이용자들로 부터 청결하지 못한 느낌을 받을 시 급한 용무를 본 후 세면수를 제 때 이용을 하지 않고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는 최근 많은 사람의 손 청결 유지를 필요로 하고 있고 손을 통한 바이러스 오염이 사회적 주의를 요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것만으로도 지역 주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요즈음이다.
또한 이러한 냄새 제거는 단순 방향제 만으로는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없다.
냄새가 재 때 환기가 되지 않는 화장실은 방향제에서 오는 공기 중 에어로졸를 포함하여 화장실 내 미세 먼지 또한 공기 중에 쌓여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화장실은 많고 다양한 모든 사람에게 필연적으로 많은 사용이 불가피한 공간 임을 감안하면 실내 미세 먼지와 남새 제거, 탁도 조정및 미생 관리, 세균 번식 방지, 살균 처리, 필터 주기 관리 등에 대한 환경 요소 관리는 꼭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수 시스템(IT/IOT)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면 물 절약 캠페인을 떠나 공공에 이로운 혜택을 제공한다면 상품성 가치가 높을 것이다.
또한 절수 시스템 설치 운영의 시범 사례(안양/가평)를 통한 결과로써 절수 횟수와 절수량 데이터 제공에 대해 아쉬운 항목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즉 변기 이용자의 절수 횟수와 양에 대한 데이터만 있을 뿐 재활용수가 아닐 때 변기 사용 횟수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으므로 실제 총 변기 사용 대비에 따른 절수 데이터 비교가 되지 않음에 불편성이 있어 이를 해결해야만 한다.
따라서 절수 시스템 설치 운영되는 화장실 이용자의 안전과 상품성 안정화를 위해 뇌우에 의한 보호 회로와 누전및 감전 시 자동 단락이 되는 보호 모듈을 포함하여 제품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5487호 실용신안 등록 제0454984호 한국등록출원 제10-2020-00007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 구조적 보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된 물이 절수기 저장 탱크에 저장하여 변기 세척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수 및 물 절약을 하기 위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의 추가 보완에 관한 것으로써 세면 용수가 재활용수 저수조에 담수 물이 인입 시 기존의필터링을 3차 까지 강화하여 1차 필터, 2차 필터, 3차 필터등 필터부 내에 3차 필터가 내장된 기능성 박스에 (01)냄새 제거 강화 기능, (02)물의 탁도 관리 기능(세정제포함/미생주입장치 이용), (03)세균 번식을 최소 막아 주는 기능(엠브레인필터. 헤파필터류 등), (04)필터 교체주기 관리 기능(필터오염 센서), (05)재활용수 저수조의 오염수 측정 관리 기능, (06)재활용수 저수조의 오염수 한계치 시 자동 배출 처리 기능, (07)재활용수 저수조의 살균 처리 기능 등을 포함하는 절수 정보 시스템(IT/IOT)의 컴퓨팅 제어부에 관한 것이다.
더하여 재활용수 인입시 3차까지 필터링 강화가 있다 할지라도 혹시 있을 수 있는 부유 물질을 (08)탱크 바닥의 경사를 35도 경사를 두어 아래로 흘러 내려가는 구조적 효과와 기울어진 곳에 슬러지나 부유 물이 모이면 (09)일정 주기로 자동 하수구로 배출하게 하는 기능을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세면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전원 관련 감전및 누전 및 외부의 뇌우에 의한 보호 장치(10)를 추가하여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3차 필터를 통과시 발생할 수 있는 틈새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냄새 제거 공기 발생 장치(11)를 하여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수의 재차 세정을 위해 탁도 조정과 미생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장치(12)를 두어 청결한 재활용수를 관리토록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절수 사용 횟수와 절수 량을 단순 누적치 관리에서 계산치 범위가 제한적이고 한정적인 계산치 데이터 범위를 확장하는 기능(13)을 포함하고 이러한 계산치 관리 기능을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수에 관한 계산치를 필요 시 데이터 설정(초기화, 교체시 이전수치)관리 기능(14)을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수 된 계산치 관리에 상대적인정수 공급 횟수(정수량 포함)를 획득하는 기능(15)을 추가하여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함으로써 정수 대비 절수 비교 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을 정보 시스템(IT/IOT) 제어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수기 저수조에 인입되는 재활용수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기존의 1차, 2차 