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78A - 정수필터 조립모듈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조립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78A
KR20150024578A KR20130101627A KR20130101627A KR20150024578A KR 20150024578 A KR20150024578 A KR 20150024578A KR 20130101627 A KR20130101627 A KR 20130101627A KR 20130101627 A KR20130101627 A KR 20130101627A KR 20150024578 A KR20150024578 A KR 2015002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onnection
filter assembly
assembl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163B1 (ko
Inventor
이원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필터 조립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연결헤드; 상기 정수필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정수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케이스덮개;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 조립모듈{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이며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면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11은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은 정수필터(F)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헤드(20)와, 정수필터(F)가 헤드(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케이스(30)를 포함한다.
헤드(20)는 내부에 정수필터(F)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필터연결부(21)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터연결부(21)에는 정수필터(F)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22)나 정수필터(F)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한, 헤드(20)에는 헤드(20)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3)와 헤드(2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부재(40)에 의해서 급수구(22)와 유입구(23)가 연결되고, 출수구와 배출구가 연결된다.
한편, 케이스(30)에는 전술한 유입구(23)나 배출구가 삽입되며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유입구삽입부(31)와 배출구삽입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한, 유입구삽입부(31)에는 체크밸브(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누수방지를 위해서 피팅부재(40) 뿐만 아니라 유입구(23)와 체크밸브(32)에도 오링 등의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R)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먼저 피팅부재(40)에 의해서 급수구(22)와 유입구(23)가 연결되고 출수구와 배출구가 연결되도록 헤드(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정수필터(F)를 헤드(20)의 필터연결부(21)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헤드(20)의 유입구(23)는 케이스(30)의 유입구삽입부(31)에 삽입시키고, 배출구는 배출구삽입구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입구(23)는 유입구삽입부(31)의 체크밸브(32)를 밀면서, 즉 체크밸브(32)를 개방하면서 유입구삽입부(31)에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구삽입부(31)와, 유입구(23), 피팅부재(40), 급수구(22) 및, 필터연결부(21)를 거쳐서 정수필터(F)에 공급되며, 정수필터(F)에서 여과된 물은 필터연결부(21)와 출수구, 피팅부재, 배출구 및, 배출구삽입부를 거쳐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구성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등에 의한 제품의 제조시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팅부재(40)와 유입구(23)의 연결부 및 피팅부재(40)와 배출구의 연결부와, 유입구(23)와 유입구삽입구(31)의 연결부 및 배출구와 배출구삽입부의 연결부에서는 약간의 편심이 발생하여도 누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밀봉부재(R)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구비되어 있고, 체크밸브(32)를 개방하기 위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잘못 연결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입구(23)와 유입구삽입부(31)의 연결부 및 배출구와 배출구삽입부의 연결부에서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연결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연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큰 힘이 작용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구성이 간단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며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이며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면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연결헤드; 정수필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정수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및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케이스덮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헤드는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및 복수개의 필터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상호간에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중 하나에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에는 급수구나 출수구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입수관이나 출수관이 연결되는 피팅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부재는 케이스덮개에 의해서 급수구와 출수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부재는 엘보우부재; 엘보우부재의 일측과 타측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밀봉부재; 밀봉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엘보우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입수관이나 출수관이 분리되지 않도록 엘보우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콜렛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연결부는 정수필터의 출수부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유동연결부나 출수구에 연결되는 출수부연결부; 및 정수필터의 입수부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급수구나 유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입수부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연결부에는 정수필터가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정부에는 정수필터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덮개에는 후크가 구비되며, 케이스본체에는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며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피팅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각각 도1의 A-A'선과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을 정수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이며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면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피팅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각각 도1의 A-A'선과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을 정수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도2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헤드(200), 케이스본체(300) 및, 케이스덮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헤드(200)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F)가 도4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거나, 도2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F)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F)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도2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연결헤드(200)는 복수개의 필터연결부(210,220)와, 하나 이상의 유동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필터연결부(210,220)가 2개 포함되고 유동연결부(230)가 한 개 포함되었지만, 필터연결부(210,220)가 3개 이상 포함되고 유동연결부(230)가 2개 이상 포함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필터연결부(210,220) 중 하나에는 도2와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필터연결부(210,220) 중 다른 하나에는 도2와 도4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구(211)를 통해 물이 정수필터(F)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정수필터(F)로부터 여과된 물이 출수구(2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필터연결부(210,220)는 도2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수부연결부(212,222)와, 입수부연결부(213,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수부연결부(212,222)에는 정수필터(F)의 출수부(O)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210)의 출수부연결부(212)는 후술할 유동연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필터연결부(210)에 연결된 정수필터(F)의 출수부(O)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연결부(210)의 출수부연결부(212)를 통해 유동연결부(23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연결부(220)의 출수부연결부(222)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연결부(220)에 연결된 정수필터(F)의 출수부(O)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연결부(220)의 출수부연결부(222)를 통해 출수구(221)로 유동할 수 있다.
