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06Y1 - 배수구 커버 - Google Patents

배수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06Y1
KR200336806Y1 KR20030029230U KR20030029230U KR200336806Y1 KR 200336806 Y1 KR200336806 Y1 KR 200336806Y1 KR 20030029230 U KR20030029230 U KR 20030029230U KR 20030029230 U KR20030029230 U KR 20030029230U KR 200336806 Y1 KR200336806 Y1 KR 200336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dirt
drain
drai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9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030029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평판(12)을 가지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평판(12)의 내측에 힌지(30)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회전덮개(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30)는 외측평판(12)에 형성시킨 힌지구멍(32)과, 이 힌지구멍(32)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덮개(20)에 돌출 형성시킨 힌지축(34)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큰 오물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회전덮개(20)가 회전 개방되어 오물이 걸리는 현상이 없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배출공(15)이 회전덮개(20)에 의해 덮어지게 되어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완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배수구 커버 {Cover for drain hole}
본 고안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구 커버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회전덮개를 장착함으로써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를 포함한 욕실, 화장실, 주방 등의 바닥에는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커버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구 커버를 보여준다. 이러한 배수구 커버(1)는 통상적으로 오물을 수집하는 오물 수거통과 함께 설치되고 있는 데, 특히 씽크대의 경우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할 수 있고 물의 배출이 자유롭도록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원통망체의 오물 수거통(5)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물 수거통(5)을 배수구 입구(씽크대 입구)에 장착한 다음 그 위에 배수구 커버(1)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구 커버(1)는 외측평판(2)과 내측평판(4)의 사이에 배출공(3)을 형성하여 이 배출공(3)을 통하여 물과 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구 커버(1)는 배출공(3)을 통하여 물의 배출은 자유롭게 할 수 있으나 큰 오물을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배출공(3)에 오물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물 수거통(5)에 오물이 용이하게 수집되지 않고 배출공(3)에 자주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에는 배수구 커버(1)를 배수구로부터 꺼내어 오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해야 한다.
또한, 배출공(3)을 통하여 오물 수거통(5)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였고, 특히 배출공(3)을 통해 오물의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되는 회전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씽크대에 설치되는 원통망체의 오물 수거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3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구 커버 12 : 외측평판
14 : 벽체 15 : 배출공
16 : 경사면 18 : 지지대
20 : 회전덮개 20a, 20b : 경사판
30 : 힌지 32 : 힌지구멍
34 : 힌지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평판을 가지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평판의 내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회전덮개가 설치된 배수구 커버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되는 회전덮개가 배수구 커버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배수공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하여 설치된다.
상기 회전덮개는 물이나 오물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닫혀 있다가 물이나 오물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회전 개방되어 물이나 오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3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커버는 외측평판(12)과 이로부터 연장된 벽체(14)를 가지며, 상기 외측평판(12)의 내측에 즉, 배수구 커버(10)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덮개(20)가 설치된다. 이때, 회전덮개(20)는 힌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힌지(30)는 힌지구멍(32)과 힌지축(34)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힌지(30)는 외측평판(12)에 상향 또는 하향 연장하여 마련된 지지대(18)에 힌지구멍(32)을 형성시키고, 상기 힌지구멍(32)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덮개(20)에는 힌지축(34)을 돌출 형성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구멍(32)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물(오수)이나 오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외측평판(12)의 내측에 경사지게 하향 연장하여 경사면(16)을 마련하고, 이 경사면(16)에 상향 연장하여 지지대(18)를 마련한 다음 이 지지대(18)에 힌지구멍(32)을 형성한다. 즉, 상기 힌지(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평판(12)의 내측에 경사지게 하향 연장하여 경사면(16)을 마련하고, 이 경사면(16)에 상향 연장하여 지지대(18)를 마련한 다음 이 지지대(18)에 형성시킨 힌지구멍(32)과, 상기 힌지구멍(32)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덮개(20)에 돌출 형성시킨 힌지축(3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덮개(20)는 오물 수거통(5, 도 2 참조)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하면서 악취의 역류를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배출공(15)의 크기보다 가능한 한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즉, 회전덮개(20)는 배출공(15)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이다.
또한, 상기 회전덮개(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4)을 축으로 하여 나뉘어져 좌우측으로 경사진 두 개의 경사판(20a)(20b)으로 구성하여 회전이 자유로와 물이나 오물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덮개(20)는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서,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물이나 오물이 통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혀 있다가, 물이나 오물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물이나 오물의 무게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개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전덮개(20)를 힌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큰 오물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회전덮개(20)가 회전 개방되어 오물이 걸리는 현상이 없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공(15)이 회전덮개(20)에 의해 덮어지게 함으로써 오물 수거통(5, 도 2)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완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임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되는 회전덮개(20)를 설치함으로써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오물 수거통에 수집된 오물이 보이지 않게 함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외측평판(12)을 가지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평판(12)의 내측에 힌지(30)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회전덮개(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외측평판(12)에 지지대(18)를 마련하고 이 지지대(18)에 형성시킨 힌지구멍(32)과, 상기 힌지구멍(32)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덮개(20)에 돌출 형성시킨 힌지축(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외측평판(12)의 내측에 경사지게 하향 연장하여 경사면(16)을 마련하고, 이 경사면(16)에 상향 연장하여 지지대(18)를 마련한 다음 이 지지대(18)에 형성시킨 힌지구멍(32)과, 상기 힌지구멍(32)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덮개(20)에 돌출 형성시킨 힌지축(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힌지축(34)을 축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경사진 두 개의 경사판(20a)(20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
KR20030029230U 2003-09-15 2003-09-15 배수구 커버 KR200336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230U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09-15 배수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230U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09-15 배수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06Y1 true KR200336806Y1 (ko) 2003-12-24