둥 2개의 필터에서 3차 필터가 내장된 박스 컨트롤 측정 모듈을 추가 포함하여 구조적 기능 보완과 컴퓨팅 제어부의 처리 기능을 보정하고 추가 보완하여 절수 시스템이 정보시스템(IT/IOT)화 요건에 충족하고 시스템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수 효과의 정수 대비 값이 누락되어 절수에 관한 횟수와 절수량에 관한 데이터만 발생되므로 이에 재활용수가 아닌 변기에 정수만 공급되는 힛수와 량을 수거하여 관리에 좀 더 낳은 비교 데이터를 산출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필터부와 병행하여 혹시 쌓인 부유물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이용자의 민원에 대비한 냄새를 기존보다 좀 더 강화된 냄새 제거, 세균 번식 방지, 재활용수의 탁도 관리, 살균 처리, 및 오염수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절수기 컴퓨팅 제어부 디바이스가 모니터링 컴퓨터와 송수신 통신 시 1:1 이던 것이 상품 단가를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단가 절감을 감안하여 제어부와 모니터링 컴퓨터와의 n:1 로 운영토록 하게 하여 송수신부 모듈을 줄임으로써 단가 절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절수기 컴퓨팅 제어 모듈에 대한 유지보수 시 교체가 될 시 기존의 누적 데이터 보존과 또는 리셋 기능을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기구적 디자인을 지속적 좀 더 낳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전면부와 내부 배치를 조정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화장실 이용자에게는 절수기 장치로부터의 혹시 모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인증된 보호 장치를 추가하여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 내부에서 머리카락을 필터링하는 오물 1차 필터(203); 상기 오물 1차 필터(203)로부터 필터링 한 후 미세한 오물을 재필터링하는 2차 필터(204); 상기 절수 시스템의 운영 및 모니터링을 위한 IOT 모듈; 상기 머리카락 및 미세한 오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자동 배출하는 부유물 자동 배출구(220); 상기 부유물을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 및 오존 동시 발생이 가능하게 하는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 및 오존 동시 발생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냄새제거장치를 설치 운영하고 관련 실적 데이터를 상기 IOT 모듈을 통해 관리하며,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필터 관리를 위한 필터 오염 센서;를 통한 필터 교체 주기를 관리 운영하고, 상기 부유물 자동 배출구(220)로,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오염수 관리를 위한 부유물 측정 센서를 통한 오염수 자동 배출을 관리하며, 상기 절수 시스템 내 35도 경사부(216)를 통해 틈새로 쌓인 슬러지나 미세부유물이 흘러 내려가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탁도 관리를 위한 탄소 및 헤파필터 및 세균정수필터가 포함된 3차 필터박스(205);를 더 포함하고, 냄새제거공기발생장치와 탁도조정용미생물주입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절수 시스템 내에 세정제와 세정량 관리 및 미생물 주입 장치를 통한 미생물 재고량을 관리한다.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이 절수 시스템 내 안전을 위한 뇌우 및 감전/누전 차단한다.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이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변기쪽 정수가 유입되는 횟수와 유입량을 체크 관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기 출원 제 10-2020-0000749 호 시스템에 포함된 발명의 효과에 가일층하여 시스템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 비해 향상된 효율적인 데이터 종류가 추가되어 공공 및 일반에 데이터 활용의 폭이 확대되어 절수량에 대한 비교 및 분석, 통계의 내용에 관한 품질 상승 효과가 있다.
또한 확대되는 범용성 IOT 응용 분야 접근 용이 성을 볼 때 접근 목적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폭이 넓어져 활용의 폭이 확산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절수기 장치와 기구적으로 현재의 절수기 장치보다도 업그레이드 된 냄새제거,미세먼지 제거, 일정하게 미생을 주입, 세균번식예방, 살균처리, 재활용수의 탁도관리가 추가 보완되어 열악한 화장실에서 조차도 냄새로부터의 탈출은 물론 청정 지역에 온 것과 같은 청결함을 모든 이용자에게 주는 효과와 부유물 자동 처리는 물론 유지보수 등이 용이하여 환경적 장애로 인한 고장 수리 또한 간편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실 이용자에게는 절수기 장치로부터의 혹시 모를 외부 뇌우로 인한 피해, 실내 누전으로 인한 감전등의 사고 예방이 갖추어져 최우선의 안전 지역을 제공하게 되는 기본적 기능 구축에 있다.
