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854B1 - 배수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854B1
KR100873854B1 KR1020070109976A KR20070109976A KR100873854B1 KR 100873854 B1 KR100873854 B1 KR 100873854B1 KR 1020070109976 A KR1020070109976 A KR 1020070109976A KR 20070109976 A KR20070109976 A KR 20070109976A KR 100873854 B1 KR100873854 B1 KR 10087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
drainage
ho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07010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854B1/ko
Priority to PCT/KR2008/006435 priority patent/WO2009057973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1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등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유동체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채워진 물을 가두어 두거나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여 배수공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 등에 배관된 배수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상부 내측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부가 고정되어 왕복 회전동작을 하는 유동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관, 배수구 개폐장치, 세면대, 하수구

Description

배수용 개폐장치{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rainpipe}
본 발명은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등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유동체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채워진 물을 가두어 두거나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여 배수공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실에 설치되는 세면대나 욕조 등에는 배수구를 막도록 하는 마개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의 편리를 위해 링크구조를 적용하여 마개의 상하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수구 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면대 등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세면대에 물을 저장할 때에는 마개가 배수구를 닫도록 하고, 물을 배수시킬 때에는 마개가 배수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관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에 세면대에 설치되는 배수용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도꼭지(3)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면한 후 오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세면대(1)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하수관(13)과 연통되고, 상부면이 세면대의 바닥면(1a)과 동일 위치가 되게 배수관(11)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세면대(1)와 배수관(11)에는 세면대(1)의 배수구(10a)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2)가 삽입되고, 세면대(1)의 후방에는 상기 개폐부재(12)를 승하강시키는 배수장치(1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세면대(1)의 설치구조에 있어 배수장치(10)는 배수관(11)의 일측으로관통되어 개폐부재(12)의 하부와 연결되는 수평봉(14b)과 세면대(1)의 후측 상부로 인출된 수직봉(14a)이 링크절(14c)에 의해 상호 교차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장치(10)는 수평봉(14b), 수직봉(14a) 및 이를 연결하는 링크절(14c) 등과 같이 많은 수의 금속재 부품이 소요되고, 그 조립 공정 또한 복잡하며, 수도꼭지(3)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봉(14a)을 승강시켜야 하는 구조이어서 그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링크절(14c)의 분리 등과 같이 배수장치(10)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그 수리가 쉽지 않고 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배수장치는 하수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어 하수관(13)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수평봉(14b)에 의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되어 하수관(13)이 잘 막혀 배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면대나 욕조 등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에 설치하여 개폐부재의 일방향을 누르게 되면 배수공이 개폐되도록 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세면대 및 욕조 등에 물을 모아두거나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면대 및 욕조의 배수관에 자성을 이용하여 배수구를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설치함으로써, 배수관으로부터 배수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배수공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막힘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가 간단함과 동시에 분리가 간단하여 고장 등이 발생시에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 등에 배관된 배수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상부 내측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부가 고정되어 왕복 회전동작을 하는 유동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은 내측에 관통된 제1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 상단부에 단턱진 제1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는 단턱진 제2안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의 제1배수공에 끼워지는 끼움부재가 구비되고, 내측에 상, 하부로 관통되는 제2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재에는 동일 선상에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직교 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한쌍의 관통공 중 원형으로 형성된 관통공의 근접 위치에 제2절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관의 제1안착면과 상기 배수구의 제2안착면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각각의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의 내측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 고정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의 제1배수공 내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하부끝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끼움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배수구의 제2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 원주방향으로 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의 제1절개홈에 끼워지는 제1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에는 배수구의 관통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양측 하단부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개폐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축이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내측에 제1지지면을 가지는 안착공이 형성된 지지관이 구비되어 이 지지관에 안착 고정되는 작동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축의 하부 방향으로는 