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652A -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652A
KR20120009652A KR1020100069823A KR20100069823A KR20120009652A KR 20120009652 A KR20120009652 A KR 20120009652A KR 1020100069823 A KR1020100069823 A KR 1020100069823A KR 20100069823 A KR20100069823 A KR 20100069823A KR 20120009652 A KR20120009652 A KR 2012000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drainage
foreign matter
grate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훈 이
이문희
이현종
김정빈
Original Assignee
훈 이
이현종
김정빈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훈 이, 이현종, 김정빈, 이문희 filed Critical 훈 이
Priority to KR102010006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652A/ko
Publication of KR2012000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머리카락,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의 체류에 의한 배수구의 폐색을 완화하는 것과 동시에 걸름장치에 체류한 이물질의 제거 및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이물질 걸름구조를 기존의 평면체가 아닌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들을 타고 하부 경사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걸름장치의 걸름부를 구성하는 걸름창살들의 하부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들의 자유단부에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FILTERING DEVICE FOR DRAIN HOLE}
본 발명은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 등의 배수구에 투입/설치되어 배수와 함께 유입되는 머리카락,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 이물질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 등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 소켓이 마련되고, 배수구 소켓에는 사용자가 샤워 또는 목욕을 할 때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욕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이 투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은 걸름구조가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한 곳으로 집적하지 못하고 걸름망 전체 면에 체류하게 된다. 그 결과, 이물질에 의한 배수구의 폐색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보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걸름망으로부터 이물질을 자주 제거 및 청소해 줘야 하는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은 걸름부를 구성하는 창살부재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고정 프레임 형태의 걸름구조이기 때문에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고정 프레임 형태의 창살부재들에 엉키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걸름망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머리카락,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의 체류에 의한 배수구의 폐색을 완화하는 것과 동시에 걸름장치에 체류한 이물질의 제거 및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름창살들은 각각의 자유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개구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상기 걸름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걸름부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름부는 상기 걸름창살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의 단면적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걸름창살들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걸름창살들의 경사방향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단부는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부는 상기 걸름창살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의 단면적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입구측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개구 단면적 보다 작은 개구 단면적을 가지는 출구측 개구면이 형성된 걸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름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며,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는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상기 걸름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걸름부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창살들의 방사상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방사상의 중심부위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벽체 및 외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돌기를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름돌기들은 상기 몸체부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배수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돌기를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의하면, 이물질 걸름구조를 기존의 평면체가 아닌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들을 타고 하부 경사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걸름장치의 걸름부를 구성하는 걸름창살들의 하부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들의 자유단부에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4는 도 1의 평면도로서, 걸름창살들의 중앙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를 욕조 배수구 소켓에 투입하여 이물질 걸름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를 재사용 시 이물질 제거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1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2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3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서 걸름돌기가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는 욕조의 배수구에 적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욕조 배수구용뿐만 아니라 욕실, 화장실, 주방 개수대, 세면대 등의 배수구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몸체부(110) 및 걸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욕조(1, 도 5 참조)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 소켓(10, 도 5 참조)의 내면 형태가 원형일 경우 몸체부(110)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경우 몸체부(110)는 이와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외측면이 배수구 소켓(10)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배수구 소켓(1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외경은 배수구 소켓(10)의 내경과 대응되는 것이 좋다.
몸체부(110)는 배수구의 내면 상부 입구측에 위치하며, 배수와 함께 머리카락(3, 도 6 참조)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입구측 개구면(110a)을 가진다.
