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37B1 -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37B1
KR101930537B1 KR1020170148833A KR20170148833A KR101930537B1 KR 101930537 B1 KR101930537 B1 KR 101930537B1 KR 1020170148833 A KR1020170148833 A KR 1020170148833A KR 20170148833 A KR20170148833 A KR 20170148833A KR 101930537 B1 KR101930537 B1 KR 10193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shing water
tank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용
Original Assignee
서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용 filed Critical 서종용
Priority to KR102017014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세면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세면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세면대를 상호 연결하여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 공급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저장탱크와 좌변기의 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유통시키는 유통배관;과, 상기 유통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수위 감지부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수집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보내 재활용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좌변기에 사용 낭비되는 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일정 수위의 세면수가 저장되면 세면대에서 공급되는 세면수를 배수구로 안내하여 처리함으로, 처리할 수 없는 세면수가 저장탱크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Washbasin water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수집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보내 재활용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좌변기에 사용 낭비되는 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의 세면장에는 세면대와 좌변기로 구성되며, 세면대에는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와 세면 후 세면수를 배수구로 보내는 배수관을 설치하고, 한편 좌변기는 좌변기의 뒤쪽에 좌변기로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는 수조를 형성하여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아 용변 후 좌변기로 배출시켜 좌변기를 씻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세면대에 소정의 물을 담아서 세면하거나 손을 씻을 때에는 수도꼭지를 틀어놓은 상태에서 계속 공급되는 물로 세면하게 되고, 세면 후 세면수는 배수구로 배수하는데, 이로 인하여 물의 낭비가 다소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변기에 있어서는 용변 후 수도관으로 공급되어 저장된 수조의 물을 좌변기로 보내어 좌변기를 씻어주고 있는 바, 용변을 볼 때마다 수조에 새로운 물을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좌변기로 보내어 좌변기를 씻어주므로 필요 이상으로 물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수집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보내 재활용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좌변기에 사용 낭비되는 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일정 수위의 세면수가 저장되면 세면대에서 공급되는 세면수를 배수구로 안내하여 처리함으로, 처리할 수 없는 세면수가 저장탱크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는 세면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세면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세면대를 상호 연결하여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 공급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저장탱크와 좌변기의 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유통시키는 유통배관;과, 상기 유통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수위 감지부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세면수에 잔존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여 이물질로 인한 배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는 집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좌측공간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가 위치되며, 상기 우측공간에는 상기 안내배관을 통해 안내되는 세면수가 수용 저장되도록 하는 금속의 구획격판과, 상기 구획격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우측공간에 수용된 세면수가 상기 좌측공간으로 유통되게 안내하는 유통구멍과,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형성되는 내입구멍과, 하부는 상기 내입구멍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슬라이드 내입되어 상기 유통구멍을 폐쇄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세면수는 통과하되 이물질은 집진되도록 그물 망 형상의 필터가 형성되는 집진부재와, 상기 집진부재의 하부 상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자력을 통해 상기 집진부재의 하부를 금속의 상기 구획격판에 견고히 결속시켜 상기 집진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유도하는 결속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수집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로 보내 재활용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좌변기에 사용 낭비되는 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일정 수위의 세면수가 저장되면 세면대에서 공급되는 세면수를 배수구로 안내하여 처리함으로, 처리할 수 없는 세면수가 저장탱크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는 저장탱크(10)와, 안내배관(20)과, 유통배관(30)과, 펌프(40)와, 수위 감지부(50)와, 컨트롤러(6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는 세면대(1)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세면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10)는 물(세면수)이 수용되는 특성상 내부식성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배관(20)은 상기 저장탱크(10)와 세면대(1)를 상호 연결하여 세면대(1)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안내 공급하는 배관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통배관(30)은 상기 저장탱크(10)와 좌변기의 수조(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유통시키는 배관이다.
여기서, 상기 유통배관(30)은 통상적으로 좌변기의 수조(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도관과 연결되는 배관(미도시)과 연결되거나 좌변기의 수조(2)로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40)는 상기 유통배관(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강제 유통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40)는 후설될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 감지부(50)는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표(51)와, 상기 부표(51)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표(51)는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의 벽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지센서(52)는 세면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상기 부표(51)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컨크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의 수위를 인지하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의 수조(2)에 물의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펌프(40)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를 수조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에 충분한 수위가 형성된 경우에 세면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함으로 한 번의 상기 펌프(40)의 작동으로 좌변기의 수조(2)에 물이 충분히 충진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세면수에 잔존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여 이물질로 인한 배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는 집진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집진수단(70)은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를 좌측공간(11)과 우측공간(12)으로 구획하되, 상기 좌측공간(11)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50)가 위치되며, 상기 우측공간(12)에는 상기 안내배관(20)을 통해 안내되는 세면수가 수용 저장되도록 하는 금속의 구획격판(71)과, 상기 구획격판(7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공간(11)과 우측공간(12)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우측공간(12)에 수용된 세면수가 상기 좌측공간(11)으로 유통되게 안내하는 유통구멍(72)과, 상기 저장탱크(10) 상부에 형성되는 내입구멍(73)과, 하부는 상기 내입구멍(73)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로 슬라이드 내입되어 상기 유통구멍(72)을 폐쇄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세면수는 통과하되 이물질은 집진되도록 그물 망 형상의 필터(74a)가 형성되는 집진부재(74)와, 상기 집진부재(74)의 하부 상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자력을 통해 상기 집진부재(74)의 하부를 금속의 상기 구획격판(71)에 견고히 결속시켜 상기 집진부재(74)를 통해 용이하게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유도하는 결속자석(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1)에서 사용된 세면수는 상기 안내배관(2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으로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세면수의 수위가 점차 승강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구획격판(71)에 형성되는 유통구멍(72)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으로 유통 저장된다.