또한 절수기 컴퓨팅 제어부 송수신 프로토콜 보완과 추가를 함으로써 정보 시스템(IT/IOT)을 통한 절수 시스템의 기능성 품질 향상의 기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데이터 중계용 컴퓨팅 셋톱이 추가 됨으로써 건물 현관에 중앙식 모니터링부를 운용할 수 있게되어 운영 지역에따라 홍보용 DID 효과가 있다.
또한 송수신부 모듈 영역을 하위부와 상위부로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보완으로써 물리적 필요 단위 수를 줄임으로써 상품 공급 단가의 절감 효과를 갖게되어 공급 확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절수 시스템의 운영 다이그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절수 시스템 중 변기 구조물로부터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획득과 제어를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절수 시스템 중 재활용수 저수조 구조물로부터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획득과 제어를 위한 기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절수 시스템 중 재활용수 컴퓨팅 제어부와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간의 운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기 출원된“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의 (시스템 보완)에 관한 것으로써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과 관련 된 내용을 기술한다.
화장실 이용자가 세면기(100)를 통한 용수는 재활용수 저수조(200)에 유입 될 때 기존의 필터부(202)의 1차필터(203)(메쉬망필터)에서 머리카락외 오물을 제거하고 기존의 2차필터(204)에서 필터 상부에 정화용 세정제 투입되는 기능을 포함하여 3차 필터박스(205)를 추가하고 3차 필터박스(205)는 탄소및 혜파필터를 사용하여 냄새등 물의 탁도를 조정하면서 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에 대한 번식을 최대한 억제토록 하여 재활용수 저장탱크(219) 인입부(206)에 인입하게 한다.
이 때 3차 필터박스(205)가 내장된 3차 필터 컨트롤 박스에는 필터오염측정 장치, 정화세정 장치,재활용수오염측정 장치, 냄새제거공기발생 장치,미생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장치, 누전차단 장치, 뇌우보호 장치, 배출처리 장치 및 주기적 살균처리 장치를 두어 동작 또는 재활용수(219)가 담수 된 이후 적정 때에 이 장치를 컴퓨팅 제어부(300)에서 동작하게 하여 냄새, 탁도, 세균 억제,미생 주입, 오염수 체크와 자동 배출 등 기능을 발휘하여 청결성을 유지토록 한다.
그리고 재활용수(219) 저수조로 인입은 저수조 수위가 물리적으로 최대치에 도달(유입관최대)시 현행과 같이 자동 배출구(207)로 배출된다.
또한 자동 배출구(207)로 배출시 우측에 재활용수 저수조(219)가 있고 우측의 저수조 수위가 물리적으로 최대치(절수기 저수조 수평 유지)가 아닐 때는 우측 수위 와 물리적 수평 마개에 의해 우측 저수조로 유입시킨다.
만일 우측 저수조의 수위가 최대치일 때는 물리적 수평 마개가 열려 있어 곧바로 바닥 하수구 배출 인입부(210)에서 배출구(215)로 배출된다.
컴퓨팅 제어부(300)는 항시 수위 레벨 센서(218)값을 유지 보존하여 변기 저장탱크의 수량센서(501)값에 의해 재활용수(219)를 투입할지 안할지를 판단하는 대기모드에서 운영된다.
변기 저장탱크(500)의 수량센서(501) 값이 변동되어 컴퓨팅 제어부(300)가 변기 저장탱크(500)와 저수조의 펌프모터(211)와 연계된 전선관(400)(214)을 통해 수신되는 값에 의해 컴퓨팅 제어부(300)는 유지 보존하고 있는 저수조의 수위 레벨 센서(218)값에 의해 저수조의 재활용수(219) 용량이 적합일 때 변기에 투입구(214)(400)를 위해 수중펌프모터(211)를 가동하여 재활용수(219)를 수중모터펌프(211)로 유입하여 투입구(212)를 통해 변기 용수 저장탱크(500)로 투입한다.
이 때 컴퓨팅 제어부(300)는 현행 절수투입카운트 만 계산치를 적용하고 변기저장 탱크(500)에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인입부(503) 카운트가 적용되지 않고 있는 계산치를 변기저장탱크(500) 내 수량(수위)센서(501)의 변동값을 정수 인입부(503) 카운트 계산치로 수용 적용한다.