몸체부(110)는 후술할 걸름창살(121)들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구조물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이물질 걸름장치(100)를 배수구에 투입 또는 인출 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물질 걸름장치(100)를 배수구에서 인출 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몸체부(110)의 일부를 배수구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에는 파지부(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파지부는 몸체부(110)의 양측 대향면에 상방(배수구의 위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후술할 걸름창살(121)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제조사의 로고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걸름부(120)는 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몸체부(1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121)을 가진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걸름창살(121)은 원형 몸체부(110)의 원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방(배수구의 저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걸름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의 원주연을 따라 걸름창살(121)들 간의 이격 배치에 의해 걸름창살(121)들 사이에는 배수 개구부(122)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걸름창살(121)들은 몸체부(110)의 개구면(110a)을 통해 물과 함께 유입되는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걸름창살(121)들 사이에 형성된 배수 개구부(122)를 통해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걸름창살(121)들의 간격은 이물질의 걸름과 배수 효율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걸름창살(121)을 사각형 단면의 긴 직선 봉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름창살(121)을 원형, 다각형 단면의 긴 직선 봉 또는 곡선 봉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걸름부(120)는 걸름창살(121)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의 단면적이 걸름창살(121)들의 하방 단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예를 들어, 걸름부(120)는 걸름창살(121)들이 몸체부(110)의 개구면(110a)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각각의 걸름창살(121)들의 경사방향이 걸름창살(121)들의 하방 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역 원추(원뿔) 형상을 가진다. 이는 걸름구조를 평면체가 아닌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121)들을 타고 하부 경사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걸름부(120)가 전체적으로 역 원추(원뿔) 형상을 가지므로 걸름부(120)를 구성하는 걸름창살(121)들은 하방 단부로 갈수록 폭 또는 직경이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름부(120)는 걸름창살(121)들의 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121a)을 형성한다. 이는 걸름창살(121)들의 단부를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121a)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걸름부(120) 상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제거 시 걸름창살(121)들에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몸체부(110), 걸름부(120), 및 몸체부(110)와 걸름부(120)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노치, 홈 또는 홀 등으로 구성된 절곡부(A,B,C)가 원주 방향(몸체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10), 걸름부(120), 및 몸체부(110)와 걸름부(120)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절곡부(A,B,C)를 따라 절곡하여 걸름창살(121)들의 경사방향이 내측으로 좁아지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몸체부(110)와 걸름부(120)가 동일한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10)와 걸름부(120)가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욕조 배수구의 내면과 나란하게, 즉 배수구의 수평 개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걸름부(120)는 몸체부(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10)와 걸름부(120)는 그 기능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110)와 걸름부(1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 및 4는 도 1의 평면도로서, 걸름창살들의 중앙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부(120)는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가 걸름부(120)의 하부 중앙부위에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어 걸름부(120)의 하부 중앙부위에 개구영역(120a)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즈가 좀 작거나 중량이 어느 정도 있는 이물질의 경우 걸름부(120)의 하부 중앙개구영역(120a)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므로 이물질 걸름 효과가 좋다.
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부(120)는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걸름부(120)의 하부 중앙부위에 소정 크기의 개구영역(120a)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걸름장치 보다 배수 능력이 더 좋다. 여기서,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름부(120)의 하부 개구영역(120a)은 배수 출구측 개구면(120a)을 형성하며, 이 출구측 개구면(120a)의 개구 단면적은 몸체부(110)의 배수 입구측 개구면(110a)의 개구 단면적 크기 보다 훨씬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름부(120)의 하부 개구영역(120a)을 통해 쉽게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개구 크기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내수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합성수지나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의 침투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소재이면 충분하다. 또한,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성형이 용이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silicone)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프레스가공, 사출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스가공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역 원추(원뿔)형상의 수형틀과 암형틀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형틀에 원주를 따라 첨두방향(원추꼭지방향)으로 칼날들이 형성된 한 쌍의 형틀 사이에 얇은 금속판, 알루미늄판, 플라스틱판 또는 Pet필름 등의 재료를 끼우고 압축해 줌으로써 자유단부(121a)를 가지는 걸름창살(121)들이 원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역 원추 형상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를 완성할 수 있다. 