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626A - 정수필터 조립모듈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조립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626A
KR20110102626A KR1020100021726A KR20100021726A KR20110102626A KR 20110102626 A KR20110102626 A KR 20110102626A KR 1020100021726 A KR1020100021726 A KR 1020100021726A KR 20100021726 A KR20100021726 A KR 20100021726A KR 20110102626 A KR20110102626 A KR 2011010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filter
filter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159B1 (ko
Inventor
주원일
최인두
이정환
김현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705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026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59B1/ko
Priority to US12/826,846 priority patent/US8372273B2/en
Priority to EP10167845.6A priority patent/EP2366442B1/en
Publication of KR2011010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echan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4Computerised or programmable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02F2209/445Filter lif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필터가 용이하게 해제되거나 조립될 수 있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일측에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고 여과될 물이 상기 정수필터(400)에 유입되며 상기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 조립헤드(200); 및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정수필터(400)가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렬되어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정수필터(400)가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되거나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모듈본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를 보면서 정수필터가 조립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물이 고압인 경우에도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가 낙하되지 않고, 정수필터의 조립시나 정수필터가 조립된 후에도 정수필터 또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 조립모듈{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본 발명은 정수필터가 용이하게 해제되거나 조립될 수 있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정수필터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조립된 정수필터에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정수필터 조립모듈에서는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위로 이동되면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되도록 하였다. 예컨대, 나사결합식으로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되도록 하거나,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형성된 걸림턱에 정수필터가 걸리도록 하여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정수필터 조립모듈이 낮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를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정수필터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아래에 정수필터가 위치될 만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도 정수필터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식으로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의 조립을 위해서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형성된 걸림턱에 정수필터가 걸리도록 하여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에 고압의 물이 유입되면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가 낙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의 하중에 의해서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를 보면서 정수필터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물이 고압인 경우에도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가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정수필터의 조립시나 정수필터가 조립된 후에도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에 정수필터가 정렬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정수필터가 필터 조립헤드로부터 해제되거나 필터 조립헤드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일측에 정수필터가 조립될 수 있고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에 유입되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 조립헤드; 및 필터 조립헤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필터 조립헤드에 정렬되어 함께 회전됨에 따라 정수필터가 필터 조립헤드로부터 해제되거나 필터 조립헤드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모듈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듈본체에는 정수필터에 형성된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동안내부가 형성되며, 안내돌기가 이동안내부에 삽입되어 정수필터가 필터 조립헤드에 정렬된 상태에서, 정수필터와 함께 필터 조립헤드가 회전됨에 따라 안내돌기가 이동안내부에 지지되면서 이동되어, 정수필터가 해제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는 정수필터가 해제되는 안내돌기의 모듈본체에서의 위치인 해제위치와,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안내돌기의 모듈본체에서의 위치인 조립위치를 연결하는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헤드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동안내부의 해제위치까지의 거리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이동안내부의 조립위치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조립헤드는 정수필터가 조립되며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에 유입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조립부; 필터조립부로 물이 유동되도록 필터조립부에 연결되며 모듈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부; 및 필터조립부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필터조립부에 연결되며 모듈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조립부에는 정수필터의 해제시에는 닫혀서 정수필터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정수필터의 조립시에는 열려서 정수필터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를 보면서 정수필터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물이 고압인 경우에도 정수필터의 조립시 정수필터가 낙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조립시나 정수필터가 조립된 후에도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정수필터의 안내돌기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모듈본체의 이동안내부에 삽입되어 정수필터가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필터 조립헤드에 정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정수필터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필터 조립헤드가 정수필터의 조립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필터 조립헤드에 정수필터가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구비되며 정수필터가 조립되는 필터 조립헤드에 정수필터가 정렬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정수필터가 필터 조립헤드로부터 해제되거나 필터 조립헤드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 조립헤드(200)와, 모듈본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조립헤드(200)는 일측에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조립헤드(200)는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400)에 유입되며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 조립헤드(200)는 필터조립부(210)와, 유입부(220) 및, 유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필터조립부(210)에는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필터조립부(210)는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400)에 유입되고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터조립부(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조립연결공(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연결공(210a)의 일측에는 정수필터(400)에 형성된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정수필터(400)에는 정수필터(400) 내로 여과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과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정수필터(40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니플(4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연결공(210a)도 이에 대응하여 필터조립부(210)에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는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의해서 정수필터(400)가 필터조립부(21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400)에 유입되고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터조립부(210)에는 3개의 조립연결공(2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조립부(210)에 조립되는 정수필터(400)가 멤브레인필터이기 때문이다. 