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12B1 - 배수구 거름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12B1
KR102061912B1 KR1020180004171A KR20180004171A KR102061912B1 KR 102061912 B1 KR102061912 B1 KR 102061912B1 KR 1020180004171 A KR1020180004171 A KR 1020180004171A KR 20180004171 A KR20180004171 A KR 20180004171A KR 102061912 B1 KR102061912 B1 KR 10206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ilter
food wast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090A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102018000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특히,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싱크대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거기를 여과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수구 거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구 거름장치{Filters for drainage}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되는 폐수 중에 함유된 음식물찌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배수장치들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특히,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Sink)대는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어 각종 그릇 등의 주방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주방설비의 하나로서, 세척수를 공급받아 주방용기를 세척한 후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배수구를 가진다.
상기에서 배수구는, 주방용기를 세척하는 세척조의 바닥면에 접속되면서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에 저장된 세척액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수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쓰레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거름망이 탈착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싱크대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일반적인 구조는 싱크대 바닥면의 중앙에 하측 방향으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측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는 사용된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는 거름망 커버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면 상기 거름망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는 걸러지게되고, 세척수만 배수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거름망은 음식물 등의 오물을 배수구를 통해 그대로 배출시키지 않고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주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름망은 항상 습하고 음식물과 같은 오물이 채워지게 되므로 인해 세균이 번식할뿐만 아니라 세균에 의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름망 내에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름망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마다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하여야만 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31307호(명칭: 싱크대 배수구 거름망 커버/2006.12.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거름망의 입구에 설치되는 거름망 커버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물빠짐 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된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51274호(명칭: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2012.05.1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부 둘레와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180도 회전이 가능한 손잡이로 구성되는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이 도포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단 및 하단이 원뿔 형상으로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석영관체가 관통되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석영관체가 장착된 본체 바닥면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면을 통과한 석영관체에 끼워져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7563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일회용 거름망/2014.10.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용기형상을 가지며, 바닥 및 측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거름망본체; 및 상기 거름망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망본체와 걸림턱은 표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펄프보드로 성형되거나 또는 생분해성 성형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3330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2016.03.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관형부의 내경을 상기 다공 바닥판과 상기 플랜지의 내경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의 상단 테두리과 하단 테두리가 확경되어서 상기 다공 바닥판의 요부와 상기 플랜지의 요부에 삽입되는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31307호(명칭: 싱크대 배수구 거름망 커버/2006.12.08.)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51274호(명칭: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2012.05.15.) 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7563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일회용 거름망/2014.10.17.)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3330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2016.03.2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 거름장치들은, 싱크대에 결속되는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따라 각가가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적용하여야만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내부에 거름된 음식물찌꺼기가 바닥면에 적체되어 제거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 상단의 개구에서 바닥면 사이의 길이에 따른 이격거리에 의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접착성이 높은 음식물찌꺼기의 특성에 의해 바닥면에 접착된 음식물찌꺼기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않아, 장시간 사용시 악취가 발생되는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특히,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거기를 여과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는, 상부몸체와 연결관 및 하부컵들이 각각 상하로 안내되면서 연결되어 상부몸체의 상단과 하부컵의 하단과의 사이간격을 배수관의 깊에 맞춤되게 형성할 수 있어,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할 때, 상부몸체와 연결관 및 하부컵을 접어서 하부컵의 바닥면과 상부몸체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하여 제거할 수 있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몸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싱크대(100)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10)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거기를 여과하도록 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싱크대(100)에서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면 음식물찌꺼기는 걸러지게되고, 세척수만 상기 배수관(10)의 하부에 결속된 배수호스(11)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구로 음식물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21)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2)와;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3)과; 상기 연결관(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이 각각 상하로 안내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과 상기 하부컵(4)의 하단과의 사이간격을 상기 배수관(10)의 깊에 맞춤되게 형성할 수 있어, 배수구를 구성하는 상기 배수관(10)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다.
아울러,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할 때,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을 접어서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과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하여 제거할 수 있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에서 연결관(3)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수개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에서,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과 상기 연결관(3)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플랜지(5)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의 상단과 상기 하부컵(4)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플랜지(5)의 상면에 거치되면서 지지되어 안착되는 안착플랜지(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내측에 상기 연결관(3)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용되고, 상기 연결관(3)의 하단내측에 상기 하부컵(4)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5)들의 상면에 상기 안착플랜지(6)들의 저면이 밀착되면서 지지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하부로 상기 연결관(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연결관(3)의 하부로 상기 하부컵(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과 상기 하부컵(4)이 안정적으로 지지 수용된다.
상기에서 지지플랜지(5)와 상기 안착플랜지(6)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플랜지(6)의 상면에 세척수 및 음식물찌꺼기가 적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플랜지(5)와 상기 안착플랜지(6)들의 경사각은, 30~60°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0)의 배수공에 관접하여 고정되어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관(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몸체(2)의 플랜지(21)가 거치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배수관(10)의 하부에는, 미도시된 하수관로와 연결되는 배수호스(11)가 연결되어 세척수를 하수관로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가 상기 배수관(10)에 거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주방용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수가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중에 세척수는 상기 여과공(H))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되고, 세척수에 함유된 음식물찌꺼기 등과 같은 고형물은, 여과되어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적체되면서 거름 처리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내부에 여과되어 저장된 음식물찌거기를 분리하여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10)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를 분리하고,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을 접어서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과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한 후, 상기 하부컵(4)에 수용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내부에 적체된 음식물찌꺼기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몸체(2)의 플랜지(21)를 거치하면서 고정하면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를 구성하는 상부몸체(2)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에서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내측면에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돌부(22)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돌부(22)를을 통해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장돌부(22)는,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내측면에서 절곡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몸체(2)의 내측으로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각각 수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돌부(22)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거름장치 10 : 배수관
11 : 배수호스 100 : 싱크대
2 : 상부몸체 21 : 플랜지
22 : 연장돌부 3 : 연결관
4 : 하부컵 5 : 지지플랜지
6 : 안착플랜지 H : 여과공

