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145B1 -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145B1
KR101556145B1 KR1020130112010A KR20130112010A KR101556145B1 KR 101556145 B1 KR101556145 B1 KR 101556145B1 KR 1020130112010 A KR1020130112010 A KR 1020130112010A KR 20130112010 A KR20130112010 A KR 20130112010A KR 101556145 B1 KR101556145 B1 KR 10155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opening
drain
closing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032A (ko
Inventor
최원철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최원철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이승훈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13011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환형의 개폐판;과, 상고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적층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판;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상부 손잡이;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편히 고정판을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를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고정판과 개폐판을 통해 예방하는 동시에, 물은 용이하게 배수구로 유통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개와 같이 사용자가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 종래의 마개에 대비하여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정판을 뒤집어 고정판의 상부에 개폐판이 위치된 상태로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가 완전 밀폐되어 싱크대에 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Odor blocked plug that is used for drain}
본 발명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히 고정판을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를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고정판과 개폐판을 통해 예방하는 동시에, 물은 용이하게 배수구로 유통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개와 같이 사용자가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 종래의 마개에 대비하여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싱크대 배수구는 물을 유통시키는 배수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기 배수구를 통해서 유통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가정에서는 싱크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통상 배수구를 폐쇄하는 고무재질의 마개를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한 마개는 배수구를 완전 밀폐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특성상 싱크대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마개를 다시 개방시켜야 함으로, 자주 싱크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개를 열고 닫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수구에 설치하여 악취는 예방하되, 싱크대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구로 유통시키는 악취 차단용 마개가 개발 제안되었으나, 개발된 대다수의 악취 차단용 마개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곤란하고, 단가가 고가여서 현실적으로 적용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개발된 악취 차단용 마개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이 낮아 더욱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편히 고정판을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를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고정판과 개폐판을 통해 예방하는 동시에, 물은 용이하게 배수구로 유통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개와 같이 사용자가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 종래의 마개에 대비하여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고정판을 뒤집어 고정판의 상부에 개폐판이 위치된 상태로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가 완전 밀폐되어 싱크대에 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환형의 개폐판;과, 상고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적층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판;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상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배출구멍은 상기 개폐판을 통해 폐쇄되므로 상기 고정판이 배수구에 안치되면 상기 배수구가 폐쇄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한 악취의 유통이 차단되는 동시에, 물이 상기 고정판의 배출구멍으로 유입되면 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개폐판이 하방으로 눌러져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물이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를 뒤집어 상기 고정판을 통해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면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상기 개폐판이 적층되어 상기 고정판의 배출구멍을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판의 배출구멍으로 물의 유입이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에 의하면, 간편히 고정판을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를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고정판과 개폐판을 통해 예방하는 동시에, 물은 용이하게 배수구로 유통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개와 같이 사용자가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 종래의 마개에 대비하여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정판을 뒤집어 고정판의 상부에 개폐판이 위치된 상태로 배수구에 안치시키면 배수구가 완전 밀폐되어 싱크대에 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100)는 몸체(10)와, 개폐판(20)과, 고정판(30)과, 상부 손잡이(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설될 상기 개폐판(20) 및 고정판(30)을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몸체(10)의 측면 둘레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환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우수한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0)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후설될 상기 고정판(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폐쇄함으로, 배수구(1)를 통한 악취를 유통을 예방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0)은 상고 몸체(10)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20)의 상부에 적층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구멍(31)이 형성되는 환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와 결합되는 상기 고정판(30)은 배수구(1)를 덮어 배수구(1)를 폐쇄시키되, 상기 몸체(10) 및 개폐판(2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은 상기 개폐판(20)을 통해 폐쇄되므로 상기 고정판(30)이 배수구(1)에 안치되면 상기 배수구(1)가 폐쇄되어 상기 배수구(1)를 통한 악취의 유통이 차단되어 배수구(1)를 통한 악취를 예방하도록 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으로 유입되면 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이 눌러져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멍이 개방되므로, 물이 상기 배출구멍(31)을 통해 배수구(1)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 물이 저장되도록 배수구(1)가 폐쇄되도록 하려면 상기 몸체(10)를 뒤집어 상기 고정판(30)을 배수구에 안치하면, 상기 고정판(30)의 상부에 상기 개폐판(20)이 적층되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으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배수구(1)가 완벽히 폐쇄되어 싱크대에 물을 간편히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에 안치되는 상기 고정판(30)의 가장자리에는 패킹(70);을 더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30)이 배수구(1)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구(1)를 정밀하게 폐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손잡이(4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여 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몸체(10)의 측면 둘레에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홈(50)에 억지끼움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근접하는 상기 개폐판(20)의 하부면에는 환형의 절곡홈(60);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20)이 물의 중량에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통해 물의 용이한 배출을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하부 손잡이(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10)를 용이하게 뒤집고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100)는 간편히 상기 고정판(30)을 배수구(1)에 안치시키면 배수구(1)를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고정판(30) 및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폐쇄하는 개폐판(20)을 통해 예방하는 동시에, 물은 상기 개폐판(20)을 통한 상기 배출구멍(31)의 개폐를 통해 용이하게 배수구(1)로 유통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개와 같이 사용자가 마개를 열어 배수구(1)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함으로 종래의 마개에 대비하여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판(30)을 뒤집어 상기 고정판(30)의 상부에 개폐판(20)이 위치된 상태로 배수구(1)에 안치시키면 배수구(1)가 완전 밀폐되어 싱크대에 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이 개폐판(20)을 통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 손잡이(40)를 파지하여 상기 고정판(30)을 싱크대의 배수구(1)에 위치시키면, 상기 고정판(30) 및 개폐판(20)을 통해 배수구(1)가 완벽하게 폐쇄되어 배수구(1)를 통한 악취의 발생이 예방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으로 유입되면 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이 눌러져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멍(31)이 개방되므로, 물이 상기 배출구멍(31)을 통해 배수구(1)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 물이 저장되도록 배수구(1)가 폐쇄되도록 하려면 상기 몸체(10)를 뒤집어 상기 고정판(30)을 배수구(1)에 안치하면, 상기 고정판(30)의 상부에 상기 개폐판(20)이 적층되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폐쇄하게 되므로, 싱크대로 물이 유입되면 물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개폐판(20)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에 더욱 견고히 밀착 폐쇄하여 배수구(1)를 통한 물의 유통이 차단되어 싱크대에 물을 간편히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100)를 싱크대의 배수구(1)에 실시하여 사용을 간편히 설명하였으나,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등의 배수구(1)에 설치되어 악취를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배수구
10. 몸체 20. 개폐판
30. 고정판 31. 배출구멍
40. 상부 손잡이 50. 고정홈
60. 절곡홈 70. 패킹
80. 하부 손잡이
100.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Claims (5)