멤브레인필터에는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여과된 물이 유출됨과 함께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도 배출되기 때문에,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연결니플(420)과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연결니플(420)과 함께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420)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조립부(210)에도 이에 대응하여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멤브레인필터의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 또한 형성되어야만 한다. 즉, 도면에서 보아 좌측의 조립연결공(210a)에는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되고, 우측의 조립연결공(210a)에는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며, 중앙의 조립연결공(210a)에는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될 수 있다. 정수필터(400)로 멤브레인필터가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연결니플(420)이 멤브레인필터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3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의 배열형태나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의 배열형태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조립되며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배열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정수필터(400)가 조립되지 않은 조립연결공(210a)의 타측을 막기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조립연결공 덮개(2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R)가 구비되어 있어서 조립연결공(210a)과 연결니플(42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로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조립연결공(210a)에는 생활용수 배출용 배출관(P)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정수필터(400)로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3개의 연결니플(420)이 정수필터(400)에 일렬로 형성되지 않고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연결니플(420)과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연결니플(420)은 일렬로 형성되며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420)은 별도의 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과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만 필터조립부(210)에 형성되고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420)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 배출용 배출관(P)은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연결되지 않고,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필터조립부(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체크밸브(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2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해제시에는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400)의 해제시에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21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조립시에는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체크밸브(2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 중 하나, 즉 정수필터(400)에 여과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니플(420)이 조립연결공(210a)에 삽입되기는 했으나 체크밸브(211)에 닿지 않은 경우에는, 체크밸브(211)에 의해서 조립연결공(210a)이 닫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니플(420)이 조립연결공(210a)에 삽입되면서 체크밸브(211)가 밀리면 조립연결공(210a)이 열리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조립부(210)로 물이 유동되도록 필터조립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20)에 형성된 유로(220a)는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 중 하나, 즉 정수필터(400)에 여과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220)에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필터 조립모듈(100)의 유출부(230)에 연결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관(C)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220)는 모듈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부(230)는 필터조립부(210)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필터조립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부(230)에 형성된 유로(230a)는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 중 하나, 즉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부(230)에도 다른 필터 조립모듈(100)의 유입부(220)에 연결되거나 물이 배출되는 콕크 등의 물배출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관(C)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2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출부(230)는 모듈본체(3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입부(220)는 모듈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출부(230)는 모듈본체(3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 조립헤드(200)가 모듈본체(300)에서 회전될 수 있다.
모듈본체(300)에는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유입부(220)가 모듈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필터 조립헤드(200)의 유출부(230)가 모듈본체(3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 조립헤드(200)가 모듈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듈본체(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모듈본체(300)의 하부에는 유입부(220) 또는 유출부(2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회전가이드홈(3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본체(300)의 상부에는 회전가이드홈(320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유입부(220)와 유출부(230)가 모듈본체(300)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회전가이드돌기(32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로 나뉜 모듈본체(300)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F)에 의해서 하나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400)로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멤브레인필터가 사용되고 조립연결공(210a)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필터조립부(210)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조립연결공(210a)에 연결되는 생활용수 배출용 배출관(P)이 정수필터(400)와 함께 회전되는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회전가이드구멍(330)이 모듈본체(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로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420)이 다른 연결니플(420)과 다른 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 배출용 배출관(P)은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연결되지 않고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가이드구멍(33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모듈본체(300)의 뒷면과 상면에 형성되지 않고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본체(300)에 의해서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렬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되거나 