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89B1 -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89B1
KR102597489B1 KR1020220125020A KR20220125020A KR102597489B1 KR 102597489 B1 KR102597489 B1 KR 102597489B1 KR 1020220125020 A KR1020220125020 A KR 1020220125020A KR 20220125020 A KR20220125020 A KR 20220125020A KR 102597489 B1 KR102597489 B1 KR 10259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ipe
valve
filter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남
Original Assignee
김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남 filed Critical 김진남
Priority to KR102022012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밸브실에 구비되어 물이 이동하는 밸브 시설에 교체 가능한 모듈형태의 여과망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해당 밸브실을 경유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의 밸브실 내에 구비된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관과 연결된 일단을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타단과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과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관과; 상기 타공관 보다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이 내장된 형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과; 상기 유입관과 타공관 사이와,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 상호 간의 사이 및, 상기 타공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원판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타공판 및; 상기 유출관과 인접한 타공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관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켜 상기 유출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FILTER CHANGING TYPE MULTIPLE FILTERING NET APPARATUS FOR VALVE OF RESERVOIR}
본 발명은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의 밸브실에 설치되어 밸브를 통과하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사회의 발달 및 인구증가 등에 따른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수자원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막대한 예산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수도 시설에서는 수돗물 배분 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다량의 물을 특정 장소에 집수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즉 상수도를 배급하기 전 단계에서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 다량의 물이 유입되어 보관되도록 함에 따라, 수돗물을 외부 조건에 상관없이 항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수도 시설에서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밸브실 내에 설치된 밸브를 경유하여 다량의 물이 흐르는데 있어서는 각종 곤충의 사체나 유충을 비롯한 소형 생물, 스케일을 비롯한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밸브실에 구비된 밸브에는 각종 이물질을 차단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해당 밸브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물에 임의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양질의 수돗물 공급을 위해 집수된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6994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0519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밸브실에 구비되어 물이 이동하는 밸브 시설에 교체 가능한 모듈형태의 여과망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해당 밸브실을 경유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의 밸브실 내에 구비된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관과 연결된 일단을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타단과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과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관과; 상기 타공관 보다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이 내장된 형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과; 상기 유입관과 타공관 사이와,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 상호 간의 사이 및, 상기 타공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원판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타공판 및; 상기 유출관과 인접한 타공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관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켜 상기 유출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은 상기 유입관 측에서 유출관 측을 향해 점점 작은 치수의 타공홀이 천공된 타공관이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각 타공관의 출수구 측에는 해당 타공관과 동일한 치수로 타공홀이 천공된 타공판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타공판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의 직경은 상기 강관의 내경과 대응되는 치수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과 타공관 사이 및 상기 타공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은 상기 타공관의 직경과 대응되게 중앙 부분에만 타공홀이 천공되고,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 상호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은 전체 면적에 걸쳐 타공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타공관의 플랜지 부분에 장착되는 원형상의 틀 내에 망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망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및,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한 개의 망부재를 포함하는 3중망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강관 내에 설치된 타공관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외부의 콤프레셔 장치와 연결된 블러싱용 주입관이 나선형태 또는 다수 개의 링 형태로 감싸여져 구성되며, 상기 강관의 하측 부분에는 다수 개의 배출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들은 블러싱용 배관을 매개로 집수정에 연결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시설에서 정수지나 배수지 등에 구비되는 밸브실 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로 모듈형태의 다중 여과망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해당 밸브을 경유하는 물속에 포함된 다양한 이물질 및 입자 등을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모듈형태를 갖는 다중 여과망 장치는 블러싱 노즐 및 블러싱 배관과 연계되어 구성됨에 따라, 유입된 물의 여과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중여과망 장치의 관리 