연장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2걸림부재의 끝단부는 외측을 향하게 절곡되어 상기 배수구의 제2절곡홈에 끼워지는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관의 안착공 입구 하단부에는 인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배수구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 중 사각형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관의 안착공에 끼워지되, 지지관의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이 형성되고,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내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와 치합되되 후단부는 상기 배수구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는 제2캠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중앙에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캠부재에는 그 중앙에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캠부재의 삽입공을 관통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서로 대응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캠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하우징의 장홈에 체결되어상기 제1캠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제1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캠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곡면부와 치합되는 제2곡면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에는 제2캠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의 사각형상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재와 제2캠부재의 제1곡면과 제2곡면이 서로 치합시에 일부에 유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면대나 욕조 등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에 설치하여 개폐부재의 일방향을 누르게 되면 배수공이 개폐되도록 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세면대 및 욕조 등에 물을 모아두거나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면대 및 욕조의 배수관에 자성을 이용하여 배수구를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설치함으로써, 배수관으로부터 배수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배수공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배수공의 막힘을 방지하고, 배수공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가 간단함과 동시에 분리가 간단하여 고장 등이 발생시에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의 작동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의 고정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체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2캠부재가 서로 치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용 개폐장치(100)는 세면기(102)의 배수관(104)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관(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110)은 중앙부에 상, 하부로 관통되는 제1배수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112)의 상단부에는 단턱지게 제1안착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면(114)에는 다수개의 홈(116)이 형성되어 이 홈(116)에 안착 고정되는 제1자성체(1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110)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구(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120)는 중앙부에 상, 하부로 관통되는 제2배수공(122) 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단턱지게 제2안착면(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면(124)에는 상기 고정관(110)의 제1안착면(114)에 구비된 제1자성체(117)와 동일 위치에 홈(126)이 형성되고, 이 홈(126)에 안착 고정되는 제2자성체(127)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2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관(110)의 제1배수공(112)에 체결 고정되는 끼움부재(128)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수구의 제2안착면(124)에는 상기 고정관(110)의 제1안착면(114)에 안착되되, 상기 제1,2자성체(117)(127)가 서로 자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끼움부재(128)에는 동일 축선상에 양측으로 대응되는 한쌍의 관통공(129)(129a)이 형성되되, 상기 한쌍의 관통공(129)(129a)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129)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관통공(129a)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끼움부재(128)에는 제1절개홈(128a)과 제2절개홈(128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절개홈(128a)은 상기 한쌍의 관통공(129)(129a)과 서로 직교되게 하여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홈(128b)는 상기 한쌍의 관통공(129)(129a) 중원형으로 형성된 관통공(129a)의 근접 위치, 즉 상기 제1절개홈(128a)이 위치된 반대 방향에 위치되도록 제2절개홈(128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120)의 내측 제2배수공(124)에 고정수단(140)에 의해 고정되어 이 고정수단(14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을 하여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4)을 개폐시키는 유동체(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체(130)는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4)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공(124)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개폐부재(132)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132)의 외측에는 상기 제2배수공(124)을 차단할 때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134)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20)의 제1절개홈(128a)에 끼워져 일방향으로 상기 유동체(130)의 개폐부재(132)가 과다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136)가 외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단부에 고정수단(140)이 설치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하단 양측부에 설치되되,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단면 일측에는 개폐부재(1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20)의 관통공(129)(129a) 중 원형으로 형성된 관통공(129a)에 체결되는 고정축(14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축(142)의 하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142a)가 구비되며, 상기 제2걸림부재(142a)의 끝단부는 상기 배수구(120)의 제2절개홈(128b)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돌기(142b)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단면 타측부에는 내측부에 제1지지면(145)을 가지는 안착공(146)이 형성된 지지관(144)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관(144)의 안착공(146) 입구 하단부에는 상기 인출홈(144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144)의 안착공(146)에 안착 고정되는 작동부(1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50)는 상기 배수구(120)에 하부에 형성된 지지관(144)의 안착공(146)에 장착 고정되되, 상기 지지관(144)의 