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451A - 씽크대 거름망 구조 - Google Patents

씽크대 거름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451A
KR20090132451A KR1020080058723A KR20080058723A KR20090132451A KR 20090132451 A KR20090132451 A KR 20090132451A KR 1020080058723 A KR1020080058723 A KR 1020080058723A KR 20080058723 A KR20080058723 A KR 20080058723A KR 20090132451 A KR20090132451 A KR 2009013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nk
opening
closing
siev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432B1 (ko
Inventor
전병채
Original Assignee
전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채 filed Critical 전병채
Priority to KR102008005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4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씽크대 거름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씽크대 배수구의 거름망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폐부(30); 및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원통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벽을 따라 형성된 힌지부(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Description

씽크대 거름망 구조{Structure of filtering apparatus in sink}
본 발명은 거름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씽크대 찌꺼기 거름망은 그 소재와 구성이 원통형의 경질의 플라스틱재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거름망 내부의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거름망을 들어올려 뒤집어서 털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찌꺼기 거름망 내부에 포집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씽크대 찌꺼기 거름망의 입구 부분을 아래로 향하게 해서 씽크대나 바닥에 타격을 가해야 하는데 그때 음식물 찌꺼기등이 사방으로 튀고, 그 찌꺼기 거름망 내부의 음식물 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또 다시 불결한 상태로 방치해 사용하는 악순환을 되풀이 함으로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싱크대에서 음식물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씽크대 거름망을 씽크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씽크대 일회용 거름망 구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와 같은 재질의 개폐부(30); 및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원통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벽을 따라 형성된 힌지부(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및 개폐부(30)는 금속재,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힌지부(50)는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단(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0)는, 상기 본체(10)의 벽면을 따라 수직의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본체 접합부(51);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상부 끝단에 회전을 위한 돌림쇠(53); 및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30)와 접합되는 연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원판형의 하단에 상기 본체(10)방향으로 밀착시 상기 본체(10)와 맞닿아 미리 정해진 지점이상으로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씽크대에 삽입된 상기 거름망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하단 측면과 바닥면은 망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일회용 거름망 구조는 상기 본체(10)를 그대로 들어 올려 개폐부(30)를 열어줌으로써,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고, 거름망을 세척하는 불편이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의 거름망(100)은 본체(10), 개폐부(30), 및 힌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표면이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의 하단 측면과 바닥면은 망체로 형성될 수 있어, 개폐부(30)가 개방시에도 물과 같은 액체는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씽크대에 삽입된 상기 거름망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는 닫힘시 거름기능을 수행하며, 개방시 거름기능을 중단하기 위한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도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서 금속재 이외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는 지지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원판형으로 형성된 개폐부(30)의 하단에 상기 본체(10)방향으로 밀착시 상기 본체(10)와 맞닿아 미리 정해진 지점이상으로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50)는 상기 본체의 원통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벽면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0)는 본체 접합부(51), 돌림쇠(53), 및 연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상기 고정단(70)은 상기 힌지부(5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70)은 상기 힌지부(50)의 본체 접합부(51)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50)가 상기 본체(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부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돌림쇠(53)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30)부가 열리고 닫혀져, 싱크대 배수구로 거름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50)는 본체 접합부(51), 돌림쇠(53), 및 연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접합부(51)는 상기 본체(10)의 벽면을 따라 수직의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림쇠(53)는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상부 끝단에 회전을 위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림쇠(53)는 상기 본체 접합부(51)가 형성된 방향과 수직(90도) 가량의 각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돌림쇠(53)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개폐부(30)를 열고(Open), 닫을(Close) 수 있다.
상기 연동부(55)는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30)와 접합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550)도 상기 본체 접합부(51)가 형성된 방향과 수직(90도) 가량의 각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돌림쇠(53)와 상기 연동부(550)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장치를 본체(10)의 상단면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장치를 뒤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씽크대 배수구의 거름망 제조 업자는, 보다 안정적 구조의 거름망을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거름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장치를 본체(10)의 상단면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씽크대 거름망 장치를 뒤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30: 개폐부
31: 지지부 50: 힌지부
51: 본체 접합부 53: 돌림쇠
55: 연동부 70: 고정단

Claims (7)

  1. 씽크대 배수구의 거름망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1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개폐부(30); 및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원통형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벽을 따라 형성된 힌지부(5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및 개폐부(30)는,
    금속재, 종이재, 합성수지재 가운데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50)는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단(7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50)는,
    상기 본체(10)의 벽면을 따라 수직의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본체 접합부(51);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상부 끝단에 회전을 위한 돌림쇠(53); 및
    상기 본체 접합부(5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30)와 접합되는 연동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원판형의 하단에 상기 본체(10)방향으로 밀착시 상기 본체(10)와 맞닿아 미리 정해진 지점이상으로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씽크대에 삽입된 상기 거름망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단 측면과 바닥면은 망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거름망 구조.
KR1020080058723A 2008-06-21 2008-06-21 씽크대 거름망 구조 KR10096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23A KR100960432B1 (ko) 2008-06-21 2008-06-21 씽크대 거름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23A KR100960432B1 (ko) 2008-06-21 2008-06-21 씽크대 거름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451A true KR20090132451A (ko) 2009-12-30
KR100960432B1 KR100960432B1 (ko) 2010-05-28

Family

ID=4169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723A KR100960432B1 (ko) 2008-06-21 2008-06-21 씽크대 거름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71B1 (ko) * 2013-11-29 2014-12-23 김대종 음식물 쓰레기 통
CN105951942A (zh) * 2016-05-09 2016-09-21 无锡昊瑜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可活动的下水管道过滤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305Y1 (ko) 2001-10-25 2002-03-18 고승욱 씽크대 찌꺼기 거름망
KR200262336Y1 (ko) * 2001-11-01 2002-03-18 김상지 개수구 걸음망
JP4381100B2 (ja) * 2003-04-10 2009-12-09 株式会社イシダ 厨芥処理具
KR100787481B1 (ko) * 2006-05-01 2007-12-26 남훈성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71B1 (ko) * 2013-11-29 2014-12-23 김대종 음식물 쓰레기 통
CN105951942A (zh) * 2016-05-09 2016-09-21 无锡昊瑜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可活动的下水管道过滤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432B1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432B1 (ko) 씽크대 거름망 구조
KR101558749B1 (ko)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101364262B1 (ko) 거름망
KR20120034454A (ko) 싱크대 배수구 마개와 거름망
KR20140002037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JP4557943B2 (ja) 排水構造
KR100850477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를 위한 비닐지 고정대
KR101977470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50087492A (ko) 밑뚜껑 개폐식 거름망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JP2018134456A (ja) 仮設トイレ
KR200378610Y1 (ko) 싱크대가 구비된 실험대
KR101274967B1 (ko) 배수 장치
CN200967981Y (zh) 下水管道滤清器用滤清箩
KR19980057961U (ko) 주방용 씽크대 거름받이
WO2016000461A1 (zh) 自动化无电座厕马桶
JP3210261U (ja) 仮設トイレ
KR20110132711A (ko) 쓰레기통
JP3165627U (ja) 水切り器具
KR200408110Y1 (ko) 쓰레받기
JP2009293270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481661Y1 (ko) 개수구 개폐구조를 가지는 개수대용 물빠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