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442A -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442A
KR20230042442A KR1020230031282A KR20230031282A KR20230042442A KR 20230042442 A KR20230042442 A KR 20230042442A KR 1020230031282 A KR1020230031282 A KR 1020230031282A KR 20230031282 A KR20230031282 A KR 20230031282A KR 20230042442 A KR20230042442 A KR 2023004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ater filter
lever
nipp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177B1 (ko
Inventor
이종환
박찬정
김철호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84Snap or Seeger ring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정수필터용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레버부;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와 레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레버부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CONNECTING APPARATUS FOR WATER PURIFYING FILTER}
본 발명은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연결니플이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유출하는 것이다.
정수필터에는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에 유입되도록 하는 입수구와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출수구의 역할을 하는 2개의 연결니플이 일반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정수필터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인 경우에는, 정수필터에 입수구와 출수구의 역할을 하는 2개의 연결니플 이외에도 정수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연결니플이 구비된다.
한편, 정수필터의 연결니플은 배관에 의해서 수도 등의 물공급원이나 다른 정수필터 또는 저장탱크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정수필터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유출되어 다른 정수필터에 공급되거나 저장탱크에 공급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복수개의 연결장치의 각각의 일측을 정수필터의 복수개의 연결니플의 각각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연결하고, 복수개의 연결장치의 각각의 타측을 복수개의 배관 각각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연결하여, 정수필터의 복수개의 연결니플과 복수개의 배관 각각을 연결하였다.
따라서,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동시에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는 바디; 바디에 구비되는 레버부;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디와 레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부는 복수개이고, 레버부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복수개의 연결부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부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에는 복수개의 연결니플 중 적어도 일부가 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연결니플이 구비되도록 정수필터에 형성된 니플구비부를 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바디 방향 또는 바디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레버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보조부는 레버부재의 상기 바디 측에 구비되고 연결보조부는 레버부재의 바디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니플구비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바디 또는 레버부에 구비되는 관부재 및, 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연결니플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1피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관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2피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포함되는 레버부에 의해서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의 연결니플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6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정수필터의 연결니플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의 연결니플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도6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는 바디(200), 레버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부재(210)와 제2바디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재(210)에는 레버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레버부재(3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바디부재(210)에는 레버부재(310)에 포함되는 후술할 회전축(31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회전용 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부재(210)에는 제2바디부재(220)와의 연결을 위해서 연결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부재(210)에는 연결부(4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바디부재(210)에는 연결부(400)의 일측과 타측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재(220)는 제1바디부재(210)에 연결되어 연결부(400)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바디부재(220)가 제1바디부재(210)에 연결되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부(400)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바디부재(220)가 제1바디부재(210)에 연결되어 1개 또는 3개 이상의 연결부(400)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바디부재(220)에는 전술한 제1바디부재(210)의 연결돌기(212)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멍(2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바디부재(210)와 제2바디부재(220)가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억지끼워맞춤 또는 볼트 등으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바디부재(220)에는 제1바디부재(210)에 연결시 제1바디부재(210)의 회전용 구멍(211)에 삽입되어 레버부재(310)의 회전축(313)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부재(220)에는 제1바디부재(210)에 형성된 전술한 지지턱(213)과 대응되는 지지턱(223)이 형성되어 연결부(400)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디부재(220)에는 제1바디부재(210)에 형성된 전술한 노출부(214)와 함께 연결부(400)의 일측과 타측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300)는 바디(200)에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300)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정수필터(FP)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NC)이 복수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에는 여과될 물이 정수필터(FP)에 유입되도록 하는 입수구와 정수필터(FP)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출수구의 역할을 하는 2개의 연결니플(NC)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300)는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부(400)의 타측에 복수개의 배관(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연결시키거나 분리하기만 하면, 정수필터(FP)의 복수개의 연결니플(NC)과 복수개의 배관이 각각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레버부(300)는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레버부재(31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재(310)의 회전축(313)은 바디(200)의 제1바디부재(210)에 형성된 회전용 구멍(21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디(200)의 제2바디부재(220)가 제1바디부재(210)에 연결되면, 제2바디부재(220)에 형성된 회전지지부(221)가 회전용 구멍(211)에 삽입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10)의 회전축(313)을 회전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레버부재(310)가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레버부재(310)와 별도로 구비되는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레버부재(310)에는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연결보조부(311)에 의해서 정수필터(FP)의 복수개의 연결니플(NC) 중 적어도 일부가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부(400)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리보조부(312)에 의해서 정수필터(FP)의 복수개의 연결니플(NC) 중 적어도 일부가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부(400)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에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에 구비된 2개의 연결니플(NC)이 레버부재(310)의 회전, 예컨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연결보조부(311)에 의해서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FP)에 구비된 2개의 연결니플(NC)이 레버부재(310)의 회전, 예컨대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분리보조부(312)에 의해서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연결보조부(311)는 연결니플(NC)이 구비되도록 정수필터(FP)에 형성된 니플구비부(PN)를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바디(200)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또한, 분리보조부(311)는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를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바디(200)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다.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에는 2개의 연결니플(NC)이 구비되는 니플구비부(PN)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보조부(311)는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를 레버부재(310)의 회전, 예컨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바디(200)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리보조부(312)는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를 레버부재(310)의 회전, 예컨대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바디(200)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레버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분리보조부(312)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10)의 바디(200)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보조부(311)는 레버부재(310)의 바디(200)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는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NC)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자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은 바디(200)에 구비된 연결부(400)의 일측에 정렬하고, 니플구비부(PN)는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 사이에 정렬한다.