이때, 상기 유통구멍(72)을 통과하는 세면수는 상기 집진부재(74)의 필터(74a)를 통과하게 되므로 세면수에 잔존하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집진부재(74)에 집진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세면수만이 상기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에 수용 저장되어 재활용된다.
따라서 상기 유통배관(30)을 통해 좌변기의 수조(2)로 공급되는 세면수에는 이물질이 잔존하지 않아 재활용되는 세면수로 인해 상기 유통배관(30)이나 수조(2)와 연결되는 관로 등이 막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재(74)는 간편히 슬라이드 시켜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주기적으로 상기 집진부재(74)를 회수 청소하여 상기 집진부재(74)를 통해 세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의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집진관(81)과, 상기 집진관(8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관(8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82)와, 상기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 저면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우측공간(12)에 수용된 세면수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관(81)이 형성되는 저면으로 안내하여 상기 집진관(81)으로 이물질의 용이한 응집 및 배출을 유도하는 경사패널(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으로 세면수가 유입되어 시간이 흐르면 세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상기 저장탱크(10)의 저면으로 침전하게 되는데, 이렇게 침전되는 이물질은 경사를 갖는 상기 경사패널(83)에 안내되어 상기 집진관(81)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 집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 저면에 이물질이 집진 응집되면, 상기 제1개폐밸브(82)를 통해 상기 집진관(81)을 개방하여 상기 집진관(81)을 통해 간편히 외부로 배출 제거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밸브(82)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안내배관(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세면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91)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91)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안내배관(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배관(20)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제2개폐밸브(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를 통한 상기 저장탱크(10)의 수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개폐밸브(92)의 작동을 제어하여 세면대를 통해 공급되는 세면수를 상기 안내배관(20) 또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91)으로 유통되도록 제어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에 수용된 세면수의 수위가 좌변기의 수조(2)로 유통할 수 있도록 높게 형성되면 상기 제2개폐밸브(92)를 통해 상기 안내배관(20)을 폐쇄하여 세면수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91)을 통해 배수구(미도시)로 배출되도록 하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에 수용된 세면수의 수위가 좌변기의 수조(2)로 유통하기 곤란할 정도로 낮게 형성되면 상기 제2개폐밸브(92)를 통해 상기 안내배관(20)을 개방하여 세면수가 상기 안내배관(2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세면수의 수위에 따라 세면대(1)를 통해 공급되는 세면수를 상기 안내배관(2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로 유통시키거나 상기 바이패스 배관(ㄴ91)을 통해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로 처리할 수 없는 세면수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상기 안내배관(20) 또는 바이패스 배관(91)으로 세면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의 세면수 수위는 관리자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60)에 간편히 설정 관리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세면수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개폐밸브(92)의 작동을 제어하여 세면수의 유통(흐름)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는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수집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보내 재활용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좌변기에 사용 낭비되는 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에 일정 수위의 세면수가 저장되면 세면대에서 공급되는 세면수를 배수구로 안내하여 처리함으로, 처리할 수 없는 세면수가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세면수를 수집하고 좌변기의 수조(2)로 공급 재활용한다.