제1지지면(145)과 대응되도록 외측에 제2지지면(152a)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S)가 안착되는 공간 부(152b)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52b) 중앙에는 체결돌기(152c)가 형성되고, 공간부(152b)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장홈(152d)이 형성된 하우징(1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52)에 체결된 작동부(150)가 고정 및 파손시에 상기 지지관(144)의 인출홈(144a)에 위치한 하우징(152)을 송곳 등을 이용하여 인출시킬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하우징(152)의 하단면에는 상기 지지관(144)의 안착공(146)이 삽입 고정될 때 상기 지지관(144)의 인출홈(144a)에 끼워지도록 손잡이(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150)의 고정이나 파손시에 용이하게 손잡이(미도시)를 파지하여 하우징(142)으로부터 작동부(150)를 인출키실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52)의 공간부(152b)에 내장되어 상기 탄성부재(S)에 의해 탄성지지 되는 제1캠부재(15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캠부재(154)와 치합되되, 후단부에 상기 배수구(120)의 관통공(129)(129a) 중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129)에 체결되는 제2캠부재(15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캠부재(154)와 제2캠부재(156)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152)의 체결돌기(152c)에 삽입 지지되도록 각각에 삽입공(154a)(156a)이 형성되되, 상기 제1캠부재(154)는 원통형상의 몸체(154b)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4b)의 외주부에 상기 하우징(152)의 장홈(152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1캠부재(154)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154c)가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산(155a)과 골(155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제1곡면(15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캠부재(156)는 원통형상의 몸체(156b)가 구비되고, 상기 몸 체(156b)의 일단부에 상기 제1캠부재(154)의 제1곡면과(155) 치합되도록 산(157a)과 골(157b)로 형성된 제2곡면(157) 형성되며, 상기 제2곡면(157)의 타측부에는 제2캠부재(156)가 상기 제1캠부재(15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구(120)의 관통공(129)(129a) 중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129)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돌기(1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캠부재(154)와 제2캠부재(156)의 제1,2곡면(155)(157)이 치합될 때 상기 제1캠부재(154)의 산(155a)과 제2캠부재(156)의 골(157b) 사이에 유격공간부(159)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력의 지지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재(154)와 제2캠부재(156) 간의 사이에 탄성력이 항상 유지되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132)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용 개폐장치(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32)의 누름부를 알려주는 누름표시부(132a)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표시부(132a)는 개폐부재(132)의 상부면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배수구(120)의 상부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폐부재(132)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작동부(150)의 설치는 하우징(152)에 탄성부재(S)와 제1,2캠부재(154)(156)가 체결돌기(152c)에 끼워지게 체결 고정 후에 상기 체결돌기(152c)에 나사(160)를 이용하여 하우징(152)의 공간부(152b)에 체결된 탄성부재(S), 제1,2캠부재(154)(15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132)의 지지관(145) 안착공(146)에 안착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132)의 고정축(142)과 작동부(150)를 상기 배수구(120)의 제1배수공(122)에 설치되게 관통공(129)(129a)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설치 완료 후에 상기 작동부(150)의 탄성부재(S) 및 제1,2캠부재(154)(156)를 지지하는 나사(160)를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제2캠부재(156)가 상기 사각형상을 형성된 관통공(129)에 지지돌기(158)가 끼워지면서 개폐부재(132) 및 작동부(15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공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세면대(102)의 배수관(104))에 상기 배수용 개폐장치(100)의 고정관(110)을 끼워 고정시킨 후에 세면대(102)에 물을 받고자할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개폐부재(132)를 이용하여 차단시킨 상태에서 세면대(102)에 물을 받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차단한 후에 물을 받아 사용하고, 세면대(102)에 받은 물을 사용 후에는 배수시켜야 하는데, 이때에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재(132)의 상부에 표시된 누름표시부(132a)를 누르게되면 상기 개폐부재(132)는 고정수단(140)을 중심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90°로 회전을 하게 되어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이 개방되게 되어 물이 배수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재(132)의 누름표시부(132a)를 누르게 되면 누름표시부(132a)는 배수구(120)의 제1배수공(122)으로 들어가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1,2캠부재(154)(156)의 제1,2곡면(155)(157)이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S)인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132)가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캠부재(154)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구(120)의 관통공(129)에 고정된 제2캠부재(156)의 제2곡면(157)을 향해 가압된 상태에서 제1캠부재(154)가 후진하면서 제1곡면(155)의 산(155a)이 제2캠부재(156)의 산(157a)에 도달하게 되고, 제1곡면(155)의 산(155a)이 제2곡면(157)의 산(157a)을 넘어 제2곡면(157)의 골(157b)쪽으로 넘어오면서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제1캠부재(154)가 전진하게 되고, 타측부의 고정축(142)이 공회전하면서 상기 개폐부재(132)가 90°로 회전하게 되어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이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부재(154)는 하우징(152)의 공간부(152b)에 형성된 장홈(152d)에 체결된 가이드돌기(154c)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32)의 회전시에 전,후진 하는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이 개방될 때 상기 제1캠부재(154)의 산(155a)이 상기 제2캠부재(156)의 산(157a)을 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재(154)를 가압하게 되어 제1캠부재(154)의 산(155a)이 상기 제2캠부재(156)의 산(157a)을 타고 제2캠부재(156)의 골(157b)에 자연적으로 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52)의 공간부(152b)에 소정의 깊이, 즉 제2캠부재(156)의 체결시에 간접을 받지않는 위치부터 수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캠부재(154)의 몸체(154a) 표면에 하우징(152)의 공간부(152b) 수평면과 대응되어 전, 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고정되는 수평면을 형성하여 체결 고정시켜도 본 발명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캠부재(154)(156)가 서로 치합되어 있을 때 제1캠부재(154)의 산(155a)이 제2캠부재(156)의 골(157b)에 완전하게 안착되지 않고 