Family

ID=4113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9230U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09-15 배수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06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854B1 (ko) 2007-10-31 2008-12-15 김현주 배수용 개폐장치
KR100911385B1 (ko) 2009-05-13 2009-08-07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저소음 배수관로 구조
KR101493964B1 (ko) 2013-09-17 2015-02-25 이유구 씽크대 수채망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5-10-01 최원철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101632920B1 (ko) * 2015-12-07 2016-06-27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악취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빗물받이
KR101765516B1 (ko) * 2016-04-22 2017-08-07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싱크대
KR20180002929U (ko) 2017-04-03 2018-10-12 조성민 배수구 자동차단 장치
KR101956480B1 (ko) *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KR20220030847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854B1 (ko) 2007-10-31 2008-12-15 김현주 배수용 개폐장치
WO2009057973A2 (en) * 2007-10-31 2009-05-07 Hyeon-Ju Kim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raining
WO2009057973A3 (en) * 2007-10-31 2009-06-18 Hyeon-Ju Kim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raining
KR100911385B1 (ko) 2009-05-13 2009-08-07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저소음 배수관로 구조
KR101493964B1 (ko) 2013-09-17 2015-02-25 이유구 씽크대 수채망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5-10-01 최원철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101632920B1 (ko) * 2015-12-07 2016-06-27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악취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빗물받이
KR101765516B1 (ko) * 2016-04-22 2017-08-07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싱크대
KR20180002929U (ko) 2017-04-03 2018-10-12 조성민 배수구 자동차단 장치
KR101956480B1 (ko) *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KR20220030847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KR102432943B1 (ko) 2020-09-03 2022-08-12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054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US6698035B1 (en) Urinal anti-splashback screen
KR200336806Y1 (ko) 배수구 커버
KR100787481B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200385876Y1 (ko) 욕실바닥용 봉수트랩의 개선구조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160020902A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JPS6338887Y2 (ko)
KR200244693Y1 (ko) 배수트랩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KR200318050Y1 (ko) 배수구 마개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JP5103073B2 (ja) 手洗器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262187Y1 (ko) 하수장치
KR200228266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기
KR200496797Y1 (ko) 배수구 트랩 설치용 유가를 포함하는 탈착식 배수구 트랩 어셈블리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48515Y1 (ko) 회전 개방식 배수마개
KR200292785Y1 (ko) 세면대용 팝업 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