또한 현행 절수투입카운트만 계산치를 적용 시 재활용수 투입이 되지 않는다 해도 컴퓨팅 제어부(300)는 변기저장탱크(500) 내 수량(수위)센서(501)의 변동값을 정수 인입부(503) 카운트 계산치로 수용 적용한다.
이 데이터 값은 절수기 관리 측면에서 기존 관리되지 않았던 데이터로써 데이터 분석 및 통계시 절수 실적만 관리되던 것을 이 데이터를 수용 적용 계산치화 하여 상위부로 게이터 송신함으로써 분석및 통계시 필요한 데이터로써 필요하다.
그리고 재활용수(219)가 저수조에 담수 또는 담수없는 상태로 유지 될 시 절수기 장치의 구조적 기능적 물리적으로 다음과 같이 보정 및 보완되고 주어진 역할을 하게 된다.
저수조는 물리적 구조적 시스템 기능적 보완으로써 맨바닥을 약 35도정도 경사부(216)를 두고 혹시 있을수도 있는 부유믈질을 아래로 흘러 내려가는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기울어진 곳에 부유물이 미세 부유물 쌓이는 장소(217)에 모이면 이를 컴퓨팅 제어부(300)가 체크하여 일정한 시간을 두고 부유물자동배출기(220)를 통해 배출구(215)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부유물이 모이는 35도의 경사된 미세 부유물 쌓이는 장소(217) 하단에 고무판(224)(방음판)를 장착한다.
또한 저수조는 물리적 구조적 보완으로써 물펌프(211)는 맨 아래에 배치하고 재활용수(219)의 흡입구(212) 및 억류방지체크밸브(213), 배출구(214)장치를 하며 모터 하단에 방음판(222)을 장착하고컴퓨팅 제어부(300) 및 각 장치를 유지보수가 수월하게 전면부에 둔다.
또한 저수조(219)는 물리적 디자인 보완으로써 재활용 전체 저수조 통과 앞면 열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앞면을 열고 유지보수 및 필터를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세면대에서 사용하는 필터가 위치한 맨위에 있는 입구를 통하여 재활용 저수조로 유입이 되는 구조로 디자인을 변경한다.
또한 저수조(219)는 물리적 구조적 보완으로써 펌프(211)는 전기 감전 등의 사고 방지를 위해 물펌프의 위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화장실 배관(214) 설치를 위해 물펌프(211)와 재활용수투입관(212)과 억류방지체크밸브(213), 변기용수저장탱크연결관(214)을 재활용수 저수조(219) 맨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전면에서 개폐하여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저수조(219)는 구조와 시스템 기능적 보완으로써 재활용수(219)에서 있을 수 있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3차 필터박스(205) 내에 냄새제거공기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물의 탁도를 위해 탁도를 개선해 주는 미생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3차 필터박스(205)를 필터오염측정장치, 정화세정장치, 재활용수오염측정장치, 누전차단장치, 뇌우보호장치, 재활용수배출처리장치 및 냄새제거공기발생장치와 함께 동일 모듈함에 장착하고 컴퓨팅 제어부(300)가 가동 유무를 제어하여 청결한 재활용수(219)를 관리한다.
또한 하위부 컴퓨팅 제어부(300)와 중간부 모니터링 PC(600) 또는 상위부 정보시스템 서버(800)와의 연계 운영되는 중간부 데이터 중계용 셋톱PC(600‘과 쌍방 송수신 프로토콜 명령에 의해 하위부 컴퓨팅 제어부(300)의 보존 데이터를 임의 값으로 설정 운용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작업은 컴퓨팅 제어부가 신규 설치 또는 교체 시 유지 관리용으로 필요한 시스템 기능이다.
