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366Y1 -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366Y1
KR200356366Y1 KR20-2004-0010847U KR20040010847U KR200356366Y1 KR 200356366 Y1 KR200356366 Y1 KR 200356366Y1 KR 20040010847 U KR20040010847 U KR 20040010847U KR 200356366 Y1 KR200356366 Y1 KR 200356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opening
suppor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광필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금광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금광필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20-2004-0010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욕조에 적용되는 배수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욕조용 배수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작동에 따라 구동봉이 일정 폭으로 돌출, 몰입되는 구조의 작동구를 배수마개와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배수구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배수마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의 개폐가 신속 간편하게 될 수 있어 배수관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배수전 몸체에 적용되는 지지구를 개선하여 작동구의 안정된 지지상태 유지와 장착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욕조용 배수구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Drain cock for bathtub}
본 고안은 욕조에 적용되는 배수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욕조용 배수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작동에 따라 구동봉이 일정 폭으로 돌출, 몰입되는 구조의 작동구를 배수마개와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배수구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배수마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의 개폐가 신속 간편하게 될 수 있어 배수관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배수전 몸체에 적용되는 지지구를 개선하여 작동구의 안정된 지지상태 유지와 장착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욕조용 배수구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의 바닥에는 사용 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배수관로를 통제하기 위한 배수구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배수구개폐장치의 기능은 배수구를 폐쇄시켜 욕조에 용수 등을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용수를 배수하고자 할 때에는 배수구를 개방시켜 욕조와 배수관을 개방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욕조의 바닥면 배수구(D)에 고정된 배수본체(T)에 고무 등으로 구성되고 개폐 시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길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철사 양단을 절곡하여 구성되는 손잡이(H)가 구비되는 개폐뚜껑(L)을 삽탈 가능하게 적용시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개폐구조는 개폐뚜껑(L)에 결합된 손잡이(H)는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량의 물이 저장된 곳의 물을 교환시킬 경우 저장된 물의 하중에 의해 수압이 높아지게 되어 비례적으로 상기 개폐뚜껑(L)을 누르는 힘도 증가되어 상기 배수본체(T)로부터 개방시킬 경우 보다 많은 당김력이 소요되는 관계로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손잡이(H)가 결합부위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개폐뚜껑(L)을 꺼내야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개폐뚜껑(L)을 배수구에 끼워 줄때 기울어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가 많고 그럴 경우 개폐뚜껑(L)의 형태를 손상시켜 밀폐기능의 저하와 누수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배수마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의 개폐가 신속 간편하게 될 수 있어 배수관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배수전 몸체에 적용되는 지지구를 개선하여 작동구의 안정된 지지상태 유지와 장착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욕조용 배수구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과 이에 결합되는 부품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배수마개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배수마개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욕조에 적용되어 배수구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욕조에 적용되어 배수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작동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구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8은 기존의 배수 개폐구조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욕조 10:배수전 몸체
11:배수구 12:마개 수용부
13:걸름망 20:작동구
21:지지관 22:수나사부
23:구동봉 24:탄발 스프링
25:고정부 26:걸림쇠
26A:하단 절곡부 26B:상단 절곡부
27:통공 28:탄지링
29:이동로 29A:걸착돌기
29B:규제돌기 29C:걸착홈
30:배수마개 31:고무패킹
40:지지구 41:지지편
42:암나사부
도 1은 본 고안과 이에 결합되는 부품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배수마개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배수마개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욕조에 적용되어 배수구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이 욕조에 적용되어 배수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작동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구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욕조(B)에는 배수구부위에 배수전 몸체(10)가 고정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구(11)를 형성하고 있는 데,
