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47Y1 -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47Y1
KR200273147Y1 KR2019990007469U KR19990007469U KR200273147Y1 KR 200273147 Y1 KR200273147 Y1 KR 200273147Y1 KR 2019990007469 U KR2019990007469 U KR 2019990007469U KR 19990007469 U KR19990007469 U KR 19990007469U KR 200273147 Y1 KR200273147 Y1 KR 200273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ter supply
pi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68U (ko
Inventor
공영하
Original Assignee
공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영하 filed Critical 공영하
Priority to KR2019990007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47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47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에서 사용한 수돗물은 그다지 더럽지 않은데도 그대로 방출하여 버리기 때문에 수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막대한 수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저수조에 저수하였다가 변기수조에 공급하여 변기용수로 재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수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WATER SAVING TYPE TOLILET WATER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변기용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저수하였다가 변기용 세척수로 사용하도록 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서 사용되는 수세식 변기는 상수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은 그다지 더럽지 않기 때문에 허드레 물이나 수세식 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수세식 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면서도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긴 다음 변기수조 뚜껑을 열고 변기수조에 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구상에서 수자원이 부족한 나라중의 하나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막대한 비용을 들여 만들어진 상수도물을 수세식 변기에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은 막대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이며, 심각한 물부족 현상을 앞당기는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수세식 변기에 간편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과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례의 개략 계통도.
도 2는 본 실시례에 사용되는 필터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2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본 실시례에 의한 저수조의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례에 사용되는 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필터 조립체를 인출한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계통도.
도 9 및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4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요부 종단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5 실시례를 보인 계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면대 11 : 세면대 배수관
20 : 수세식 변기 21 : 변기수조
22 : 직수관 23 : 변기용수 공급관
24 : 변기수조용 플로트 밸브 30 : 저수조
33 :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 34 :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
35 : 자동펌프 36 : 일류관
37 : 필터안내레일 38 : 저수조 직수공급관
39 : 연결관 40,50 : 필터
41,51 : 필터프레임 42,52 : 필터부재
60 : 저수조용 플로트 밸브 61 : 밸브부
62 : 밸브로드 63 : 플로트
70 : 물탱크 71 : 배출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면대와 변기 사이에 설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세면대의 상측 배수관과 저수조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과, 상기 변기의 수조내에 설치된 급수관과 연결되는 직수관과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과,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그 토출단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가동되는 자동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저수조내에 변기수조의 1회 사용분에 상당하는 최저 수위(LWL) 높이에 플로트 밸브를 설치하고, 이 플로트 밸브와 상기 직수관의 직수개폐밸브 상류측 사이에 저수조 직수공급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과 저수조 직수공급관의 도중에 각각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저수조의 전면에는 필터수납공을 형성하고, 저수조의 양측벽 내면에는 필터안내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필터수납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필터안내레일에 안내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필터수납공을 막음과 아울러 손잡이가 달린 마감판으로 되는 필터를 구비하여서 된다.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에는 상기 필터의 전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주벽 하면에는 다수개의 살수공을 천공하여서 된다.
상기 저수조를 세면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을 연결관으로 병렬 연결하여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에 연결하고, 상기 물탱크의 배출관을 각 변기수조의 변기용수 공급관에 연결하여서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기존 화장실에 적용한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10은 세면대이고, 20은 수세식 변기이다.
상기 세면대(10)의 하단에는 세면대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면대 배수관은 세면대(10)에 연결된 상측 배수관(11a)과, 상기 'U'자형 관(11c)을 포함하는 하측 배수관(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배수관(11b)은 하수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것이다.
통상적인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은 대략 중간부에 하수도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자형 관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배수관을 'S'자형 관의 상측에서 절단하여 상측 배수관(11a)과 하측 배수관(11b)으로 분리한 것이다.
상기 수세식 변기(20)의 상부에는 변기수조(21)가 설치된다.
상기 변기수조(21)의 내부에는 상수도를 공급하는 직수관(22)에 연결된 변기용수 공급관(23)과, 상기 변기용수 공급관(23)의 상단에 설치되는 플로트 밸브(24)가 설치된다.
상기 플로트 밸브(24)는 상기 변기용수 공급관(23)의 상단에 설치되는 밸브부(24a)와, 상기 밸브부(24a)의 상단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로드(24b)와, 상기 밸브로드(24b)의 타단에 고정되어 변기수조(21)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24c)로 구성된다.