또한 하위부 컴퓨팅 제어부(300)는 하드웨어 영역에서 딥스위칭 조합으로 인해 자체 설정에 의한 로컬 인덱스번호를 하위부와 중간부 또는 상위부와 송수신 프로토콜에 색인 영역을 추가하여 로케이션 관리에 색인 기능을 갖는 기능이 추가되어 이를 데이터 활용에 포함 됨은 물론 이 기능이 물리적 송수신 모듈을 n:1로 짝을 이뤄 운영되므로써 기존 현행의 1:1 짝을 이뤄 운영되는 구조에서 모듈 수를 줄임으로써 상품공급단가가 현행에 비해 절감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존 현행에 비해 추가되는 시스템 기능으로써 중간부 데이터 중계용 모니터링 PC(600)의 기능을 두고 중간부에 모니터링 없이 상위부 정보시스템 서버(800)로 데이터가 직송되어 수거된 데이터가 서버로부터 목적의 표출부(900) 종류(개별DID (900)로 총괄 표출 또는 위치와 장소별 그룹핑된 모니터링 PC(600))에 따라 서비스되는 시스템 기능을 추가하여 설치되는 절수기 수량에 따라 또는 위치와장소에 따라 상품공급단가 결정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보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컴퓨팅 제어부(300)는 외부 뇌우로부터 영향 받을 수 있는 보호 회로 장치(3차 필터박스 내; 205)를 독립적으로 두어 화장실 이용자와 컴퓨팅 제어부(300)를 보호한다.
또한 컴퓨팅 제어부(300)는 동일 모듈함에 연동성으로 운영되는 인증 제품의 누전 및 감전 차단기(3차 필터박스 내; 205)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도면 부호 600 ~ 1000번 까지는 IOT 모듈로 통칭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은 모니터링 PC(절수기 운영 모니터링부 또는 데이터 전송기), 데이터 수거 및 제어 서버, 홍보 영상과 절수 현황외 기타 정보 표출부(DID), 공공 데이터 분석/가공/통계 서비스 제공부(API) 등을 포함한다.
100 : 세면기
200 : 재활용수소형저수조(용수저장탱크)
201 : 재활용수 용수 저장탱크로 인입부(필터부 이전)
202 : 재활용수 필터부
203 : 1차 필터(머리카락, 오물)
204 : 2차 필터(미세한 오물)
205 : 3차 필터박스(탄소 및 헤파필터와 세균정수필터가 포함)
206 : 용수 저장탱크로 인입부(필터부 통과)
207 : 배출구(용수 저장탱크 수위가 최대시)
208 : 용수 이동구(용수저장탱크수위가 최대시,연결된 용수 저장탱크로이동)
209 : 배출구(용수저장탱크수위가최대시, 연결된용수저장탱크 수위가최대시)
210 : 하수구 배출 인입부
211 : 펌프 모터
212 : 재활용수 투입구
213 : 억류방지 체크밸브
214 : 변기 용수저장탱크 연결관(용수공급)
215 : 하수 배출구
216 : 35도 경사부
217 : 미세 부유물 쌓이는 장소
218 : 용수 저장탱크 수위레벨 센서
219 : 재활용수 저장탱크
220 : 부유물 자동 배출구
221 : 유지보수 개폐부
222 : 방음판
223 : 용수탱크 청소구
224 : 고무방음판
225 : 탁도및 부유물 측정 센서
300 : 컴퓨팅 제어부(+안전보호모듈포함)
400 : 절수기 재활용수 연결관 및 센서 데이터 전선관
500 : 변기 용수 저장탱크
501 : 수위 센서
502 : 정수 / 재활용수 분배기
503 : 정수 인입부(카운트계산)
504 : 재활용수 인입부
600 : 모니터링 PC(절수기 운영 모니터링부 또는 데이터 전송기)
700 : 인터넷 프라이빗 / 퍼블릭
800 : 데이터 수거 및 제어 서버
900 : 홍보 영상과 절수 현황외 기타 정보 표출부(DID)
1000 : 공공 데이터 분석/가공/통계 서비스 제공부(API)

Claims (8)

  1.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 내부에서 머리카락을 필터링하는 오물 1차 필터(203);
    상기 오물 1차 필터(203)로부터 필터링 한 후 미세한 오물을 재필터링하는 2차 필터(204);
    상기 절수 시스템의 운영 및 모니터링을 위한 IOT 모듈;
    상기 머리카락 및 미세한 오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자동 배출하는 부유물 자동 배출구(220);
    상기 부유물을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 및 오존 동시 발생이 가능하게 하는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 및 오존 동시 발생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냄새제거장치를 설치 운영하고 관련 실적 데이터를 상기 IOT 모듈을 통해 관리하며,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필터 관리를 위한 필터 오염 센서;를 통한 필터 교체 주기를 관리 운영하고,
    상기 부유물 자동 배출구(220)로,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오염수 관리를 위한 부유물 측정 센서를 통한 오염수 자동 배출을 관리하며,
    실제 총 변기 사용 대비 재활용수가 아닐 때의 변기 사용 횟수와 재활용수일 때의 변기 사용 횟수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이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변기쪽 정수가 유입되는 횟수와 유입량을 체크 관리하고,
    상기 절수 시스템 내 35도 경사부(216)를 통해 틈새로 쌓인 슬러지나 미세부유물이 흘러 내려가는 구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절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 시스템 내 절수기에 탁도 관리를 위한 탄소 및 헤파필터 및 세균정수필터가 포함된 3차 필터박스(205);를 더 포함하고, 냄새제거공기발생장치와 탁도조정용미생물주입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절수 시스템 내에 세정제와 세정량 관리 및 미생물 주입 장치를 통한 미생물 재고량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절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수 재활용 절수 시스템이 절수 시스템 내 안전을 위한 뇌우 및 감전/누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절수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45011A 2020-04-14 2020-04-14 Iot 절수 시스템 KR10245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1A KR102453666B1 (ko) 2020-04-14 2020-04-14 Iot 절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1A KR102453666B1 (ko) 2020-04-14 2020-04-14 Iot 절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36A KR20210127336A (ko) 2021-10-22