본 고안 장치는 배수전 몸체(10)내에 설치되어 누름을 반복함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되는 작동구(20)의 상단에 배수마개(30)를 일체화시켜 배수전 몸체(10)에 간단히 삽입 체결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배수전 몸체(10)의 상부에는 배수마개(30)가 진입되어 수용되는 마개 수용부(12)가 형성되며, 특히 마개 수용부(12)는 수용된 배수마개(30)를 누르면 일정부분 하강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그 바닥에는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걸러내 주기위한 걸름망(13)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마개(30)는 배수구(11)를 폐쇄할 때 수밀을 유지하여 욕조(B)의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그 주면부에 고무패킹(3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30)의 저면에는 배수구(1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구(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구(20)는 수나사부(22)를 통해 지지구(40)의 암나사부(42)에 체결고정되는 지지관(21)과, 이와 같이 지지구(40)에 고정된 지지관(21)에서 누르면 하강하여 걸림작동을 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걸림이 해제되어 상승하는 구동봉(23)을 구비하며 이 구동봉(23)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들로서, 지지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봉(23)에 상승 탄발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24), 그리고 지지관(21)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25)에 하단 절곡부(26A)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단 절곡부(26B)는 통공(27)을 통해 지지관(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쇠(26), 상기 고정부(25)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이에 끼워진 걸림쇠(26)가 이탈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위한 탄지링(28), 상기 구동봉(23)의 일측면에 요입 구성되고 중간에 걸착돌기(29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중앙에는 규제돌기(29B)가 돌출되며 걸착돌기(29A)의 대향부위에 걸착홈(29C)을 구비하여 대략 기다란 하트모양의 윤곽을 가지게 되는 이동로(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배수마개(30)와 일체화된 작동구(20)를 배수전몸체(10)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수전 몸체(10)내의 걸름망(13)의 직 하방의 중앙에는 배수전 몸체(10)의 내벽과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편(41)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암나사부(42)가 형성되는 너트형의 지지구(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수마개(30)를 배수구(11)내에 장착 시 작동구(20)의 지지관(21)의 수나사부(22)는 지지구(40)의 암나사관(42)에 삽입되어 결착 고정되는 데, 이와 같이 나사 결합방식을 통해 작동구(20)를 지지구(40)에 삽입 결합 할 경우 배수마개(30)를 배수전 몸체(10)에 회전시켜 장착하고 반대로 회전시켜 탈거하면 되는 것으로견고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배수전몸체(10)에서 배수마개(30)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욕조(B)에 받기 위해서는 먼저 배수구(11)를 배수마개(30)로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배수마개(30)를 누르면, 그 힘에 의해 배수마개(30)와 함께 그와 결합된 작동구(20)의 구동봉(23)이 지지관(2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지지관(21)에 수직되게 고정된 걸림쇠(26)의 상단 절곡부(26B)가 이동로(29)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걸림쇠(26)의 상단 절곡부(26B)는 걸착홈(29C)을 기준으로 보아 도면에서 우측의 이동로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도 3참조), 최상단에 도달하면 이동로의 경사에 따라 낙하 이동되면서 규제돌기(29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쇠(26)의 상단절곡부(26B)는 규제돌기(29B)에 걸려 정지하고 있다가 배수마개(3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구동봉(23)의 하강 시 압축되어 있던 탄발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봉(23)이 상승하면서 걸림쇠(26)의 상단절곡부(26B)가 약간 내려가서 이동로의 상부 중앙으로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걸착홈(29C)에 삽입되며 상단절곡부(26B)는 걸착돌기(29A)에 걸려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봉(23)은 하강위치에서 정지하여 그 상단에 고정된 배수마개(30)가 배수구(11)로 하강하여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배수마개(30)로 배수구(11)를 폐쇄한 후, 욕조(B)에 물을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도 6참조)
목욕 후에는 욕조(B)내의 오염된 물을 배수구(11)를 통해 배수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해서는 배수마개(30)를 가볍게 누르면 되는 것으로, 배수마개(30)에 작용하는 누름력에 의하여 배수마개(30)가 약간 하강하며 그와 일체로 된 구동봉(23)도 하강하면서 상대적으로 지지관(21)에 고정된 걸림쇠(26)의 상단절곡부(26B)가 상승하며 규제돌기(29B) 좌측의 경사면을 따라서 좌측의 이동로로 낙하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마개(30)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며 압축되어 있던 탄발 스프링(24)이 복원되면서 지지관(21)내에서 구동봉(23)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서, 좌측 이동로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던 걸림쇠(26)의 상단절곡부(26B)는 좌측의 이동로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에는 우측 이동로의 최하단으로 낙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봉(23)이 상승위치에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구동봉(23)의 상단에 고정된 배수마개(30)도 배수구(11)에서 상승하여 배수구(11)는 개방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서,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욕조(100)내의 오염된 물이 배수되게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 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특히, 본 장치는 씽크대, 세면대 등의 배수시설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욕조용 배수구개폐장치는 배수마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의 개폐가 신속 간편하게 될 수 있어 배수관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배수전 몸체에 적용되는 지지구를 개선하여 작동구의 안정된 지지상태 유지와 장착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2)

