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203A - 그리스 트랩 - Google Patents

그리스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203A
KR20170029203A KR1020150126222A KR20150126222A KR20170029203A KR 20170029203 A KR20170029203 A KR 20170029203A KR 1020150126222 A KR1020150126222 A KR 1020150126222A KR 20150126222 A KR20150126222 A KR 20150126222A KR 20170029203 A KR20170029203 A KR 2017002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horizontal
tub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113B1 (ko
Inventor
남홍선
Original Assignee
남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홍선 filed Critical 남홍선
Priority to KR102015012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은, 상부가 개구되어 뚜껑으로 개폐되되 일 측벽이 유입관과 연결되고 대향 측벽이 유출관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격벽; 상기 유입관 측벽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거름망; 상기 하우징 내부 일 측에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리막; 하단 개구부가 배수에 잠기는 수직관과, 일 단이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을 포함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관은,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는 일 단측 부위에서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봉수 마루와, 상기 봉수 마루를 월류한 배수를 상기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를 포함하는 트랩보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리스 트랩{Grease Trap}
본 발명은 신규하고 간단한 구조의 배수 어셈블리를 적용하여 적정한 봉수 깊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안정적으로 예방하고, 갑자기 많은 양의 주방 오수가 유입되더라도 유속에 의해 유지분과 슬러지를 유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그리스 트랩 하우징이 수용할 수 있는 오수 용량의 수위를 적정 수준으로 확보함으로써 하우징의 실질적인 크기에 대비하여 높은 효율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에 관한 것이다.
그리스 트랩은 호텔, 레스토랑, 일반음식점, 병원, 학교, 식품가공공장 등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모든 주방에서 조리준비, 조리나 설거지 등의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허드렛물을 주방 밖으로 배출하는 배관 앞에 접속한 것으로, 배수 안에 녹은 지방류가 배수관 내벽에 부착되어 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배수에 함유되어 있는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분을 분리 및 응결시켜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리스 트랩은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수 안에 포함된 각종 유지분을 비중 차를 이용하여 물로부터 자연 부상시켜 분리하는 설비로서, 배수관, 정화조, 공용하수관, 하수처리장, 하천까지의 배수 계통에서 유지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한다.
그리스 트랩에 관련한 선행 기술로는, 한국 등록 특허 제 10-1096495 호가 있다. 상기 기술은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크기가 커다란 이물질을 제거하고 여과되지 않은 작은 이물질과 유지는 와류를 이용하여 부유시켜 작은 이물질이 유지에 엉겨 붙어서 덩어리로 만들고 유지 접촉재로 흡착시켜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서, 필터 바스켓 부재와 유지 분산 부재, 유지 접촉재, 유지 바스켓을 포함하여 단계적으로 유지를 모두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술은 유지를 모두 회수하기 위해 다양한 분리 수단을 이용한 것에는 특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조집기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시, 상기 조집기는 그 크기가 매우 커서 제작 비용이 비싸고 설치를 위한 필요 공간도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깊이가 얕은 소형으로 이용되기 어려워 이용 상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하부가 오수에 잠기는 형태의 배출구를 구비하기는 하였으나, 선행 기술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배출구를 구현하면 봉수 깊이가 너무 얕아 갑작스런 오수 유입 시 유속에 의한 유지분, 슬러지의 유출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악취나 벌레 등의 유입 가능성도 매우 높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5462744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조집기의 용기 본체에, 배수가 흘러 들어가는 바스켓을 설치한 제 1 분리실과, 물과 기름의 비중차를 이용해 유지분을 부상 분리시키는 제 2 분리실, 배수 유출 하부로부터의 냄새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부를 구비한 조집기로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배수 유출부에 위치되어 봉수심D를 가져 상기 배수 유출부의 하부보다 낮게 위치하는 하단이 용기 본체 내의 배수에 잠겨 상기 배수 유출부에 배수를 안내하는 위요 형상으로서, 상단이 상기 배수 유출부의 하부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내의 배수의 표준 수위면을 결정하는 흙받이 널로서, 상기 흙받이 널은 배수 유출부의 내경 보다 큰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는 엘보우관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통상의 배수 트랩의 형상을 특화한 것으로, 배수 트랩을 상자 형상으로 구현한 후 그 내부에 흙받이 널을 구비하도록 하여 표준 수위면을 높게 설정하기는 하나, 상기 흙받이 널은 격벽 수준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순한 구조에 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과 맞닿은 지지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이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어 배수 유출부 측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상기 특허를 당업자가 실현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랩을 스테인리스, FRP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제작 가능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재질로 소제구를 별도로 형성하는데 큰 비용이 발생하며, 연결관의 수밀한 접속을 위해 별도의 부재들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폴리염화비닐로 제작 시 사출성형에 있어 구조적으로 금형제작이 곤란하여 일체형 제작이 어려우며, 폴리프로필렌으로 블로우 성형 시 개구 부분이 3군데로 구성되어 금형 제작 자체가 고가이고 제작한다 하더라도 성형 후 후가공이 많아져 전체 제작비용이 커진다.
