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772A -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772A
KR20090029772A KR1020090017838A KR20090017838A KR20090029772A KR 20090029772 A KR20090029772 A KR 20090029772A KR 1020090017838 A KR1020090017838 A KR 1020090017838A KR 20090017838 A KR20090017838 A KR 20090017838A KR 20090029772 A KR20090029772 A KR 2009002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pores
joi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철
Original Assignee
한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철 filed Critical 한희철
Priority to KR102009001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772A/ko
Publication of KR2009002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만으로 상수도관 내부를 통해 흐르는 1급 용수의 용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수도관(2)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 및 제2드럼(20)과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된 제1드럼(10)과, 상기 제1드럼(1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3드럼(3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21)이 형성된 제2드럼(20)과, 상기 제2드럼(2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4드럼(4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31)이 형성된 제3드럼(30)과, 상기 제3드럼(30)과의 플랜지이음 및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4드럼(40)과, 상기 제1, 2, 3, 4드럼(10,20,30,40)의 플랜지이음에 의해 형성된 제1, 2, 3이음부(15,25,35)의 내측에 구비되는 불순물 여과용 제1, 2, 3필터(60,70,80)가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제거장치, 밀폐부재, 원형가이드, 다공판, 드럼, 이음부

Description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 The defecation system which is included in the water of the water pipe }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간단한 장치만으로 상수도관 내부를 통해 흐르는 1급 용수의 용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시설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개별상수도관(3)이 연결되는 최종상수도관(2)은 80mm의 직경을 가지지만 그 이외의 상수도관은 80mm이상의 다양한 크기로 매설되어진다.
매설된 상수도관은 대부분 주철관이며, 내부에는 시멘트라이닝으로 마감처리를 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으로 노후화가 되면, 각종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포함되며, 상수도관의 교체 및 보수공사시에도 그러한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불순물이 포함된 용수는 아무런 여과과정 없이 그대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통수되어 수도꼭지에 흘러나오거나, 최종상수도관(2) 내부에 침전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식수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나오지 않도록 상수도관을 통해 통수되는 용수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제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용수의 통수방향이 수시로 변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용수가 흐르는 상수도관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거장치를 설치한 다음, 필터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은 용수가 역방향으로 통수될 때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한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P)는,
기존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수도관(2)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 및 제2드럼(20)과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된 제1드럼(10)과;
상기 제1드럼(1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3드럼(3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21)이 형성된 제2드럼(20)과;
상기 제2드럼(2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4드럼(4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31)이 형성된 제3드럼(30)과;
상기 제3드럼(30)과의 플랜지이음 및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4드럼(40)과;
상기 제1, 2, 3, 4드럼(10,20,30,40)의 플랜지이음에 의해 형성된 제1, 2, 3이음부(15,25,35)의 내측에 구비되는 불순물 여과용 제1, 2, 3필터(60,70,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이음부(15)에 장착되는 제1필터(60)는 도넛 형상의 원형가이드(61)와 다수개의 다공(63)이 형성된 다공판(6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25)에 장착되는 제2필터(70)는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71)와 다수개의 다공(75)이 형성된 제1다공판(72), 15메쉬(mesh)의 여과망(73) 및 다수개의 다공(76)이 형성된 제2다공판(7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3이음부(35)에 장착되는 제3필터(80)는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81)와, 다수개의 다공(85)이 형성된 제3다공판(82), 30메쉬(mesh)의 여과망(83) 및 다수개의 다공(86)이 형성된 제4다공판(8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 3, 4드럼(10,20,30,40)의 플랜지이음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90)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경은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에 비해 그 내경이 2 ~ 3배 확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11,21,31)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동밸브(12,22,32)를 각각 구비시키되, 각각의 전자동밸브는 용수의 통수방향이 역방향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3필터(60,70,80)의 좌, 우측에는 견고한 밀폐가 될 수 있도록 밀폐부재(13,23,33)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60)의 다공판(62)에 형성된 다공(63)과, 제2, 3필터(70,80)의 제2, 4다공판(74,84)에 형성된 다공(76,86)의 크기는 지름3mm이며, 제2, 3필터(70,80)의 제1, 3다공판(72,82)에 형성된 다공(75,85)의 크기는 지름6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는 상수도관의 용수 내부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에 있어 저비용을 들여 신속하게 제거하되, 수시로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들은 청결한 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현재 도심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도시한 대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1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며,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2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3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80mm의 직경을 갖는 최종상수관(2)과 플랜지이음이 용이하도록 플랜지(50)를 구비하고, 그 타측에는 최종상수관의 내경에 비해 2~3배 확대된 내경을 구비함과 동시에 제2드럼(20)과 플랜지이음이 용이하도록 플랜지(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드럼(1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드럼의 측면에는 전자동밸브(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1필터(60)에서 여과된 각종 불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전자동밸브(12)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배수관(11)을 구성시킨다.