  1. 욕조(B)의 배수구부위에 체결되어 관통상태의 배수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수마개(30)가 진입 수용되는 마개 수용부(12)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걸러내 주기위한 걸름망(13)이 일체로 구비되는 배수전 몸체(10)와;
    상기 배수전 몸체(10)내에 설치되어 누름을 반복함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되면서 배수마개(30)에 개폐동작을 부여하기 위한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구성되며 작동구(20)의 동작에 의해 배수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마개 수용부(12)의 내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여 욕조(B)의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패킹(31)이 장착되는 배수마개(30)와;
    상기 작동구(20)를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배수전 몸체(10)내의 걸름망(13)의 직 하방에 구성되며 배수전 몸체(10)의 내벽과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편(41)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암나사부(42)가 형성되는 너트형의 지지구(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20)는, 수나사부(22)를 통해 지지구(40)의 암나사부(42)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관(21)과,
    상기 지지관(21)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에 따라 걸림작동과 걸림 해제동작을 반복하는 구동봉(23)과,
    상기 지지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봉(23)에 상승 탄발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24)과,
    상기 지지관(2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5)에 하단 절곡부(26A)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단 절곡부(26B)는 통공(27)을 통해 지지관(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쇠(26)와,
    상기 고정부(25)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이에 끼워진 걸림쇠(26)가 이탈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위한 탄지링(28)과,
    상기 구동봉(23)의 일측면에 요입 구성되고 중간에 걸착돌기(29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중앙에는 규제돌기(29B)가 돌출되며 걸착돌기(29A)의 대향부위에 걸착홈(29C)을 구비하여 대략 기다란 하트모양의 윤곽을 가지게 되는 이동로(2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KR20-2004-0010847U 2004-04-20 2004-04-20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KR200356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847U KR200356366Y1 (ko) 2004-04-20 2004-04-20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847U KR200356366Y1 (ko) 2004-04-20 2004-04-20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366Y1 true KR200356366Y1 (ko) 2004-07-15

Family

ID=4943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847U KR200356366Y1 (ko) 2004-04-20 2004-04-20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36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273B1 (ko) 2009-03-24 2011-10-26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KR101447196B1 (ko) * 2013-03-29 2014-10-06 박기봉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0480200Y1 (ko) * 2014-10-08 2016-04-22 이성진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KR101935419B1 (ko) * 2017-05-31 2019-01-04 김영수 원터치식 팝업밸브
CN110201808A (zh) * 2019-06-18 2019-09-06 沛乐迪(厦门)卫浴有限公司 一种花洒面盖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273B1 (ko) 2009-03-24 2011-10-26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KR101447196B1 (ko) * 2013-03-29 2014-10-06 박기봉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0480200Y1 (ko) * 2014-10-08 2016-04-22 이성진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KR101935419B1 (ko) * 2017-05-31 2019-01-04 김영수 원터치식 팝업밸브
CN110201808A (zh) * 2019-06-18 2019-09-06 沛乐迪(厦门)卫浴有限公司 一种花洒面盖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669A (en) Strainer equipped drain plug assembly
KR10104255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044175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KR100978682B1 (ko) 배수구 개폐장치
KR20100121385A (ko) 배수구 마개
KR101728223B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11269Y1 (ko)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JP2018003485A (ja) 排水栓装置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1427185B1 (ko) 세면기 팝업밸브에 부착 사용되는 스트레이너 캡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CN106958273B (zh) 一种防臭下水器
KR200472123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걸고리 조립체
CN219653827U (zh) 一种去水装置和洗手盆
JP2005273413A (ja) 排水栓
KR101468810B1 (ko) 세면대용 분리식 팝업장치
KR102376955B1 (ko) 호스커넥터
CN215166205U (zh) 一种下水器
CN220202867U (zh) 一种带漏水篮的下水器
KR200395729Y1 (ko) 악취방지용 배수유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