및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에 구비되는 밸브실 내에 특정 구조를 갖는 여과망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밸브실을 경유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 중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 구비되는 밸브실의 밸브 사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다중여과망 장치가 모듈형태로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설치를 위해, 해당 밸브실에서 물이 흐르는 배관은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버터플라이 밸브(16)로 마감되고,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16) 사이에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가 모듈형태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양측에 버터플라이 밸브(16)를 매개로 연결되는 배관은 일정 량의 물을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 측으로 공급하는 유입관(10) 및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를 통해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 상호 간에는 비상 시 직접 수로가 형성되도록 전동밸브(80a)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배관(8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모듈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 사이에 버터플라이 밸브(16)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타공관(20)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의 단부에는 각각 타공판(24)이 설치되며, 상기 타공관(20) 및 타공판(24)은 집수를 위한 강관(30)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타공관(20)의 출수구 측에는 다중망 구조를 갖는 여과부재(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공관(20)은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과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22)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 사이에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16)를 경유하여 다수 개의 관이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공관(20) 및 버터플라이 밸브(16)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타공관(2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일정 길이의 연결배관(18)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공관(20)은 총 4개의 관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은 상기 유입관(10) 측에서 유출관(12) 측을 향해 점점 작은 치수의 타공홀(22)이 천공된 타공관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각 타공관(20)에 천공되는 타공홀(22)은 일측 타공관으로부터 타측 타공관 순으로 10밀리미터[mm], 5밀리미터[mm], 3밀리미터[mm], 2밀리미터[mm] 치수의 직경으로 타공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공판(24)은 다수 개의 타공홀(26)이 천공된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관(10) 측 버터플라이 밸브(16)와 타공관(20) 사이와,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 상호 간의 사이 및, 상기 타공관(20)과 유출관(12) 측 버터플라이 밸브(16)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12) 측 버터플라이 밸브(16)와 타공관(20) 사이에는 10밀리미터[mm] 또는 그 보다 1 내지 3 밀리미터[mm] 정도 큰 직경으로 타공홀(26)이 천공된 타공판(24)이 설치되며, 각 타공관(20)의 출수구 측에는 해당 타공관과 동일한 치수를 이루도록 각각 10밀리미터[mm], 5밀리미터[mm], 3밀리미터[mm], 2밀리미터[mm] 치수의 직경으로 타공홀(26)이 천공된 타공판(2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공판(24)의 직경은 상기 강관(30)의 내경과 대응되는 치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유입관(12) 측 버터플라이 밸브(16)와 타공관(20) 사이 및 상기 타공관(20)과 유출관(12) 측 버터플라이 밸브(16)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24)은 상기 타공관(20)의 직경과 대응되게 중앙 부분에만 타공홀(24)이 천공되고,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 상호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24)은 전체 면적에 걸쳐 타공홀(26)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공관(20) 상호 간의 결합 및 상기 타공판(24)의 결합은 상기 타공관(20)의 양단에 구비된 플랜지를 매개로 한 볼트 체결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관(30)은 상기 타공관(20) 보다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이 내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10)으로부터 상기 타공관(20)을 경유하여 유출관(12) 측으로 흐르는 물에 대한 집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공관(20)은 대략 500밀리미터[mm] 직경의 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30)은 대략 1000밀리미터[mm] 직경의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30)은 두 개 이상의 관이 플랜지 부분의 결합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40)는 상기 유출관(12)과 인접한 타공관(20)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관(20)을 통과한 물에 대한 여과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재(40)는 상기 타공관(20) 또는 연결배관(18)의 플랜지 부분에 장착되는 대략 "U" 형상의 여과부재 가이드(50)를 통해 장착되되, 상기 여과부재(40)는 대략 원형상을 갖는 틀(42)의 내에 3중망 구조로 망부재(4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참조부호 52는 상기 여과부재 가이드(50) 내에 설치된 여과부재(40)를 단속하도록 장착되는 마감바를 나타낸다.
상기 망부재(44)는 대략 1 내지 2밀리미터[mm](가장 바람직하게는 1.5밀리미터[mm]) 정도의 간격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사이에 대략 0.09 내지 0.1밀리미터[mm](가장 바람직하게는 0.094밀리미터[mm]) 정도의 간격을 갖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한 개의 망부재가 끼워진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에는 상기 타공관(20) 및 강관(30) 내의 이물질 처리를 위한 블러싱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공관(2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대략 나선형태 또는 링형태로 주입관(60)이 감싸여지고, 상기 주입관(60)에는 일정 간격으로 노즐(도시안됨)이 설치되어 상기 타공관(20)의 외주면 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60)의 일단은 외부의 콤프레셔 장치(62)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주입관(60)을 통해 고압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 다수 개의 노즐을 통해 분출되면서 상기 타공관(20)의 타공홀(22)에 임의로 흡착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강관(30)의 하측 부분에는 다수 개의 배출홀(72)이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72)은 개폐밸브(74)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강관(30)의 하측에는 블러싱용 배관(70)이 상기 다수 개의 배출홀(72)과 연통된 상태로 강관(3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공된다.