상기 제1드럼과 플랜지이음 및 제3드럼(3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2드럼(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드럼의 측면에는 전자동밸브(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필터(70)에서 여과된 각종 불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전자동밸브(22)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배수관(21)을 구성시킨다.
상기 제2드럼(2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4드럼(4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3드럼(3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3드럼의 측면에는 전자동밸브(3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3필터(80)에서 여과된 각종 불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전자동밸브(33)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배수관(31)을 구성시킨다.
또한 상기 제3드럼(30)과의 플랜지이음 및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4드럼(40)을 구비 시킨다.
그리고 도넛 형상의 원형가이드(61)와 지름3mm의 다공(63)이 다수개 형성된 다공판(62)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1필터(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필터에서 통과된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71)와 지름6mm의 다공(75)이 다수개 형성된 제1다공판(72), 15메쉬(mesh)의 여과망(73) 및 지름3mm의 다공(76)이 다수개 형성된 제2다공판(7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된 제2필터(70)를 구비한다.
상기 제2필터(20)에서 여과되지 못하고 통과된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81)와, 지름6mm의 다공(85)이 다수개 형성된 제3다공판(82), 30메쉬(mesh)의 여과망(83) 및 지름3mm의 다공(86)이 다수개 형성된 제4다공판(8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된 제3필터(8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제1, 2, 3, 4드럼(10,20,30,40) 및 제1, 2, 3필터(60,70,80)가 구비되면, 각각의 결합시켜 하나의 제거장치(P)를 완성한다.
결합방법은 제1, 2드럼의 사이에 제1필터를 배치한 다음, 제1필터의 좌, 우측에는 연질의 제1밀폐부재(13)를 배치시켜 각각을 플랜지 이음하고, 제2, 3드럼의 사이에 제2필터를 배치한 다음, 제2필터의 좌, 우측에는 연질의 제2밀폐부재(23)를 배치시켜 각각을 플랜지 이음하고, 제3, 4드럼의 사이에 제3필터를 배치한 다음, 제3필터의 좌, 우측에는 연질의 제3밀폐부재(33)를 배치시켜 각각을 플랜지 이음을 함으로써 제1, 2, 3 플랜지이음부(15,25,3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2, 3, 4드럼 및 제1, 2, 3필터의 결합이 완성되면, 기존의 상수도 관 내경에 비해 2~3배 확대된 내경을 갖는 수용공간(90)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이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에 비해 2~3배 크게 제작하는 이유는 불순물이 필터에 여과된 상태가 되어 용수의 통수가 원활하지 않을 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제거장치(P)를 실제 설치할 때는 통수방향으로 최종상수도관(2)에 플랜지 이음을 해주면 설치는 완료된다.