필터 조립헤드(200)에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400)의 조립시 필터 조립헤드(200)를 보면서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은 힘으로도 정수필터(400)가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듈본체(3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400)에 형성된 안내돌기(41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동안내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안내부(310)는 홈의 형태이나, 이동안내부(3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멍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정수필터(400)의 안내돌기(41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안내돌기(410)가 이동안내부(310)에 삽입되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400)와 함께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안내돌기(410)가 이동안내부(310)에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400)가 해제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400)에 유입되는 물이 고압인 경우에도 정수필터(400)의 조립시 정수필터(400)가 낙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400)의 조립시나 정수필터(400)가 조립된 후에도 정수필터(400)가 조립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의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안내부(3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리고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되는 안내돌기(410)의 모듈본체(300)에서의 위치인 해제위치(a)와, 정수필터(400)가 조립되는 안내돌기(410)의 모듈본체(300)에서의 위치인 조립위치(b)를 연결하는 곡선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이동안내부(310)의 해제위치(a)까지의 거리(L)는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이동안내부(310)의 조립위치(b)까지의 거리(L')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이동안내부(310)의 해제위치(a)까지의 거리(L)와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이동안내부(310)의 조립위치(b)까지의 거리(L')의 차이는,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조립되기 위해서 이동되어야만 하는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의 안내돌기(410)가 모듈본체(300)의 이동안내부(310)에 삽입되어 이동되면, 즉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와 함께 회전되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되거나 필터 조립헤드(200)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조립연결공(210a)으로부터 나오거나, 연결니플(420)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조립연결공(210a)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안내돌기(410)가 모듈본체(300)의 이동안내부(310)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 일부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렬될 수 있다. 이때,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 중 정수필터(400)에 여과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니플(42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연결공(210a)에 구비된 체크밸브(211)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연결공(210a)이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와 함께 조립위치(b)로 회전되도록 하면, 정수필터(400)의 안내돌기(410)가 이동안내부(310)에 지지되면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400)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낙하되지 않고 조립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와 함께 조립위치(b)로 회전되면,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은 필터 조립헤드(200)의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에서 이동되어 조립연결공(210a)에 더 깊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이 필터 조립헤드(200)의 조립연결공(210a)에 더 깊게 삽입되면,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연결공(210a)에 구비된 체크밸브(211)에 연결니플(420)이 닿아서 연결니플(420)이 체크밸브(211)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연결공(210a)이 열려서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가 필터 조립헤드(200)와 함께 조립위치(b)로 회전되면, 정수필터(400)는 그 안내돌기(410)가 모듈본체(300)의 이동안내부(310)에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은 완전히 필터 조립헤드(200)의 조립연결공(210a)에 삽입된다. 또한, 이에 따라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211)는 연결니플(420)에 의해서 더 밀려서 조립연결공(210a)이 완전히 열리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여과될 물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20)의 연결부재(221)와 유로(220a)를 통해 조립연결공(210a)에 유입된다. 그리고, 조립연결공(210a)에 유입된 여과될 물은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을 통해 정수필터(400)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정수필터(400)에 유입되어 여과된 물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을 통해서 유출되어,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과 유출부(230)의 유로(230a) 및 연결부재(231)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400)로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는 정수필터(400)의 연결니플(420)과 필터조립부(210)의 조립연결공(210a) 및 생활용수 배출용 배출관(P)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정수필터(400)의 교체를 위해서 정수필터(400)를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전술된 것과 반대로, 즉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수필터(400)가 조립된 조립위치(b)에서 해제위치(a)로, 정수필터(400)와 함께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되게 하면,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정수필터(400)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을 사용하면, 정수필터(400)의 조립시 필터 조립헤드(200)를 보면서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정수필터(400)가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400)에 유입되는 물이 고압인 경우에도 정수필터(400)의 조립시 정수필터(400)가 낙하되지 않고, 정수필터(400)의 조립시나 정수필터(400)가 조립된 후에도 정수필터(400) 또는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필터 조립모듈 200 : 필터 조립헤드
210 : 필터조립부 210a : 조립연결공
211 : 체크밸브 220 : 유입부
220a, 230a : 유로 221, 231 : 연결부재
230 : 유출부 240 : 조립연결공 덮개
300 : 모듈본체 310 : 이동안내부
320 : 회전부 320a : 회전가이드홈
320b : 회전가이드돌기 330 : 회전가이드구멍
400 : 정수필터 410 : 안내돌기
420 : 연결니플 O : 회전중심
a : 해제위치 b : 조립위치
L,L' : 거리 R : 밀봉부재
P : 배출관 C : 연결관
F : 고정부재

Claims (6)

  1. 일측에 정수필터(400)가 조립될 수 있고 여과될 물이 상기 정수필터(400)에 유입되며 상기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 조립헤드(200); 및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정수필터(400)가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렬되어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정수필터(400)가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로부터 해제되거나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모듈본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300)에는 상기 정수필터(400)에 형성된 안내돌기(41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동안내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410)가 상기 이동안내부(310)에 삽입되어 상기 정수필터(400)가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수필터(400)와 함께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410)가 상기 이동안내부(310)에 지지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정수필터(400)가 해제되거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310)는 상기 정수필터(400)가 해제되는 상기 안내돌기(410)의 상기 모듈본체(300)에서의 위치인 해제위치(a)와, 상기 정수필터(400)가 조립되는 상기 안내돌기(410)의 상기 모듈본체(300)에서의 위치인 조립위치(b)를 연결하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상기 이동안내부(310)의 해제위치(a)까지의 거리(L)는 상기 회전중심(O)으로부터 상기 이동안내부(310)의 조립위치(b)까지의 거리(L')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헤드(200)는
