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941B1 -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 Google Patents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941B1
KR102479941B1 KR1020200176444A KR20200176444A KR102479941B1 KR 102479941 B1 KR102479941 B1 KR 102479941B1 KR 1020200176444 A KR1020200176444 A KR 1020200176444A KR 20200176444 A KR20200176444 A KR 20200176444A KR 102479941 B1 KR102479941 B1 KR 10247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opening
tap water
closing uni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208A (ko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최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호 filed Critical 최경호
Priority to KR10202001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9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수구 및 상기 제2배수구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본 발명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수탱크를 포함하여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는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적합한 높이로 벽면 등에 설치되어 세면 등의 위생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현대에는 욕실, 공중화장실 등에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세면대에서 차가운 물을 기피하고 일정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특성 상, 저온의 물은 배수되기를 기다린 후 물이 열원에 의해 어느 정도 데워진 이후부터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기 이전의 상당량의 물은 폐수가 되어 사라지게 되며, 이는 수돗물의 정화비용, 폐수비용 등의 상승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 수돗물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낭비가 심해지게 되며, 다양한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수돗물의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수구 및 상기 제2배수구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개폐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상기 수전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면대 본체에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되며, 제2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수돗물을 센서 값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를 포함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돗물의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를 통해 수돗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를 통해 수돗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대 본체(10)와, 회수탱크(100)와, 제1배수관(30)과, 제2배수관(40)을 포함한다.
세면대 본체(10)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20)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면대 본체(10)의 형상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저수부(11)의 바닥면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12) 및 제2배수구(13)가 형성된다.
이때 제1배수구(12)의 하부로는 제1배수구(12)와 연결되어, 저수부(11)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30)이 구비되며, 제2배수구(13)의 하부로는 제2배수구(13)와 연결되어, 저수부(11)의 수돗물을 회수탱크(100)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40)이 구비된다.
그리고 회수탱크(100)는 세면대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W)을 저장하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수탱크(100)의 형태 및 용량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배수구(12)에 구비되어 제1배수구(12)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50)과, 제2배수구(13)에 구비되어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6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배수구(12) 또는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방식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을 통한 제1배수구(12) 또는 제2배수구(13)를 개폐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본적으로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은 수동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을 개폐하여 저수부(11)의 수돗물을 제1배수구(12) 및 제2배수구(1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수전(20)을 작동시킨 직후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기 전의 저온의 수돗물은 제2개폐유닛(60)을 개방하여 깨끗한 상태 그대로 제2배수구(13) 측으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돗물이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어느 정도의 온도 이상으로 데워질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개폐유닛(50)을 개방하여 제1배수구(12) 측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배수구(12) 및 상기 제2배수구(13)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와, 제1개폐유닛(50)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220)와, 제2개폐유닛(60)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230)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수전(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미도시)와,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2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온도감지센서(210)를 통한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에 따라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수전(20)을 작동시킨 직후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기 전의 기준온도 미만의 수돗물은 제2개폐유닛(60)을 개방하여 깨끗한 상태 그대로 제2배수구(13) 측으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도록 하고, 수돗물이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기준온도 이상으로 데워질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개폐유닛(50)을 개방하여 제1배수구(12) 측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수전감지센서를 통한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20)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20)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일정 시간 내에 수전(20)이 재작동되는 상황일 경우, 수전(20)으로부터 온수가 바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어부(200)는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수전(20)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세면대 본체(10)에 소정 각도의 기울임을 제공하여 배수를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세면대 본체(10)는 중앙부 후면에 구비된 회전축(14)에 의해 기울기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세면대 본체(10)의 양측 하부에는 제1실린더유닛(300a) 및 제2실린더유닛(300b)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1실린더유닛(300a)은 제1실린더(310a) 및 제1실린더(310a)에 의해 상하 방향의 행정을 수행하는 제1피스톤(320a)을 포함하며, 제2실린더유닛(300b)은 제2실린더(310b) 및 제2실린더(310b)에 의해 상하 방향의 행정을 수행하는 제2피스톤(320b)을 포함한다.
또한 제1실린더유닛(300a)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제3구동모터(2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2실린더유닛(300b)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제4구동모터(25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제1피스톤(320a)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피스톤(320b)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세면대 본체(10)를 제2배수구(13) 측으로 기울여 수돗물이 제2배수구(13)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제1피스톤(320a)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피스톤(320b)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세면대 본체(10)를 제1배수구(12) 측으로 기울여 수돗물이 제1배수구(12)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회수탱크(100)와 제1배수관(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관(12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연결관(120)은 일측이 회수탱크(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배수관(30)에 연결됨에 따라 회수탱크(100) 내부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이를 제1배수관(30) 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의 용량을 초과하여 수돗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제2배수구(13)가 수전(20)의 배수공 직하부에 위치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제2개폐유닛(60)은 힌지 방식으로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전(20)의 배수공으로부터 낙하하는 수돗물은 제2배수구(13)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수돗물이 세면대 본체(10)의 표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회수탱크(1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는 수돗물의 수질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세면대 본체
11: 저수부
12: 제1배수구
13: 제2배수구
20: 수전
30: 제1배수관
40: 제2배수관
50: 제1개폐유닛
60: 제2개폐유닛
100: 회수탱크
110: 저장공간
200: 제어부
210: 온도감지센서
220: 제1구동모터
230: 제2구동모터
240: 제3구동모터
250: 제4구동모터
300a: 제1실린더유닛
310a: 제1실린더
320a: 제1피스톤
300b: 제2실린더유닛
310b: 제2실린더
320b: 제2피스톤