제1캠부재(154)의 산(155a) 최상점이 제2캠부재(156)의 골(157b) 최하점에 도달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2캠부재(154)(156)의 사이에 유격공간부(159)가 형성되어 제1캠부재(154)를 탄성부재(S)가 제2캠부재(156)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상기 개폐부재(132)가 임의로 회전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2)가 개방될 때 상기 고정축(142)에 구비된 제2걸림부재(142a)는 상기 고정축(142)과 같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제2걸림부재(142a)의 돌기(142b)가 상기 배수구(120)의 제2절개홈(128b)에 끼워지면서 상기 개폐부재(132)가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32)가 90°로 정역회전을 할 때 상기 제1절개홈(128a)에 제1걸림부재(136)가 걸리고, 제2절개홈(128b)에 상기 제2걸림부재(142a)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재(132)가 90°의 범위 내에서 정역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을 통해 개폐부재(132)를 회전시켜 도 8와 같이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개방시키게 되어 세면대(102)의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32)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배수공(122)을 도 7과 같이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132)의 외부로 돌출된, 즉 상기 누름표시부(132a)의 타측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부(150)의 제1,2캠부재(154)(156)가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재(132)의 하부에 구비된 작동부(150)의 제1캠부재(154)가 동일하게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32)가 회전을 하면서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차단시킬 때 상기 개폐부재(132)의 제2걸림부재(142a)의 돌기(142b)가 상기 제2절개홈(128b)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걸림부재(136)가 상기 배수구(120)에 형성된 제1절개홈(128a)에 끼워지게 되면서 걸리게 되어 더 이상 개폐부재(132)가 회전을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폐부재(132)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차단하게 되어 세면기(102)에 물을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2)의 배수관(104) 및 상기 고정관(110)과 상기 배수구(120)의 제1,2배수공(112)(122)에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끼여 있는 경 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용 개폐장치(100)의 유동체(130)를 도 8과 같이 개폐부재(132)를 90°로 회전시켜 제2배수공(122)을 개방시킨 후에 사용자는 90°로 회전하여 세워진 개폐부재(132)를 파지 한 상태에서 상부로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관(110)과 배수구(120) 간에 제1,2자성체(117)(127)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배수구(120)가 제1자성체(117)로부터 제2자성체(127)가 떨어지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배수구(120)를 분리시킨 후에 제1,2배수공(112)(122)에 끼여 잇는 머리카락 및 이물질 등을 청소한 후에 상기 배수구(120)를 상기 고정관(110)의 제1배수공(112)에 끼우게 되면 상기 배수구(120)에 구비된 제2자성체(127)가 상기 고정관(110)에 구비된 제1자성체(117)에 부착되면서 배수구(120)의 체결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32)를 이용하여 배수구(120)의 제2배수공(122)을 차단 또는 개방시켜 물을 받거나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용 개폐장치(100)의 고정관(110)의 단턱진 내주면과 상기 배수구(120)의 단턱진 외주면에 각각의 나사산(110a)(120a)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수용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배수구(120)를 고정관(11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개폐부재(132)를 수직으로 세운 후에 이 개폐부재(132)를 파지한 후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결합이 풀리면서 분리되게 되고, 상기 배수구(120)를 고정관(110)에 체결 시에는 상기 배수구(120)를 상기 고정관(110)의 제1배수공(112)에 끼운 후에 풀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배수구(120)와 고정관(110)에 나사 결합되면서 배수구(120)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용 개폐장치(100)의 고정관(110)의 제1배수공(112) 내주면에 상기 제1배수공(112)의 상부 단턱부와 연계되게 체결홈(110b)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0b)의 끝단부는 상기 제1배수공(112)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10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20)의 끼움부재(128)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관(110)의 체결홈(110b)과 대응되는 끼움돌기(128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110)의 체결홈(110b)과 상기 배수구(120)의 끼움돌기(128c)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되,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응되게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수용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배수구(120)를 상기 고정관(11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개폐부재(132)를 수직으로 세운 후에 이 개폐부재(132)를 파지한 후에 일방향, 즉 상기 걸림홈(110c)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배수구(120)의 끼움돌기(128c)가 상기 걸림홈(110c)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체결홈(110b) 상에 위치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20)를 외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고정관(110)으로부터 배수구(1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고정관(110)에 배수구(120)를 체결시킬 때는 상기 배수구(120)의 끼움돌기(128c)를 상기 체결홈(110b)에 맞춘 후에 하부로 배수구(120)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체결홈(110b)에 끼워지면서 하부에 끼움돌기(128c)가 위치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걸림홈(110c)이 형성된 방향으로 배수구(120)를 돌리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128c)가 상기 걸림홈(110c)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등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유동체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채워진 물을 가두어 두거나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여 배수공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용 개폐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의 작동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의 고정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체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2캠부재가 서로 치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공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배수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수용 개폐장치 110 : 고정관
112, 122 : 제1,2배수공 114, 124 : 제1,2안착면
116, 126 : 홈 117, 127 : 제1,2자성체
120 : 배수구 128 : 끼움부재
130 : 유동체 132 : 개폐부재
132a : 누름표시부 136, 142a : 제1,2걸림부재
140 : 고정수단 142 : 고정축
144 : 지지관 145, 152a : 제1,2지지면
146 : 안착공 150 : 작동부
