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67B1 -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67B1
KR101274967B1 KR1020110040307A KR20110040307A KR101274967B1 KR 101274967 B1 KR101274967 B1 KR 101274967B1 KR 1020110040307 A KR1020110040307 A KR 1020110040307A KR 20110040307 A KR20110040307 A KR 20110040307A KR 101274967 B1 KR101274967 B1 KR 101274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
drainage
drain pipe
clo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256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왕산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왕산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왕산정밀
Priority to KR102011004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세면대에 고정되며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니트에는 상기 세면대의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수 마개가 일체로 포함되며,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니트를 손으로 분리하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 유니트와 함께 상기 배수관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가 상기 세면대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배수 장치{DRAIN DEVICE}
본 발명은 세면대 등에 장착되어 물을 배수하는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면한 후 오수를 배수 장치를 통해 배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세면대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에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 장치가 연결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장치는 배수 마개가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배수 마개와 배수 장치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배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수 마개는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뿐 세면대에서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배수 마개의 하측 및 배수 장치의 내부에 머리카락이나 오물이 퇴적되면 배수관이 막히거나 오염물의 부패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 마개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배수 마개의 하측 및 배수 장치의 내부에 머리카락이나 오물이 퇴적되지 않게 하고 배수 장치 내부의 청소가 원활하도록 된 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세면대에 고정되며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니트에는 상기 세면대의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수 마개가 일체로 포함되며,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니트를 손으로 분리하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 유니트와 함께 상기 배수관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가 상기 세면대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는 세면대의 배수관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고 배수 마개의 상부면을 눌러주면 배수 마개가 폐쇄되며, 버튼을 눌러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배수 마개가 열려진다. 따라서 세면대에 담긴 오수에 손을 담그지 않고 배수 마개를 오픈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 마개의 조작이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배수 장치 내부의 청소시 배수 장치를 배수관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수 장치 내부를 들여다보며 완전한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고 배수 장치는 배수관과 연결 사슬로 연결되므로 배수 장치의 분실이나 파손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 장치가 설치된 세면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장치 및 배수관의 조립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배수 마개가 오픈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고 도 6은 배수 마개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배수관(240)과, 여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 유니트(2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수관(240) 내부의 청소시 배수 유니트(200)를 손으로 분리하면 배수관(240)의 내부가 쉽게 노출되므로 배수관(240) 내부의 이물질이나 배수 유니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머리카락과 같이 배수관(240) 내부의 물 흐름을 방해하는 이물질은 배수관(240)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배수 유니트(200)에서 걸러진다. 따라서, 일정 시간 사용후 배수 성능이 저하되면 배수 유니트(200)를 간단히 분리하여 청소하면 배수 유니트(200) 및 배수관(240)의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수관(240)은 세면대(100)에 고정되며 세면대(100)의 물을 배수한다. 배수관(240)의 측면에는 보조 배수구(247)가 마련되며 세면대(10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에서 유입된 물이 보조 배수구(247)를 통하여 배수관(240)을 타고 배출된다.
배수관(240) 및 세면대(100)의 결합은 볼트 또는 너트 결합에 의하거나 시멘트, 본드 등의 접착 물질에 의한다. 이에 비하여 배수 유니트(200)는 손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자력이나 기구적 탄성 결합에 의하여 배수관(240)에 체결된다. 배수관(240) 또는 배수 유니트(200)의 청소시 자력이나 기구적 탄성 결합을 이길 정도의 힘만 손으로 가하면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배수 유니트(200)를 분리할 수 있다.
배수 유니트(200)는 배수 마개(220), 커버(210), 필터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배수 마개(220), 커버(210), 필터부(230)가 모두 마련되며 배수 유니트(200)를 구성하는 경우, 배수관(240)으로부터 배수 유니트(200)를 손으로 분리하면, 커버(210), 배수 마개(220), 필터부(230)가 일체로 조립된 채로 배수관(240)에서 분리된다.