또한 상기의 선행 기술은, 흙받이 널이 배수 유출부의 내경보다 큰 폭을 가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했으나, 이는 그리스 트랩의 기능을 고려하였을 때 유속으로 인한 불순물 유출을 막기 위해 당연히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고, 오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사이즈에 비해 오수 처리 용량이 커지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며, 나아가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그리스 트랩의 개발 및 상용화가 매우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봉수 깊이를 깊게 형성하여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깊이가 얕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도 오수의 처리 용량은 극대화되어 소형 음식점 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설치 및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제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신규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유지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슬러지도 더욱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신규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유지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슬러지도 더욱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은, 상부가 개구되어 뚜껑으로 개폐되되 일 측벽이 유입관과 연결되고 대향 측벽이 유출관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격벽; 상기 유입관 측벽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거름망; 상기 하우징 내부 일 측에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리막; 하단 개구부가 배수에 잠기는 수직관과, 일 단이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을 포함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관은,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는 일 단측 부위에서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봉수 마루와, 상기 봉수 마루를 월류한 배수를 상기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를 포함하는 트랩보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수 마루는 상기 수평관의 상기 수직관 측단에서 외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직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봉수 마루에서부터 상기 수평관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랩보는, 선단이 상기 봉수 마루에 의해 막히고,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부는 월류된 배수의 유입이 가능토록 개구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은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트랩보는 상기 수평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과 상기 트랩보 사이에 배수 유입 공간을 형성하여 배수가 상기 봉수 마루와 상기 가이드로의 상단을 모두 월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봉수 마루의 상단면에서 상기 수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부상 분리된 유지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상부에 형성된 유지 분리막과, 바닥에 침전된 음식물 슬러지의 흐름을 차단하고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러지 트랩은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 바구니 형상으로 세 측벽이 상기 하우징 내벽과 맞닿도록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맞닿지 않는 일 측벽의 상단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연장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연장 끝단에서 상기 수납부 측으로 절곡 연장된 가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탈착 가능하고 조밀한 메쉬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수 어셈블리는 배수의 흐름이 가능한 메쉬 구조의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 탈착되되, 상기 바닥면에는 담체 보관 공간이 마련된 정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담체 보관 공간에는, 표면 개질 활성탄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은,
1) 깊이가 얕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도 오수의 처리 용량은 극대화되어 소형 음식점 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설치 및 이용될 수 있고,
2) 깊이가 얕은 소형 그리스 트랩에서도 봉수 깊이를 깊게 형성하여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3) 종래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제품을 활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함과 동시에,
4) 유지뿐만 아니라 음식물 슬러지도 더욱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러지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그리스 트랩은 하우징(100), 격벽(200), 거름망(300), 유지 분리막(410), 슬러지 트랩(420) 및 배수 어셈블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각 구성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의 용기 형상으로, 일 측벽에 유입관(1)과 연결되는 통공(100a)을 구비하고, 타 측벽에 유출관(2)과 연결되는 통공(100a)을 구비한 것이다. 