이에, 상기 강관(30) 내부에서 걸러진 각종 이물질은 각 배출홀(72)을 통해 상기 블러싱용 배관(70)으로 유입된 후, 상기 블러싱용 배관(70)이 연결된 집수정(76)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일측에는 각 밸브(16,70a,80a)의 자동제어를 통해 물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블러싱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패널(도시안됨)이 설치되어 제공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에 구비되는 밸브실 내에 설치되어, 해당 밸브를 경유하여 흐르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 사이에 버터플라이 밸브(16)를 경유하여 모듈형태로 설치되어 제공됨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작용에 있어서는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일정 량의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공홀(22)이 점차 작아지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타공관(20)을 거치면서 상기 강관(30) 내에서 유출관(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20) 및 타공판(24)을 매개로 점점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각 타공관(22) 내에서 걸러짐과 동시에 유입된 물은 상기 강관(30) 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40)를 거쳐 유출관(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공관(20)의 출수구 측에 설치되는 여과부재(40)는 상기 타공관(20) 및 타공관(24)을 거치면서 일정 크기의 이물질 등이 걸러진 물에 대한 최종적인 여과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상기 여과부재(40)를 통해서는 물 속에 포함된 깔따구나 유충과 같은 소형 생물을 비롯한 매우 작은 크기의 이물질 및 스케일 등이 걸러질 수가 있게 된다.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함에 따라, 상기 타공관(20)의 타공홀(22)에 각종 이물질이 흡착된 경우, 상기 블러싱 수단에 구비되는 주입관(60)을 통해 외부의 콤프레셔 장치(62)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각 타공홀(22)을 임의로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타공관(20)의 타공홀(22)을 통해 강관(30) 내부로 흘러 나온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은 상기 강관(30) 하부의 배출홀(72)에 구비된 개폐밸브(74)를 개방하여 블러싱용 배관(70)을 통해 외부의 집수정(76) 측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교체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관(10) 및 유출관(12) 상호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80)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유입관, 12: 유출관,
16: 버터플라이 밸브, 18: 연결배관,
20: 타공관, 22,26: 타공홀,
24: 타공판, 30: 강관,
40: 여과부재, 42: 틀,
44: 망부재, 50: 여과부재 가이드,
52: 마감바, 60: 주입관,
62: 콤프레셔 장치, 70: 블러싱용 배관,
70a,80a: 전동밸브, 72: 배출홀,
74: 개폐밸브, 76: 집수정,
80: 바이패스 배관.

Claims (5)

  1. 배수지 또는 정수지의 밸브실 내에 구비된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관과 연결된 일단을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타단과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과 동일한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관과;
    상기 타공관 보다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이 내장된 형태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과;
    상기 유입관과 타공관 사이와,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 상호 간의 사이 및, 상기 타공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천공된 원판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타공판 및;
    상기 유출관과 인접한 타공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관을 통과한 물을 여과시켜 상기 유출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관 내에 설치된 타공관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외부의 콤프레셔 장치와 연결된 블러싱용 주입관이 나선형태 또는 다수 개의 링 형태로 감싸여져 구성되고, 상기 강관의 하측 부분에는 다수 개의 배출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들은 블러싱용 배관을 매개로 집수정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은 상기 유입관 측에서 유출관 측을 향해 점점 작은 치수의 타공홀이 천공된 타공관이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각 타공관의 출수구 측에는 해당 타공관과 동일한 치수로 타공홀이 천공된 타공판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의 직경은 상기 강관의 내경과 대응되는 치수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과 타공관 사이 및 상기 타공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은 상기 타공관의 직경과 대응되게 중앙 부분에만 타공홀이 천공되고,
    상기 다수 개의 타공관 상호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은 전체 면적에 걸쳐 타공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타공관의 플랜지 부분에 장착되는 원형상의 틀 내에 망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망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및,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한 개의 망부재를 포함하는 3중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5. 삭제
KR1020220125020A 2022-09-30 2022-09-30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59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20A KR102597489B1 (ko) 2022-09-30 2022-09-30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20A KR102597489B1 (ko) 2022-09-30 2022-09-30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489B1 true KR102597489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020A KR102597489B1 (ko) 2022-09-30 2022-09-30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4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193Y1 (ko) 2000-05-18 2000-12-01 임용택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100869941B1 (ko) 2008-08-05 2008-11-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장치
KR20090029772A (ko) * 2009-03-03 2009-03-23 한희철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KR20170112597A (ko) * 2016-03-31 2017-10-1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다공성 유출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정삼투 장치
KR20190129212A (ko) * 2018-05-10 2019-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을 이용한 배관용 살균장치
KR102350260B1 (ko) *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193Y1 (ko) 2000-05-18 2000-12-01 임용택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100869941B1 (ko) 2008-08-05 2008-11-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장치
KR20090029772A (ko) * 2009-03-03 2009-03-23 한희철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장치
KR20170112597A (ko) * 2016-03-31 2017-10-1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다공성 유출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정삼투 장치
KR20190129212A (ko) * 2018-05-10 2019-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을 이용한 배관용 살균장치
KR102350260B1 (ko) *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879B2 (en) Fluid strainer assembly
EP20292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a high volume flowing liquid
KR101556670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인공습지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CN108837624B (zh) 一种室内用空气净化设备
US6699387B2 (en) Waste water filter having multiple wall filter elements and outlet protection
KR101556669B1 (ko) 상향류식 다단 습지여상
CN102274650A (zh) 高集成中空纤维柱过滤器
NZ587435A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by drawing through filtration membranes with pump providing a backwash to membranes actuated by treatment tank level
KR102597489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200409958Y1 (ko) 수질 정화 장치
KR100921785B1 (ko) 오수 여과장치
KR20120045818A (ko) 오일 필터 제어방법
KR101361672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2459933B1 (ko)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KR200182218Y1 (ko) 분뇨차용탈취기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2597425B1 (ko)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CN210845557U (zh) 一种一体式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