    상기 정수필터(400)가 조립되며 여과될 물이 상기 정수필터(400)에 유입되고 상기 정수필터(4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조립부(210);
    상기 필터조립부(210)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필터조립부(210)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부(220); 및
    상기 필터조립부(210)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상기 필터조립부(210)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본체(3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출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부(210)에는 상기 정수필터(400)의 해제시에는 닫혀서 상기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정수필터(400)의 조립시에는 열려서 상기 정수필터(4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2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0100021726A 2010-03-11 2010-03-11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116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6A KR101164159B1 (ko) 2010-03-11 2010-03-11 정수필터 조립모듈
US12/826,846 US8372273B2 (en) 2010-03-11 2010-06-30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EP10167845.6A EP2366442B1 (en) 2010-03-11 2010-06-30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6A KR101164159B1 (ko) 2010-03-11 2010-03-11 정수필터 조립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26A true KR20110102626A (ko) 2011-09-19
KR101164159B1 KR101164159B1 (ko) 2012-07-11

Family

ID=4377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26A KR101164159B1 (ko) 2010-03-11 2010-03-11 정수필터 조립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72273B2 (ko)
EP (1) EP2366442B1 (ko)
KR (1) KR1011641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75A (ko) *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20170082858A (ko) * 2016-01-07 2017-07-1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20170134724A (ko) * 2015-04-09 2017-12-06 브리타 게엠베하 교체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을 갖는 액체 처리 장치
KR20190020540A (ko) *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32Y1 (ko) * 2011-11-09 2014-02-12 주식회사 진텍 정수기용 카본필터
KR20140108227A (ko) * 2011-12-14 2014-09-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워터 필터링 장치
JP2013230410A (ja) * 2012-04-27 2013-11-14 Sharp Corp 液体濾過器
KR101532253B1 (ko) * 2014-08-05 2015-07-09 (주)기성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CN107613816B (zh) 2015-05-27 2021-02-05 流量控制有限责任公司 筒泵
US20170095757A1 (en) 2015-05-27 2017-04-06 Flow Control LLC Cartridge Accumulator
CN116943431A (zh) 2015-09-14 2023-10-27 流量控制有限责任公司 积储器筒
CN107962383B (zh) * 2017-12-26 2023-09-05 山东中车同力达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净化槽柔性装配生产线
DE102018129752A1 (de) * 2018-11-26 2020-05-28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Filtervorrichtung zur trinkwasserfilterung
CN112252399B (zh) * 2020-11-01 2021-11-09 富兰克水务(江苏)有限公司 一种城市智慧水务供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677A (en) * 1978-02-17 1987-07-21 Olin Corporation Water processor having automatic shutoff and bypass means
US5935426A (en) * 1997-08-08 1999-08-10 Teledyne Industries, Inc., A California Corporation Water treatment device with volumetric and time monitoring features
AU6130498A (en) * 1997-08-21 1999-03-16 E-Chen Enterprise Company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indicating flowmeter
DE60107861T2 (de) * 2001-12-21 2005-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Kraftfahrzeug mit Oelfiltergehäuse
US6740235B2 (en) * 2002-03-04 2004-05-25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Swivelling filter head assembly
EP1600199A4 (en) * 2003-03-06 2006-04-05 Entegris Inc FILTER DEVICE
US7257999B2 (en) * 2003-11-25 2007-08-21 H20 Watch, Inc. Liquid dispenser with volume meter
US20050167352A1 (en) * 2004-02-03 2005-08-04 Oasis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and manifold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P1888199B1 (en) * 2005-05-16 2012-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ool valve manifold interconnect for a filter system
TWM311463U (en) * 2006-08-04 2007-05-11 Yi-Jou Lin Positioning device of the filter core in water-purification system,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positioning device of filter-core
KR200432225Y1 (ko) *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KR100831027B1 (ko) 2007-10-30 2008-05-2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 필터 결합구조
KR100930665B1 (ko) * 2008-01-28 2009-12-09 앨트웰텍 주식회사 회전착탈형 필터서포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724A (ko) * 2015-04-09 2017-12-06 브리타 게엠베하 교체 가능한 처리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을 갖는 액체 처리 장치
KR20170079375A (ko) *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20170082858A (ko) * 2016-01-07 2017-07-1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20230042442A (ko) * 2016-01-07 2023-03-2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20190020540A (ko) *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6442A1 (en) 2011-09-21
US8372273B2 (en) 2013-02-12
KR101164159B1 (ko) 2012-07-11
EP2366442B1 (en) 2014-11-12
US20110220559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159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US10293287B2 (en) Water filter assembly
KR200384558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11654B1 (ko)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필터 조립체
US20180078884A1 (en) Module for connecting flow tubes, and water purifier having same
WO2008051323A3 (en) Liquid filter cartridge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KR20039267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 구조
CN101802478A (zh) 连接器
US9914096B2 (en) Integrated waterway assembly of a reverse osmosis water filtration device
KR101480993B1 (ko)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JP6684430B1 (ja) インライン型ストレーナ
KR20150024578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1826876B1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0426289Y1 (ko) 필터 장착구조
KR20120064955A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CN114405135A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KR10182687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CN215842023U (zh) 一种用于净水器的滤芯安装结构
KR100761516B1 (ko)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20170079375A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20110062463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00099930A (ko)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JP5409048B2 (ja) 便器用バル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