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13B1 -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13B1
KR102537713B1 KR1020160054543A KR20160054543A KR102537713B1 KR 102537713 B1 KR102537713 B1 KR 102537713B1 KR 1020160054543 A KR1020160054543 A KR 1020160054543A KR 20160054543 A KR20160054543 A KR 20160054543A KR 102537713 B1 KR102537713 B1 KR 10253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support device
filter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757A (ko
Inventor
이종환
박찬정
김철호
신현수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1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는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장치덮개;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WATER PURIFYING FILTER SUPPOR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지지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는 물을 여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수기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정수기에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든다.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정수기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 정수필터를 지지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를 사용한다. 정수필터 지지장치는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지지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연결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정수필터에 물이 유출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출입구에 관연결부재가 연결된다. 그리고, 각 정수필터의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서로 연결된다.
한편, 정수필터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관연결부재가 정수필터의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관연결부재에는 '콜릿'이라고 불리우는 부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콜릿을 관연결부재에 사용하면, 정수필터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관연결부재가 정수필터의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는 않으나, 정수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 관연결부재로부터 연결관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렸다.
즉, 연결관을 관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리보조부재가 필요하며, 사용자가 분리보조부재를 사용하여 일일이 관연결부재를 정수필터의 유출입구로부터 분리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랜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는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장치덮개;를 포함하고, 물의 유출입을 위해 상기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입구에 연결되는 관연결부재는 상기 장치덮개 또는 상기 장치덮개에 형성된 분리방지부에 의해서 상기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공간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정수필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정수필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덮개는 상기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장치덮개로부터 상기 정수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꺽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덮개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장치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덮개에는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덮개는 연결줄에 의해서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술한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상기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의해서 지지되는 정수필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수기 본체는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부분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장치본체의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장치덮개가 장치본체의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장치덮개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장치덮개에 의해서 정수필터의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메인본체와 전면덮개의 조립부분을 나타내는 일부절개 확대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수필터 지지장치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장치덮개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장치덮개에 의해서 정수필터의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도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와, 장치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에는 안착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공간(2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F)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안착공간(210)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PF)가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공간(210)은 개방부(211)와, 안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211)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PF)는 개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안착공간(210)에 삽입될 수 있다. 개방부(2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개방되어 정수필터(PF)가 삽입되며 안착부(212)에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안착부(212)는 개방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부(211)를 통해 삽입된 정수필터(PF)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212)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F)의 중앙부와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정수필터(PF)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의 어느 부분이라도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212)는 정수필터(PF)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PF)가 안착부(212)에서 움직이지 않고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정수필터(PF)의 중앙부와 하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212)도 이와 대응되는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2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사각통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안착부(212)는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PF)를 안착부(212)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고, 정수필터(PF)를 안착부(21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PF)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212)가 장치본체(200)에 형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안착부(212)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2)는 3개일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21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장치덮개(300)는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 예컨대 안착공간(210)의 개방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PF)가 안착공간(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장치덮개(300)는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 예컨대 안착공간(210)의 개방부(211)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이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면, 장치덮개(300)도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장치덮개(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물의 유출입을 위해 정수필터(PF)에 구비된 유출입구(IO)에 연결되는 관연결부재(FT) 중 일부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에 의해서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정수필터(PF)가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장치덮개(300)가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것에 의해서, 장치덮개(300)에 의한 외력이 관연결부재(FT)가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관연결부재(FT)에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정수필터(PF)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분리부재 없이도, 관연결부재(FT)를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PF)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정수필터(PF) 중 가운에 위치하는 정수필터(PF)의 양측에 구비된 유출입구(IO)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는 장치덮개(300)에 의해서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장치덮개(300)에 의해서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관연결부재(F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에 연결되는 관연결부재(FT)라면 어떠한 관연결부재(FT)라도 가능하다.
또한, 장치덮개(300)에 의해서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관연결부재(FT) 이외의 관연결부재(FT)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에 형성된 분리방지부(310)에 의해서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분리방지부(310)는 연장부(311)와, 꺽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로부터 정수필터(PF) 방향으로, 예컨대 장치덮개(30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꺽임부(312)는 연장부(311)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임부(312)에 의한 외력이 관연결부재(FT)가 유출입부(IO)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관연결부재(FT)에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관연결부재(FT)가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방지부(3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연결부재(FT)가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정수필터(PF) 중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정수필터(PF)에 구비된 유출입구(IO)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와, 가운에 위치하는 정수필터(PF)의 중앙에 구비된 유출입구(IO)에 연결된 관연결부재(FT)가 분리방지부(310)에 의해서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분리방지부(310)에 의해서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관연결부재(F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PF)의 유출입구(IO)에 연결되는 관연결부재(FT)라면 어떠한 관연결부재(FT)라도 가능하다.
장치덮개(300)에는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의 장치본체(200)의 부분,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의 개방부(211) 둘레의 장치본체(200)의 부분에는 고정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가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에 걸리어 장치덮개(300)가 장치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대략 'ㄷ'자 형상이고 걸림부(320)의 단부에는 걸림턱(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는 개방부(21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가 탄성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 아래에 끼워지면서 걸림부(320)의 걸림턱(321)이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와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가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에 걸려서 장치덮개(300)가 장치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덮개(300)에는 걸림돌기(3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치덮개(300)의 걸림돌기(330)는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 예컨대 안착공간(210)의 개방부(211)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장치덮개(300)가 장치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덮개(300)의 걸림돌기(3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의 하부에 직사각형상으로 아래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330)는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의 개방부(211)의 하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덮개(300)의 걸림부(320)가 장치본체(200)의 고정부(220)에 걸리면, 장치덮개(300)가 장치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돌기(330)의 형성위치나 형상 또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형성위치나 형상 또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성위치나 형상 또는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덮개(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줄(SC)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장치덮개(300)를 잃지 않을 수 있다.
정수기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메인본체와 전면덮개의 조립부분을 나타내는 일부절개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의 일실시예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20), 전술한 정수필터 지지장치(100) 및, 정수필터(PF)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 본체(20)는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부분품(21,2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나사나 볼트 없이도 용이하게 정수기 본체(20)를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다.
정수기 본체(20)는 메인본체(21)와, 메인본체(21)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본체(2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고, 덮개(22,23)는 메인본체(21)의 전면을 덮는 전면덮개(22)와 메인본체(21)의 상면을 덮는 상면덮개(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덮개(22)에는 끼움턱(22b)이 형성된 끼움돌기(22a)가 형성되고, 끼움돌기(22a)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본체(21)에는 끼움구멍(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22)의 끼움돌기(22a)가 메인본체(21)의 끼움구멍(21a)에 끼워지고 끼움턱(22b)이 끼움구멍(21a)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전면덮개(22)와 메인본체(21)가 조립될 수 있다.
이외, 메인본체(21)와 전면덮개(22) 및 상면덮개(23)에는 각각 연결돌기(P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본체(21)와 전면덮개(22) 및 상면덮개(23)에는 각각 연결돌기(PC)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삽입연결부(I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돌기(PC)가 삽입연결부(IS)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메인본체(21)와 전면덮개(22) 및 상면덮개(23)가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정수기 본체(20)에 포함되는 부분품(21,22,23)의 구성과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정수기 본체(20)에 조립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부분품(21,22,23)이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정수기 본체(20)가 되는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정수기 본체(20)의 메인본체(21)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설치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본체(21)의 설치부(24)에는 전술한 정수필터 지지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메인본체(21)의 설치부(24)는 설치부 덮개(25)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정수필터 지지장치(100)는 정수기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 지지장치(100)는 정수기 본체(20)의 메인본체(21)의 전술한 설치부(24)에 설치될 수 있다.
정수필터 지지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정수필터(PF)는 정수필터 지지장치(1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PF)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 지지장치(100)의 장치덮개(300)가 장치본체(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장치본체(200)의 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덮개(300)가 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정수필터(PF)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PF)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하며 정수필터 지지장치(1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사용하면, 정수필터가 장치본체의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장치덮개가 장치본체의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입구에 연결된 관연결부재가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지지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정수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정수기 20 : 정수기 본체
21 : 메인본체 21a : 끼움구멍
22 : 전면덮개 22a : 끼움돌기
22b : 끼움턱 23 : 상면덮개
24 : 설치부 25 : 설치부 덮개
100 : 정수필터 지지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안착공간 211 : 개방부
212 : 안착부 220 : 고정부
300 : 장치덮개 310 : 분리방지부
311 : 연장부 312 : 꺽임부
320 : 걸림부 321 : 걸림턱
330 : 걸림돌기 PF : 정수필터
IO : 유출입구 FT : 관연결부재
SC : 연결줄 PC : 연결돌기
IS : 삽입연결부