즉, 일 측이 유입관(1)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1)을 통해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유지를 부상 분리시키며, 유지가 부상 분리된 배수가 유입관(1)이 연결된 측의 대향 측과 연결된 유출관(2)을 통해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원활한 배수 흐름을 위해 상기 유출관(2)은 상기 유입관(1)보다 소폭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별도로 구비된 뚜껑(110)을 매개로 상부가 개폐되도록 설계하여 부상 분리된 유지 처리, 청소 등의 위생 관리가 수월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뚜껑(110)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할 유지 분리막(4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이 구획될 수 있는바, 공간 별로 구비하여 공간마다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격벽(200)은, 상기 유입관(1)이 형성된 일 측벽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일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는 하우징(100)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오수의 유동 경로를 보장한다. 상기 격벽(200)은 후술할 거름망(300)을 거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거름망(300)을 통과한 오수의 수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격벽(200)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하우징(100)의 위생 관리를 위해 조립식으로 탈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300)은, 상기 유입관(1)으로부터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상기 하우징(100)으로 최초 유입되어 하강하는 부위, 즉 상기 일 측벽과 상기 격벽(200) 사이에 배치된 타공 형성된 메쉬망으로, 최초의 오수에 함유된 비교적 입자가 큰 불순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거름망(300)은 일반적으로 3파이 또는 5파이 타공망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거름망(300)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일 측벽과 상기 격벽(200)에는 상기 거름망(300)이 배치되는 부위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 등의 지지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거름망(300)의 상측 양 단에는 상기 지지 수단과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300)이 상기 일 측벽과 상기 격벽(200) 사이에 고정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걸림 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지 분리막(410)은, 하우징(100) 내부 일 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200)에서 오수 흐름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부위에 상기 격벽(200)과 평행하게, 즉 오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조립 형성되는 것으로, 부상 분리된 유지가 오수 흐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격벽(200)과 같은 구조로 상부에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지 분리막(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하우징(100) 길이가 매우 짧게 형성된 소형 그리스 트랩에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생략된 경우 상기 유지 분리막(410)의 역할은 후술할 수직관(510)이 대신하게 된다.
슬러지 트랩(420)은, 바닥에 침전된 음식물 슬러지의 흐름을 차단하고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하우징(100) 바닥면에서부터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하부에 형성되되 유지가 부상된 부위까지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러지 트랩(420)은 상기 격벽(200)에서 오수 흐름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 배치하고 그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부위, 즉 유출관(2)과 더욱 가까운 거리에 상기 유지 분리막(410)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상술한 방식으로 배치된 상기 슬러지 트랩(420)과 상기 유지 분리막(410)으로 인해 유속이 매우 느려짐에 따라 오수의 유지가 자연 부상 분리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 어셈블리(500)는, 슬러지 트랩(420)과 유지 분리막(410)으로 인해 마련된 공간을 통해 유지가 부상 분리된 배수가 상기 유출관(2)을 통해 유출됨에 있어서, 봉수를 깊게 형성하여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오수의 처리 용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배수 어셈블리(500)는 크게 하단 개구부가 배수에 잠기는 수직관(510)과, 일 단이 수직관(510)과 연결되고 타 단이 유출관(2)과 연결되는 수평관(52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직관(510)의 하부가 배수에 잠기도록 배치됨으로써 봉수가 형성되어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510) 및 수평관(520)은 위생 관리 등의 이유로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관(510)의 상부에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조립 형성된 소제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5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규격화되어 용이하게 제작되고 있는 T관과 소제구(511)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특히 하우징의 깊이가 비교적 얕은 경우에는 90도 엘보우관이 이용될 수 있는바, 상기 T관과 엘보우관과 같이 하부가 배수에 잠기고 상부 일 측은 상기 수평관(5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어떠한 형상도 이용 가능하며, 이처럼 기존에 규격화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간편하게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510)에서 수평관(520)과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수평관(520)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끼움식, 결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배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수밀하게 접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평관(520)은 일 단이 상기 수직관(510)과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된 통공(100a)을 관통하여 하우징 외측에 배치된 유출관(2)과 수밀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관(520)은 특히 소형의 그리스 트랩에 적용될 때 봉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기 위하여 트랩보(521)가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트랩보(521)는 봉수 마루(521a)와 가이드로(521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봉수 마루(521a)는, 상기 수직관(510)과 연결되는 일 단측 부위에서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것이다. 