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260B1 -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260B1
KR102350260B1 KR1020210061298A KR20210061298A KR102350260B1 KR 102350260 B1 KR102350260 B1 KR 102350260B1 KR 1020210061298 A KR1020210061298 A KR 1020210061298A KR 20210061298 A KR20210061298 A KR 20210061298A KR 102350260 B1 KR102350260 B1 KR 10235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mesh member
wa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익
박종현
이형근
김진남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김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김진남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에 다중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특정 구조의 여과수단을 설치하여 해당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는 소정 배관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는 틀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고, 틀 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체결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망 구조물로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커버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망부재 및; 일정 길이의 바(bar) 형상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망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망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MULTPLE FILTERING NET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사회의 발달 및 인구증가 등에 따른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수자원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막대한 예산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수도 시설에서는 수돗물 배분 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다량의 물을 특정 장소에 집수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즉 상수도를 배급하기 전 단계에서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 소정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많은 양의 물을 보관하면서 수돗물을 외부 조건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수도 시설에서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 내로 소정 배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데 있어서는 각종 곤충의 사체나 유충을 비롯한 소형 생물, 강관으로 이루어진 배관의 스케일을 비롯한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유입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 내로 물이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배관에는 각종 이물질을 차단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해당 시설 내에 집수되어 보관되는 물에 임의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양질의 수돗물 공급을 위해 집수된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66079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314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에 다중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특정 구조의 여과수단을 설치하여 해당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는 소정 배관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는 틀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고, 틀 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체결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망 구조물로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커버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망부재 및; 일정 길이의 바(bar) 형상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망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망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망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사이에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망부재가 위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각각 거름망 및 포집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포집망이 거름망에 비해 조밀한 망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끼움홈과 인접한 바깥쪽으로는 상기 끼움홈과 나란하게 보조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보조 끼움홈에는 오링 형태의 보조 가스켓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각틀 형상을 갖는 베이스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분에는 링형태의 결합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해당 다중 여과망 장치가 설치되는 소정 배관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스틸밴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틸밴드에도 링형태의 결합고리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재 측의 각 결합고리 및 상기 스틸밴드 측의 각 결합고리 상호 간은 턴버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배관의 단부에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에 다중의 여과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정 구조의 여과망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해당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다양한 이물질 및 입자를 차단 및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깨끗한 상수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다중 여과망 장치는 다양한 관종 및 구경을 갖는 관체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 매우 간편하게 상수도 시설의 수질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의 단부에 다중의 여과망을 포함하는 특정 구조의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의 차단 및 포집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소정 배관(10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특정 구조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0) 및 커버(20)와, 다수 개의 망부재(50)와, 가스켓(40) 및 보조 가스켓(4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PVC나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 등을 매개로 대략 사각틀 형태로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상면에는 대략 사각틀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로 끼움홈(12)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12)과 인접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바깥쪽으로는 상기 끼움홈(12)과 나란하게 보조 끼움홈(14)이 요입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끼움홈(12)에는 대략 바(bar) 형상을 갖는 4개의 가스켓(40)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보조 끼움홈(14)에는 대략 오링 형태를 갖는 보조 가스켓(42)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형성하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개의 체결홀(1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커버(20)는 대략 사각틀 형태를 갖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대응되도록 얇은 패널 형태의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체결홀(16)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관통홀(22)이 천공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체결홀(16) 및 커버(20)의 관통홀(22)을 관통하는 볼트(30)에 너트(32)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망부재(5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망 구조물이 다수 개 적층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및 커버(20)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망부재(5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52) 사이에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54)가 위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의 망부재(52)는 대략 1밀리미터[mm] 내외의 치수를 갖는 망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망부재가 하측에 위치하는 망부재에 비하여 보다 조밀한 치수의 망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재질의 망부재(54)는 상측에 위치하는 망부재는 포집망(54)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망부재는 거름망(54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54b)은 대략 1밀리미터[mm] 정도의 치수를 갖는 망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망(54a)은 상기 거름망(54b)에 비하여 보다 조밀한 치수의 망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40)은 NBR이나 EPDM,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매개로 일정 길이를 갖는 대략 바(bar)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망부재(50)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끼움홈(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12)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다수 개의 망부재(5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보조 가스켓(42) 또한 상기 보조 끼움홈(14)에 끼워지면서 상기 가스켓(4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 끼움홈(14)에는 상기 다수 개의 망부재(50) 중 일부의 부재만 위치되면서 상기 보조 가스켓(42)을 매개로 단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망으로 형성된 배관용 여과망 장치가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는 소정 배관(10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볼트(30)의 머리부분에 대략 링형태를 갖는 결합고리(34)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여과망 장치가 설치되는 소정 배관(100)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스틸밴드(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틸밴드(60)에도 대략 링형태를 갖는 결합고리(62)가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측의 각 결합고리(34) 및 상기 스틸밴드(60) 측의 각 결합고리(62) 상호 간에 턴버클(7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고리(72)가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배관(100)의 단부에는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틸밴드(60)의 구성 및, 상기 베이스부재(10) 측의 결합고리(34)와 상기 스틸밴드(60) 측의 결합고리(62) 상호 간을 연결하는 턴버클(70)의 구성은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사각틀 형태가 아닌 원형상의 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상기 커버(20) 및 다중 구조의 망부재(50) 또한 대응되는 원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 중 정수지나 배수지 등의 배수시설 또는 담수시설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배관(100)의 단부에 여과수단으로 고정 설치된다.