커버(210)는 배수관(240)에 착탈되는 부분으로서 배수 유니트(200) 및 배수관(240)의 착탈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배수관(240)의 단부에 배수관측 고정부(242)를 형성하고, 커버(210)의 배면에 커버측 고정부(214)를 형성한다. 배수관측 고정부(242) 및 커버측 고정부(214)에 각각 돌출부 및 오목부를 마련하고, 오목부에 돌출부를 탄력적으로 삽입하면 배수 유니트(200)가 배수관(240)에 부착된다.
한편, 배수관측 고정부(242) 또는 커버측 고정부(214)에 자석을 각각 배치하면,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배수 유니트(200)가 배수관(240)에 부착된다.
도 5는 배수 마개가 오픈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고 도 6은 배수 마개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배수 마개(220)는 커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픈 위치 또는 클로즈 위치로 회동된다. '오픈 위치'는 배수관(240)의 개구가 개방되도록 배수 마개(220)가 수직에 가깝게 회동된 위치를 말하며, '클로즈 위치'는 배수관(240)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배수 마개(220)가 수평으로 회동된 위치를 말한다. 수직 또는 수평이란 배수관(240)의 개구와 배수 마개(220)의 편평한 부분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한다.
배수 마개(220)의 외주에 끼워지는 오링(221)은 커버(210)의 내주면에 해당하는 오링 접촉면(211)에 밀착되어 수밀 작용을 한다.
배수 마개(220)의 회동각을 오픈 위치 또는 클로즈 위치로 규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수 마개(220)의 배면에 제1 돌출부(225) 및 제2 돌출부(226)가 돌출되며, 커버(210)의 배면에 제1 스토퍼(215) 및 제2 스토퍼(216)가 마련된다. 배수 마개(220)가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제1 돌출부(225)가 제1 스토퍼(215)에 접촉되면서 배수 마개(220)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여 배수 마개(220)가 오픈 위치에서 완전히 열리게 한다. 배수 마개(220)가 클로즈 위치로 회동되면 제2 돌출부(226)가 제2 스토퍼(216)에 접촉되면서 배수 마개(220)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여 배수 마개(220)가 클로즈 위치에서 완전히 닫히게 한다.
한편, 배수 마개(220)가 오픈 위치 및 클로즈 위치 사이를 탄력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 보조 수단도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수 마개(220)의 회동 중심축을 따라 제1 로커(223) 및 제2 로커(224)가 배치된다. 제1 로커(223)는 압축 스프링(228)에 의하여 가압되며 회동 중심축을 따라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배수 마개(220)에 연결된다. 제2 로커(224)는 커버(210)의 힌지 구멍(212b)에 고정된다. 제1 로커(223)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2224)이 형성되며 제2 로커(224)의 단부에는 제2 경사면(2221)이 형성된다.
배수 마개(220)가 회동되면 제1 경사면(2224) 및 제2 경사면(2221)이 상호 가압된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된다. 배수 마개(220)의 회동이 계속되면서 제1 경사면(2224)의 정점과 제2 경사면(2221)의 정점이 대면되면, 제1 경사면(2224) 및 제2 경사면(2221)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타고 넘으며 배수 마개(220)를 오픈 위치 또는 클로즈 위치로 안내한다. 이러한 안내력은 압축 스프링(228)의 탄성력에 의한다. 제1 로커(223)의 직선 이동에 의하여 압축 스프링(228)이 가압되는데, 제1 로커(223)의 직선 이동은 제1 경사면(2224) 및 제2 경사면(2221)의 미끄럼 접촉에 따른다.
압축 스프링(228)은 스프링 하우징(227)에 수납된다. 압축 스프링(228) 및 제1 로커(223)가 스프링 하우징(227)에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하우징(227)을 배수 마개(220)의 배면에 끼우면 압축 스프링(228), 제1 로커(223), 배수 마개(220)의 조립이 완성된다.