이 때 형성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관(520)의 수직관(510) 측 단에서 수평관(52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부위로 상기 수직관(5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즉, 상기 트랩보(521)가 상기 수평관(5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520)의 양 단에서 돌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그 높이는 상기 수평관(520)의 중심 부위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수평관(520)의 내측 단면에 수납될 수 있는 수준에서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그 외 다각형 등 어떤 형상이어도 무방할 것이나, 배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이드로(521b)는 상기 봉수 마루(521a)를 월류하여 넘어 흐르는 배수를 상기 유출관(2)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봉수 마루(521a)에서부터 상기 수평관(52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 끝단이 유출관(2)과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로(521b)는 상기 봉수 마루(521a)의 상단면을 제외한 부위를 따라, 즉 반원으로 이루어질 경우 반원의 호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관(5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연장 끝단은 상기 유출관(2)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521b)는 보다 원활히 배수가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변형 실시예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로(521b)의 끝단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로(521b)의 측단에서 원통형의 관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유출관(2)과 연결되는 유출 연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출 연결부(522)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 구비된 통공(100a)을 관통하여 유출관(2)과 연결되어, 본 발명의 그리스 트랩을 통과한 배수가 외부로 최종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로(521b)의 변형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로(521b)는 상기 봉수 마루(521a)의 상단면에서 상기 수평관(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테이퍼부(521b(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퍼부(521b(1))는 상기 봉수 마루(521a)의 반원의 지름 부위에서부터 중력 방향으로 일정 각도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폭도 연장될수록 좁아지며 상기 가이드로(521b)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봉수 마루(521a)를 월류한 배수가 유출관(2) 측으로 보다 수월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521b(1))가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배수 어셈블리(500)는 보다 안정적인 배수 유속을 확보하여 본 발명의 그리스 트랩의 처리 용량을 더욱 높이고 악취와 해충의 역류를 방지하며 배수에 음식물 슬러지가 휘말려 쓸려가는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트랩보(521)는, 선단이 상기 봉수 마루(521a)에 의해 막혀 봉수 깊이를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유출관(2)과 연결되며 상부는 월류된 배수의 유입이 가능토록 개구된 형상이다.
특히, 상기 트랩보(521)의 단면은 상기 수평관(520)의 단면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배수가 봉수 마루(521a)만을 월류하는 것보다 상기 가이드로(521b)의 상단을 모두 월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관(520)과 상기 트랩보(521) 사이에 배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 제공됨으로써 배수의 흐름을 촉진하여 배수의 유속이 필요 이상으로 변동되는 것을 예방하고, 나아가 상기 하우징(100)의 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다. 상기 트랩보(521)의 크기는 유출관(2)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바, 가장 효율적인 배수 흐름을 설계하기 위해서, 유출관(2)과 유사한 직경으로 상기 트랩보(521)를 구현하고, 그에 따라 상기 트랩보(5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수평관(5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랩보(521)의 단면 및 봉수 마루(521a)가 상기 수평관(520)의 단면보다 작도록 형성된 경우, 필수적으로 트랩보(521)가 상기 수평관(520)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봉수 마루(521a)가 상기 수평관(520)의 일 단에서 돌출 이격되어야 할 것인바, 이는 수평관(520)과 트랩보(521)의 구경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이 충분히 넓지 않아, 트랩보(521) 월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트랩보(521)는, 도면과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반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개구된 박스 형태, 반 육각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되어도 본 발명의 트랩보(521)의 구성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배수 어셈블리(500)에는 추가적으로 정수 필터(512)가 구비될 수 있는바, 상기 정수 필터(5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510)의 하부에 탈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정수 필터(512)는, 