Claims (12)

  1.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장치덮개;
    를 포함하고,
    물의 유출입을 위해 상기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입구에 연결되는 관연결부재는 상기 장치덮개 또는 상기 장치덮개에 형성된 분리방지부에 의해서 상기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정수필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정수필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인 정수필터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덮개는 상기 안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인 정수필터 지지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장치덮개로부터 상기 정수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관연결부재가 상기 유출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꺽임부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덮개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장치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덮개에는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덮개는 연결줄에 의해서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되는 정수필터 지지장치.
  11.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상기 정수필터 지지장치에 의해서 지지되는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부분품을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60054543A 2016-05-03 2016-05-03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53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43A KR102537713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43A KR102537713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57A KR20170124757A (ko) 2017-11-13
KR102537713B1 true KR102537713B1 (ko) 2023-05-30

Family

ID=6038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43A KR102537713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98463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용 다이어프램밸브 및 그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451B1 (ko) * 2012-10-02 2014-06-18 정휘동 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60037712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 분리용 가압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98463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용 다이어프램밸브 및 그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57A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104B1 (ko) 에어 필터 시스템 및 필터 부재
BR112016027956B1 (pt) Dispositivo filtrante e filtro
RU2379088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патро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ей
RU2441690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газа
EP3069772A1 (en) Filter assembly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230117721A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80089485A (ko) 여과 요소를 구비한 진공 펌프
KR101911366B1 (ko) 헤파필터 하단 가장자리에서의 공기 와류 발생을 차단한 헤파필터 박스
KR102537713B1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KR102538568B1 (ko) 정수필터 모듈
KR20200042207A (ko) 필터 조립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102557443B1 (ko) 정수기
KR102520774B1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20150024578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CN211226610U (zh) 滤芯组件和超滤净水器
SE507424C2 (sv) Silanordning med en i ett silhus anbragt rörformig sil
KR102531215B1 (ko) 정수필터 모듈
US10258916B2 (en) Filtering system including impermeable extension for filtering element
KR101896219B1 (ko) 제습기능이 향상된 콤프레셔용 에어필터
KR102210189B1 (ko) 정수장치
CN215842023U (zh) 一种用于净水器的滤芯安装结构
KR20100099930A (ko)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