불순물의 여과는 제1, 2, 3필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1에서 제3필터로의 진행방향이 용수의 통수방향이(A)되고, 제3에서 제1필터로의 진행방향이 용수의 역방향(B)이 되며, 제3필터에서 가장 미세한 불순물이 여과되는 한편, 용수가 역방향으로 통수될 때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동밸브(12,22,32)가 각각 작동되며, 이와 동시에 필터에 여과된 불순물이 배수관(11,2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3필터의 다공판(72,74,82,84)배치 중 지름6mm의 다공을 갖는 다공판(72,82)은 여과망(73,83)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하고 지름3mm의 다공을 갖는 다공판(74,84)은 우측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여과와 불순물의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현재 도심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도시한 대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1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2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거장치 중 제3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제거장치 1: 상수도관
2:최종상수도관 3:개별상수도관
10:제1드럼 11,21,31:배수관
12, 22, 32:전자동밸브 13:제1밀폐부재
15:제1이음부 20:제2드럼
23:제2밀폐부재 25:제2이음부
30:제3드럼 33:제3밀폐부재
35:제3이음부 40:제4드럼
50:플랜지 60:제1필터
61,71,81:원형가이드 62:다공판
63,75,76,85,86:다공 70:제2필터
72:제1다공판 73:여과망
74:제2다공판 80:제3필터
82:제3다공판 83:여과망
84:제4다공판 90:수용공간

Claims (6)

  1. 기존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수도관(2)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 및 제2드럼(20)과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된 제1드럼(10)과;
    상기 제1드럼(1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3드럼(3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21)이 형성된 제2드럼(20)과;
    상기 제2드럼(20)과의 플랜지이음 및 제4드럼(40)과의 견고한 플랜지이음이 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관(31)이 형성된 제3드럼(30)과;
    상기 제3드럼(30)과의 플랜지이음 및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과 연결되어 용수가 통수되도록 양측끝단에는 플랜지(50)가 각각 구비된 제4드럼(40)과;
    상기 제1, 2, 3, 4드럼(10,20,30,40)의 플랜지이음에 의해 형성된 제1, 2, 3이음부(15,25,35)의 내측에 구비되는 불순물 여과용 제1, 2, 3필터(60,70,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15)에 장착되는 제1필터(60)는 도넛 형상의 원형가이드(61)와 다수개의 다공(63)이 형성된 다공판(6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25)에 장착되는 제2필터(70)는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71)와 다수개의 다공(75)이 형성된 제1다공판(72), 15메쉬(mesh)의 여과망(73) 및 다수개의 다공(76)이 형성된 제2다공판(7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3이음부(35)에 장착되는 제3필터(80)는 도넛형상의 원형가이드(81)와, 다수개의 다공(85)이 형성된 제3다공판(82), 30메쉬(mesh)의 여과망(83) 및 다수개의 다공(86)이 형성된 제4다공판(84)이 순차적으로 고정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드럼(10,20,30,40)의 플랜지이음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90)의 내경은 기존의 최종상수도관(2)에 비해 그 내경이 2 ~ 3배 확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1,21,31)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동밸브(12,22,32) 를 각각 구비시키되, 각각의 전자동밸브는 용수의 통수방향이 역방향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필터(60,70,80)의 좌, 우측에는 견고한 밀폐가 될 수 있도록 밀폐부재(13,23,33)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6. 제 1 및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60)의 다공판(62)에 형성된 다공(63)과, 제2, 3필터(70,80)의 제2, 4다공판(74,84)에 형성된 다공(76,86)의 지름은 3mm이며, 제2, 3필터(70,80)의 제1, 3다공판(72,82)에 형성된 다공(75,85)의 지름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KR1020090017838A 2009-03-03 2009-03-03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KR20090029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38A KR20090029772A (ko) 2009-03-03 2009-03-03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38A KR20090029772A (ko) 2009-03-03 2009-03-03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772A true KR20090029772A (ko) 2009-03-23