배수의 흐름이 가능한 메쉬 구조의 바닥면을 구비하되 상기 바닥면은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활성탄 등의 담체 등이 수납될 수 있는 담체 보관 공간(512a)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수직관(510)의 하부에 끼움 조립식으로 탈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바닥면은 섬유 재질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담체 보관 공간(512a)에는 활성탄이나 염소 담체, 불소 담체 등이 보관될 수 있을 것인데, 특히 활성탄이 이용될 경우, 다양한 화학적 물질의 흡착이 용이토록 하고 비교적 입자가 큰 음식물 유래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활성탄은 분말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 등 다양한 형상의 활성탄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활성탄을 산화제에 함침시키고 세척한 후 건조하여 표면에 산성 기능기를 증가시키고, 활성탄을 고열에서 탄화 처리하여 표면에 물리적 다공을 최대한 많이 형성시킨 표면 개질 활성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수 필터(51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슬러지 트랩(420), 유지 분리막(410)을 거치며 슬러지와 유지가 1차적으로 분리 제거된 배수를 한번 더 정수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보다 주방에서 배출된 오수가 보다 깨끗한 상태로 유출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슬러지 트랩(420)은 더욱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외부로 수거 배출하기 위해 신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러지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슬러지 트랩(42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러지 트랩(420)은 크게 수납부(421)와 수평 연장부(422), 수직 연장부(423) 및 가드부(424)를 포함한다.
수납부(421)는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의 바구니 형상, 즉 직육면체에서 상면이 제거된 형상으로, 네 개의 측벽 중 세 측벽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과 맞닿을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다. 즉, 상기 수납부(421)의 세 측벽은 상기 하우징(100)에서 유입관(1)과 연결되는 일 측벽과, 상기 일 측벽과 수직하게 연결된 전면 및 후면 측벽의 일부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된다. 그 길이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 측벽에서부터 상기 격벽(200)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들과 맞닿지 않는 일 측벽이 상기 격벽(200)에서 오수 흐름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부(421)는 음식물 슬러지가 실질적으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421)의 바닥면은 매우 조밀한 메쉬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납부(421)의 네 측벽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추후 상기 수납부(421)가 청소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들어올려져 분리될 때 물이 상기 수납부(42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러지가 뒤엉킨 바닥면을 위생적으로 청소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쉬 소재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된 통상의 메쉬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보다 촘촘하게 슬러지를 걸러내고 더욱 편리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 등의 질긴 섬유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평 연장부(422)는 상기 수납부(421)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과 맞닿지 않는 측벽의 상단에서 상기 수납부(421)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를 뜻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 연장부(422)와 상기 수납부(421)에 의해 마련되는 슬러지 수납 공간(421a)에 상기 음식물 슬러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수직 연장부(423)는 상기 수평 연장부(422)의 연장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것이고, 가드부(424)는 상기 수직 연장부(423)의 연장 끝단에서 수납부(421) 측으로 절곡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수직 연장부(423) 및 가드부(424)에 의해 오수 흐름 방향을 따라 흘러오던 음식물 슬러지의 진행이 차단되고 이 후 하부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안내되며, 가라앉은 음식물 슬러지는 상기 유입관(1)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압력에 의해 슬러지 수납 공간(421a)으로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신규한 구조로 구현된 슬러지 트랩(420)은 손잡이(425)를 별도로 장착할 수 있는바, 상기 손잡이(425)는 상기 슬러지 트랩(420)의 상면 일 측, 즉 상기 가드부(424)의 일 측 또는 수평 연장부(422)의 일 측과 연결되어 상부 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뚜껑(110)을 연 후 격벽(200)을 조립 제거한 후 상기 손잡이(425)를 이용해 상기 슬러지 트랩(420)을 하우징(100) 외부로 꺼냄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음식물 슬러지 처리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납부(421)에 음식물 슬러지와 함께 수납된 물은 메쉬 소재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가볍고 간편하게 상기 슬러지 트랩(42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트랩의 구성과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유입관 2: 유출관
100: 하우징 100a: 통공
110: 뚜껑 200: 격벽
300: 거름망 410: 유지 분리막
420: 슬러지 트랩 421: 수납부
421a: 슬러지 수납 공간 422: 수평 연장부
423: 수직 연장부 424: 가드부
425: 손잡이 500: 배수 어셈블리
510: 수직관 511: 소제구
512: 정수 필터 512a: 담체 보관 공간
520: 수평관 521: 트랩보
521a: 봉수 마루 521b: 가이드로
521b(1): 테이퍼부 522: 유출 연결부