Claims (1)

  1. 싱크대(100)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10)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21)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2)와;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3)과; 상기 연결관(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된 배수구 거름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은,
    다수개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과 상기 연결관(3)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플랜지(5)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의 상단과 상기 하부컵(4)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플랜지(5)의 상면에 거치되면서 지지되어 안착되는 안착플랜지(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내측에 상기 연결관(3)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용되고;
    상기 지지플랜지(5)와 상기 안착플랜지(6)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거름장치.
KR1020180004171A 2018-01-12 2018-01-12 배수구 거름장치 KR10206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71A KR102061912B1 (ko) 2018-01-12 2018-01-12 배수구 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71A KR102061912B1 (ko) 2018-01-12 2018-01-12 배수구 거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90A KR20190086090A (ko) 2019-07-22
KR102061912B1 true KR102061912B1 (ko) 2020-01-02

Family

ID=6746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71A KR102061912B1 (ko) 2018-01-12 2018-01-12 배수구 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73B1 (ko) 2021-07-14 2022-10-21 김영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383A (zh) * 2019-10-11 2020-01-17 中物合(宁波)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雨水井过滤装置的滤桶结构
KR102251011B1 (ko) * 2020-01-06 2021-05-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배수구용 거름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248Y1 (ko) 2001-03-15 2001-10-08 노성훈 동재질을 이용한 하수구 정화 장치
US6387261B1 (en) 1998-09-15 2002-05-14 Gregory Mojena Serviceable filter with bypass
US20020070151A1 (en) 2000-12-08 2002-06-13 Lee Houk Floor sink filter basket
KR200319726Y1 (ko) 2003-04-08 2003-07-16 고승욱 우산커버
KR100886487B1 (ko) 2008-11-25 2009-03-10 오정준 건축 주방 기구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274A (ko) 2010-11-12 2012-05-22 채상우 터치 감지영역모양 입력장치용 감지영역모양
KR102264473B1 (ko) 2014-09-17 2021-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261B1 (en) 1998-09-15 2002-05-14 Gregory Mojena Serviceable filter with bypass
US20020070151A1 (en) 2000-12-08 2002-06-13 Lee Houk Floor sink filter basket
KR200246248Y1 (ko) 2001-03-15 2001-10-08 노성훈 동재질을 이용한 하수구 정화 장치
KR200319726Y1 (ko) 2003-04-08 2003-07-16 고승욱 우산커버
KR100886487B1 (ko) 2008-11-25 2009-03-10 오정준 건축 주방 기구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73B1 (ko) 2021-07-14 2022-10-21 김영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90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912B1 (ko) 배수구 거름장치
JP5442433B2 (ja) シンク台用排水装置
AU745922B2 (en) Waste outlet
KR20130127619A (ko)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
KR101469006B1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101686959B1 (ko) 트랩 착탈식 오수받이
CN108483699B (zh) 一种厨房污水收集净化装置
KR101259177B1 (ko)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JP2010275717A (ja) 排水目皿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JP5573000B2 (ja) 排水目皿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JPH0712459Y2 (ja) 排水桝装置
KR20180126204A (ko) 씽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커버
CN201158848Y (zh) 一种洗脸盆下水二次利用过滤器
JPH0687474U (ja) 流し台の排水装置
KR200257167Y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JP2004244873A (ja) 分解洗浄が容易な集合枡
KR200262240Y1 (ko) 일회용 씽크대 오물수거망
GB2456579A (en) A plug hole str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