Claims (9)

  1.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
    상기 제1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
    상기 제2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
    상기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개폐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전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가열된 수돗물이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1배수구 측으로 배수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면대 본체는 중앙부 후면에 구비된 회전축을 이용하여 소정 각도 범위에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상기 수전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1020200176444A 2020-12-16 2020-12-16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10247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ko) 2020-12-16 2020-12-16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ko) 2020-12-16 2020-12-16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08A KR20220086208A (ko) 2022-06-23
KR102479941B1 true KR102479941B1 (ko) 2022-12-21

Family

ID=8222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ko) 2020-12-16 2020-12-16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65Y1 (ko) 2010-05-12 2010-09-20 이동규 저수 장치를 구비한 순간 온수기용 샤워기
KR101930537B1 (ko)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JP2020045623A (ja)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Lixil 給水装置、及び洗面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11B1 (ko) * 2001-07-09 2004-03-24 황인철 씽크대의 절수장치
KR20040082659A (ko) * 2003-03-19 2004-09-30 임명구 수세식 변기 세정을 위한 재활용 하수 공급장치
KR100777626B1 (ko) * 2005-04-20 2007-11-21 강인미 물 절약 시스템 및 물 절약 방법
KR20130076184A (ko) * 2011-12-28 2013-07-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물 절약 시스템
KR20180138229A (ko) * 2017-06-19 2018-12-31 홍병기 온수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65Y1 (ko) 2010-05-12 2010-09-20 이동규 저수 장치를 구비한 순간 온수기용 샤워기
KR101930537B1 (ko) 2017-11-09 2018-12-19 서종용 세면대의 세면수 재활용 장치
JP2020045623A (ja)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Lixil 給水装置、及び洗面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08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49819A (ja) トイレ装置
KR102479941B1 (ko)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JP2008156879A (ja) 便器装置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JP6909434B2 (ja) 衛生洗浄装置
JP2539757Y2 (ja) 水洗トイレ
JP4482928B2 (ja) 圧送装置
KR20020022906A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JP4857693B2 (ja) トイレ装置
JP4188272B2 (ja) 便器装置
JP7482398B2 (ja) トイレ装置
JP7415254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装置
JP2002256614A (ja) 水洗便器
JP2002256614A5 (ko)
KR200271626Y1 (ko) 비데용 물탱크의 구조
JP2017137699A (ja) 小便器装置
JP4613792B2 (ja) 水洗便器
JP4265447B2 (ja) 便器洗浄装置
JP5040391B2 (ja) 便器装置
JP4114475B2 (ja) 洗浄給水装置
JPH0712844Y2 (ja) 給湯器付き風呂釜
JP5234404B2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