즉, 해당 물 유입 배관의 단부에는 대략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 내에 다중 구조의 여과망으로 제공되는 망부재(50)의 일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4개의 결합고리(34)와 상기 배관(100)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 설치된 스틸밴드(60)에 구비된 4개의 결합고리(62) 상호 간을 각각 턴버클(70)을 조작하면서 연결시킴에 따라, 해당 배관(100)의 단부에는 상기 망부재(50)가 밀착된 상태로 다중 여과망 장치가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배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물 속에 포함된 깔따구나 유충과 같은 소형 생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 및 배관의 스케일 등은 상기 망부재(50)에서 걸러지면서 배수시설이나 담수시설 측으로는 깨끗한 상태의 물만이 유입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의 망부재(50)는 다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망부재(50)를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52) 사이에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54)가 위치되되, 상기 폴리에스터 재질의 망부재(54)는 망구조의 조밀도가 상이한 거름망(54b) 및 포집망(54a)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해당 배관(100)을 통해 공급되는 물 속의 이물질은 거름망(54b)을 통해 일차적으로 걸리짐과 아울러, 상기 포집망(54a)에는 소정 이물질이 포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해당 배관(100)으로부터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를 분리한 후 포집된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는 소정 배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관체 등의 잔류수압이나 수량 등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베이스프레임, 12: 끼움홈,
14: 보조 끼움홈, 16: 체결홀,
20: 커버, 22: 관통홀,
30: 볼트, 32: 너트,
34: 결합고리, 40: 가스켓,
42: 보조 가스켓, 50: 망부재,
52: 스테인레스 재질 망부재, 54: 폴리에스터 재질 망부재,
54a: 거름망, 54b:포집망,
60: 스틸밴드, 62: 결합고리,
70: 턴버클, 72: 걸림고리,
100: 배관.

Claims (5)

  1.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는 소정 배관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는 틀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고, 틀 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체결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망 구조물로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커버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망부재 및;
    일정 길이의 바(bar) 형상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망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망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각틀 형상을 갖는 베이스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분에는 링형태의 결합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해당 다중 여과망 장치가 설치되는 소정 배관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스틸밴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틸밴드에도 링형태의 결합고리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재 측의 각 결합고리 및 상기 스틸밴드 측의 각 결합고리 상호 간은 턴버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배관의 단부에 상기 다중 여과망 장치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망부재 사이에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망부재가 위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재질의 망부재는,
    각각 거름망 및 포집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포집망이 거름망에 비해 조밀한 망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끼움홈과 인접한 바깥쪽으로는 상기 끼움홈과 나란하게 보조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보조 끼움홈에는 오링 형태의 보조 가스켓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5. 삭제
KR1020210061298A 2021-05-12 2021-05-12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35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98A KR102350260B1 (ko) 2021-05-12 2021-05-12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98A KR102350260B1 (ko) 2021-05-12 2021-05-12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260B1 true KR102350260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298A KR102350260B1 (ko) 2021-05-12 2021-05-12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2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708B1 (ko) 2022-02-25 2022-08-0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KR102533543B1 (ko)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KR102551111B1 (ko) * 2022-12-09 2023-07-05 인천광역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KR102597425B1 (ko) * 2022-08-29 2023-11-01 김진남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KR102597489B1 (ko) * 2022-09-30 2023-11-01 김진남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45Y1 (ko) 2002-11-18 2003-02-07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상수도 시설의 유입·유출관 구조
JP2008002209A (ja) * 2006-06-23 2008-01-10 Nippon Foil Mfg Co Ltd 通風孔のカバー部材
KR100966079B1 (ko) 2010-01-05 2010-06-28 박홍규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KR101069800B1 (ko) * 2008-11-10 2011-10-04 주식회사 참신 배관연결용 센터링
KR20120003718U (ko) * 2010-11-19 2012-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KR102226300B1 (ko) *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45Y1 (ko) 2002-11-18 2003-02-07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상수도 시설의 유입·유출관 구조
JP2008002209A (ja) * 2006-06-23 2008-01-10 Nippon Foil Mfg Co Ltd 通風孔のカバー部材
KR101069800B1 (ko) * 2008-11-10 2011-10-04 주식회사 참신 배관연결용 센터링
KR100966079B1 (ko) 2010-01-05 2010-06-28 박홍규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KR20120003718U (ko) * 2010-11-19 2012-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KR102226300B1 (ko) *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708B1 (ko) 2022-02-25 2022-08-0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KR102597425B1 (ko) * 2022-08-29 2023-11-01 김진남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KR102597489B1 (ko) * 2022-09-30 2023-11-01 김진남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551111B1 (ko) * 2022-12-09 2023-07-05 인천광역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KR102533543B1 (ko)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260B1 (ko)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US20140374332A1 (en) Storm water filter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KR102399870B1 (ko) 다면체 여과망 장치
KR102323486B1 (ko) 정수장용 미세 유충 여과장치
KR101473631B1 (ko) 여과식 비점오염 정화 장치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20150138662A (ko) 스크린 맨홀
US10016706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KR101889907B1 (ko)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CN211025327U (zh) 不锈钢外骨架滤芯
KR100369677B1 (ko)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KR101903274B1 (ko) 물 여과장치
CN219744051U (zh) 一种废水过滤净化装置
JPH0711771Y2 (ja) 給排水路用濾過装置
KR100449496B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CN211536734U (zh) 一种水泵防堵栅罩
US5482620A (en) Permeable ditch underwater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JPH1080611A (ja) 鑑賞魚水槽用簡易濾過器
CN211659417U (zh) 一种基于污水处理装置用进水端防堵过滤装置
CN109011735A (zh) 一种污水处理用污水过滤装置
CN215324816U (zh) 一种生活垃圾分类挑选装置
CN219314648U (zh) 一种便于分类的垃圾渗滤液逐级过滤装置
KR200214286Y1 (ko)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CN211948786U (zh) 一种建筑用地漏
CN219660673U (zh) 一种宠物笼的自动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