상기 직수관(22)의 도중에는 직수개폐밸브(22a)가 설치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25는 변기수조(21)의 전면에 설치된 물내림 레버이고, 26은 개폐판이고, 27은 물내림 레버(25)와 개폐판(26)을 연결하는 연결끈이다. 또한 28은 밸브부(24a)에서 급수되는 물의 낙하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낙하음 저감용 안내호스이고, 29는 안내호스(28)가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개구된 낙하음 저감용 안내관이다.
상기 세면대(10)와 수세식 변기(20)의 사이에는 저수조(30)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조(3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과 전후면벽 및 좌우측벽을 가지는 상자형 저수조 본체(31)와, 상기 저수조 본체(31)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조 본체(31)의 상단부는 상기 세면대(10)의 상측 배수관(11a)에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을 통해 연결되며, 하단부는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을 통하여 상기 직수관(22)에 연결된다.
상기 저수조(3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세면대(10)의 상측 배수관(11a)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함으로써 세면대(10)에서 사용한 물이 상측 배수관(11a)으로부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을 통해 저수조(30)에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은 직수관(22)의 직수개폐밸브(22a)보다 하류(下流)측에 연결된다.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의 도중에는 자동펌프(35)가 설치된다.
상기 자동펌프(35)는 토출단측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가동되고 토출단측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가동이 정지되는 것이 사용된다.
즉, 자동펌프(35)는 변기수조(21)내의 수위가 하강하여 플로트 밸브(24)의 밸브부(24a)가 열려 자동펌프(35)의 토출단측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낮아졌을 때만 가동되며, 변기수조(21)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플로트 밸브(24)의 밸브부(24a)가 닫혀 자동펌프(35)의 토출단측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가동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저수조 본체(31)의 상단부 일측에는 일류관(36)이 설치되어 저수조(30)내의 수위가 일정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일류관(36)은 상기 세면대(10)의 하측 배수관(11b) 상단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의 하류단에는 세면대 사용수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4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40)는 통상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필터(40)의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의 끝단에 결합되는 필터프레임(41)과, 상기 필터프레임(41)에 결합되어세면대 사용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42)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4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으로 형성되며 그 주벽 일측에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이 관통 연결된다. 상기 필터부재(42)는 상단이 필터프레임(41)에 결합되고 하단이 막힌 주머니 형태의 망체가 사용된다.
상기 필터부재(42)는 그 하단이 저수조(30)의 최대 수위(HWL)보다 높지 않은 상태로 되도록 설치된다. 즉, 필터부재(42)의 하단 높이는 일류관(36)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저수조에 세면대 사용수가 저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면대(10)에서의 세면대 사용수는 상측 배수관(11a)으로 배수되고, 여기서 상측 배수관(11a)과 연결된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을 통하여 저수조(30)로 회수된다.
이때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에서 저수조(30)로 회수되는 세면대 사용수는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의 끝단에 결합된 필터(40)의 필터프레임(41)의 내부로 유입되고 여기서 필터프레임(41)에 결합되어 있는 필터부재(42)에 의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다음 저수조(30)에 저수되는 것이다.
세면대 사용수가 저수되어 저수조(30)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최대수위(HWL)에 이르면 일류관(36)을 통하여 일류(over flow)되어 하측 배수관(11b)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저수조(30)에는 최고수위(HWL) 이상 저수될 수 없게 된다.
다음, 변기에서의 급수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변기수조(21)에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변기수조(21)의 수압이 변기용수 공급관(23)과 직수관(22) 및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을 통하여 자동펌프(35)의 토출단에 작용하게 되고, 이 압력에 의하여 자동펌프(35)는 가동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직수관(22)에 설치된 직수개폐밸브(22a)는 잠긴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물내림 레버(25)를 눌러 변기수조(22)내의 물이 배출됨에 따라 플로트 밸브(24)의 플로트(24c)와 밸브로드(24b)가 하강되고 밸브부(24a)가 개방 작동되지만 직수관(22)이 직수개폐밸브(22a)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직수가 변기수조(21)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30)에 세면대 사용수가 저장되고, 직수개폐밸브(22a)가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내림 레버(25)를 누르면, 물내림 레버(25)에 연결끈(27)으로 연결된 개폐판(26)이 들리면서 변기수조(21)내의 물이 배출됨에 따라 플로트 밸브(24)의 플로트(24c)와 밸브로드(24b)가 하강하고 변기용수 공급관(23)과 직수관(22)을 통해 자동펌프(35)의 토출단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하되므로 자동펌프(35)가 작동을 시작하여 저수조(30)내에 저수되어 있는 세면대 사용수를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과 직수관(22) 및 변기용수 공급관(23)을 통하여 변기수조(22)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변기수조(22)가 만수위에 이르면 그 수압이 자동펌프(35)의 토출단에 가해지게 되어 자동펌프(35)의 가동이 중지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2 실시례를보인 것으로, 본 실시례는 저수조(30)와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과 필터(50)를 변형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수조 본체(31)의 전면벽에는 필터수납공(31a)이 형성되고, 저수조 본체(31)의 양측벽 내면에는 필터안내레일(37)이 설치된다.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은 저수조 본체(31)의 후면벽에서 전면벽에 이르도록 연장부(33a)가 설치되며, 이 연장부(33a)의 주벽 하면에 다수개의 살수공(33b)이 천공된다.