  1.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측면 둘레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환형의 개폐판(20);
    상고 몸체(10)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20)의 상부에 적층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구멍(31)이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판(30);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상부 손잡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은 상기 개폐판(20)을 통해 폐쇄되므로 상기 고정판(30)이 배수구(1)에 안치되면 상기 배수구(1)가 폐쇄되어 상기 배수구(1)를 통한 악취의 유통이 차단되는 동시에, 물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으로 유입되면 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이 하방으로 눌러져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멍(31)을 통해 물이 상기 배수구(1)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0)를 뒤집어 상기 고정판(30)을 통해 상기 배수구(1)를 폐쇄하면 상기 고정판(30)의 상부에 상기 개폐판(20)이 적층되어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을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판(30)의 배출구멍(31)으로 물의 유입이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12010A 2013-09-17 2013-09-17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10155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10A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3-09-17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10A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3-09-17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32A KR20150032032A (ko) 2015-03-25
KR101556145B1 true KR101556145B1 (ko) 2015-10-01

Family

ID=5302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010A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3-09-17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480B1 (ko)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KR102130263B1 (ko) 2020-04-23 2020-07-03 김진희 싱크대 배수구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460B1 (ko) * 2019-12-30 2021-04-29 최영진 유체 배출구의 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43Y1 (ko) 1997-02-11 1999-08-02 양재호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200265950Y1 (ko) 2001-11-27 2002-02-25 이승준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구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43Y1 (ko) 1997-02-11 1999-08-02 양재호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200265950Y1 (ko) 2001-11-27 2002-02-25 이승준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336806Y1 (ko)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구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480B1 (ko)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KR102130263B1 (ko) 2020-04-23 2020-07-03 김진희 싱크대 배수구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32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392B1 (en) Mouth guard holding assembly and method
US6880179B2 (en) Sink stopper
KR101556145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US9370461B2 (en) Touch-to-activate structure for make-up pen with function of vibration massage
JP6238031B2 (ja) 容器
EP2113695A1 (en) A safety plug for a container generating high pressure fluid
US7641065B2 (en) Canteen
JP5966240B2 (ja) 容器
KR101770727B1 (ko) 물티슈 용기의 개폐장치
US20160047485A1 (en) Fluid Valve Assembly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JP6639921B2 (ja) キャップ
JP2010058797A (ja) ヒンジキャップ
JP582314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KR20110067982A (ko) 용기
KR20130004804U (ko) 텀블러 뚜껑
KR200398596Y1 (ko) 액체용기 토출밸브
KR101752191B1 (ko) 물티슈 용기의 개폐장치
ATE357377T1 (de) Behälter mit scharnierdeckel
KR20170064347A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KR200468883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소형 빨래판
JP2019043575A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