그리고, 레버부재(3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수필터(FP)를 바디(200)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가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 사이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부재(31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 사이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에 의해서, 연결보조부(311)가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를 바디(200) 방향으로 밀어서, 정수필터(RP)의 2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동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레버부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한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은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게 된다.
도6에 도시된 상태에서, 레버부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가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 사이에서 나오면서 분리보조부(312)가 정수필터(FP)의 니플구비부(PN)를 바디(200)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P)의 2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분리보조부(312)에는 레버부재(310)의 회전시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니플통과구멍(3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310)에 형성되는 연결보조부(311)와 분리보조부(31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정수필터(FP)에 형성되는 니플구비부(PN)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연결부(40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디(200)와 레버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부(400)가 바디(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400)는 레버부(300), 예컨대 레버부(300)의 레버부재(31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관부재(410)와, 제1피팅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부재(410)는 바디(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관부재(410)는 레버부(300), 예컨대 레버부(300)의 레버부재(31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제1피팅부재(420)는 관부재(4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피팅부재(420)가 관부재(4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피팅부재(420)에는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피팅부재(420)에는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관부재(410)의 일측에 연결되는 니플삽입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피팅부재(420)의 니플삽입구멍(421)에는 끼움돌기(421a)가 형성되어, 정수필터(FP)의 연결니플(NC)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1피팅부재(420)와 관부재(410) 사이에는 밀봉부재(SL)가 구비되어, 제1피팅부재(420)와 관부재(410)의 일측 사이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제2피팅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피팅부재(430)는 관부재(4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피팅부재(430)에는 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피팅부재(43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배관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정수필터(FP) 또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정수필터(FP)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유출되어 다른 정수필터(FP)에 공급되거나 저장탱크에 공급될 수 있다.
제2피팅부재(430)에는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관부재(410)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관삽입구멍(4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피팅부재(430)와 관부재(410) 사이에는 밀봉부재(SL)가 구비되어 제2피팅부재(430)와 관부재(410)의 타측 사이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콜릿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릿부재(440)는 제2피팅부재(430)에 삽입되어 연결된 배관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콜릿부재(440)는 적어도 일부가 제2피팅부재(430), 예컨대 제2피팅부재(430)의 배관삽입구멍(4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콜릿부재(440)에도 배관삽입구멍(4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관이 콜릿부재(440)의 배관삽입구멍(441)을 통해 제2피팅부재(431)의 배관삽입구멍(44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피팅부재(43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배관에 외력을 작용하면, 콜릿부재(440)가 외력에 의해서 배관과 같이 이동하면서 배관을 조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관이 제2피팅부재(43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관을 제2피팅부재(430)로부터 분리하려면, 콜릿부재(44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제2피팅부재(43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배관에 외력을 작용하면 된다.
콜릿부재(4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피팅부재(430)에 삽입되어 연결된 배관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
이하, 도8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정수필터의 연결니플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와 바디(200)에 구비되는 연결부(400)의 개수와, 연결부(400)가 바디(200) 뿐만 아니라 레버부(300)에도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연결부(400) 중 일부는 바디(200)에 구비되고 나머지는 레버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연결부(400)는 바디(200)에 구비되고, 2개의 연결부(400)는 레버부(300), 예컨대 레버부(300)의 레버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정수필터(FP)에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연결니플(NC)이 구비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정수필터(FP)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인 경우에는, 정수필터(FP)에 입수구와 출수구의 역할을 하는 2개의 연결니플(NC) 이외에 정수필터(FP)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연결니플(NC)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연결니플(NC)이 구비된다.