혹은, 사출성형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역 원추(원뿔)형상의 형틀(몰드) 안으로 고온의 액상 재료를 고압으로 주사(익젝션)한 후 순간적으로 냉각해줌으로써 자유단부(121a)를 가지는 걸름창살(121)들이 원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역 원추 형상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를 완성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를 욕조의 배수구 소켓에 투입하여 이물질 걸름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욕조(1) 등의 저면에 배수를 위해 마련된 배수구 소켓(10)에 투입/설치되어 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 예컨대 머리카락(3), 쓰레기 등을 걸러 이물질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은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홀(11a)이 형성된 소켓 몸체(11)와, 소켓 몸체(11)의 배수홀(11a) 저면에 평판 형태로 배치되어 머리카락(3)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다수의 창살부재를 가지는 걸름망(1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배수구 소켓(10)에 투입되어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가 기존의 걸름망(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는 걸름창살(121)들 사이의 배수 개구부(122)를 통과하지만, 머리카락(3) 등과 같은 이물질은 걸름창살(121)들에 의해 1차적으로 대부분 걸러지게 되고, 만약 걸름창살(121)들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있을 경우 기존의 걸름망(13)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이때, 걸름창살(121)들의 경사 하방이 좁아지는 역 원추(원뿔) 형상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창살(121)들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여 모아지기 때문에 걸름창살(121)들의 배수 개구부(122)가 막히지 않은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물질의 걸름율을 저지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배수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걸름구조를 기존의 평면체가 아닌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121)들을 타고 하부 경사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에 이물질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집적되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 사용자는 이물질 걸름장치(100)를 배수구 소켓(10)으로부터 분리하여 휴지통에 버리거나 이물질 걸름장치(100)의 걸름부(1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100)로부터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물질제거용 봉(5)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이물질 걸름장치(100)의 몸체부(11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물질제거용 봉(5)을 몸체부(110)의 입구측 개구면(110a)을 통해 삽입하여 걸름부(120)의 출구측 개구 영역(120a)을 관통하도록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걸름창살(121)들의 하부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1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121)들의 자유단부(1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120)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걸름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미도시), 이물질제거용 봉(5)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기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걸름부(120) 상의 이물질을 분리 제거한 후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다시 투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는 몸체부(210) 및 걸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걸름장치(200)를 사용 전 초기 상태에서는 평면 형태로 펼쳐진 구조(도 8 참조)이고, 이물질 걸름장치(200)를 배수구에 투입하여 사용할 때는 배수구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도 9 참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몸체부(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 또는 띠형 부재이며,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되도록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원형일 경우 몸체부(210)를 이와 대응하는 원형 형상으로 밴딩하여 변형하고,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경우 몸체부(210)를 이와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밴딩하여 변형한다. 이때, 몸체부(210)의 길이는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둘레 길이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몸체부(210)의 길이가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둘레 길이보다 조금 더 짧거나 길어도 괜찮으며, 조금 더 긴 경우에는 몸체부(210)의 양단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는 배수구 내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210)를 배수구의 내면 형상으로 변형한 후 몸체부(210)의 양단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몸체부(210)의 양단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미도시) 및 체결홈(미도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체결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걸름부(220)는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 예를 들어 도면상에서는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는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221a)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창살(221)을 가진다.
또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는 몸체부(210), 걸름부(220), 및 몸체부(210)와 걸름부(220)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노치, 홈 또는 홀 등으로 구성되는 절곡부(A,B,C)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10)와 걸름부(220)는 그 기능적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210)와 걸름부(2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의 작동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를 사용 전 초기 상태에서는 평면 형태로 펼쳐진 구조이고,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하여 사용할 때는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는 몸체부(210)를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손으로 밴딩하여 변형하고, 걸름창살(221)들을 절곡부(A,B,C)에 의해 절곡하여 각각의 걸름창살(221)들의 경사방향이 걸름창살(221)들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역 원추(원뿔) 형상을 만든다. 이때, 몸체부(210)에 중공의 입구측 개구면(210a)이 형성되고 걸름부(220)의 하부 중앙에 출구측 개구영역(220a)이 형성된다. 이처럼 초기 평면 형태로 펼쳐진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200)를 역 원추(원뿔) 형상으로 변형한 후 배수구 소켓(10)에 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물질 걸름구조를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221)들을 타고 하부 경사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걸름창살(221)들의 하부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2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221)들의 자유단부(2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2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300)는 몸체부(310) 및 걸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배수와 함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입구측 개구면(310a)을 가진다. 이러한 몸체부(310)는 후술할 걸름창살(321)들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구조물 역할뿐만 아니라, 몸체부(310)는 사용자가 이물질 걸름장치(300)를 욕조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 또는 인출 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10)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걸름부(320)는 몸체부(3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몸체부(3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321)을 가진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걸름창살(321)은 원형 몸체부(310)의 원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방(배수구의 저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걸름부(3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310)의 원주연을 따라 걸름창살(321)들 간의 이격 배치에 의해 걸름창살(321)들 사이에는 배수 개구부(322)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걸름창살(321)들은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을 통해 물과 함께 유입되는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걸름창살(321)들 사이에 형성된 배수 개구부(322)를 통해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걸름창살(321)들의 간격은 이물질의 걸름과 배수 효율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걸름창살(321)을 사각형 단면의 긴 직선 봉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름창살(321)을 원형, 다각형 단면의 긴 직선 봉 또는 곡선 봉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걸름부(320)의 걸름창살(321)들은 굽힘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름부(320)는 걸름창살(3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을 형성한다. 