입수부연결부(213,223)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F)의 입수부(I)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입수부연결부(213)는 급수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구(211)에 공급된 물은 필터연결부(210)의 입수부연결부(213)를 통해 필터연결부(210)에 연결된 정수필터(F)의 입수부(I)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220)의 입수부연결부(223)는 유동연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동연결부(230)를 유동한 물은 필터연결부(220)의 입수부연결부(223)를 통해 필터연결부(220)에 연결된 정수필터(F)의 입수부(I)에 공급될 수 있다.
도2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210,220)는 연결고정부(214,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고정부(214,224)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홈(214a,224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고정부(214,224)의 걸림홈(214a,224a)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F)에 형성된 걸림돌기(S)가 걸릴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F)가 필터연결부(210,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정수필터(F)의 걸림돌기(S)가 연결고정부(214,224)의 걸림홈(214a,224a)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가 필터연결부(210,220)에 분리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유동연결부(230)는 복수개의 필터연결부(210,2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필터연결부(210,220)에 연결된 복수개의 정수필터(F) 상호간에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동연결부(2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연결부(230)의 유동로(23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210)의 출수부연결부(212)와 필터연결부(220)의 입수부연결부(2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연결부(210)에 연결된 필터(F)의 출수부(O)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연결부(210)의 출수부연결부(212)를 통해 유동연결부(230)의 유동로(231)에 유입되어 유동로(231)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동연결부(230)의 유동로(231)를 유동한 물은 필터연결부(220)의 입수부연결부(223)에 유입되어 필터연결부(220)에 연결된 정수필터(F)의 입수부(I)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F)의 입수부(I)에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00)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F)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본체(300)에는 정수필터(F)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3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하우징(H)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00)가 구비되는 부분의 정수기 하우징(H)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헤드(200)의 복수개의 필터연결부(210,220)에 정수필터(F)를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정수기 하우징(H)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하우징(H)에 구비된 케이스본체(300)의 복수개의 삽입공간(310)에 각각 정수필터(F)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본체(300)에는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00)의 걸림부(320)에는 후술할 케이스덮개(400)에 구비된 후크(410)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덮개(400)가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케이스본체(300)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00)에는 도2와 도5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통과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00)의 통과부(330)를 통해 급수구(211)와 출수구(221)가 연결되는 후술할 피팅부재(500,500')에 연결된 입수관(PI)과 출수관(PO)이 통과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덮개(400)는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케이스덮개(4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덮개(4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300)의 걸림부(320)에 걸리는 후크(410)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4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덮개(4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320)도 케이스본체(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헤드(200)에 연결된 정수필터(F)가 케이스본체(300)의 삽입공간(310)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덮개(400)의 후크(410)가 케이스본체(300)의 걸림부(320)에 걸리도록 하면,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케이스덮개(410)가 견고하게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 하우징(H)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C)로 덮으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이 정수기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덮개(400)가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견고하게 덮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팅부재(500,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부재(500,500')의 일측에는 급수구(211)나 출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팅부재(500,500')의 타측에는 입수관(PI)이나 출수관(PO)이 연결될 수 있다.
입수관(PI)은 예컨대 상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입수관(PI)을 통해 피팅부재(500)에 유입된 후 급수구(211)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출수관(PO)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출수구(221)로부터 배출된 물은 피팅부재(500')에 유입된 후 출수관(PO)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피팅부재(500,5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덮개(400)에 의해서 급수구(211)나 출수구(22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케이스덮개(400)가 케이스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면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부재(500,500')가 급수구(211)나 출수구(2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피팅부재(500,500')는 엘보우부재(510,510'), 밀봉부재(520,520'), 이탈방지부재(530,530') 및, 콜렛부재(540,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엘보우부재(510,51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엘보우부재(510,5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밀봉부재(520,52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엘보우부재(510,510')의 일측과 타측의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엘보우부재(510)의 일측과 타측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11)와 입수관(PI)이 연결되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부재(510')의 일측과 타측에 출수구(221)와 출수관(PO)이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경우 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520,520')는 오링일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재(520,5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엘보우부재(510,510')의 일측과 타측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탈방지부재(530,53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엘보우부재(510,510')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어 밀봉부재(520,5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530,5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부재(520,5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콜렛부재(540,540')는 엘보우부재(510,510')의 타단에 구비되어 입수관(PI)이나 출수관(PO)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콜렛부재(540,540')는 입수관(PI)이나 출수관(PO)이 엘보우부재(510,51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입수관(PI)이나 출수관(PO)을 조일 수 있도록,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단부가 복수개로 분리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콜렛부재(540,54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수관(PI)이나 출수관(PO)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피팅부재(500,500')는 케이스덮개(400)에 의해서 급수구(211)나 출수구(221)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엘보우부재(510,510')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콜렛부재(540,540')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덮개(4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급수구(211)나 출수구(221)를 용이하게 피팅부재(500,500')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연결헤드(200), 케이스본체(300), 케이스덮개(400), 및, 피팅부재(500,500')으로 도11의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의 제조시, 예컨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등에 의한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헤드(200)에 정수필터(F)를 연결하고 물공급원에 연결된 입수관(PI)과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에 연결된 출수관(PO)에 연결된 피팅부재(500,500')를 연결헤드(200)의 급수구(211)와 출수구(221)에 연결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와 달리 정수필터(F)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F)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분이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보다 적다. 