그리고, 3개의 연결니플(NC)은 정수필터(FP)에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정수필터(FP)에 구비된 3개의 연결니플(NC) 중 중앙에 연결된 연결니플(NC)은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에 구비된 연결부(400)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FP)에 구비된 3개의 연결니플(NC) 중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 2개의 연결니플(NC)은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레버부재(310)에 구비된 2개의 연결니플(NC)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정수필터(FP)의 3개의 연결니플(NC)이 바디(200)와 레버부재(310)에 각각 구비된 3개의 연결부(400)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부재(310)는 일측이 개방된 구비공간(314)과, 구비공간(314)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연결부(400)가 구비되도록 하는 덮개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310)의 구비공간(314)과 덮개부재(315)에는 연결부(400)의 일측과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부(314a,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포함되는 레버부에 의해서 정수필터용 연결장치에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정수필터의 연결니플과 배관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용 연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200 : 바디
210 : 제1바디부재 211 : 회전용 구멍
212 : 연결돌기 213, 223 : 지지턱
214, 224, 314a 315a : 노출부 220 : 제2바디부재
221 : 회전지지부 222 : 연결구멍
300 : 레버부 310 : 레버부재
311 : 연결보조부 312 : 분리보조부
312a : 니플통과구멍 313 : 회전축
314 : 구비공간 315 : 덮개부재
400 : 연결부 410 : 관부재
420 : 제1피팅부재 421 : 니플삽입구멍
421a : 끼움돌기 430 : 제2피팅부재
431, 441 : 배관삽입구멍 440 : 콜릿부재
FP : 정수필터 NC : 연결니플
PN : 니플구비부 SL : 밀봉부재

Claims (9)

  1.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레버부;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와 레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레버부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니플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의 일측에 각각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니플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가 각각 구비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상기 연결니플이 구비되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형성된 니플구비부를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방향 또는 바디 반대방향으로 미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레버부재에 구비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보조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바디 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보조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바디 반대측에 구비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조부와 분리보조부는 상기 니플구비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인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디 또는 레버부에 구비되는 관부재 및,
    상기 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니플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1피팅부재를 포함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2피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0230031282A 2016-01-07 2023-03-09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52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282A KR102525177B1 (ko) 2016-01-07 2023-03-09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127A KR102510473B1 (ko) 2016-01-07 2016-01-07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0230031282A KR102525177B1 (ko) 2016-01-07 2023-03-09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127A Division KR102510473B1 (ko) 2016-01-07 2016-01-07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442A true KR20230042442A (ko) 2023-03-28
KR102525177B1 KR102525177B1 (ko) 2023-04-24

Family

ID=594432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127A KR102510473B1 (ko) 2016-01-07 2016-01-07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0230031282A KR102525177B1 (ko) 2016-01-07 2023-03-09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127A KR102510473B1 (ko) 2016-01-07 2016-01-07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04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85A (ko) * 2008-07-21 2010-01-29 주식회사 승광 냉온 정수기
KR20110102626A (ko) * 2010-03-11 2011-09-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20038299A (ko) * 2010-10-13 2012-04-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필터 섬프 장착용 캐리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85A (ko) * 2008-07-21 2010-01-29 주식회사 승광 냉온 정수기
KR20110102626A (ko) * 2010-03-11 2011-09-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20038299A (ko) * 2010-10-13 2012-04-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필터 섬프 장착용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858A (ko) 2017-07-17
KR102510473B1 (ko) 2023-03-15
KR102525177B1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0023B (zh) 一种四通道分质供水水龙头
US6423223B1 (en) Multi-elemen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WO2005123230A3 (en) Dialysis system
TW201621207A (zh) 模組化多介質流體處理系統
US9585994B2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325448B1 (ko) 개량된 필터조립체
MX2009006565A (es) Filtros de fluido de auto-enjuague de flujo inverso.
CN204958564U (zh) 一种净水机的集成水路板
KR102525177B1 (ko)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CN211283909U (zh) 滤座、水路连接系统和具有其的净水机
CN205613114U (zh) 一种净水器用快接式集成滤芯结构
CN111196641B (zh) 净水系统
JP2006505394A (ja) 浄水器の原水遮断装置
CN208561878U (zh) 复合滤芯
JP6028185B2 (ja) 濾過装置
CN102284208A (zh) 用于去除液体中杂质的装置
JP2009542425A (ja) 浄水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対するフィルタ要素
CN212687743U (zh) 集成水路构件和净水机
KR102210189B1 (ko) 정수장치
KR20080107206A (ko) 정수기의 피팅 장치
CN209652001U (zh) 一种复合滤芯和净水器
CN209307065U (zh) 复合滤芯和净水器
CN105080195B (zh) 具有轴向进、出水接口的水路切换器及净水机
CN219136463U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208135933U (zh) 一种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