이는 걸름창살(321)들의 단부를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걸름부(320) 상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제거 시 걸름창살(321)들에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300)는 몸체부(310), 걸름부(320), 및 몸체부(310)와 걸름부(320)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절곡부(A,B,C)가 원주 방향(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는데, 이하,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1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에는 원주방향(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노치, 홈 또는 홀 등으로 구성된 제 1 절곡부(A)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몸체부(310)의 일부(제 1 절곡부를 경계로 하부영역)를 제 1 절곡부(A)를 따라 개구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몸체부(310)에 연결된 걸름창살(321)들이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 영역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름창살(321)들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으로 구성된다. 이때, 걸름부(320)는 걸름창살(321)들의 자유단부(321a)가 걸름부(320)의 중앙부위에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걸름부(320)의 중앙부위에 개구영역(320a)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되거나, 걸름창살(321)들의 자유단부(321a)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걸름부(320)의 중앙부위에 소정 크기의 개구영역(320a)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름창살(321)들의 자유단부(321a)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름부(320)의 하부 개구영역(320a)은 배수 출구측 개구면(320a)을 형성하며, 이 출구측 개구면(320a)의 개구 단면적은 몸체부(310)의 배수 입구측 개구면(310a)의 개구 단면적 크기 보다 훨씬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321)들의 자유단부(321a)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름부(320)의 하부 개구영역(320a)을 통해 쉽게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개구 크기가 좋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2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부(320)의 걸름창살(321)들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노치, 홈 또는 홀 등으로 구성된 제 2 절곡부(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걸름창살(321)들의 단부를 제 2 절곡부(B)를 따라 개구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걸름창살(321)들의 단부가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 영역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름창살(321)들의 절곡된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으로 구성된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제 3 절곡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와 걸름부(320)의 경계부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노치, 홈 또는 홀 등으로 구성된 제 3 절곡부(C)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걸름창살(321)들을 제 3 절곡부(C)를 따라 개구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걸름창살(321)들이 몸체부(310)의 개구면(310a) 영역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름창살(321)들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10)와 걸름부(320)는 그 기능적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310)와 걸름부(3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300)는 걸름창살(3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3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321)들의 자유단부(3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3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400)는 몸체부(410), 걸름부(420) 및 손잡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원형일 경우 몸체부(410)는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원형 판 또는 띠 부재로 구성되고,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경우 몸체부(410)는 이와 대응하는 다각형 판 또는 띠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저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410)는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상부, 중부 또는 저부 등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걸름부(420)는 몸체부(4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몸체부(410)의 중공 개구 중심방향으로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걸름창살(421)을 가지며, 걸름창살(4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421a)을 형성된다. 이때, 걸름부(420)는 걸름창살(421)들의 자유단부(421a)가 걸름부(420)의 중앙부위에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걸름부(420)의 중앙부위에 개구영역(420a)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되거나, 걸름창살(421)들의 자유단부(421a)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걸름부(420)의 중앙부위에 소정 크기의 개구영역(420a)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손잡이부(430)는 사용자가 이물질 걸름장치(400)를 손으로 잡고서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손잡이부(420)는 몸체부(41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배수구의 위쪽 입구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430)는 몸체부(410)의 양측 대향면에 상하로 회전하여 접히고 펼쳐지도록 한 쌍(431,432)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손잡이부(431,432)는 상부 안쪽으로 접혀진 양단이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연결고리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연결고리 형태의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10), 걸름부(420) 및 손잡이부(430)는 그 기능적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410), 걸름부(4200 및 손잡이부(4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400)는 걸름창살(4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4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421)들의 자유단부(4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4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30)를 통해 배수구 소켓(10)에 투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500)는 몸체부(510) 및 걸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는 후술하는 걸름창살(521)들의 하부 중심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구조물 역할을 하며, 몸체부(510)는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 도 16 참조)의 저면 중심부에 위치한다. 