배수 마개(220)는 커버(21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210)에는 힌지 구멍(212a,212b)이 커버(21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힌지 구멍(212a,212b)에는 배수 마개(220)의 일측에 돌출된 힌지(222a)와 제2 로커(224)의 일측에 돌출된 힌지(222b)가 끼워진다.
배수 마개(220)가 회동되어도 제2 로커(224)는 힌지(222b) 및 힌지 구멍(212b)의 결합으로 인하여 회전되지 않는다. 배수 마개(220)와 함께 제1 로커(223)가 회전된다. 제1 로커(223)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경사면(2224) 사이의 움푹 파인 부분에 제2 경사면(2221)이 삽입되며 배수 마개(220)의 회동각은 일정 간격으로 규제된다. 제1 로커(223)가 배수 마개(220)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2274) 및 이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보스(2234)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수 마개(220), 커버(210), 필터부(230)는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배수관(240)에 착탈된다. 필터부(230)에는 필터링 격자(238)가 마련되어 머리카락 등을 걸러낸다. 이때, 배수 유니트(200)의 청소를 위하여 배수 유니트(200)를 이루는 각 구성품을 분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배수 마개(220)와 필터부(230) 사이에 끼인 머리카락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 마개(220)와 필터부(230) 사이를 노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커버(210) 또는 배수 마개(220)에 대하여 필터부(230)를 쉽게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로서, 필터부(230)는 커버(210)에 후크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된다. 필터부(230)를 손으로 뽑거나 돌려서 후크 결합을 해제하면 필터부(230)의 내부가 노출된다. 또는 필터부(230)와 커버(210)를 상호 체결하는 나사를 풀면 필터부(230)가 커버(210)에서 분리되며 필터부(230)의 내부가 노출된다.
이때, 배수 유니트(200)가 방치되면 배수 유니트(200)가 분실되거나, 배수 유니트(200)가 화장실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유니트(200) 및 배수관(240)은 플렉시블한 연결 수단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수 유니트(200) 및 배수관(240)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241)가 마련되며, 배수 유니트(200) 및 배수관(240)이 분리되었을 때 연결 와이어(241)에 의하여 배수관(240)에 대한 배수 유니트(200)의 이격 거리가 제한된다.
한편, 세면대(100)에 물을 받을 때는 배수 마개(220)를 손으로 눌러서 클로즈 위치로 회동시키며, 깨끗한 물이 세면대(10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배수 마개(220)를 손으로 회동시키는데 위생상 문제나 사용자의 거부감이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세면대(100)에 담긴 오수를 배수관(240)을 통하여 배출하려고 하면 배수 마개(220)를 반대쪽으로 눌러서 오픈 위치로 회동시켜야 하며, 세면대(100)의 오수에 손을 담가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마개(220)를 오픈 위치로 회동시킬 때는 배수 마개(220)에 손을 대지 않고 세면대(100)의 버튼(110) 조작에 의하여 배수 마개(2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 구조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세면대(100)에 설치된 버튼(110)과 연결되는 것으로, 버튼(110)이 작동되면 배수 마개(220)를 밀어서 오픈 위치로 회동시키는 개폐봉(250)이 마련된다. 개폐봉(250)은 배수관(240)의 내부에 수용되며, 개폐봉(250)의 일단부는 배수관(240)의 내부 및 배수 유니트(200)를 관통하여 배수 마개(220)의 배면에 대면되고, 개폐봉(250)의 타단부는 회동 링크(112) 또는 승강 링크(미도시)에 의하여 버튼(110)에 연결된다.
또한, 개폐봉(25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개폐봉(250)을 세면대(100)의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개폐봉 스프링(252)이 마련된다. 개폐봉 스프링(252)을 배수관(240)의 내부에 수납하는 개폐봉 스프링 하우징(248)이 배수관(240)에 형성되며, 개폐봉 스프링 하우징(248)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46)을 통하여 개폐봉(250)의 승강 운동이 안내된다.
