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273B1 -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273B1
KR102458273B1 KR1020210092523A KR20210092523A KR102458273B1 KR 102458273 B1 KR102458273 B1 KR 102458273B1 KR 1020210092523 A KR1020210092523 A KR 1020210092523A KR 20210092523 A KR20210092523 A KR 20210092523A KR 102458273 B1 KR102458273 B1 KR 10245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r
drain hole
body fram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자
Original Assignee
김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자 filed Critical 김영자
Priority to KR102021009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싱크대의 배수구 내측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는 것으로, 배수구에 설치되도록 배수구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중공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도록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되는 필터망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필터망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본 발명은 개폐부재를 조작하여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는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를 수 있도록 거름망이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여 원통형 몸체의 옆면과 바닥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물은 배수공을 통해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는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종래기술에 따른 거름망은 거름망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때 사용자가 거름망을 들어올려 거름망을 뒤집어야 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오염된 몸체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있었고, 이 때 음식물 쓰레기가 사용자의 손에 묻는 등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거름망에 타격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털어내게 되는데, 이 때, 음식물 쓰레기가 사방으로 튀어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디자인공보 제30-1037316호, 2019.12.11.자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1912호, 2019.12.26.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거름망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때 거름망을 뒤집어 타격하지 않아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부를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싱크대의 배수구 내측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는 것으로, 배수구에 설치되도록 배수구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중공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도록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되는 필터망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필터망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사용시 필터망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을 뒤집어 타격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개폐부재를 조작하여 필터망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개방된 필터망 하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망 하부를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 후에 간편하게 봉재섬유을 봉재홀에 다시 통과시켜 필터망 하부를 폐쇄할 수 있어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필터망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은 싱크대의 배수구(A)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배수구(A)의 내측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B)를 모으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00), 필터망(200) 및 개폐부재(300)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0)은 싱크대의 배수구(A)에 설치되도록 배수구(A)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중공이 형성된다.
본체프레임(100)은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손잡이(11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파지하여 편리하게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110)는 상향 절곡되는 구조로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10)는 본체프레임(110)의 타측에 구비되고 본체프레임(110)을 배수구(A)에 설치한 상태에서 배수구(A)의 주연에 밀착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110)가 배수구(A)의 주연에 밀착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면 손잡이(110)가 배수구(A)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잡이(110)를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잡이(110)와 배수구(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음식물 쓰레기(B)가 배수구(A) 내측으로 향할 때 손잡이(110)와 배수구(A)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B)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망(200)은 본체프레임(100)의 중공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B)를 모으도록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하부가 개구되는 것이다.
필터망(200)은 상부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상단부가 본체프레임(100)의 내주를 따라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필터망(200)은 물과 함께 본체프레임(100)의 중공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B)는 모으되, 물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옆면에 복수 개의 배수공(21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필터망(200)은 기계적 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필터망(200)이 섬유로 이루어지면 보다 후술할 봉재섬유(340)를 이용하여 필터망(200)의 하부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재(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필터망(200)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이다.
개폐부재(300)는 봉재홀(310), 천공홀(320), 홀가이드(330), 봉재섬유(340), 파지편(350) 및 가이드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봉재홀(310)은 필터망(200) 하부에 좌우 너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봉재홀(310)은 봉재섬유(340)가 통과함에 따라 필터망의 하부(200)를 봉착함으로써 폐쇄할 수 있도록 필터망 하부(200)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봉재홀(310)은 필터망(200) 하부 좌우 너비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필터망(200)의 일면에 하나의 봉재홀(310)이 형성되면 타면에 이와 대응되는 봉재홀(31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봉재홀(310)은 필터망(20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하나씩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봉재홀(310)이 필터망(200)의 일면과 타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하나씩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면 봉재섬유(340)가 한 쌍의 봉재홀(310)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과, 이웃한 한 쌍의 봉재홀(310)을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반복함에 따라 필터망(200)의 하부가 봉착되어 폐쇄될 수 있다.