도면 상에서 몸체부(510)는 걸름부(520)의 전체적인 형상과 동일하게 역 원추(원뿔)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510)는 구형, 사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름부(520)는 몸체부(5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걸름창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름부(520)는 걸름창살(521)들이 몸체부(510)를 하부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걸름창살(521)들의 경사방향이 하방(배수구의 저면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역 원추(원뿔) 형상을 가진다. 이때, 걸름창살(521)들의 방사상 단부(521a)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521a)을 형성하며, 배수구의 입구측 내주면과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름창살(521)들이 별도로 마련된 몸체부(510)에 결합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름창살(521)들은 방사상의 중심부위가 일체로 형성되어 걸름창살(521)들의 중심부위 자체가 몸체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510)와 걸름부(520)는 그 기능적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510)와 걸름부(5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500)는 이물질 걸름구조를 역 원추(원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창살(521)들을 타고 하부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걸름창살(521)들의 방사상 단부(521a)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5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창살(521)들의 자유단부(5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5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600)는 몸체부(610) 및 걸름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는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통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원형일 경우 몸체부(61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경우 몸체부(610)는 이와 대응하는 삼각통형, 사각통형 등 다각형의 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외측면이 배수구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배수구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몸체부(610)의 외경은 배수구 소켓(10)의 내경과 대응되는 것이 좋다. 또한, 몸체부(610)는 배수와 함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개구면(610a)을 가진다.
걸름부(620)는 몸체부(610)의 내벽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돌기(621)를 가지며, 걸름돌기(621)들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걸름부(620)는 걸름돌기(6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621a)을 형성한다. 이는 걸름돌기(621)들의 단부를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621a)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걸름부(620) 상의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을 제거 시 걸름돌기(621)들에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름부(620)는 걸름돌기(621)들의 자유단부(621a)가 걸름부(620)의 중앙부위에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걸름부(620)의 중앙부위에 개구영역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되거나, 걸름돌기(621)들의 자유단부(621a)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걸름부(620)의 중앙부위에 소정 크기의 개구영역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걸름돌기(621)들은 몸체부(610)의 개구면(610a)에 대하여 하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고 각각의 걸름돌기(621)들의 경사방향이 걸름돌기(621)들의 하방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름돌기(621)들을 하부 중앙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걸름돌기(621)들을 타고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610)와 걸름부(620)는 그 기능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610)와 걸름부(6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8은 도 17의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서 걸름돌기가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600)는 걸름돌기(621)들이 몸체부(610)의 내벽체에 나선형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물질 걸름구조를 나선형 계단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나선형으로 배치된 걸름돌기(621)들을 타고 하부 중앙으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여 집적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600)는 이물질 걸름구조를 기존 평면체가 아닌 통형의 입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배수 경로 상의 걸름 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걸름돌기(621)들을 하부 중앙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의 포집 위치를 하부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수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막혀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시기의 연장에 따른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걸름돌기(621)들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62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름돌기(621)들의 자유단부(621a)에 머리카락(3) 등 이물질이 고정되게 엉키지 않게 되어 걸름부(620)에 체류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600)의 다른 실시 형태로는 걸름부(620)를 구성하는 걸름돌기(621)들이 몸체부(610)의 외벽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600)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걸름부(620)를 구성하는 걸름돌기(621)들이 몸체부(610)의 내벽체와 외벽체 모두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2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700)는 몸체부(710) 및 걸름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걸름장치(700)를 사용 전 초기 상태에서는 평면 형태로 펼쳐진 구조(도 22 참조)이고, 이물질 걸름장치(700)를 배수구에 투입하여 사용할 때는 배수구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도 23 참조)를 제외하고는 도 17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몸체부(710)는 소정의 길이와 폭(높이)을 가지는 판형 또는 띠형 부재이며,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되도록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원형일 경우 몸체부(710)를 이와 대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밴딩하여 변형하고,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경우 몸체부(710)를 이와 대응하는 삼각통, 사각통 등 다각통형 형상으로 밴딩하여 변형한다. 이때, 몸체부(710)의 길이는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둘레 길이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몸체부(710)의 길이가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둘레 길이보다 조금 더 짧거나 길어도 괜찮으며, 조금 더 긴 경우에는 몸체부(710)의 양단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710)의 폭(높이)은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높이와 일치될 수 있고, 혹은 몸체부(710)의 폭(높이)이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높이보다 조금 더 작거나 커도 괜찮다. 