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496B1 -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496B1
KR100449496B1 KR10-2002-0024368A KR20020024368A KR100449496B1 KR 100449496 B1 KR100449496 B1 KR 100449496B1 KR 20020024368 A KR20020024368 A KR 20020024368A KR 100449496 B1 KR100449496 B1 KR 10044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sewage
lower po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778A (ko
Inventor
이동희
이웅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이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이웅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02-002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4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2Cell-typ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여과관(100)과; 상기 제1여과관(100)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2여과관(110)과; 상기 제2여과관(110)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70)가 형성되며, 결합부가 형성되는 정화부재(130)와; 상기 제1여과관(100)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판(141)(14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찌꺼기를 거르는 여과망(140)과; 상기 제2여과관(110)의 상하단부 인접부에 각각 착탈되게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141)(142)에서 여과하지 못한 미세 찌꺼기를 거르는 중간여과판(150); 그리고, 상기 정화부재(130)의 결합부에 착탈되게 형성되고 오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정화시키는 정화필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를 1차로 분리하여 걸러냄과 동시에 기름기 및 잔류물은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며,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분해가 간단하고 필터 교환 및 음식물 찌꺼기의 훼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apparatus for sewage disposal}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찌꺼기를 1차로 분리하여 걸러냄과 동시에 기름기 및 잔류물은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며,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분해가 간단하고 필터 교환 및 음식물 찌꺼기의 훼수가 용이한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목욕탕,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에는 유기물, 질소, 인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각종 병원성 세균들이 배양되기 쉽다.
따라서, 각종의 생활하수에 포함된 유기물, 질소, 인 등은 제거,정화한 후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종 생활하수는 정화되지 아니한 채로 그대로 방류되어 하천 등의 오염 주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씽크대인 경우에는 식기 등을 그 세척한 물을 여과과정 없이 하수도로 흘려보내며, 세탁기나, 식기세척기 같은 경우에도 세척한 물을 별도의 여과과정 없이 하수도로 바로 방류시킴에 의해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생활하수인 경우 하수종말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천등으로 방류됨에 의해 하천 등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를 유발시켜 적조현상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각 가정 또는 생활오수 발생지역에서의 1차적 하수의 처리,정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 및 오수의 여과장치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81370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바닥홈(112)이 형성된 바닥판부(114)의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양측벽부(116a)(116b)를 가지는 도수관(110)과, 상기 바닥판부(114)의 상부에 덮여지며 판구멍(129)들이 뚫려지는 받침판(120)과, 상기 받침판(120)의 하부로 바닥홈(112)위에 배치되며 관구멍(139)들이 뚫려지는 산기관(130)과, 상기 도수관(110)의전후측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입구망(140) 및 출구망(150)과, 상기 양측벽부(116a)(116b)들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판(170)과, 상기 도수관(110) 내부의 받침판(120)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채워지는 여과재(160)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수관(110)의 내부에는 적절한 간격마다 여과재(160)들은 통과되지 아니하면서 물은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가지는 통수구멍(149)들이 뚫려지는 통수간막이판(145)들을 설치하며, 상기 산기관(130)에 형성되는 관구멍(139)들은 에어콤프레셔에 인접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하여서 되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가정용 하수 및 오수의 여과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호기성 군류가 생육되어 가정에 설치되는 경우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셋째, 장치의 청소 및 세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1차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유기물,기름기 등의 환경오염원을 2차로 여과,정화시켜 배출시키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필터 및 정류망의 교환 및 세척이 용이한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 및 오수 여과장치의 정단면도.
도2 -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 및 오수 여과장치의 측단면도
도3 -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4 - 분해사시도
도5 -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여과관 101 : 유입구
102 : 연결공 110 : 제2여과관
111 : 받침턱 130 : 정화부재
131 : 받침턱 132 : 제1정화부재
133 : 제2정화부재 134 : 제3정화부재
135 : 제4정화부재 136,137,138,139 : 받침턱
140 : 여과망 141 : 제1여과판
142 : 제2여과판 150 : 중간여과판
151 : 제1중간여과판 152 : 제2중간여과판
160 : 정화필터 161 : 제1정화필터
162 : 제2정화필터 163 : 제3정화필터
170 : 배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유입구가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여과관과; 상기 제1여과관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2여과관과; 상기 제2여과관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결합부가 형성되는 정화부재와; 상기 제1여과관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판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찌꺼기를 거르는 여과망과; 상기 제2여과관의 상하단부 인접부에 각각 착탈되게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에서 여과하지 못한 미세 찌꺼기를 거르는 중간여과판; 그리고, 상기 정화부재의 결합부에 착탈되게 형성되고 오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정화시키는 정화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관은 측면에 연결공이 형성되어 외부 배수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4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5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수의 여과장치는 크게 제1여과관(100)과, 제2여과관(110)과, 정화부재(130)와, 여과망(140)과, 중간여과판(150) 그리고 정화필터(160)로 구성된다.