또한, 급수구(211)와 출수구(221)와 피팅부재(500,500')의 연결부분에서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작용하는 방향과 연결방향이 도5와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교차하기 때문에, 누수가 발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율을 사용하면,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으며,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정수필터에 물을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이 용이하며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정수필터 조립모듈 20 : 헤드
200 : 연결헤드 21,210,220 : 필터연결부
22,211 : 급수구 23 : 유입구
212,222 : 출수부연결부 213,223 : 입수부연결부
214,224 : 연결고정부 214a,224a : 걸림홈
221 : 출수구 230 : 유동연결부
231 : 유동로 30 : 케이스
31 : 유입구삽입부 32 : 체크밸브
300 : 케이스본체 310 : 삽입공간
320 : 걸림부 330 : 통과부
400 : 케이스덮개 410 : 후크
40,500,500' : 피팅부재 510,510' : 엘보우부재
520,520',R : 밀봉부재 530,530' : 이탈방지부재
540,540' : 콜렛부재 F : 정수필터
H : 정수기 하우징 PI : 입수관
PO : 출수관 O : 출수부
I : 입수부 S : 걸림돌기
C : 커버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연결헤드;
    상기 정수필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정수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케이스덮개;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헤드는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상호간에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연결부;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중 하나에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정수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급수구나 출수구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입수관이나 출수관이 연결되는 피팅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재는 상기 케이스덮개에 의해서 상기 급수구와 출수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재는
    엘보우부재;
    상기 엘보우부재의 일측과 타측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밀봉부재;
    상기 밀봉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엘보우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입수관이나 출수관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엘보우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콜렛부재;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는
    상기 정수필터의 출수부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유동연결부나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는 출수부연결부; 및
    상기 정수필터의 입수부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급수구나 상기 유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입수부연결부;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에는 상기 정수필터가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에는 상기 정수필터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덮개에는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이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0130101627A 2013-08-27 2013-08-27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13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27A KR102132163B1 (ko) 2013-08-27 2013-08-27 정수필터 조립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27A KR102132163B1 (ko) 2013-08-27 2013-08-27 정수필터 조립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78A true KR20150024578A (ko) 2015-03-09
KR102132163B1 KR102132163B1 (ko) 2020-07-09

Family

ID=5302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627A KR102132163B1 (ko) 2013-08-27 2013-08-27 정수필터 조립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20540A (ko) *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415080A1 (en) * 2020-10-14 2023-12-28 Coway Co., Ltd. Water purif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345A (ja) * 1995-12-30 1997-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温浄水器の前面パネル着脱装置
JP2544659Y2 (ja) * 1991-02-04 1997-08-2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器
KR20090047577A (ko) * 2007-11-08 2009-05-13 박진서 격실 연결 통합 캡 장착 필터 하우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20100061643A (ko) * 2010-05-19 2010-06-08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용 필터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20130076697A (ko) * 2011-12-28 2013-07-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659Y2 (ja) * 1991-02-04 1997-08-2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器
JPH09188345A (ja) * 1995-12-30 1997-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温浄水器の前面パネル着脱装置
KR20090047577A (ko) * 2007-11-08 2009-05-13 박진서 격실 연결 통합 캡 장착 필터 하우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20100061643A (ko) * 2010-05-19 2010-06-08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용 필터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20130076697A (ko) * 2011-12-28 2013-07-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20540A (ko) *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63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6789B (zh) 用于阀体的检修阀和阀组件
KR10198894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10102626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JP2008531884A (ja) 衛生設備用の構成ユニット
US20160144301A1 (en) Modular multimedia fluid treatment system
KR20220045130A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US20180078884A1 (en) Module for connecting flow tubes, and water purifier having same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50101374A (ko) 수처리장치
KR20150024578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CN114728224A (zh) 复合过滤器组件及具有该复合过滤器组件的净水器
KR20160050219A (ko) 조립형 정수시스템
US20170065935A1 (en) Integrated waterway assembly of a reverse osmosis water filtration device
KR2021003923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326805B1 (ko)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CN109420379B (zh) 净水过滤器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170000573U (ko)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CN210206102U (zh) 过滤装置和具有其的净水机
KR101976641B1 (ko) 정수장치용 필터헤드
KR20180078371A (ko)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KR20110062463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436117B1 (ko)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82687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60112902A (ko) 사이드 어댑터의 벌어짐 방지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