이때, 몸체부(710)의 상단부를 배수구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이물질 걸름장치(700)를 배수구에서 인출 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몸체부(710)의 폭(높이)은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높이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710)는 배수구 내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710)를 배수구의 내면 형상으로 변형한 후 몸체부(710)의 양단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몸체부(710)의 양단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미도시) 및 체결홈(미도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체결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걸름부(720)는 몸체부(710)의 일면(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단부가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721a)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돌기(721)를 가진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4 및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700)의 다른 실시 형태로는 걸름부(720)를 구성하는 걸름돌기(721)들이 몸체부(710)의 양면(내측면 및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2 및 23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710)와 걸름부(720)는 그 기능적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710)와 걸름부(7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700)의 작동은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700)를 사용 전 초기 상태에서는 평면 형태로 펼쳐진 구조이고, 욕조(1)의 배수구 소켓(10)에 투입하여 사용할 때는 배수구 소켓(10)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이물질 걸름장치
110, 210, 310, 410, 510, 610, 710 : 몸체부
120, 220, 320, 420, 520, 620, 720 : 걸름부
121, 221, 321, 421, 521, 621, 721 : 걸름창살
121a, 221a, 321a, 421a, 521a, 621a, 721a : 자유단부
430 : 손잡이부

Claims (18)

  1.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창살들의 방사상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방사상의 중심부위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3.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벽체 및 외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돌기를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돌기들은 상기 몸체부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5.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돌기를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6.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각각의 자유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개구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걸름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걸름부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부는 상기 걸름창살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의 단면적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걸름창살들의 경사방향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3.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는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걸름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걸름부의 경계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5.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단부는 서로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걸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름부는 상기 걸름창살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의 단면적이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6. 배수구에 투입/설치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입구측 개구면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개구 단면적 보다 작은 개구 단면적을 가지는 출구측 개구면이 형성된 걸름부를 포함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걸름창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창살들의 단부는 각각 독립된 형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20100069823A 2010-07-20 2010-07-20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20009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23A KR20120009652A (ko) 2010-07-20 2010-07-20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23A KR20120009652A (ko) 2010-07-20 2010-07-20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652A true KR20120009652A (ko) 2012-02-02

Family

ID=4583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823A KR20120009652A (ko) 2010-07-20 2010-07-20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6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47B1 (ko) * 2012-04-23 2013-01-24 김나근 걸름망
KR200471286Y1 (ko) * 2013-07-03 2014-02-13 유정규 배수구덮개
KR20190071118A (ko) 2017-12-14 2019-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거름망을 이용한 배수구 쓰레기 포집 장치
KR102458273B1 (ko) * 2021-07-14 2022-10-21 김영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230082904A (ko) * 2021-12-02 2023-06-09 이제환 양변기 배수관 연결구용 쥐유입방지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47B1 (ko) * 2012-04-23 2013-01-24 김나근 걸름망
KR200471286Y1 (ko) * 2013-07-03 2014-02-13 유정규 배수구덮개
KR20190071118A (ko) 2017-12-14 2019-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거름망을 이용한 배수구 쓰레기 포집 장치
KR102458273B1 (ko) * 2021-07-14 2022-10-21 김영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230082904A (ko) * 2021-12-02 2023-06-09 이제환 양변기 배수관 연결구용 쥐유입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52B2 (en) Debris trap for a drain
KR20120009652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1933045B1 (ko) 물받이용 거름부재
JP5854750B2 (ja) 混入物捕捉具
US7553425B2 (en)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225447B1 (ko) 걸름망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2264471B1 (ko) 욕실 바닥 배수구용 거름망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US20040159130A1 (en) Lint trap
JP6984810B2 (ja) 排水口メッシュ部材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JP6146689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20080024632A (ko) 배수구 캡시트
JP5262814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4581940B2 (ja) 排水栓用ヘヤーキャッチャー
KR200463296Y1 (ko) 하수구 걸름망
JP5901214B2 (ja) 混入物捕捉具
KR101742296B1 (ko) 머리카락 거름용 배수구 필터
JP2011153504A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KR101652277B1 (ko) 기능성 배수구 매트
JP2019019509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