KR102453666B1 true KR102453666B1 (ko) 2022-10-12

Family

ID=7827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11A KR102453666B1 (ko) 2020-04-14 2020-04-14 Iot 절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6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185Y1 (ko) * 2002-10-14 2003-01-15 김기호 냉온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장치
KR101397137B1 (ko) * 2013-10-28 2014-05-28 양병준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KR101930537B1 (ko)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84B1 (ko) 1995-05-19 2005-06-08 아토믹에너지오브캐니다리미티드 소모된핵연료로부터희토류원소제거방법
KR100925487B1 (ko) 2007-10-19 2009-11-09 박흥복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180122061A (ko) * 2017-05-02 2018-11-12 박흥복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KR102002160B1 (ko) * 2017-10-26 2019-07-19 이종환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KR20190088111A (ko) * 2018-01-03 2019-07-26 양지훈 스마트 절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00749A (ko) 2018-06-25 2020-01-03 한국전력공사 다단 온도 제어가 가능한 일체형 수성가스전환 반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185Y1 (ko) * 2002-10-14 2003-01-15 김기호 냉온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장치
KR101397137B1 (ko) * 2013-10-28 2014-05-28 양병준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KR101930537B1 (ko)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36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ppesen Domestic greywater re-use: Australia's challenge for the future
Rauch et al. Requirements for integrated wastewater models—driven by receiving water objectives
US20110083755A1 (en) Water economizer system for domestic installations and the like
Worku Rethinking urban water management in Addis Ababa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An urgent need to transform from traditional to sustainable system
KR102453666B1 (ko) Iot 절수 시스템
CN104532911B (zh) 模组化卫浴系统
US20160265207A1 (en) Ventilated Toilet Assembly
KR20180122061A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CN208994417U (zh) 一种便于清洗的可杀菌垃圾桶
Manderso Overview of existing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in case of Debre Markos Town, Ethiopia
CN206800563U (zh) 负压式除味系统
CN101914943A (zh) 一种用于泡沫封堵节水厕所中的智能发泡及泡沫控制系统
CN210512046U (zh) 一种公厕气流循环系统
CN201172873Y (zh) 抽吸除臭环保厕所
EP1492928B1 (en) Stench-free toilet system
CN108265780A (zh) 共享废水再利用
CN211596962U (zh) 一种多功能生态厕所
CN207113080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空气净化装置
CN201317959Y (zh) 洗涤污水回用系统
Bristow et al. Waterless urinals: Features, benefits, and applications
CN216379806U (zh) 移动式环保厕所
Zulfi et al. An overview of the fecal waste management city of Surabay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services
CN210683460U (zh) 室内中水回收系统
CN211814029U (zh) 一种农村家庭式中水回收再利用系统
CN210370034U (zh) 一种免冲卫生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