개폐봉 스프링(252)은 배수 마개(220)로부터 개폐봉(250)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봉(250)에 탄성력을 가한다. 세면대(100)의 버튼(110)을 누르면, 승강 링크 또는 회동 링크(112)가 작동된다. 버튼(110) 동작에 따라 승강 링크 또는 회동 링크(112)에 대면되는 개폐봉(250)의 단부가 밀려진다. 개폐봉 스프링(252)의 탄성력을 극복한 개폐봉(250)의 상승 운동에 따라 배수 마개(220)가 오픈 위치로 회동된다. 개폐봉(250)의 단부에는 개폐봉 헤드(254)가 마련되며 개폐봉 헤드(254)는 승강 링크 또는 회동 링크(112)에 연결된다.
개폐봉 와셔(243)는 개폐봉(250)이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개폐봉(250)을 초기 위치에 있도록 한다. 회동 링크(11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개폐봉 헤드(254) 및 회동 링크(112)의 접촉에 따라 개폐봉(250)이 상승된다. 회동 링크(11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개폐봉 헤드(254) 및 회동 링크(112)가 이격되며 개폐봉(250)은 개폐봉 와셔(243)에 의하여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개폐봉(250) 및 배수관(240)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개폐봉(250)에 개폐봉 와셔(243)를 끼우고 개폐봉(250)의 단부를 가이드 구멍(246)에 관통시킨다. 개폐봉 스프링(252)을 개폐봉(250)에 끼우고 개폐봉(250)의 단부에 개폐봉 헤드(254)를 조립한다. 이를 위하여 개폐봉(250)의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개폐봉 헤드(254)의 중앙 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개폐봉(250)의 단부 및 개폐봉 헤드(254)가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세면대 110...버튼
112...회동 링크
200...배수 유니트 210...커버
211...오링 접촉면 212a,212b...힌지 구멍
214...커버측 고정부 215...제1 스토퍼
216...제2 스토퍼 220...배수 마개
221...오링 222a,222b...힌지
223...제1 로커 2224...제1 경사면
224...제2 로커 2221...제2 경사면
225...제1 돌출부 226...제2 돌출부
227...스프링 하우징 228...압축 스프링
2274...슬라이딩 홈 2234...슬라이딩 보스
230...필터부 238...필터링 격자
240...배수관 242...배수관측 고정부
241...연결 와이어 243...개폐봉 와셔
246...가이드 구멍 247...보조 배수구
248...개폐봉 스프링 하우징 250...개폐봉
252...개폐봉 스프링 254...개폐봉 헤드

Claims (12)

  1. 세면대에 고정되며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면대의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수 마개가 일체로 마련된 배수 유니트; 및
    상기 세면대에 설치된 버튼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배수 마개를 밀어서 오픈 위치로 회동시키며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개폐봉; 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니트를 분리하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 유니트와 함께 상기 배수관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가 상기 세면대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개폐봉의 일단부는 상기 배수관의 내부 및 상기 배수 유니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 마개의 배면에 대면되고,
    상기 개폐봉의 타단부는 회동 링크 또는 승강 링크에 의하여 상기 버튼에 연결되는 배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는,
    상기 배수관의 노출된 단부에 착탈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배수관으로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수 마개와,
    상기 배수 마개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니트를 분리하면, 상기 커버, 상기 배수 마개, 상기 필터부가 일체로 조립된 채로 상기 배수관에서 분리되는 배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을 상기 세면대의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개폐봉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개폐봉 스프링을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 수납하는 개폐봉 스프링 하우징이 상기 배수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봉 스프링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개폐봉의 승강 운동이 안내되는 배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 스프링은 상기 배수 마개로부터 상기 개폐봉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봉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세면대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 링크 또는 상기 회동 링크가 작동되며, 상기 승강 링크 또는 상기 회동 링크에 대면되는 상기 개폐봉의 단부가 밀리고, 상기 개폐봉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한 상기 개폐봉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는 배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는, 상기 배수관의 노출된 단부에 착탈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배수관으로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수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는 배수관측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커버측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측 고정부 및 상기 커버측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 및 오목부의 탄력적 삽입에 의하여 상기 배수 유니트가 상기 배수관에 부착되거나,
    상기 배수관측 고정부 및 상기 커버측 고정부에 각각 마련되는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 유니트가 상기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는, 상기 배수관의 노출된 단부에 착탈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배수관으로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수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마개의 배면에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배면에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되면서 상기 배수 마개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고