천공홀(320)은 본체프레임(100)의 타측에 천공되어 봉재섬유(340)가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천공홀(320)은 봉재섬유(340)의 통과가 가능하고 파지편(350)과 가이드핀(360)의 통과는 방지하는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천공홀(320)은 봉재섬유(340)의 직경보다는 크고 파지편(350)과 가이드핀(36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천공홀(320)이 파지편(350)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면 파지편(350)이 천공홀(320)을 통해 본체프레임(1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공홀(320)이 가이드핀(360)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면 사용자가 필터망(200)의 하부를 개방하고자 파지편(350)을 파지하여 봉재섬유(340)를 당길 때 가이드핀(360)이 천공홀(320)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봉재섬유(340)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공홀(320)은 손잡이(110)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천공홀(320)이 본체프레임(100)의 손잡이(1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천공되면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편(350)을 파지하고 당겼을 때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이 당기는 힘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을 수 있고, 원활하게 봉재섬유(340)가 봉재홀(3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홀가이드(330)는 봉재홀(31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홀가이드(330)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필터망(200)보다 기계적 변형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내식성이 뛰어나고 필터망(200)보다 탄성계수가 높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어, 홀가이드(33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이 뛰어난 합금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홀가이드(330)는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홀가이드(330)는 봉재홀(3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되어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홀가이드(33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이 뛰어난 합금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망(200)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경화시킴으로써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경화시킨다는 것은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에 열과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함으로써 경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경화시키면 경화된 섬유의 기계적 변형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져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홀가이드(330)의 형상이 유지됨에 따라, 봉재홀(3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하여 결합시켜 홀가이드(330)를 형성하는 경우 역시 봉재홀(310)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하여 결합시키면 섬유가 서로 엉켜 결합됨에 따라 결합된 섬유의 기계적 변형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져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홀가이드(330)의 형상이 유지되어 봉재홀(31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홀가이드(330)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개구된 필터망(200)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해 봉재섬유(340)를 봉재홀(310)에 통과시키고자 할 때 가이드핀(360)이 봉재홀(310)에 인접한 필터망(200)에 충돌하더라도 봉재홀(3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봉재홀(310)의 둘레를 따라 홀가이드(330)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보다 쉽게 봉재섬유(340)로 봉재홀(310)을 봉착하여 필터망(200) 하부를 폐쇄할 수 있어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의 재사용이 보다 더 간편할 수 있다.
봉재섬유(340)는 봉재홀(310)을 통과하여 필터망(200)의 하부를 폐쇄하고, 일단이 천공홀(330)을 통과하여 본체프레임(100) 상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봉재섬유(340)는 필터망(200) 하부에 좌우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봉재홀(310)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과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반복하여 필터망(200)의 하부를 봉착함으로써 필터망(200)의 하부를 폐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봉재섬유(340)는 필터망(200)에 형성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봉재홀(310)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과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필터망(200) 하부 좌우 너비 방향으로 반복하여 필터망(200)의 하부를 봉착함으로써 필터망(200)의 하부를 폐쇄하는 것일 수 있다.
봉재섬유(340)는 봉재홀(31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봉재홀(3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봉재섬유(340)는 봉재홀(310)을 통과하였을 때 봉재홀(310)과 봉재섬유(3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없거나 봉재홀(310)과 봉재섬유(3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이 배수공(210)의 면적보다 작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봉재섬유(340)의 직경이 너무 작아 봉재섬유(340)가 봉재홀(310)을 통과하였을 때 봉재섬유(340)와 봉재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이 배수공(210)의 면적보다 크면 음식물 쓰레기(B)가 봉재섬유(340)와 봉재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통과하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봉재섬유(340)는 천공홀(32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천공홀(3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파지편(350)은 봉재섬유(340)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파지편(350)은 천공홀(320)을 통과해 본체프레임(100)보다 상부로 돌출된 봉재섬유(340)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파지편(350)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기면 봉재섬유(340)을 필터망(200)의 하부로부터 이탈시켜 필터망(200)의 하부를 개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의 필터망(200) 내부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B)를 배출하고자 할 때 파지편(350)을 파지하여 당기면 봉재섬유(340)이 필터망(200)의 하부에서 이탈하면서 필터망(200)의 하부가 개구되고, 필터망(200) 내부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B)가 필터망(20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지편(350)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김에 따라 필터망(200)의 하부가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B)가 필터망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봉재섬유(340)의 타단에 구비되어 봉재섬유(340)이 봉재홀(310)과 천공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할 때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봉재섬유(340)보다 기계적 변형이 용이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보다 자세하게는 봉재섬유(340)보다 탄성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비닐플로라이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핀(360)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 봉재섬유(340)의 타단이 봉재홀(310)과 천공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할 때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이드핀(360)을 파지하여 봉재섬유(340)을 봉재홀(310)에 통과시킬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봉재섬유(340)가 봉재홀(310)을 통과할 때 본체프레임(100)이나 필터망(200)과 충돌하여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봉재섬유(340)가 봉재홀(310)을 보다 쉽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봉재섬유(340)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봉재섬유(340)의 타단에 가이드핀(360)이 구비되면 사용자가 파지편(350)을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봉재섬유(340)를 필터망(200) 하부에서 이탈시키더라도 쉽게 봉재섬유(340)을 봉재홀(310)에 다시 통과시킴으로써 필터망(200)의 하부를 폐쇄하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을 재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사용자가 봉재섬유(340)를 봉재홀(310)로 보다 간편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봉재홀(3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봉재섬유(340)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봉재섬유(340)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핀(360)은 천공홀(320)을 통과하지 않도록 천공홀(3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핀(360)이 천공홀(320)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편(350)을 파지하여 당기더라도 가이드핀(360)이 천공홀(320)을 통과하지 못해 봉재섬유(340)이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100: 본체프레임, 110: 손잡이,
200: 필터망, 210: 배수공,
300: 개폐부재,
310: 봉재홀, 320: 천공홀, 330: 홀가이드,
340: 봉재섬유, 350: 파지편, 360: 가이드핀.