먼저 제1여과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여과관(10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구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개구부는 오수 및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여과관(100)의 하측은 하측으로 가면서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여과망(140)이 삽입되는 경우 여과망(140)이 하측으로 무단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제1여과관(100)의 측면에는 다른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공(102)이 형성되어 필요시 다른 배수구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망(140)은 원통형의 망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여과관(100)의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1여과관(100)에 결합된다.
상기 여과망(140)은 판형상의 제1여과판(141)과 제2여과판(142)이 소정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기 여과망(14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여과판(141)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140)의 대략 중앙지점에 상기 여과망(14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판(141)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여과망(140)으로 유입된 오수 및 음식물 찌꺼기 중 부피가 큰 것을 걸르며 나머지는 관통공을 통하여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여과판(142)은 상기 제1여과판(141) 하측에 상기 제1여과판(141)과 소정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망(14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여과판(142)에도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여과판(141)을 통하여 하측으로 유동된 찌꺼기를 걸래내며 오수는 관통공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여기서 상기 제2여과판(142)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제1여과판(141)에 형성된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큰 음식물 찌꺼기는 제1여과판에서 걸러내고 부피가 작은 음식물 찌꺼기는 제2여과판(142)에서 걸래내며 오수 및 부피가 작은 찌꺼기는 하측으로 흘러 보낸다.
상기 제1여과판(141) 및 제2여과판(142)에 일정량의 음식물 찌꺼기가 모이게 되면 상기 여과망(140) 전체를 꺼내어 음식물 찌꺼기를 버리면 된다.
상기 제1여과관(100)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제2여과관(11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바, 제1여과관(100)의 하단부 인접부 내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여과관(110)의 결합부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제1여과관(100)에 제2여과관(110)이 결합된다.
상기 제2여과관(110)은 상하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여과관(110) 상단부 외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여과관(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됨에 의해 제1여과관(100)과 제2여과관(1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여과관(110)의 상단부 인접부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형상의 받침턱(111)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11) 상면에 후술하는 제1중간여과판(151)이 삽입결합된다.
상기 제1중간여과판(151)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관(110)의 받침턱(111) 상면에 놓여짐에 의해 상기 제2여과관(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중간여과판(151)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제2여과판(142)의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판(142)에서 거르지 못한 찌꺼기를 걸래내며, 거르지 못한 찌거기 및 오수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여과관(110)의 하단 인접부 내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후술하는 정화부재(13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정화부재(130)는 상하부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제2여과관(110)의 하단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여과관(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재(130)의 상단부 인접부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형상의 받침턱(136)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31)에 제2중간여과판(152)이 설치 결합된다.
상기 제2중간여과판(152)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정화부재(130)의 받침턱(131) 상면에 놓여짐에 의해 상기 정화부재(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중간여과판(152)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제1중간여과판(151)의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중간여과판(151)에서 거르지 못한 찌꺼기를 걸래내며, 거르지 못한 오수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1,제2여과판(141)(142) 및 제1,제2중간여과판(151)(152)을 거침에 의해 찌꺼기는 모두 걸러지고 오수만이 정화부재(130)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부재(130)는 상기 여과판들을 통하여 찌꺼기가 걸리진 오수를 정화하여 배출구(170)를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정화부재(130)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부분이 상호간에 나사 결합됨에 의해 착탈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정화부재(130)는 제1,제2,제3,제4정화부재(132)(133)(134)(135)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정화부재(132)는 상하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내측으로 소정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단부 인접부 외주면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관(110)과 나사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2여과관(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정화부재(132)의 상단부 인접내주면에는 받침턱(13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중간여과판(152)이 안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정화부재(133)의 하단부 인접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정화부재(133)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정화부재(133)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인접부 외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정화부재(132)의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인접부 내주면에도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3정화부재(134)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정화부재(133)의 상단부 인접부 내주면에는 내주벽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형상의 받침턱(137)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37) 상면에 후술하는 제1정화필터(161)가 안착 설치된다.
상기 제3정화부재(134)는 상기 제2정화부재(13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정화부재(13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정화부재(134)의 상단 인접부 내주면에는 받침턱(138)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38) 상면에 후술하는 제2정화필터(162)가 안착 설치된다.
상기 제4정화부재(135)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정화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정화부재(135)의 상단 인접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3정화부재(134)의 하단부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4정화부재(135)의 상단 인접부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형상의 받침턱(139)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 (139)상면에 후술하는 제3정화필터(163)가 안착되어 오수를 정화시킨다.