상기 필터(50)는 상기 필터안내레일(37)에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장방형 필터프레임(51)과, 이 필터프레임(51)에 결합되는 필터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51)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수납공(31a)을 막는 마감판(53)이 부착되고, 이 마감판(53)에는 손잡이(54)가 설치된다.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는 세면대(10)에서 사용한 세면대 사용수는 상측 배수관(11a)에서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과 그 연장부(33a)을 통해 저수조(30)로 급수되는 바,
이때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에서는 그 연장부(33a)의 주벽 하면에 천공된 살수공(33b)에서 살수되며 살수된 세면대 사용수는 필터프레임(51)을 통하여 필터부재(52)에 살수되어 세면대 사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필터부재(52)에 의하여 여과된 후 저수조(30)에 저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는 필터(50)를 서랍식으로 설치함으로써 필터(50) 전체 또는 필터부재(52)의 교체가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이며, 여타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 저수조(30)내에 저수조(30) 내의 수위가 변기수조(21)의 1회 사용분 이하로 되었을 때 직수관(22)으로부터 직수가 저수조(30)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저수조(30)내에 변기수조(21)의 1회 사용분에 상당하는 최저 수위(LWL) 높이에 플로트 밸브(60)를 설치하고, 이 플로트 밸브(60)와 상기 직수관(22)의 직수개폐밸브(22a) 상류측 사이에 저수조 직수공급관(38)으로 연결하며,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과 저수조 직수공급관(38)의 도중에 각각 개폐밸브(34a)(38a)를 설치한다.
상기 플로트 밸브(60)는 저수조(30)의 최저 수위(LWL) 높이에서 저수조 본체(31)에 고정되는 밸브부(61)와, 상기 밸브부(61)의 상단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로드(62)와, 상기 밸브로드(62)의 타단에 고정되어 변기수조(21)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63)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여타 부분은 상술한 제2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직수개폐밸브(22a)를 폐쇄하고 상기 개폐밸브(34a)(38a)를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세면대(10)에서의 사용수량이 적어 저수조(30)내의 수위가 최저 수위(LWL)보다 낮아지게 되면, 플로트 밸브(60)의 플로트(63)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로드(62)가 하강하면서 밸브부(61)가 개방되어 직수가 직수관(22)으로부터 저수조 직수공급관(38)을 통하여 공급된다. 직수가 직수관(22)으로부터 저수조 직수공급관(38)을 통해 저수조(30)에 급수됨에 따라 저수조(30)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이에 따라 플로트(63)가 상승하게 되고 수위가 최저 수위(LWL)에 이르면 밸브부(61)가 폐쇄되어 직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내림 레버(25)를 누르면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같은 작용으로 변기수조(22)의 물이 내려가게 되고, 저수조(30)의 물이 변기수조(22)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저수조(30)의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상술한 작용으로 저수조(30)에 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세면수 사용수량이 적은 경우에도 직수를 이용하여 저수조(30)를 채울 수 있으므로 변기의 사용에 불편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4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저수조(30)를 세면대(10)의 하부에 설치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제2 실시례 또는 제3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례에서는 저수조(30)가 세면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저수조(30)의 배면에 상측 하측 배수관(11b)과 'U'자형 관(11c)이 수납되는 배수관수납홈부(31b)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배수관(11a)은 저수조(30)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은 상측 배수관(11a)의 하단에 역 'T'자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33)의 주벽 하면에는 다수개의 살수공(33b)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세면대(10)의 하부 공간의 높이에 의하여 저수조(30)의 용량이 한정되므로 바닥(F)에 홈(G)을 형성하고 저수조(30)의 하단부를 매설되게 함으로써 홈(G)의 깊이만큼 저수조(30)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저수조(30)를 사용되지 않은 공간인 세면대(10)의 하부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구체적인 작용은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의 제5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는 터미널, 휴게소나 대형 건물 등 다수개의 변기와 세면대가 설치된 장소에서 각 세면대에서의 사용수를 회수하여 옥상의 물탱크에 저수하였다가 변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다수개의 저수조(30)의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을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70)에 연결관(39)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함과 아울러 물탱크(70)의 배출관(71)에 변기주소(22)의 변기용수 공급관(23)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다수개의 세면대에서의 사용수가 저수조(30)에 저수되는 과정은 상술한 실시례들과 동일하며, 저수조(30)에 저수된 세면대 사용수는 자동펌프(35)에 의하여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34)과 연결관(39)을 통하여 물탱크(70)로 이송되어 일괄적으로 저수되는 것이며, 또한 물탱크(70)에 저수된 세면대 사용수는 일반적인 급수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출관(71)과 이에 연결된 변기용수 공급관(23)을 통하여 각 변기(20)의 수조(22)에 급수되는 것이다.