    상기 배수 마개가 클로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스토퍼에 접촉되면서 상기 배수 마개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배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는, 상기 배수관의 노출된 단부에 착탈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배수관으로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수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마개의 회동 중심축을 따라 제1 로커 및 제2 로커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로커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회동 중심축을 따라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수 마개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은 스프링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상기 제1 로커에 형성된 슬라이드 보스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커버의 힌지 구멍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로커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로커의 단부에 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마개가 회동되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호 가압된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되며,
    상기 배수 마개의 회동이 계속되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정점과 상기 제2 경사면의 정점이 대면되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타고 넘으며 상기 배수 마개를 상기 오픈 위치 또는 클로즈 위치로 안내하는 배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는,
    상기 배수관의 노출된 단부에 착탈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픈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배수관으로 상기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수 마개와,
    상기 배수 마개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커버에 후크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를 손으로 뽑거나 돌려서 상기 후크 결합을 해제하거나 상기 나사를 풀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며 상기 필터부의 내부가 노출되는 배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니트 및 상기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유니트 및 상기 배수관이 분리되었을 때 상기 연결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에 대한 상기 배수 유니트의 이격 거리가 제한되는 배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에 끼워지며 상기 개폐봉의 초기 위치를 규제하는 개폐봉 와셔; 를 포함하는 배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을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개폐봉에 상기 개폐봉 와셔를 끼우며, 상기 개폐봉에 개폐봉 스프링을 삽입하고, 상기 개폐봉의 단부에 개폐봉 헤드를 조립하면,
    상기 개폐봉이 상기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
KR1020110040307A 2011-04-28 2011-04-28 배수 장치 KR101274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307A KR101274967B1 (ko) 2011-04-28 2011-04-28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307A KR101274967B1 (ko) 2011-04-28 2011-04-28 배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56A KR20120122256A (ko) 2012-11-07
KR101274967B1 true KR101274967B1 (ko) 2013-06-17

Family

ID=4750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307A KR101274967B1 (ko) 2011-04-28 2011-04-28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04Y1 (ko) 2001-06-29 2001-11-16 김기태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80097124A (ko) * 2008-02-25 2008-11-04 송영철 로터리식 마개장치
KR100873854B1 (ko) * 2007-10-31 2008-12-15 김현주 배수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04Y1 (ko) 2001-06-29 2001-11-16 김기태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0873854B1 (ko) * 2007-10-31 2008-12-15 김현주 배수용 개폐장치
KR20080097124A (ko) * 2008-02-25 2008-11-04 송영철 로터리식 마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56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55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044175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008046B1 (ko) 세면대용 배수구 마개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101274967B1 (ko) 배수 장치
KR101728223B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101911741B1 (ko) 음식물 거름망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922083B1 (ko)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KR100873854B1 (ko) 배수용 개폐장치
KR101259781B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JP2006283435A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4456961B2 (ja) 浴槽の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KR200379020Y1 (ko) 세면기의 자석식 팝업밸브
KR102376955B1 (ko) 호스커넥터
JP2009051646A (ja) ゴミ受け装置
JP2006161419A (ja) 排水目皿
KR101210319B1 (ko) 세면대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