Family

ID=4069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38A KR20090029772A (ko) 2009-03-03 2009-03-03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77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14B1 (ko) * 2009-04-28 2012-01-31 삼오기계공업주식회사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CN103791194A (zh) * 2012-10-29 2014-05-14 北京中天金谷粮油工程技术有限公司 过滤式导热油分配器
CN107218441A (zh) * 2017-06-15 2017-09-29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水灾害处理的便捷式泄水管装置及方法
CN110478953A (zh) * 2017-09-05 2019-11-22 福州鑫恒智海鲜池设备有限公司 一种鱼池用旋转过滤反冲桶
CN110778848A (zh) * 2019-11-04 2020-02-11 翁连清 一种地下工程施工用自清洁排污管道接头
CN111535400A (zh) * 2020-05-09 2020-08-14 冯德顺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利管道装置
CN112973251A (zh) * 2021-02-08 2021-06-18 张家轩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系统
KR20220129288A (ko) * 2021-03-16 2022-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관 필터
KR102597489B1 (ko) * 2022-09-30 2023-11-01 김진남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608983B1 (ko) * 2023-06-09 2023-12-06 주식회사 현대밸브 역세 기능이 구비된 회전 필터 여과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14B1 (ko) * 2009-04-28 2012-01-31 삼오기계공업주식회사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CN103791194A (zh) * 2012-10-29 2014-05-14 北京中天金谷粮油工程技术有限公司 过滤式导热油分配器
CN107218441A (zh) * 2017-06-15 2017-09-29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水灾害处理的便捷式泄水管装置及方法
CN107218441B (zh) * 2017-06-15 2019-04-26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水灾害处理的便捷式泄水管装置及方法
CN110478953A (zh) * 2017-09-05 2019-11-22 福州鑫恒智海鲜池设备有限公司 一种鱼池用旋转过滤反冲桶
CN110778848A (zh) * 2019-11-04 2020-02-11 翁连清 一种地下工程施工用自清洁排污管道接头
CN111535400A (zh) * 2020-05-09 2020-08-14 冯德顺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利管道装置
CN112973251A (zh) * 2021-02-08 2021-06-18 张家轩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系统
KR20220129288A (ko) * 2021-03-16 2022-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관 필터
KR102597489B1 (ko) * 2022-09-30 2023-11-01 김진남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608983B1 (ko) * 2023-06-09 2023-12-06 주식회사 현대밸브 역세 기능이 구비된 회전 필터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772A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JP2015145583A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CN203737108U (zh) 快速冲洗型ro膜滤芯结构
KR20130035546A (ko) 직수식 정수기
CN204569497U (zh) 一种净水机用的水箱组件以及净水机
CN201857648U (zh) 内设双叶阀门的地漏
KR200395202Y1 (ko) 하수관 연결장치
CN209990997U (zh) 一种过滤水龙头
CN101632882B (zh) 一种采用无动力自动清洗过滤装置的过滤系统
KR100994570B1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CN202191177U (zh) 新型公共饮水系统
CN108939639A (zh) 一种废水处理机构
CN205284659U (zh) 一种海水养殖过滤装置
CN205088761U (zh) 一种内部设有自动清理结构的下水管清洗装置
CN210915573U (zh) 一种带正反冲洗的水净化系统及过滤器
CN203808167U (zh) 一种通用于家庭和单位的节水装置
CN204034403U (zh) 管道过滤装置、管路和废水提升泵系统
CN208648905U (zh) 一种简易污水过滤装置
KR20080107206A (ko) 정수기의 피팅 장치
CN205760003U (zh) 一种可反冲洗的家用自来水过滤装置
KR100736181B1 (ko) 상수도관을 통해 흐르는 용수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장치
CN203188172U (zh) 城市花园死水循环净化装置
CN210121374U (zh) 一种便于更换滤网的水龙头净水器
CN201678494U (zh) 带保养冲洗滤芯装置的超滤膜净水机
CN212612937U (zh) 一种具有防堵功能污水管道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