152 : 하우징 152b : 공간부
152c : 체결돌기 152d : 장홈
154, 156 : 제1,2캠부재 154a, 156a : 삽입공
154b, 156b :몸체 154c : 가이드돌기
155, 157 : 제1,2곡면 155a, 157a : 산
155b, 157b : 골 158 : 지지돌기

Claims (17)

  1. 세면대나 욕조 등에 배관된 배수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상부 내측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되, 단턱진 제2안착면이 형성되어 고정관에 끼워지는 끼움부재가 구비되고, 내측에 상,하부로 관통되는 제2배수공이 형성되며, 끼움부재에는 동일 선상에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과 직교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부가 고정되어 왕복 회전동작을 하는 유동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내측에 관통된 제1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 상단부에 단턱진 제1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관통공 중 원형으로 형성된 관통공의 근접 위치에 제2절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제1안착면과 상기 배수구의 제2안착면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각각의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내측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 고정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제1배수공 내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하부끝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끼움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배수구의 제2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 원주방향으로 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의 제1절개홈에 끼워지는 제1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에는 배수구의 관통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양측 하단부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개폐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축이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내측에 제1지지면을 가지는 안착공이 형성된 지지관이 구비되어 이 지지관에 안착 고정되는 작동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하부 방향으로는 연장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2걸림부재의 끝단부는 외측을 향하게 절곡되어 상기 배수구의 제2절곡홈에 끼워지는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안착공 입구 하단부에는 인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배수구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 중 사각형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관의 안착공에 끼워지되, 지지관의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이 형성되고,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내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와 치합되되 후단부는 상기 배수구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는 제2캠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중앙에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캠부재에는 그 중앙에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캠부재의 삽입공을 관통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페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서로 대응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캠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하우징의 장홈에 체결되어상기 제1캠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제1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캠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곡면부와 치합되는 제2곡면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에는 제2캠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의 사각형상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와 제2캠부재의 제1곡면과 제2곡면이 서로 치합시에 일부에 유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개페장치.
KR1020070109976A 2007-10-31 2007-10-31 배수용 개폐장치 KR10087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76A KR100873854B1 (ko) 2007-10-31 2007-10-31 배수용 개폐장치
PCT/KR2008/006435 WO2009057973A2 (en) 2007-10-31 2008-10-31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76A KR100873854B1 (ko) 2007-10-31 2007-10-31 배수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854B1 true KR100873854B1 (ko) 2008-12-15

Family

ID=4037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976A KR100873854B1 (ko) 2007-10-31 2007-10-31 배수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3854B1 (ko)
WO (1) WO20090579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67B1 (ko) * 2011-04-28 2013-06-17 주식회사 왕산정밀 배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1948B (zh) * 2017-10-20 2024-04-02 北京科勒有限公司 排水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95Y1 (ko) * 1999-09-04 2000-09-15 구병동 배수구 냄새 역류 방지 장치
JP2002339426A (ja) 2001-05-11 2002-11-27 Shinko:Kk 流し台等の流し口構造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구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74Y1 (ko) * 1999-02-02 2003-04-08 이수민 배수관용 역류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95Y1 (ko) * 1999-09-04 2000-09-15 구병동 배수구 냄새 역류 방지 장치
JP2002339426A (ja) 2001-05-11 2002-11-27 Shinko:Kk 流し台等の流し口構造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구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67B1 (ko) * 2011-04-28 2013-06-17 주식회사 왕산정밀 배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973A2 (en) 2009-05-07
WO2009057973A3 (en)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716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0926423B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100873854B1 (ko) 배수용 개폐장치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KR101391478B1 (ko) 원터치 팝업식 배수구 개폐 장치
KR20110011997A (ko)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KR101728223B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090005956A (ko) 세면대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KR200475485Y1 (ko) 팝업밸브
KR101354685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0305373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JP5361290B2 (ja) 排水器具
KR100943995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101274967B1 (ko) 배수 장치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