Claims (4)

  1. 싱크대의 배수구 내측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배수구 내측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도록 상기 배수구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중공을 통과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되는 필터망;
    상기 필터망 하부에 좌우 너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봉재홀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천공된 천공홀과, 상기 봉재홀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망의 하부를 폐쇄하고 일단이 상기 천공홀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로 노출되는 봉재섬유와, 상기 봉재섬유의 일단에 구비되는 파지편과, 상기 봉재섬유의 타단에 구비되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필터망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배수구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의 주연에 밀착되도록 상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홀은 상기 봉재섬유의 통과가 가능하고 상기 파지편과 상기 가이드핀의 통과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봉재섬유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파지편 및 상기 가이드핀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것
    인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92523A 2021-07-14 2021-07-14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2458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23A KR102458273B1 (ko) 2021-07-14 2021-07-14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23A KR102458273B1 (ko) 2021-07-14 2021-07-14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273B1 true KR102458273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23A KR102458273B1 (ko) 2021-07-14 2021-07-14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273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4981U (ko) * 1978-03-31 1979-10-08
JPS61173401U (ko) * 1985-04-17 1986-10-28
JPH01210530A (ja) * 1988-02-17 1989-08-24 Asahi Chem Ind Co Ltd 排水口フィルタ
JP3006621U (ja) * 1994-07-13 1995-01-31 正弥 薄井 キッチン排水口用水切りゴミ袋
JPH0737307U (ja) * 1993-12-20 1995-07-11 遠藤 博 排水管用濾過網袋
JP2000080693A (ja) * 1998-09-07 2000-03-21 Ooe:Kk ゴミ濾取り用袋体
JP2000257131A (ja) * 1999-03-08 2000-09-19 Tomohiro Ueda 排水口及び三角コーナー用水切り袋
JP3082363U (ja) * 2001-06-01 2001-12-07 錦産業株式会社 流し台の排水口用水切りゴミ袋
KR20110054911A (ko) * 2009-11-18 2011-05-25 이중호 1회용 거름망
KR20110056447A (ko) * 2009-11-22 2011-05-30 이중호 1회용 거름망
KR20120009652A (ko) * 2010-07-20 2012-02-02 훈 이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50001350U (ko) * 2013-09-27 2015-04-06 조효준 싱크대 거름망
KR20160067382A (ko) * 2014-12-04 2016-06-14 김민선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망
KR20170041008A (ko) * 2015-10-06 2017-04-14 김명진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JP2019039224A (ja) * 2017-08-25 2019-03-14 有限会社マルセイ 排水口フィルタ
KR20190057858A (ko) * 2017-11-21 2019-05-29 김대종 쓰레기 봉투
KR102061912B1 (ko) 2018-01-12 2020-01-02 김종국 배수구 거름장치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4981U (ko) * 1978-03-31 1979-10-08
JPS61173401U (ko) * 1985-04-17 1986-10-28
JPH01210530A (ja) * 1988-02-17 1989-08-24 Asahi Chem Ind Co Ltd 排水口フィルタ
JPH0737307U (ja) * 1993-12-20 1995-07-11 遠藤 博 排水管用濾過網袋
JP3006621U (ja) * 1994-07-13 1995-01-31 正弥 薄井 キッチン排水口用水切りゴミ袋
JP2000080693A (ja) * 1998-09-07 2000-03-21 Ooe:Kk ゴミ濾取り用袋体
JP2000257131A (ja) * 1999-03-08 2000-09-19 Tomohiro Ueda 排水口及び三角コーナー用水切り袋
JP3082363U (ja) * 2001-06-01 2001-12-07 錦産業株式会社 流し台の排水口用水切りゴミ袋
KR20110054911A (ko) * 2009-11-18 2011-05-25 이중호 1회용 거름망
KR20110056447A (ko) * 2009-11-22 2011-05-30 이중호 1회용 거름망
KR20120009652A (ko) * 2010-07-20 2012-02-02 훈 이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50001350U (ko) * 2013-09-27 2015-04-06 조효준 싱크대 거름망
KR20160067382A (ko) * 2014-12-04 2016-06-14 김민선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망
KR20170041008A (ko) * 2015-10-06 2017-04-14 김명진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JP2019039224A (ja) * 2017-08-25 2019-03-14 有限会社マルセイ 排水口フィルタ
KR20190057858A (ko) * 2017-11-21 2019-05-29 김대종 쓰레기 봉투
KR102061912B1 (ko) 2018-01-12 2020-01-02 김종국 배수구 거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7794B1 (ko)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US20220341139A1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JP2008025105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102458273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385876Y1 (ko) 욕실바닥용 봉수트랩의 개선구조
KR101369625B1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JP4893717B2 (ja) 洗濯機
KR20140002037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KR200211928Y1 (ko) 배수구용 걸름망
JP2009030331A (ja) キッチンのシンクの排水口装置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JP5427201B2 (ja) 排水栓
JP6722398B2 (ja) 排水トラップ
JP5052998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183439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JP2008019659A (ja) 排水口の網袋
KR102624945B1 (ko) 배수트랩
JP2002088855A (ja) 目 皿
KR200241645Y1 (ko) 싱크대용 음식찌꺼기 수거망
KR200241164Y1 (ko) 싱크대 배수구용 오물 걸음구
JP2006169864A (ja) 排水口構造
KR20090132451A (ko) 씽크대 거름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