상기 정화필터(160)는 일반적인 정화필터를 사용하며 제1, 제2, 제3정화필터(161)(162)(163)로 구성되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정화필터(161)는 제1정화부재(132)와 제2정화부재(133)의 결합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정화필터(162)는 제2정화부재(133)와 제3정화부재(134)의 결합부에 형성되며, 제3정화필터(163)는 제3정화부재(134)와 제4정화부재(135)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등간격으로 3개의 정화필터(160)가 형성되어 오수를 정화시켜 배출구(170)를 통하여 하수구로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유입구(101)를 통하여 찌꺼기 및 오수가 유입되면 찌꺼기는 상기 제1여과판(141)에서 1차로 걸러지고, 제2여과판(142)에서 2차로 걸러지며, 제1,제2중간여과판(151)(152)을 거치면서 재차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된 찌꺼기는 정화부재(130)로 유입되지 못하고 여과판에서 거의 대부분 걸러진다.
반면에 오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여과판(141)(142) 및 제1,제2중간 여과판(151)(152)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정화부재(130)에 형성된 3개의 정화필터(160)를 차례로 거치게 되면서 정화되어 배출구(17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여과판(141)(142)에 찌꺼기가 쌓이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망(140)을 상기 유입구(101)를 통하여 상측으로 꺼내어 상기 제1,제2여과판(141)(142)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시킨 후 상기 여과망(140)을 원위치 시킨다.
그리고 상기 중간여과판(150)에 찌꺼기가 쌓이는 경우에는 상기 제2여과관(110)을 결합 해제시켜, 상기 제1,제2중간여과판(151)(152)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필터를 교환해야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정화부재(130) 각각을 분리하여 정화부재(130) 결합부 내주면에 형성된 정화필터(160)를 교환 한 후, 새 것으로 다시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찌꺼기 등을 1차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유기물, 기름기 등의 환경오염원을 2차로 여과,정화시켜 배출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필터 및 정류망의 교환 및 세척이 용이하며 찌쩌기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2)

  1. 상부가 개구되어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여과관(100)과;
    상기 제1여과관(100)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2여과관(110)과;
    상기 제2여과관(110)의 하부에 착탈되게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70)가 형성되며, 결합부가 형성되는 정화부재(130)와;
    상기 제1여과관(100)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판(141)(14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찌꺼기를 거르는 여과망(140)과;
    상기 제2여과관(110)의 상하단부 인접부에 각각 착탈되게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141)(142)에서 여과하지 못한 미세 찌꺼기를 거르는 중간여과판(150); 그리고,
    상기 정화부재(130)의 결합부에 착탈되게 형성되고 오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정화시키는 정화필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관(100)은 측면에 연결공(102)이 형성되어 외부 배수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10-2002-0024368A 2002-05-03 2002-05-03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10044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368A KR100449496B1 (ko) 2002-05-03 2002-05-03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368A KR100449496B1 (ko) 2002-05-03 2002-05-03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97U Division KR200283199Y1 (ko) 2002-05-03 2002-05-03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78A KR20020042778A (ko) 2002-06-07
KR100449496B1 true KR100449496B1 (ko) 2004-09-30

Family

ID=2772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368A KR100449496B1 (ko) 2002-05-03 2002-05-03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3B1 (ko) * 2011-08-30 2012-05-25 정수환 계곡수용 정수 처리 장치
KR200475656Y1 (ko) 2013-10-14 2014-12-18 박인춘 싱크대용 기름제거 배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7794A (zh) * 2021-02-08 2021-06-15 山东交通学院 一种混合流体内固态颗粒物自动分离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3B1 (ko) * 2011-08-30 2012-05-25 정수환 계곡수용 정수 처리 장치
KR200475656Y1 (ko) 2013-10-14 2014-12-18 박인춘 싱크대용 기름제거 배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78A (ko) 200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945B1 (ko)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0999413B1 (ko) 생활폐수의 기름 제거장치
US5413705A (en) Filterless drain separator
KR100449496B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200283199Y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US20140166597A1 (en) Filter apparatus and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105939A (ja) 残滓・浮上油・沈殿汚泥回収装置
KR101154027B1 (ko) 악취제거 흡착탑
KR20170029203A (ko) 그리스 트랩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100649145B1 (ko) 오수 정화장치
JP2001003420A (ja) 排水装置
KR200182218Y1 (ko) 분뇨차용탈취기
KR200279811Y1 (ko) 오폐수 정화장치
KR200475656Y1 (ko) 싱크대용 기름제거 배수전
KR200409005Y1 (ko) 오수 정화장치
KR101047494B1 (ko) 하수관을 통과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물
KR890002198Y1 (ko) 음료수 여과기
CN208907047U (zh) 一种可减小过滤阻力的城市污水处理装置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KR200449638Y1 (ko) 가정용 잡배수 전용 정화조
KR200273575Y1 (ko)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200327725Y1 (ko) 가정용 폐수 정화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