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2 내지 제4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세면대에서의 사용수를 저수하였다가 변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자원과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세면대 사용수가 부족할 경우 직수가 자동적으로 변기수조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변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인 세면대 하부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세면대와 변기가 설치된 터미널, 휴게소나 대형 건물에서 각 세면대에서의 사용수를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에 저수하였다가 변기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변기용수로서 급수하는 데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수조에 저수된 물을 허드레물로서 재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세면대와 변기 사이에 설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세면대의 상측 배수관과 저수조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과,
    상기 변기의 수조내에 설치된 급수관과 연결되는 직수관과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과,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그 토출단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가동되는 자동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저수조내에 변기수조의 1회 사용분에 상당하는 최저 수위(LWL) 높이에 플로트 밸브를 설치하고, 이 플로트 밸브와 상기 직수관의 직수개폐밸브 상류측 사이에 저수조 직수공급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과 저수조 직수공급관의 도중에 각각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전면에는 필터수납공을 형성하고, 저수조의 양측벽 내면에는 필터안내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필터수납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필터안내레일에 안내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필터수납공을 막음과 아울러 손잡이가 달린 마감판으로 되는 필터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사용수 회수관에는 상기 필터의 전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주벽 하면에는 다수개의 살수공을 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5. 삭제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를 세면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세면대 사용수 공급관을 연결관으로 병렬 연결하여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에 연결하고, 상기 물탱크의 배출관을 각 변기수조의 변기용수 공급관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KR2019990007469U 1999-05-04 1999-05-04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KR200273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69U KR200273147Y1 (ko) 1999-05-04 1999-05-04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69U KR200273147Y1 (ko) 1999-05-04 1999-05-04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68U KR20000020368U (ko) 2000-12-05
KR200273147Y1 true KR200273147Y1 (ko) 2002-04-20

Family

ID=5476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469U KR200273147Y1 (ko) 1999-05-04 1999-05-04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77A1 (en) * 2004-03-20 2006-01-05 Mool Sarang Co., Ltd Energy saving toilet bowl system recycling wash water
KR101184053B1 (ko) 2010-10-04 2012-09-21 (주)물사랑 소독약 탈착이 용이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용 세면대 구조
KR101930537B1 (ko)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637A (ko) * 2002-09-27 2003-12-03 전우곤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CH718287A1 (de) * 2021-01-29 2022-07-29 S Hertig Sanitaer Sanitäres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77A1 (en) * 2004-03-20 2006-01-05 Mool Sarang Co., Ltd Energy saving toilet bowl system recycling wash water
KR101184053B1 (ko) 2010-10-04 2012-09-21 (주)물사랑 소독약 탈착이 용이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용 세면대 구조
KR101930537B1 (ko)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68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3147Y1 (ko) 절수형 변기용수 급수장치
KR20150002057U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20050035530A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100022136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41818Y1 (ko) 절수형 양변기
CN101294404B (zh) 一种卫生间利用雨水和中水系统装置
KR100329838B1 (ko) 생활용수 재활용 장치
KR101002645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188217Y1 (ko) 오·폐수 재활용 장치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20080097548A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CN201033884Y (zh) 楼房中水回收利用装置
JP3097053U (ja) 用水回収保存分段給水装置を具えたトイレタンク
KR20020097066A (ko) 개량 양변기
CN2405974Y (zh) 组合式节水洁具
KR200246240Y1 (ko) 싱크대용 이중수도장치
KR100744762B1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CN210766978U (zh) 一种生活用水二次利用的环保卫生洁具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200286094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KR100226143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 변기의 용수공급장치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