먼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1)에서 사용된 세면수는 안내배관(20)을 통해 저장탱크(10)의 우측공간(12)으로 안내 저장되며, 그 저장된 세면수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으로 유통 이송되는 과정에서 집진수단(70)을 통해 세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10)의 좌측공간(11)에 이물질이 걸러진 세면수가 수용 저장된 상태에서 좌변기의 수조(2)로 물(세면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60)에서 펌프(40)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롤 좌변기의 수조(2)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는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에 충분히 세면수가 저장된 경우에 상기 펌프(40)를 작동시켜 한 번에 좌변기의 수조(2)로 충분한 물이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세면대(1)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이송시켜 간편히 재활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세면대 2. 수조
10. 저장탱크 11. 좌측공간
12. 우측공간 20. 안내배관
30. 유통배관 40. 펌프
50. 수위 감지부 51. 부표
52. 감지센서 60. 컨트롤러
70. 집진수단 71. 구획격판
72. 유통구멍 73. 내입구멍
74. 집진부재 74a. 필터
75. 결속자석 81. 집진관
82. 제1개폐밸브 83. 경사패널
91. 바이패스 배관 92. 제2개폐밸브
100.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Claims (4)

  1. 세면대(1)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세면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장탱크(10);
    상기 저장탱크(10)와 세면대(1)를 상호 연결하여 세면대(1)에서 사용된 세면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안내 공급하는 안내배관(20);
    상기 저장탱크(10)와 좌변기의 수조(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유통시키는 유통배관(30);
    상기 유통배관(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세면수를 좌변기의 수조(2)로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40);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표(51)와, 상기 부표(51)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컨트롤러(6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52)로 구성되는 수위 감지부(50);
    상기 수위 감지부(50)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세면수에 잔존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여 이물질로 인한 배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는 집진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집진수단(70)은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를 좌측공간(11)과 우측공간(12)으로 구획하되, 상기 좌측공간(11)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50)가 위치되며, 상기 우측공간(12)에는 상기 안내배관(20)을 통해 안내되는 세면수가 수용 저장되도록 하는 금속의 구획격판(71)과, 상기 구획격판(7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공간(11)과 우측공간(12)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우측공간(12)에 수용된 세면수가 상기 좌측공간(11)으로 유통되게 안내하는 유통구멍(72)과, 상기 저장탱크(10) 상부에 형성되는 내입구멍(73)과, 하부는 상기 내입구멍(73)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로 슬라이드 내입되어 상기 유통구멍(72)을 폐쇄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세면수는 통과하되 이물질은 집진되도록 그물 망 형상의 필터(74a)가 형성되는 집진부재(74)와, 상기 집진부재(74)의 하부 상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자력을 통해 상기 집진부재(74)의 하부를 금속의 상기 구획격판(71)에 견고히 결속시켜 상기 집진부재(74)를 통해 용이하게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유도하는 결속자석(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8833A 2017-11-09 2017-11-09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10193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33A KR101930537B1 (ko) 2017-11-09 2017-11-09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33A KR101930537B1 (ko) 2017-11-09 2017-11-09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537B1 true KR101930537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33A KR101930537B1 (ko) 2017-11-09 2017-11-09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36A (ko) * 2020-04-14 2021-10-22 종 신 김 Iot 절수 시스템
KR20210144079A (ko) * 2020-05-21 2021-11-30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20220086208A (ko) * 2020-12-16 2022-06-23 최경호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20220142755A (ko) * 2021-04-15 2022-10-24 종 신 김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07Y1 (ko) * 2000-10-12 2001-04-16 전계완 세탁수 재활용 시스템
KR200273147Y1 (ko) * 1999-05-04 2002-04-20 공영하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47Y1 (ko) * 1999-05-04 2002-04-20 공영하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KR200220407Y1 (ko) * 2000-10-12 2001-04-16 전계완 세탁수 재활용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36A (ko) * 2020-04-14 2021-10-22 종 신 김 Iot 절수 시스템
KR102453666B1 (ko) * 2020-04-14 2022-10-12 김종신 Iot 절수 시스템
KR20210144079A (ko) * 2020-05-21 2021-11-30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102375529B1 (ko) * 2020-05-21 2022-03-17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20220086208A (ko) * 2020-12-16 2022-06-23 최경호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102479941B1 (ko) 2020-12-16 2022-12-21 최경호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20220142755A (ko) * 2021-04-15 2022-10-24 종 신 김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525014B1 (ko) * 2021-04-15 2023-04-21 김종신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537B1 (ko)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CN108884622B (zh) 包括水软化装置和局部电子控制单元的洗衣机
JP2018526004A (ja) モジュール式ペット用排便器清掃装置
CN102892345B (zh) 用于排出废液并阻挡异味的弯管和排泄管组件
KR102002160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JP4831758B2 (ja) 食器洗い機
US9739042B1 (en) Water disposable system using unwanted water
CN109312519B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JP4039082B2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JP6865923B2 (ja) 水洗大便器
JP6743468B2 (ja) 再生液供給ユニット
JP5151498B2 (ja) 浴室排水装置
KR101756906B1 (ko) 절수형 변기
JP6701914B2 (ja) イオン交換装置
JP6660017B2 (ja) 再生液供給ユニット
JP2020130717A (ja) 風呂蓋および風呂システム
KR101382520B1 (ko)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JP2005113403A (ja) 小便器装置
JP4706952B2 (ja) 浄化装置および浄化装置付浴槽
US20180106028A1 (en) Water disposable system using unwanted water
JP5874220B2 (ja) 浴槽洗浄装置
CN215305586U (zh) 水箱组件和基站
JP4971959B2 (ja) 厨芥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などに使用される排水処理槽
CN206606203U (zh) 一种火车节水系统及火车车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