Claims (9)

  1. 그리스 트랩으로서,
    상부가 개구되어 뚜껑으로 개폐되되 일 측벽이 유입관과 연결되고 대향 측벽이 유출관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격벽;
    상기 유입관 측벽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거름망;
    하단 개구부가 배수에 잠기는 수직관과, 일 단이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을 포함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관은,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는 일 단측 부위에서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봉수 마루와, 상기 봉수 마루를 월류한 배수를 상기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를 포함하는 트랩보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마루는,
    상기 수평관의 상기 수직관 측단에서 외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직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봉수 마루에서부터 상기 수평관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랩보는,
    선단이 상기 봉수 마루에 의해 막히고,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부는 월류된 배수의 유입이 가능토록 개구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과 상기 수평관은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보는 상기 수평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과 상기 트랩보 사이에 배수 유입 공간을 형성하여 배수가 상기 봉수 마루와 상기 가이드로의 상단을 모두 월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봉수 마루의 상단면에서 상기 수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트랩은,
    바닥에 침전된 음식물 슬러지의 흐름을 차단하고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배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트랩은,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 바구니 형상으로 세 측벽이 상기 하우징 내벽과 맞닿도록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맞닿지 않는 일 측벽의 상단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연장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연장 끝단에서 상기 수납부 측으로 절곡 연장된 가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탈착 가능한 조밀한 메쉬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어셈블리는,
    배수의 흐름이 가능한 메쉬 구조의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서 탈착되되, 상기 바닥면에는 담체 보관 공간이 마련된 정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보관 공간에는,
    표면 개질 활성탄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트랩.
KR1020150126222A 2015-09-07 2015-09-07 그리스 트랩 KR10175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22A KR101755113B1 (ko) 2015-09-07 2015-09-07 그리스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22A KR101755113B1 (ko) 2015-09-07 2015-09-07 그리스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03A true KR20170029203A (ko) 2017-03-15
KR101755113B1 KR101755113B1 (ko) 2017-07-06

Family

ID=584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222A KR101755113B1 (ko) 2015-09-07 2015-09-07 그리스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2577A (zh) * 2018-01-09 2018-05-08 河南城建学院 一种含油工业废水处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272B1 (ko) 2023-12-29 2024-03-29 심영석 폐유지가 포함된 폐수의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755A (ja) * 2001-09-14 2003-03-19 Hitachi Metals Ltd グリーストラップ
KR101132310B1 (ko) * 2009-12-29 2012-04-05 임장혁 이중 래버린스보
JP5462744B2 (ja) * 2010-08-26 2014-04-02 ホーコス株式会社 阻集器
KR101353039B1 (ko) * 2011-08-26 2014-01-21 남기윤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2577A (zh) * 2018-01-09 2018-05-08 河南城建学院 一种含油工业废水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113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101469006B1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CN108423890A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KR101685511B1 (ko) 생활 하수 유수 분리 여과조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CN105060356A (zh) 一种厨房用污水处理装置
KR102061912B1 (ko) 배수구 거름장치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CN206437985U (zh) 污水处理装置
US9908268B2 (en) Baffle tank for filtering a fluid and a method of forming the baffle tank
KR20090033570A (ko)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KR101289688B1 (ko)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KR820001697Y1 (ko) 가정용 폐수 처리조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CN205170412U (zh) 一种厨房用污水处理装置
KR200475656Y1 (ko) 싱크대용 기름제거 배수전
KR100449496B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101146125B1 (ko)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CN209900816U (zh) 一种收集垃圾沥水挂袋器
KR101746832B1 (ko) 그리스 트랩의 오수 정화장치
KR960005431Y1 (ko) 맨 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